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부(敎父, Church Fathers)는 신학 연구를 통해 정통 교리를 세우고 성스러운 삶을 살았으며 교회로부터 인정받은 기독교 저술가들을 지칭한다. 이들은 활동 시기에 따라 사도교부, 니케아 이전 교부, 니케아 이후 교부로 구분되며, 저술 언어에 따라 라틴 교부, 그리스 교부, 시리아 교부 등으로 분류된다. 교부들의 사상과 연구는 교파를 초월한 기독교 공통의 사상적 유산으로 여겨지며, 교부들의 연구를 교부학(Patristics)이라고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방 정교회 - 러시아 정교회
러시아 정교회는 1세기 사도 안드레아의 전승에서 기원하여 988년 국교로 채택되었으며, 모스크바 총대주교좌를 거쳐 소련 붕괴 후 재건되었고, 현재 모스크바 총대주교 키릴 1세가 수장이며, 비잔틴 전례와 러시아 십자가를 사용하는 동방 정교회의 자치 교회이다. - 동방 정교회 - 불가리아 정교회
불가리아 정교회는 864년 기독교 전파 이후 역사를 이어온 동방 정교회의 자치 교회이며, 불가리아 내 13개 교구와 해외 교구를 관할하고, 동방 정교회의 신학 및 예배 전통을 따르고 있다. - 철학자 - 마르틴 하이데거
마르틴 하이데거는 1889년에 태어나 1976년에 사망한 독일의 철학자이며, 현상학과 실존주의, 언어와 기술 비판을 탐구했고, 대표작으로 『존재와 시간』이 있으며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지만, 나치즘 협력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철학자 - 플라톤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테네에 아카데메이아를 설립하여 철학, 수학 등을 가르치고 이데아론, 영혼론 등을 주요 사상으로 삼아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친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다.
교부 | |
---|---|
교회 교부 | |
기본 정보 | |
로마자 표기 | Patres Ecclesiae |
그리스어 표기 | Εκκλησιαστικοί Πατέρες |
독일어 표기 | Kirchenväter |
영어 표기 | Church Fathers |
개요 | |
정의 | 고대와 영향력 있는 기독교 신학자 및 작가 그룹 |
시대 구분 | 일반적으로 서방에서는 세비야의 이시도르 사망 (기원후 636년경)까지, 동방에서는 다마스쿠스의 요한 사망 (기원후 750년경)까지 |
중요성 | 기독교 신앙의 전통을 확립하고, 기독교적 삶의 방식을 정립하는 데 큰 역할 |
구분 | |
니케아 공의회 이전 교부 | 니케아 공의회 (기원후 325년) 이전의 교부들 |
니케아 공의회 이후 교부 | 니케아 공의회 이후의 교부들 |
역할 및 영향 | |
신학적 중요성 | 기독교 신학의 주요 교리들을 형성하고 발전시킴 |
교회 전통 형성 | 기독교 신앙과 삶의 방식에 대한 중요한 전통을 확립 |
후대 영향 | 기독교 역사 전반에 걸쳐 엄청난 영향을 미침 |
참고 | |
관련 문서 | 니케아 이전 교부 |
2. 교부의 자격과 구분
교부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전래의 교회에 관해 저술하고, 정통 교리를 세우며, 성스러운 삶을 살고, 교회로부터 인정을 받는 등 몇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6]
교부는 활동 시대에 따라 크게 세 시기로 구분된다. 사도들의 제자이거나 직접 가르침을 받은 교부(1세기 말~2세기 초), 니케아 공의회 이전 교부(2~3세기), 니케아 공의회 이후 교부(4~8세기)이다.
활동 지역이나 출생 지역에 따라서도 교부를 구분하는데, 그리스어로 저술한 그리스 교부와 라틴어로 저술한 라틴 교부로 나뉜다. 동방 정교회에서는 카이사리아의 바실리우스,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우스, 금 입의 요한을 성 삼대 성인으로 존경한다.[17][18][19]
2. 1. 교부의 자격
교부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다음 네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전래의 교회(''antiquitas ecclesiae'')에 관하여 저술을 써서 인용되는 자.
- 정통 교리(''doctrina orthodoxa'')를 세운 자.
- 성스러운 삶(''sanctitas vitae'')을 꾸린 자.
