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민소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민소매는 소매가 없는 상의를 지칭하는 의류로, 대한민국에서는 '나시'로 불리기도 한다.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탱크탑, 머슬 셔츠, A-셔츠 등 다양한 형태로 불리며, 카미솔, 두더우, 홀터탑, 튜브탑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스포츠 의류, 속옷, 또는 패션 아이템으로 활용되며, 1953년 일본에서는 노출 논란이 있었으나, 현재는 착용 기간이 확대되었다. 민소매는 긍정적인 인식과 부정적인 인식이 공존하며, 젠더 이슈와 관련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셔츠 - 알로하 셔츠
    알로하 셔츠는 하와이에서 시작되어 반소매와 프린트된 디자인이 특징이며, 하와이 민속 의상으로 여겨지고, 알로하 위크와 알로하 프라이데이를 통해 직장 복장으로 자리 잡았으며 일본 전통 의복과도 연관이 있다.
  • 셔츠 - 크롭톱
    크롭톱은 배꼽이나 허리 위로 짧게 잘린 상의로, 1893년 첫 등장 후 1930년대 패션 아이템으로 주목받기 시작하여 1960년대 대중화, 1980년대 에어로빅 유행, 2010년대 복고 트렌드와 함께 인기를 얻으며 남성용으로도 사랑받고 있다.
  • 속옷 - 캐미솔
    캐미솔은 과거 재킷의 일종이었으나 현대에는 헐렁한 민소매 속옷을 의미하며, 겉옷이나 속옷으로 활용되고 속옷의 비침을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 속옷 - 레오타드
    레오타드는 19세기 프랑스 곡예사의 이름에서 유래한 몸에 꼭 맞는 원피스 의류로, 무용, 체조 등 기능성 의류로 사용되며 스트리트 패션 아이템으로도 인기를 얻고 있고, 최근에는 성희롱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전신 바디 수트 형태도 나타난다.
  • 1990년대 패션 - 휠라
    1911년 이탈리아에서 휠라 형제가 설립한 스포츠웨어 브랜드 휠라는 속옷 생산으로 시작해 테니스 선수 후원을 통해 스포츠웨어 시장에 진출, 2007년 휠라 코리아가 글로벌 브랜드 경영을 시작하여 현재 대한민국 서울에 본사를 두고 스포츠 팀 및 다양한 브랜드와 협업하고 있다.
  • 1990년대 패션 - 리바이스
    리바이스 스트라우스 & 컴퍼니는 1853년 리바이 스트라우스가 설립한 미국의 의류 회사로, 금속 리벳 청바지 특허와 501 모델로 유명하며, 어려움 속에서도 다양한 제품 라인 확장과 브랜드 관리로 세계적인 의류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민소매
개요
민소매 셔츠 스케치
민소매 셔츠 스케치
종류소매 없는 티셔츠
재료직물
명칭
영어Sleeveless
일본어 (로마자 표기)No-sleeve (노-스리브)
종류
일반 종류탱크 탑
캐미솔
튜브 탑
기타 종류드레스
특징
특징소매가 없는 옷
활용
활용더운 날씨에 시원하게 입을 수 있음
운동할 때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음
다양한 스타일로 연출 가능
주의사항
결혼식 하객 복장노출이 심한 디자인은 피하는 것이 좋음
재킷이나 볼레로 등으로 어깨를 가리는 것이 좋음
장례식장에서는 착용하지 않는 것이 좋음

2. 명칭 및 어원

민소매는 지역별, 용도별로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속옷으로 입거나 화려하게 디자인된 경우는 셔츠처럼 입기도 한다. 러닝셔츠는 일본식 영어로, 북미에서는 보통 탱크톱이라고 부른다.[26]

2.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흔히 '나시'라고 불리는데, 이는 일본어의 '소매가 없다'는 뜻의 '소데나시(袖無し)'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26]

