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라 (알제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라(Mila)는 알제리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로마 시대에는 밀레움(Milevum)으로 불렸다. 로마 시대에는 콜로니아 사르넨시스 밀레비타나로 불렸으며, 비잔틴 제국 시대에는 요새화되었다. 7세기에는 아랍인에게 정복되었고, 이후 이슬람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프랑스 식민 통치 하에 밀레붐으로 불렸으며, 20세기 초에는 유럽인을 포함하여 약 8,000명의 주민이 거주했다. 현재는 밀라 주의 주도로, 아브델하피드 부수프 대학교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제리의 유적 - 타실리나제르
알제리 남동부에 위치한 타실리나제르는 사암 암석림 지형과 다양한 암각화로 유명하며 과거 사바나 기후였음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가치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지정된 고원이다. - 알제리의 유적 - 히포 레기우스
히포 레기우스는 고대 알제리에 위치했던 도시로, 페니키아인들이 건설했으며 로마 시대에 번성하여 성 아우구스티누스가 주교로 활동했고, 반달족, 동로마 제국, 이슬람 세력의 지배를 거쳐 1832년 프랑스에 의해 보네로 개명되었으며, 초기 기독교의 중요한 중심지였다. - 알제리의 도시 - 틀렘센
틀렘센은 알제리 북서부에 위치한 도시이자 틀렘센주의 주도로, 베르베르어 어원에서 유래했으며, 고대 로마 시대에는 포마리아로 불렸고, 자이야니드 왕조의 수도로서 마그레브의 주요 경제 및 문화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현재는 알제리의 중요한 관광 중심지이다. - 알제리의 도시 - 겔마
겔마는 알제리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페니키아 시대에 건설되어 로마 시대에 번성했으며, 여러 지배 시대를 거쳐 현재는 농업 중심지이자 관광 명소이다.
밀라 (알제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밀라 |
다른 이름 | ⵎⵉⵍⴰ |
로마자 표기 | mila |
별칭 | 해당 없음 |
종류 | 도시 |
표어 | 해당 없음 |
행정 구역 | |
국가 | 알제리 |
주 | 밀라 주 |
군 | 밀라 군 |
정부 | |
정부 종류 | 해당 없음 |
수장 직함 | 해당 없음 |
수장 이름 | 해당 없음 |
역사 | |
설립 | 255년 |
면적 | |
총 면적 | 129.89km2 |
인구 | |
총 인구 (2008년) | 69052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시간대 | |
시간대 | CET |
협정 세계시 | +1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43000 |
지역 번호 | 해당 없음 |
웹사이트 | 해당 없음 |
2. 역사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 4권 3장 7절에 이 도시는 '''밀레움''' 또는 '''미레온'''이라는 이름으로 언급되어 있다.[1] 로마 시대에는 캄파니아의 사르누스 강에서 이주해 온 식민지인들을 기리기 위해 '''콜로니아 사르넨시스 밀레비타나'''라고 불렸다.[1] 이 이름은 도시의 비문에서 자주 발견된다.[1] 밀레붐은 키르타, 콜로, 루시카데와 함께 사 콜로니로 알려진 연맹을 형성했으며, 그 영토는 매우 광대했다.[1] 6세기에 비잔틴 제국의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밀레붐을 요새화된 벽으로 둘러싸게 했는데, 이 벽은 여전히 남아 있으며 무슬림 도시 밀라의 성벽을 형성하고 있다.[1] 이 도시에서는 상당수의 라틴어 비문과 토성의 거대한 조각상이 발견되었다.[1]
665년과 682년 사이에 이 도시는 우마이야 왕조의 아랍인에 의해 정복되었으며, 사령관은 아부 알-무하지르 디나르였다.[2] 밀라의 시디 가넴 모스크는 675년경 아부 무하제르 디나르에 의해 건설되었다.[3] 10세기 경의 역사가이자 지리학자인 아부 우바이드-알라 압드 알-바크리는 시디 가넴 모스크를 "다르 엘 임아라"(지휘소)에 인접한 최초의 밀라 모스크로 언급했다.