- 교회로부터 인정을 받은(''approbatio ecclesiae'') 자.[6]
네스토리우스나 아리우스와 같이 이단으로 배척된 저술가들은 이 시대의 사람이라 할지라도 일반적으로 교부로 여겨지지 않는다. 한편, 터툴리아누스나 오리게네스와 같이 그들의 주장 일부가 부정되어 후세에 성인으로 추대되지 않은 저술가 중에도 교부로서 중시된 사람도 있다.
2. 2. 교부의 구분
교부는 활동 시대에 따라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이들이 활동한 혹은 출생한 지역에 따라 교부를 구분하기도 한다.
- 그리스 교부: 그리스어로 저술한 교부들을 말한다. 유스티누스 순교자, 리옹의 이레네우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 카파도키아 교부들(카이사리아의 바실리우스,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우스, 니사의 그레고리우스), 세바스테의 페트로스, 타르수스의 디오도루스, 몹수에스티아의 테오도루스, 금 입의 요한, 알렉산드리아의 키릴, 고백자 막시무스, 다마스쿠스의 요한 등이 대표적이다.
- 라틴 교부: 라틴어로 저술한 교부들을 말한다. 암브로시오스, 히에로니무스,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 그레고리오 1세 등이 대표적이다.
3. 속사도 교부
속사도 교부는 사도들의 직·간접적인 가르침을 받은 초기 교부들을 말한다. 주요 속사도 교부로는 로마의 클레멘스, 안티오크의 이냐시오, 폴리카르푸스, 히에라폴리스의 파피아스 등이 있다.
- 바나바
- 클레멘스 (로마) - 101년경?
- 이냐시오 (안티오키아) (이냐시오 신품·순교자) 35년경? - 107년경?
- 폴리카르푸스
- 파피아스 (en)
- 디오그네토스 서간의 저자(en)
- 헤르마스(en)
3. 1. 로마의 클레멘스
로마의 클레멘스는 1세기 후반의 로마 주교였다. 터툴리아누스에 따르면 성 베드로에 의해 서임되었다.[8] 이레네우스에 따르면 클레멘스는 아나클레투스 이후 네 번째 로마 주교였다. 유세비우스는 그를 바울의 "동역자"로 묘사했고, 필립보서 4장 3절에 언급된 클레멘스와 동일인물로 확인했다.[8] 일부 교회사학자들은 로마교구의 클레멘스 주교를 신약성서의 필립비인들에게 보낸 편지(빌립보서)의 클레멘스로 보기도 한다.[102]클레멘스 1세의 첫 번째 서간은 교부들 중 가장 오래된 기존 서간이다.[10] 이 서간에서 클레멘스는 고린토의 그리스도인들에게 화합과 질서를 유지할 것을 촉구한다.[9] 초대 교회에서 복사되어 널리 읽혔던[11] 클레멘스 1세의 서간은 신약 정경의 일부로 간주되었던 적도 있으며, 예를 들어 사도 규칙 제85조에 정경으로 등재되어 있고,[12] 다른 초기 신약 정경 목록에서도 나타나, 적어도 초기 그리스도교의 일부 지역에서는 정경적 지위를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14세기 후반까지도 이븐 칼둔은 그것을 신약 성경의 일부로 언급한다.[13]
3. 2.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오스
동방교회 교부. 이냐시오라고도 한다. 교회 역사 최초로 보편교회(Catholic Church)라는 말을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순교자.[103]안티오크의 이냐시오(Ignatius of Antioch) (또는 테오포루스(Theophorus)라고도 함)는 세 번째 안티오크 주교였으며, 사도 요한의 제자였다고 전해진다. 로마에서 순교당하러 가는 길에 쓴 일련의 편지들은 보존되어 있다. 이 편지에서 다루는 중요한 주제로는 교회론, 성사, 주교의 역할, 그리고 그리스도의 강생이 있다. 특히 교회론과 관련하여, 로마 교회에 보낸 그의 편지는 로마 교회의 보편적인 경계에 대한 증거로 종종 인용된다.[15] 그는 클레멘트 다음으로 바울의 서신을 언급한 두 번째 인물이다.[9]
3. 3. 스미르나의 폴리카르포스
사도 요한의 제자로 알려진 교부.[16]
스미르나의 폴리카르포스(약 69년 ~ 155년)는 소아시아 스미르나(현재 튀르키예 이즈미르)의 기독교 주교였다. 그는 "요한"의 제자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요한은 세베대의 아들 요한(전통적으로 요한복음 저자로 여겨짐) 또는 요한 장로일 가능성이 있다.[16] 전통적인 옹호자들은 카이사레아의 유세비우스를 따라 폴리카르푸스의 사도적 연관성이 요한 복음사가(요한 사도)였으며 그가 요한복음의 저자였다고 주장한다.