2. 2. 북미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모든 종류의 소매 없는 셔츠를 '''탱크탑'''[1] 또는 '''탱크 셔츠'''[2]라고 부르며, 여기에는 몇 가지 종류가 있다. 탱크탑이라는 명칭은 1920년대 수영장에서 입던 원피스 수영복인 ''마요''에서 유래했다.[3] 탱크탑은 남녀 모두 착용하며, 목과 암홀(겨드랑이 부분)은 내구성을 위해 강화되기도 한다. 큰 암홀과 목 구멍을 가진 경우가 많으며, 가슴 아래까지 내려오기도 한다. 여성용은 가슴을 가리기 위해 구멍이 작고, 바지에 넣어 입기 쉽도록 길게 제작되기도 한다. 대부분 단추, 칼라(옷깃), 주머니가 없다.

티셔츠와 디자인은 같지만 소매가 없는 셔츠는 '''머슬 셔츠'''라고 불린다.[4] 더 작고 좁은 암홀을 가진 머슬 셔츠는 여성과 남성 모두 착용하며, 운동이나 더운 날씨에 캐주얼하게 입는다. 1980년대에 서핑보디빌딩 선수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았으며, 체육관 로고가 새겨진 경우가 많았다. 로고가 없는 머슬 셔츠는 현재 평상복으로 더 많이 착용된다.

몸에 딱 맞는 골지 소재의 탱크탑은 '''A-셔츠'''라고도 불린다. '''와이프비터''', '''비터''', '''기니 티''', '''다고 티'''와 같은 속어도 있는데, '기니'와 '다고'는 미국에서 이탈리아인을 비하하는 표현이다.

'와이프비터'라는 용어는 1947년 디트로이트에서 아내를 때려죽인 남자가 체포된 사건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 있다. 당시 언론에서 얼룩진 언더셔츠를 입은 남자의 사진을 "아내 폭행범"으로 보도했다는 것이다.[5][6] 그러나 이 주장을 뒷받침할 뉴스 기록은 발견되지 않았다.[7] 중세 시대 사슬 갑옷 속옷인 "웨이프비터"에서 유래했다는 주장도 있지만, 이는 거짓으로 밝혀졌다.[8]

탱크탑은 운동 외에도 정장이나 드레스 셔츠 안에 입는 속옷으로도 사용된다. 덥고 습한 날씨에는 셔츠 없이 단독으로 착용하기도 하며, 집에서 편하게 입거나 뜰에서 일할 때도 입는다.

3. 종류

민소매는 다양한 디자인과 소재로 제작된다. 속옷으로 입거나 화려하게 디자인된 경우는 셔츠처럼 입기도 한다.

1950년대 중국 광고 속 탱크탑


홀터넥 스타일의 예시


튜브 탑

  • '''탱크탑''': 1920년대 수영복에서 유래되었으며, 남녀 모두 착용한다. 대한민국에서는 '나시'라고도 불린다.
  • '''머슬 셔츠''': 티셔츠와 디자인은 같지만 소매가 없다. 1980년대 보디빌딩 선수들 사이에서 유행했다.
  • '''A-셔츠''': 몸에 꼭 맞는 골지 면으로 만들어진 탱크탑을 가리키는 속어이다.
  • '''카미솔''': 원래 속옷으로 입었지만, 겉옷으로도 활용되는 여성용 민소매 셔츠이다.
  • '''두더우''': 중국과 베트남의 전통 의상으로, 속옷이나 겉옷으로 사용된다.
  • '''홀터탑''': 끈을 목 뒤로 둘러 묶는 형태의 민소매 셔츠이다.
  • '''튜브 탑''': 소매와 어깨 끈이 없는 튜브 형태의 셔츠이다.
  • '''반소매''': 소매를 제거한 형태의 셔츠를 일반적으로 부르는 말이다. 여름에 주로 착용하며, 여성용 의류에 많이 사용된다.