745년의 우마이야 왕조의 표준 무게가 발견되었는데, "번역: 알라의 이름으로. 명령된 단계 중/에미르 압드 알-라흐만 이븐 하비브/마살 이븐 하마드, 밀라의 왈리/127년(745년)에 20 우키야."라고 기록되어 있다.[4] 표준에 언급된 통치자의 이름은 '압드 알-라흐만 이븐 하비브'로, 우크바 이븐 알 나피의 손자이며, 스페인의 탕헤르 전투에서 패배한 후 망명했다가 744년에서 754년 사이에 마그레브를 통치했다.[4]
11세기의 알-바크리는 밀라의 인구를 아랍인, 민병대 출신, 그리고 혼혈인(아랍인, 로마인, 베르베르인)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묘사했다.[5] 그러나 알-이드리시는 11세기에도 4,000명의 쿠타마 베르베르인이 이프리키야 전역에 존재했다고 전했다.[6]
19세기에는 동알제리(콘스탄틴)에서 가장 큰 식민지였던 쿨루글리스(튀르크와 아랍 또는 베르베르의 혼혈)가 존재했다.[7]
프랑스 식민 통치하에서 밀레붐(Milevum), 현대 아랍어 명칭 밀라는 알제리 콘스탄틴 주의 도시였다. 19세기 밀라에는 약 800명의 아랍인과 800명의 베르베르인이 거주했다.[8] 과학자이자 군인이었던 E. 카레트(E. Carette, 1808–1890)는 알제리 부족 지도 저자이며, '북아프리카, 특히 알제리의 주요 부족들의 기원과 이동에 관한 연구'를 저술했다.[8] 20세기 초에는 8,000명의 주민이 있었고, 그 중 400명이 유럽인이었다.
콘스탄틴 주는 이후 알제리의 독립 이후 콘스탄틴 주가 되었으며, 밀라는 1984년 밀라 주가 만들어질 때까지 이에 속했다. 1998년 인구 조사에서 이 도시의 인구는 59,959명이었다.
2. 1. 고대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 4권 3장 7절에 이 도시는 '''밀레움''' 또는 '''미레온'''이라는 이름으로 언급되어 있다.[1] 로마 시대에는 캄파니아의 사르누스 강에서 이주해 온 식민지인들을 기리기 위해 '''콜로니아 사르넨시스 밀레비타나'''라고 불렸다.[1] 이 이름은 도시의 비문에서 자주 발견된다.[1] 밀레붐은 키르타, 콜로, 루시카데와 함께 사 콜로니로 알려진 연맹을 형성했으며, 그 영토는 매우 광대했다.[1] 6세기에 비잔틴 제국의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밀레붐을 요새화된 벽으로 둘러싸게 했는데, 이 벽은 여전히 남아 있으며 무슬림 도시 밀라의 성벽을 형성하고 있다.[1] 이 도시에서는 상당수의 라틴어 비문과 토성의 거대한 조각상이 발견되었다.[1]2. 2. 이슬람 시대
665년과 682년 사이에 이 도시는 우마이야 왕조의 아랍인에 의해 정복되었으며, 사령관은 아부 알-무하지르 디나르였다.[2] 밀라의 시디 가넴 모스크는 675년경 아부 무하제르 디나르에 의해 건설되었다.[3] 10세기 경의 역사가이자 지리학자인 아부 우바이드-알라 압드 알-바크리는 시디 가넴 모스크를 "다르 엘 임아라"(지휘소)에 인접한 최초의 밀라 모스크로 언급했다.745년의 우마이야 왕조의 표준 무게가 발견되었는데, "번역: 알라의 이름으로. 명령된 단계 중/에미르 압드 알-라흐만 이븐 하비브/마살 이븐 하마드, 밀라의 왈리/127년(745년)에 20 우키야."라고 기록되어 있다.[4] 표준에 언급된 통치자의 이름은 '압드 알-라흐만 이븐 하비브'로, 우크바 이븐 알 나피의 손자이며, 스페인의 탕헤르 전투에서 패배한 후 망명했다가 744년에서 754년 사이에 마그레브를 통치했다.[4]
11세기의 알-바크리는 밀라의 인구를 아랍인, 민병대 출신, 그리고 혼혈인(아랍인, 로마인, 베르베르인)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묘사했다.[5] 그러나 알-이드리시는 11세기에도 4,000명의 쿠타마 베르베르인이 이프리키야 전역에 존재했다고 전했다.[6]
2. 3. 오스만 제국 시대
19세기에는 동알제리(콘스탄틴)에서 가장 큰 식민지였던 쿨루글리스(튀르크와 아랍 또는 베르베르의 혼혈)가 존재했다.[7]2. 4. 프랑스 식민지 시대
19세기 밀라에는 약 800명의 아랍인과 800명의 베르베르인이 거주했다.[8] 과학자이자 군인이었던 E. 카레트(E. Carette, 1808–1890)는 알제리 부족 지도 저자이며, '북아프리카, 특히 알제리의 주요 부족들의 기원과 이동에 관한 연구'를 저술했다.[8]프랑스 식민 통치하에서 밀레붐(Milevum), 현대 아랍어 명칭 밀라는 알제리 콘스탄틴 주의 도시였다. 20세기 초에는 8,000명의 주민이 있었고, 그 중 400명이 유럽인이었다.
