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밀도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도파는 나선 은하의 팔이 물질이 아닌 밀도 변화로 이루어져 있다는 이론이다. 이 이론은 은하 중심에 가까운 물질이 더 빠르게 회전하여 나선 팔이 감기는 문제를 해결하고, 나선 팔의 구조를 설명한다. 1964년 린과 수는 교통 체증처럼 밀도가 높은 영역이 이동하는 것으로 비유하며 밀도파 이론을 제시했다. 이 이론은 은하 내 별, 가스, 먼지 등이 밀도파를 통과하며 압축되고, 별의 중력적 인력이 나선 패턴을 유지하게 한다고 설명한다. 밀도파 이론은 나선 은하의 관측 결과, 특히 H I 구름과 먼지 띠의 정렬, 젊은 별과 H II 영역의 존재, 붉은 별의 분포 등을 설명하며, 별 형성을 촉진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밀도파 이론은 토성의 고리, 특히 A 고리에서 관찰되는 나선 밀도파와 굽힘파를 설명하는 데에도 적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은하천문학 - 속도분산
  • 은하천문학 - 유효반경
    유효반경은 천문학에서 타원은하의 밝기 분포를 나타내는 드 보클레르 윤곽과 관련된 개념으로, 은하 중심으로부터 특정 휘도 값을 가지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 외부은하천문학 - 스테빈스-휫퍼드 효과
  • 외부은하천문학 - 은하 색등급도
    은하 색등급도는 은하의 색깔과 밝기를 기준으로 은하를 분류하는 다이어그램으로, 적색 은하군, 녹색 계곡, 청색 은하군으로 구분되며, 은하의 진화 과정을 보여준다.
밀도파
개요
유형천체물리학 이론
주제나선 은하의 구조와 역학
설명은하 내에서 밀도 파동이 형성되어 나선팔 구조를 유발하고, 별 형성을 촉진한다는 이론
은하의 중력적 불안정성과 회전 운동이 밀도 파동을 형성하는 데 기여
주요 내용밀도 파동은 은하 원반 내에서 별, 가스, 먼지 등의 밀도가 높은 영역으로, 중력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유지됨
밀도 파동이 회전하면서 은하 내 물질을 압축시키고, 이는 별 형성을 촉진함
은하의 나선팔은 밀도 파동이 시각적으로 드러나는 형태
상세 내용
역사
중요성 및 응용
한계점

2. 나선 은하의 팔

나선 은하 팔의 설명


나선 팔은 회전하지 않지만, 은하는 회전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별들이 나선 팔 안팎으로 움직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천문학자들은 초기에 나선 은하의 팔이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 이론은 감김 문제(winding problem)에 직면했다. 은하 중심부에 가까울수록 회전 속도가 빨라져 팔이 점점 더 촘촘하게 감겨야 하지만, 실제 관측 결과는 그렇지 않았기 때문이다.[5][6]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64년 C.C. 린과 프랭크 수는 팔이 물질이 아닌, 교통 체증과 유사한 밀도가 높은 영역, 즉 밀도파로 구성되어 있다는 이론을 제시했다.[7]

2. 1. 밀도파 이론



원래 천문학자들은 나선 은하의 팔이 물질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 경우 은하 중심에 가까운 물질이 은하 가장자리의 물질보다 더 빠르게 회전하기 때문에 팔은 점점 더 촘촘하게 감기게 된다.[5] 이렇게 되면 팔은 몇 번의 공전 후에 은하의 나머지 부분과 구별할 수 없게 되는데, 이를 감김 문제라고 한다.[6]

1964년 C.C. 린과 프랭크 수는 나선팔이 물질이 아닌, 교통 체증과 유사한 밀도가 높은 영역, 즉 밀도파로 구성되어 있다고 제안했다.[7] 은하에서는 별, 가스, 먼지 등이 밀도파를 통과하면서 압축되었다가 밖으로 이동한다.