3. 1. 탱크탑 (Tank top)

탱크탑은 소매가 없는 셔츠 형태로, 남녀 모두 착용한다. 1920년대 수영장에서 입던 원피스 수영복인 마요에서 유래되었다.[3] 대한민국에서는 흔히 ‘나시’라고 불리는데, 이는 일본어로 ‘소매가 없다’는 의미인 ‘소데나시(袖無し)’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26]

탱크탑은 큰 암홀과 목 구멍을 가지며, 가슴 아래까지 내려오는 경우도 있다. 특히 낮은 암홀은 "드롭 암홀"이라고 불린다. 여성용 탱크탑은 가슴을 가리기 위해 더 작은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바지에 넣어 입기 쉽도록 길게 제작되기도 한다. 거의 모든 경우에 단추, 칼라, 주머니는 없다.

소매 없는 티셔츠는 '''머슬 셔츠'''라고도 불리며, 티셔츠와 동일한 디자인이지만 소매가 없다.[4] 1980년대에 서핑보디빌딩 선수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체육관 로고가 새겨진 경우가 많았다.

몸에 딱 맞는 골지 탱크탑은 '''A-셔츠'''라고도 불리며, '''와이프비터''', '''비터''', '''기니 티''', '''다고 티''' 등의 속어로도 불린다. '와이프비터'라는 용어는 1947년 디트로이트에서 아내를 때려죽인 남자가 얼룩진 언더셔츠를 입은 사진이 신문에 실리면서 유래되었다는 주장이 있지만,[5][6] 이를 뒷받침할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7]

영국에서는 탱크탑을 '''조끼'''라고 부르며,[9] 호주와 뉴질랜드에서는 '''싱글렛''', 인도에서는 '''바니안''' 또는 '''밴얀''', 필리핀에서는 '''산도'''라고 부른다.

탱크탑은 운동 용도 외에도 정장과 드레스 셔츠 안에 입는 속옷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더운 날씨에는 단독으로 착용하기도 한다.

3. 2. 머슬 셔츠 (Muscle shirt)

머슬 셔츠는 티셔츠와 같은 디자인이지만 소매가 없는 옷이다. 운동할 때나 더운 날씨에 평상복으로 입는다. 1980년대에 보디빌딩 선수들 사이에서 유행했다.[1]

3. 3. A-셔츠 (A-shirt)

몸에 딱 맞는 골지 으로 만들어진 탱크탑은 구어체로 A-셔츠라고도 불린다. 다른 속어로는 와이프비터, 비터, 기니 티 또는 다고 티가 있는데, 여기서 '기니'와 '다고'는 미국에서 이탈리아인에 대한 민족적 비하 발언이다.[5][6][7][8]

3. 4. 카미솔 (Camisole)



카미솔(Camisole)은 간단히 '''카미'''라고도 하며, 소매가 없는 셔츠의 일종이다. 전통적으로 여성이 입는 옷으로, 허리까지 내려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스파게티 끈이 달려 있는 경우가 많으며, 원래는 속옷으로 착용했지만, 현대에는 겉옷으로도 활용된다.[10][11][12]

현대적 의미의 카미솔은 몸통 윗부분을 덮지만, 셔미즈보다는 짧고 헐렁한[13][14][15] 소매 없는 속옷을 말한다. 보통 허리까지 내려오지만, 배꼽이 드러나도록 짧게 만들거나, 골반 전체를 덮을 정도로 길게 만들기도 한다.

카미솔은 가벼운[16] 을 주재료로 사용하며, 새틴, 실크, 라이크라, 나일론, 스판덱스와 같이 신축성 있는 직물을 사용하기도 한다.

3. 5. 두더우 (Dudou)

두더우(肚兜|배 덮개중국어)는 베트남 의복에서 'yếm'으로 알려진, 중국 의복 및 베트남 의복과 유사한 의류이다. 실크 앞치마 또는 턱받이와 비슷하지만, 전통적으로는 몸매를 납작하게 하고 중의학적으로 위장의 ''기''를 보존하기 위한 속옷 또는 보디스로 사용되었다. 2000년경부터 서양과 중국 패션에서 여성용 민소매, 등 없는 셔츠로도 사용되기 시작했다.