2. 5. 현대
콘스탄틴 주는 이후 알제리의 독립 이후 콘스탄틴 주가 되었으며, 밀라는 1984년 밀라 주가 만들어질 때까지 이에 속했다. 1998년 인구 조사에서 이 도시의 인구는 59,959명이었다.
3. 종교
밀레붐(Milevum)은 교황령에 속한 로마 속주 누미디아의 도시 중 하나로, 주교 관구가 설치될 만큼 중요한 곳이었다. 역사적으로 기록된 이 주교좌의 주교들은 다음과 같다.
- 폴리아누스(Pollianus)는 카르타고의 키프리아누스가 소집한 카르타고 공의회에 참석하여, 순교를 피하기 위해 강요된 이교 제사를 받아들인 기독교인인 ''라프시''에 대해 논의했으며, 2년 후 순교했다.
- 옵타투스는 도나투스 이단에 반대하는 저서 ''De schismate Donatistarum''(약 375년)으로 유명하며, 약 385년에 사망했으며 6월 4일에 기념된다.
- 호노리우스는 교부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에 따르면 무능함으로 인해 폐위되었다.
- 세베루스는 아우구스티누스의 동향인이자 서신 교환자였다. 그는 분열주의자 도나투스의 상대인 아데오다토와 함께, 양측의 다른 아프리카 주교들과 함께 411년 카르타고 공의회에 참석했다.
- 베나투스는 반달 왕국의 후네릭 왕이 소집한 484년 카르타고 공의회에 참여했으며, 대부분의 가톨릭 주교들처럼 추방되었다.
- 레스티투투스는 5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열린 제5차 공의회에 참석했다.
밀레붐에서는 402년과 416년에 두 차례의 교회 공의회가 열렸다. 416년의 공의회는 교황 인노첸시오 1세에게 펠라기우스 이단을 진압해 달라고 호소했다.
이 주교령은 비잔틴 제국 레오 6세 (886-912) 시대의 ''노티티에 에피스코파툼''에서 누미디아에 존속하는 13개의 주교 관구 중 하나로 마지막으로 언급되었다.
3. 1. 기독교
밀레붐(Milevum)은 교황령에 속한 로마 속주 누미디아의 도시 중 하나로, 주교 관구가 설치될 만큼 중요한 곳이었다. 역사적으로 기록된 이 주교좌의 주교들은 다음과 같다.- 폴리아누스(Pollianus)는 카르타고의 키프리아누스가 소집한 카르타고 공의회에 참석하여, 순교를 피하기 위해 강요된 이교 제사를 받아들인 기독교인인 ''라프시''에 대해 논의했으며, 2년 후 순교했다.
- 옵타투스는 도나투스 이단에 반대하는 저서 ''De schismate Donatistarum''(약 375년)으로 유명하며, 약 385년에 사망했으며 6월 4일에 기념된다.
- 호노리우스는 교부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에 따르면 무능함으로 인해 폐위되었다.
- 세베루스는 아우구스티누스의 동향인이자 서신 교환자였다. 그는 분열주의자 도나투스의 상대인 아데오다토와 함께, 양측의 다른 아프리카 주교들과 함께 411년 카르타고 공의회에 참석했다.
- 베나투스는 반달 왕국의 후네릭 왕이 소집한 484년 카르타고 공의회에 참여했으며, 대부분의 가톨릭 주교들처럼 추방되었다.
- 레스티투투스는 5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열린 제5차 공의회에 참석했다.
밀레붐에서는 402년과 416년에 두 차례의 교회 공의회가 열렸다. 416년의 공의회는 교황 인노첸시오 1세에게 펠라기우스 이단을 진압해 달라고 호소했다.