2. 1. 1. 밀도파의 역할



1964년 린과 수는 은하의 팔이 물질이 아니라 교통 체증과 유사한 밀도가 더 큰 영역이라고 제안했다.[7] 은하에서 별, 가스, 먼지 등은 밀도파를 통과하며 압축된 후 밖으로 이동한다.

밀도파 이론은 "서로 다른 반지름에 있는 별들 간의 중력적 인력"이 감김 문제를 방지하고 나선 패턴을 유지한다고 설명한다.[8]

팔의 회전 속도는 전역 패턴 속도인 \Omega_{gp}로 정의된다. \Omega_{gp}로 회전하는 특정 비관성 좌표계에서는 나선 팔이 정지해 있는 것처럼 보인다. 공전 반경(R_{c})에서는 별과 밀도파가 함께 움직이지만, 안쪽에서는 별이 더 빠르게(\Omega > \Omega_{gp}), 바깥쪽에서는 별이 더 느리게(\Omega < \Omega_{gp}) 움직인다.[6]

''m''-팔 나선에 대해, 중심에서 반경 ''R''에 있는 별은 m(\Omega_{gp} - \Omega (R))의 주파수로 구조를 통과한다. 별들 간의 중력적 인력은 별이 팔을 통과하는 주파수가 별의 주전원 주파수 \kappa (R)보다 작을 경우에만 나선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오래 지속되는 나선 구조가 내측 및 외측 린드블라드 공명(ILR, OLR) 사이에서만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Omega (R)=\Omega_{gp} + \kappa /m\Omega (R)=\Omega_{gp} - \kappa /m과 같이 정의된다. OLR을 지나고 ILR 내에서는 나선 팔의 추가 밀도가 별들의 주전원 속도보다 더 자주 당기며, 별들은 "나선 밀도 증가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반응하고 움직일 수 없다.[8]

2. 1. 2. 애니메이션 설명

3. 추가적인 의미

밀도파 이론은 나선 은하에 대해 이루어진 여러 관측 결과들을 설명하며,[6] 가스 구름에 압력을 가하여 별 형성을 촉매하는 것으로 묘사되기도 한다.[5]

3. 1. 관측 결과 설명

밀도파 이론은 나선 은하에 대해 이루어진 여러 관측 결과들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6]

  • 나선팔 안쪽 가장자리에 있는 H I 구름과 먼지 띠의 정렬
  • 팔 전체에 걸쳐 있는 젊고 질량이 큰 별들과 H II 영역의 존재
  • 나머지 원반에 있는 오래되고 붉은 별들의 풍부함


가스와 먼지 구름이 밀도파에 들어가 압축되면, 일부 구름이 진스 기준을 충족하여 붕괴되어 새로운 별을 형성함에 따라 별 형성 속도가 증가한다. 별 형성은 즉시 일어나지 않으므로, 별들은 밀도파보다 약간 뒤쳐져 있다. 생성된 뜨거운 OB 별들은 성간 물질의 가스를 이온화시켜 H II 영역을 형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별들은 수명이 비교적 짧고 밀도파를 완전히 벗어나기 전에 소멸된다. 더 작고 붉은 별들은 파동을 벗어나 은하 원반 전체에 분포하게 된다.

3. 2. 별 탄생 촉진

가스와 먼지 구름이 밀도파에 들어가 압축되면, 일부 구름이 진스 기준을 충족하여 붕괴되어 새로운 별을 형성함에 따라 별 형성 속도가 증가한다.[6] 별 형성은 즉시 일어나지 않으므로, 별들은 밀도파보다 약간 뒤쳐져 있다. 생성된 뜨거운 OB 별들은 성간 물질의 가스를 이온화시켜 H II 영역을 형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별들은 수명이 비교적 짧고 밀도파를 완전히 벗어나기 전에 소멸된다. 더 작고 붉은 별들은 파동을 벗어나 은하 원반 전체에 분포하게 된다.[6]

밀도파는 또한 가스 구름에 압력을 가하여 별 형성을 촉매하는 것으로 묘사되어 왔다.[5]