3. 6. 홀터탑 (Halter top)



홀터탑은 끈이 목 뒤로 둘러져 상체를 드러내는 민소매 셔츠의 일종으로, 주로 여성들이 착용한다.

3. 7. 튜브탑 (Tube top)

'''튜브 탑'''은 소매나 어깨 끈이 없는 튜브 형태의 셔츠로, 착용자의 몸통을 감싼다. 일부 튜브 탑은 몸통 대부분을 가리는 반면, 다른 튜브 탑은 배꼽 부위를 드러내기도 한다. 영국 및 호주 영어에서는 비공식적으로 '''부브 튜브'''라고 불린다.[17]

4. 역사

민소매 의류는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육상 경기를 비롯한 스포츠 경기에서 선수들이 민소매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체온 발산에 유리하고 팔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이다.[26] 실내 체조 경기에서는 체온 발산이, 겨울철 마라톤에서는 팔 움직임의 자유로움이 주된 이유이다. 여자 배구나 피겨 스케이팅, 여성 피아니스트나 바이올리니스트의 경우 다른 이유로 민소매를 착용하기도 한다.

1953년 여름, 일본에서는 민소매 옷이 크게 유행하였다. 그러나 도쿄도(東京都)의 관공서에서는 민소매가 피부를 과도하게 노출시킨다는 이유로 착용을 금지하면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25] 일본에서 민소매는 보통 7, 8월에만 입는 여름옷으로 여겨졌으나, 1990년대 후반부터는 3월부터 11월까지, 봄부터 가을에 걸쳐 민소매를 입는 기간이 늘어났다. 특히 패션을 중시하는 젊은 여성들은 연중 내내 민소매를 착용하기도 한다. 반면, 남성이 민소매를 입는 경우는 드물며, 입더라도 호의적인 반응을 얻기 어렵다. 이는 민소매가 다른 옷들과 구별되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4. 1. 서양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캐주얼한 민소매 셔츠를 '''탱크탑'''[1] 또는 '''탱크 셔츠'''[2]라고 부르며, 이는 1920년대 수영장에서 입었던 원피스 수영복인 마요에서 유래했다.[3] 탱크탑은 목과 암홀(armhole)이 튼튼하게 만들어져 있으며, 큰 암홀과 목 구멍은 가슴 아래까지 내려오기도 한다. 여성용 탱크탑은 가슴을 가리기 위해 구멍이 작게 만들어지기도 한다.

민소매 티셔츠는 '''머슬 셔츠'''라고도 불리는데, 티셔츠와 디자인은 같지만 소매가 없다.[4] 1980년대에 서핑보디빌딩 선수들 사이에서 유행했으며, 체육관 이름이나 로고가 새겨지기도 했다.

몸에 딱 맞는 골지 탱크탑은 '''A-셔츠'''라고도 불리며, '''와이프비터''', '''비터''', '''기니 티''', '''다고 티'''와 같은 속어로도 불린다. '와이프비터'라는 용어는 1947년 디트로이트에서 아내를 때려죽인 남자가 얼룩진 언더셔츠를 입은 사진이 신문에 실리면서 유래했다는 주장이 있지만,[5][6] 이를 뒷받침할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7]

영국에서는 민소매 셔츠를 '''조끼'''라고 부르며,[9] 호주와 뉴질랜드에서는 '''싱글렛''', 인도 아대륙에서는 '''바니안''' 또는 '''밴얀'''이라고 불린다.

카미솔(camisole)은 '''카미'''라고도 불리며, 여성들이 주로 입는 민소매 셔츠이다. 스파게티 끈이 달려 있으며, 원래는 속옷으로 입었지만 겉옷으로도 활용된다.