이 주교령은 비잔틴 제국 레오 6세 (886-912) 시대의 ''노티티에 에피스코파툼''에서 누미디아에 존속하는 13개의 주교 관구 중 하나로 마지막으로 언급되었다. 이 교구는 늦어도 17세기에는 라틴 명목 교구인 밀레붐(라틴어)/밀레비(이탈리아어, 쿠리아식)/밀레비타누스(라틴어 형용사)로 명목상 복원되었다.
다음과 같은 직무자들이 있었으며, 대부분이 주교(최하위) 품위에 해당하며, '두 명의 대주교 예외'가 있었다.
- 조셉 이그나스 라드리아나솔로 (1997년 10월 24일 – 1999년 6월 3일)
- 호세 마누엘 피냐 토레스 (1958년 5월 12일 – 1997년 7월 7일)
- 장-펠릭스 드 헴프틴 (1932년 3월 22일 – 1958년 2월 6일)
- 안톤 기슬러 (1928년 4월 20일 – 1932년 1월 4일)
- '명목 대주교: 아카시오 차콘 게라' (1926년 5월 10일 – 1927년 8월 1일)
- 조반니 보르자티 데 뢰벤슈테른 (1907년 3월 11일 – 1926년 2월 17일)
- 제임스 벨로드 (1899년 2월 5일 – 1905년 6월 11일)
- 샤를 라비뉴 (1887년 9월 13일 – 1898년 8월 27일)
- 장-마리 티소 (1863년 8월 11일 – 1886년 9월 1일)
- 윌리엄 버나드 앨런 콜리어 (1840년 2월 14일 – 1847년 12월 7일)
- 토마스 콘 (1816년 1월 26일 – 1831년 10월 9일)
- 빌헬름 요제프 레오폴트 빌리발트 폰 바덴 (1779년 7월 12일 – 1798년 7월 9일)
- 안톤 레바이 (1754년 5월 20일 – 1776년 9월 16일)
- 가이우스 아스테리우스 토피 (1728년 11월 15일 – 1754년)
- 요한 이그나츠 드로우호베스키 (1679년 4월 10일 – 1701년 1월 10일)
- 히아킨투스 데 살다냐 (1675년 1월 28일 – ?)
- 엠마누엘 아 S. 루도비코 (1672년 2월 8일 – ?)
- '명목 대주교 조셉 체노스' (車納德) (인도 출생) (1999년 8월 24일 – ...) 교황 외교관으로 활동했다. : 중화인민공화국 임시 대리 대사 (1995년 4월 26일 – 1999년 8월 24일), 차드 교황 대사 (대사) (1999년 8월 24일 – 2005년 6월 15일),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 교황 대사 (1999년 8월 24일 – 2005년 6월 15일), 탄자니아 교황 대사 (2005년 6월 15일 – 2011년 8월 15일), 일본 교황 대사 (2011년 8월 15일 – ...).
3. 2. 이슬람교
4. 교통
4. 1. 도로
국도 79호선 (알제리)5. 교육
밀라에는 [https://fr.wikipedia.org/wiki/Universit%C3%A9_Abdelhafid_Boussouf_-_Mila 아브델하피드 부수프 대학교]가 있다.
6. 행정 구역
6. 1. 구
6. 2. 코뮌
참조
[1]
서적
Afrique Byzantine
1896
[2]
서적
Les Berbers : étude sur la conquête de l'Afrique par les Arabes, d'après les textes arabes imprimés. Tome 1 / par Henri Fournel,...
http://gallica.bnf.f[...]
Impr. nationale
1875-1881
[3]
웹사이트
Focus : sidi_ghanem
http://www.jijel-arc[...]
2018-02-01
[4]
웹사이트
Umayyad Standard weight of Mila
http://www.qantara-m[...]
[5]
기타
Le géographe et Historien arabe andalous al-Bakri (1014–1094) dans sa Description de l'Afrique septentrionale
[6]
서적
The description of Africa
https://play.google.[...]
[7]
웹사이트
Les tribus privilégiées en Algérie dans la première moitié du XIXe siècle
http://www.persee.fr[...]
[8]
간행물
Recherches sur l'origine et les migrations des principales tribus de l'Afrique septentrionale et particulièrement de l'Algérie
http://gallica.bnf.f[...]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