4. 토성의 고리에의 적용

1970년대 후반부터 피터 골드라이히, 프랭크 슈 등은 토성의 고리에 밀도파 이론을 적용했다.[9][10][11] 토성의 고리, 특히 A 고리는 토성의 위성과의 공명으로 인해 발생하는 나선 밀도파와 나선 굽힘파를 포함하고 있다. 카시니 탐사선은 , 아틀라스 등의 위성이 일으키는 작은 밀도파와, 야누스, 에피메테우스의 궤도 변화에 따른 파동을 발견했다.[12][13]

4. 1. 토성 고리의 나선 밀도파

토성의 A 고리에서 인접한 위성과의 공명에 의해 유발된 나선 밀도파.


1970년대 후반부터 피터 골드라이히, 프랭크 슈 등은 토성의 고리에 밀도파 이론을 적용했다.[9][10][11] 토성의 고리(특히 A 고리)는 린드블라드 공명 및 수직 공명에 의해 생성된 많은 나선 밀도파와 나선 굽힘파를 포함한다. 이는 토성의 위성과의 공명으로 발생한다. 은하의 경우와 물리학은 대체로 동일하지만, 토성 고리의 나선파는 원반의 질량에 비해 매우 큰 중심 질량(토성 자체)으로 인해 훨씬 더 촘촘하게 감겨 있다(최대 몇 백 킬로미터).[11] ''카시니'' 탐사선은 고리 위성인 아틀라스와 더 큰 위성과의 고차 공명에 의해 생성된 매우 작은 밀도파,[12] 그리고 야누스에피메테우스의 궤도 변화로 인해 형태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파동을 밝혀냈다.[13]

4. 2. 카시니 탐사선의 발견

피터 골드라이히, 프랭크 슈 등은 1970년대 후반부터 토성의 고리에 밀도파 이론을 적용했다.[9][10][11] 토성의 고리(특히 A 고리)는 린드블라드 공명 및 수직 공명(각각)에 의해 생성된 많은 나선 밀도파와 나선 굽힘파를 포함한다. 토성의 위성. 이와 관련된 물리학은 은하와 대체로 동일하지만, 토성 고리의 나선파는 원반의 질량에 비해 매우 큰 중심 질량(토성 자체)으로 인해 훨씬 더 촘촘하게 감겨 있다(최대 몇 백 킬로미터).[11] ''카시니'' 탐사선은 고리 위성인 아틀라스와 더 큰 위성과의 고차 공명에 의해 생성된 매우 작은 밀도파,[12] 그리고 야누스에피메테우스의 궤도 변화로 인해 형태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파동을 밝혀냈다.[13]

참조

[1] 논문 Six Decades of Spiral Density Wave Theory 2016-09-19
[2] 논문 Large-Scale Shock Formation in Spiral Galaxies and its Implications on Star Formation 1969-10-01
[3] 논문 Galactic Bridges and Tails 1972-12-01
[4] 논문 The excitation of density waves at the Lindblad and corotation resonances by an external potential https://authors.libr[...] 1979-11-01
[5] 서적 The Golden Ratio: The Story of Phi, the World's Most Astonishing Number https://books.google[...] Broadway Books
[6] 서적 An Introduction to Modern Astrophysics Addison Wesley 2007
[7] 논문 On the spiral structure of disk galaxies 1964
[8] 서적 The Structure & Evolution of Galaxies Wiley 2005
[9] 논문 The formation of the Cassini division in Saturn's rings Elsevier Science 1978-05-01
[10] 논문 The Dynamics of Planetary Rings Annual Reviews 1982-09-01
[11] 서적 Planetary Rings University of Arizona Press 1984
[12] 논문 Cassini imaging of Saturn's rings II. A wavelet technique for analysis of density waves and other radial structure in the rings 2007-07-01
[13] 논문 Unravelling temporal variability in Saturn's spiral density waves: Results and predictions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2006-11-01
[14] 서적 An Introduction to Modern Astrophysics Addison Wesley
[15] 저널
[16] 서적 Wile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