역사적으로 ''카미솔''은 셔츠 위에 입는 재킷,[10] 여성의 네글리제, 남성용 소매 재킷 등 다양한 종류의 재킷을 지칭했다.[11][12] 현대에는 셔미즈보다 짧은 헐렁한[13][14][15] 민소매 속옷을 의미한다. 카미솔은 허리까지 내려오거나, 배꼽을 드러낼 정도로 짧게, 또는 골반 전체를 덮을 정도로 길게 만들기도 한다.

카미솔은 가볍고[16] , 새틴, 실크, 라이크라, 나일론, 스판덱스 등으로 만들어진다.

4. 2. 동양

두더우(肚兜|배 덮개중국어)는 베트남에서 'yếm'으로 알려져 있으며, 중국베트남의 전통 의류이다. 실크로 만든 앞치마 또는 턱받이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전통적으로는 몸매를 평평하게 보정하고 중의학에서 말하는 위장의 ''기''를 보호하기 위한 속옷 또는 보디스로 사용되었다. 2000년대부터 서양과 중국에서는 여성용 민소매 상의나 등이 없는 셔츠로도 활용되고 있다.

1953년 여름, 일본에서는 민소매 옷이 크게 유행하였다. 그러나 도쿄도(東京都)의 관공서에서는 민소매가 피부를 과도하게 노출시킨다는 이유로 착용을 금지하면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25]

일본에서 민소매는 보통 7, 8월에만 입는 여름옷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부터는 3월부터 11월까지, 봄부터 가을에 걸쳐 민소매를 입는 기간이 늘어났다. 특히 패션을 중시하는 젊은 여성들은 연중 내내 민소매를 착용하기도 한다. 반면, 남성이 민소매를 입는 경우는 드물며, 입더라도 호의적인 반응을 얻기 어렵다. 이는 민소매가 다른 옷들과 구별되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5. 사회문화적 의미

민소매는 속옷으로 입거나 화려하게 디자인된 경우 셔츠처럼 입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흔히 '나시'라고 불리는데, 이는 일본어의 '소매가 없다'는 의미인 '소데나시(袖無し)'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26]

5. 1. 긍정적 인식

민소매는 육상 경기를 비롯한 스포츠 경기에서 많이 착용된다. 스포츠 경기에서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체온 발산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팔을 크게 움직일 때 소매가 방해되지 않는다는 이점도 있다. 실내 체조 경기 등에서는 체온 발산을 위해, 겨울철 마라톤 등에서는 팔 움직임의 자유를 위해 민소매를 착용한다.[26]

5. 2. 부정적 인식

일본어로 '소매가 없다'는 의미인 '소데나시(袖無し)'에서 유래한 '나시'라는 명칭으로 대한민국에서 불리기도 한다.[26]

1953년 여름, 일본 도쿄도(東京都)의 관공서에서는 피부 노출이 많다는 이유로 민소매 착용이 금지되기도 했다.[25]

일본에서는 민소매 착용이 7, 8월로 한정되는 한여름 복장이었으나, 1990년대 후반부터는 3월부터 11월까지 봄, 가을에도 착용하고 있다. 패션을 중시하는 젊은 여성은 연중 착용하기도 한다. 반면, 남성이 민소매를 착용하는 경우는 드물며, 착용했을 때 호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경우도 적다.

5. 3. 젠더 이슈

민소매 의류는 여성의 몸을 대상화하거나 성적 매력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홀터탑은 끈이 목 뒤로 둘러져 상체를 드러내는 민소매 셔츠의 일종으로, 주로 여성들이 착용한다.[26] 튜브 탑은 소매나 어깨 끈이 없는 셔츠로, 착용자의 몸통을 감싸는 튜브 형태이며, 영국 및 호주 영어에서는 비공식적으로 '''부브 튜브'''라고 불린다.[17]

1953년 여름에는 민소매가 일상복으로 유행했지만, 도쿄도의 관공서에서는 피부 노출이 많다는 이유로 착용이 금지되어 논란이 되기도 했다.[25]

일본에서는 민소매 착용 시기가 7, 8월로 한정되는 한여름 복장이었지만, 1990년대 후반부터는 3월부터 11월까지 봄부터 가을에 걸쳐 장기간 착용되고 있다. 패션을 중시하는 젊은 여성은 연중 착용하기도 한다. 반면, 남성이 민소매를 착용하는 경우는 드물며, 착용했을 때 호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경우도 적다. 이는 민소매가 다른 옷들과 크게 다른 점이다.