폴리카르포스는 서방에서 니산 14일에 부활절을 기념하는 것(동방 달력과 같이)에 대해 아니케투스 교황을 설득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155년경, 그의 고향 스미르나 사람들은 폴리카르포스를 기독교인으로서 처형할 것을 요구했고, 그는 순교했다. 그의 순교 이야기는 그를 둘러싼 불이 그를 태우지 않았고, 그가 칼에 찔려 죽자 그의 몸에서 엄청난 양의 피가 흘러나와 주위의 불길을 껐다고 묘사한다.[9]
3. 4. 히에라폴리스의 파피아스
파피아스에 대해서는 그의 저술에서 추론할 수 있는 내용을 제외하고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그는 폴리카르푸스의 제자인 이레네우스에 의해 "요한의 제자이자 폴리카르푸스의 동료였던 고대인"으로 묘사된다. 유세비우스는 파피아스가 안티오크의 이냐시오 시대에 히에라폴리스의 감독이었다고 덧붙인다. 이 직책에서 파피아스는 아마도 히에라폴리스의 아베르키우스에게 뒤를 이었을 것이다. 파피아스라는 이름은 이 지역에서 매우 흔했는데, 이는 그가 아마도 이 지역 출신이었음을 시사한다. 파피아스의 저술은 대부분의 현대 학자들에 의해 서기 95년에서 120년경으로 추정된다.파피아스의 저술이 후기 중세까지도 여전히 남아 있었다는 징후에도 불구하고, 전체 본문은 현재 소실되었지만, 그 일부는 다른 여러 저술에 인용되어 있으며, 그중 일부는 책의 번호를 인용하고 있다.[1]
4. 그리스 교부
그리스어로 저술한 이들을 그리스(교회) 교부라고 부른다. 사도 교부 외에도 유명한 그리스 교부로는 유스티누스 순교자, 리옹의 이레네우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 카파도키아 교부들(카이사리아의 바실리우스,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우스, 니사의 그레고리우스), 세바스테의 페트로스, 타르수스의 디오도루스, 몹수에스티아의 테오도루스, 금 입의 요한, 알렉산드리아의 키릴, 고백자 막시무스, 다마스쿠스의 요한이 있다.
가톨릭교회 전통에서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 카이사리아의 바실리우스,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우스, 금 입의 요한은 "위대한 교회 교부"로 불리는 네 명의 그리스 교회 교부이며, 동방 정교회에서는 이들 중 세 명(카이사리아의 바실리우스,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우스, 금 입의 요한)이 "성 삼대 성인"으로 존경받는다.[17][18][19]
몹수에스티아의 테오도로스는 안티오크 학파의 대표적인 해석학자로, 기독교 경전의 문자적, 역사적, 합리적 해석을 강조했다. 생전에는 뛰어난 성서 신학자로 칭송받았으나, 사후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정죄되었다. 하지만 동방 교회에서는 여전히 '해석가 테오도로스'라는 칭호로 존경받고 있다.[42] 394년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테오도시우스 1세 앞에서 설교했는데, 암브로시우스와 그레고리우스 나지안조스에게 가르침을 받았던 테오도시우스는 그와 같은 스승을 만난 적이 없다고 말했다.[43]
알렉산드리아의 오리게네스는 클레멘트의 교리학교를 부흥시킨 학자이자 신학자였다. 칠십인역을 수정하고 성경 주석을 저술했으며, 기독교 교리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을 제시했다. 스토아, 네오피타고라스, 플라톤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았으며, 영혼의 전존과 만유 회복을 주장했다. 그러나 그의 주장은 사후 3세기 후인 553년 공의회에서 파문당했다.[30][31]
그 외의 그리스 교부 목록은 다음과 같다.
- 타티아누스: 2세기, 복음서 합본 『디아테사론』 저술.[74]
- 안티오키아의 테오필로스: 2세기, 『아웃류코스에게 보내는 편지』 저술.[75]
- 살디스의 멜리토: 2세기, 소아시아 서부 살디스의 주교.[76]
- 그레고리우스 타우마투르고스: 213년경? - 270/275년, 오리게네스에게 5년간 가르침을 받음.[77]
- 에우세비우스: 263년경? - 339년, 『교회사』 저술, 제1차 니케아 공의회 참석.