6. 한국에서의 현황 및 인식

대한민국에서는 흔히 '나시'라고 불리는데, 이는 일본어의 '소데나시(袖無し)'(소매 없음)에서 온 말이다.[26] 화려하게 디자인된 경우에는 셔츠처럼 입기도 하고, 속옷으로 입기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Tank Top https://dictionary.c[...] 2023-06-05
[2] 웹사이트 Trägershirt https://dict.tu-chem[...] 2023-06-06
[3] 웹사이트 definition of tank top by The Free Dictionary http://www.thefreedi[...] Farlex 2015-06-05
[4] 웹사이트 muscle shirt https://www.merriam-[...] 2023-06-06
[5] 웹사이트 The 'Wife Beater' Is More Than Just a Tank Top https://melmagazine.[...] 2018-05-22
[6] 웹사이트 Why Do We Call It A "Wife Beater" Shirt? https://www.dictiona[...] 2018-01-16
[7] 뉴스 'Opinion {{!}} Are We Really Still Calling This Shirt a ''Wife Beater''?' https://www.nytimes.[...] 2018-05-25
[8] 뉴스 That Meme You're Sharing Is Probably Bogus https://www.theatlan[...] 2018-08-02
[9] 웹사이트 Cambridge Dictionaries Onlin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http://dictionary.ca[...] 2008-06-19
[10] 서적 The shorter Oxford English dictionary on historical principles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11] 서적 Ft. Pontchartrain at Detroit: A Guide to the Daily Lives of Fur Trade and Military Personnel, Settlers, and Missionaries at French Posts https://books.google[...]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2009-01-15
[12] 웹사이트 camisole definition: Dictionary.com Unabridged (v 1.1) http://dictionary.re[...] Random House 2009-01-15
[13] 웹사이트 AskOxford: camisole http://www.ask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9-01-15
[14] 웹사이트 hawaiian shirt https://koolteee.com[...] 2023-07-07
[15] 웹사이트 Camisole underwire bra garment description - US Patent 4798557 http://www.patentsto[...] 2009-01-15
[16] 서적 The New Webster Encyclopedic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s://archive.org/[...] Consolidated Book Publishers
[17] 웹사이트 Define Boob tube at Dictionary.com http://dictionary.re[...] HarperCollins 2015-06-05
[18] 웹사이트 no-sleeve http://ejje.weblio.j[...] 2013-06-16
[19] 간행물 ノースリーブ 2021-04-09
[20] 웹사이트 夜の結婚式お呼ばれゲスト向け!ドレスコード&おすすめの服装 https://www.mwed.jp/[...] 株式会社くふうウェディング 2024-07-10
[21] 웹사이트 結婚式でノースリーブの服装はマナー違反なの? https://www.niwaka.c[...] 株式会社俄 2021-04-09
[22] 웹사이트 結婚式にノースリーブは失礼?袖なしドレス・ワンピースのマナー https://www.gogo-wed[...] 2022-08-29
[23] 웹사이트 As strapless weddings gowns dominate market, one bride just says no https://www.tampabay[...] 2021-05-07
[24] 웹사이트 Say Yes to a Different Dress https://slate.com/hu[...] 2021-05-07
[25] 서적 現代世相風俗史年表:1945-2008 河出書房新社
[26] 문서 러닝셔츠는 영어로 running shirt가 아니다! http://englishsamsam[...]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