- 예루살렘의 키릴로스: 313년경? - 386년,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참석.
- 디디무스: 313년 - 398년, 『성령론』 저술.
- 폰투스의 에우아그리우스: 345년 - 399년, 『수도론』 등 저술.
-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 310-320년 – 403년, 『파나리온』, 『안콜라토스』 저술.
- 소크라테스 스콜라스티쿠스: 380년 - 439년경?, 『교회사』 저술.
- 키로스의 테오도레토스: 393년 - 457년경?, 『교회사』 저술.
- 소조메누스: 400년경? - 450년경?, 『교회사』 저술.
- 안티오키아의 세베로스: 465년경? - 538년.
- 요한 크리마코스: 579년 이전 - 649년.
4. 1. 유스티노스 순교자
유스티누스 순교자는 초기 기독교 변증가였으며, 2세기 로고스 이론의 가장 중요한 해석가로 여겨진다.[20][21] 그는 제자들과 함께 순교했으며, 가톨릭교회,[22] 성공회,[23] 동방 정교회,[24] 동방 정교회들에서 성인으로 추앙받는다.4. 2. 리옹의 이레네우스
리옹의 이레네오스는 현재 프랑스의 리옹인 갈리아 루그두눔의 주교였다. 그의 저술은 초기 기독교 신학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동방 정교회와 가톨릭교회 모두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그는 주목할 만한 초기 기독교 변증가였다. 그는 폴리카르푸스의 제자이기도 했다.[9]그의 가장 잘 알려진 책인 「이른바 영지에 대한 반박」(Against Heresies, 약 180년경)에서 그는 이단들을 열거하고 공격했다. 이레네우스는 기독교인들이 일치를 유지하는 유일한 방법은 겸손하게 하나의 교리적 권위—주교회의—를 받아들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9] 이레네우스는 마태오, 마르코, 루카, 요한 복음서 모두가 정경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4. 3.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150년경? - 216년 이전)는 저술이 남아 있는 알렉산드리아 교회의 초기 구성원이자 저명한 교사 중 한 명이었다. 그는 그리스 철학의 지혜를 기독교 교리와 조화시키려고 노력했다. 영지주의에 반대했지만, 일부 용어를 사용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그는 모든 사람과의 교감을 통해 평범한 기독교인들도 가질 수 있는 ''영지(gnosis)''를 중시했다. 그는 기독교 플라톤주의를 발전시켰으며,[9] 학자들에 의해 "기독교 철학 신학의 위대한 전통이 될 것의 창시자"로 묘사되었다.[25] ''교사(Paedagogus)'' 1.8과 ''스트로마타(Stromata)'' 7.2와 같은 구절에서 구원과 신의 심판에 대한 그의 가르침으로 인해 클레멘트는 종종 최초의 기독교 보편주의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26] 오리게네스와 마찬가지로 그는 알렉산드리아 교리학교 출신이었으며 이교와 성경 문학에 정통했다.[9]4. 4.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오스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Αθανάσιος|아타나시오스el) (약 293년 – 373년)는 4세기의 저명한 신학자이자 알렉산드리아의 교황이며, 이집트 지도자였다. 그는 아리우스파와의 갈등에서의 역할과 삼위일체에 대한 확고한 신념으로 기억된다. 니케아 공의회(325년)에서 아타나시우스는 그리스도가 성부와는 다른 실체라는 아리우스파의 교리를 반박했다.[9]
4. 5. 카파도키아 교부들
카이사리아의 바실리우스(330-379), 그의 동생 니사의 그레고리우스( – 395), 그리고 절친한 친구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우스(329–389)를 일컫는다.[32] 카파도키아 교부들은 초기 기독교 신학을 발전시킨 공로를 인정받아 서방 교회와 동방 교회 모두에서 성인으로 존경받는다. 소 마크리나(324–379)는 4세기의 수도원 가문 출신으로, 형제들이 공부하고 명상할 수 있는 중심지를 제공하고, 어머니를 위한 평화로운 피난처를 제공하기 위해 수도원을 설립하였다. 수녀 마크리나는 세 형제인 카이사리아의 바실리우스, 니사의 그레고리우스, 세바스테의 페트로스( – 391)의 교육과 성장에 기여하였다.이들은 기독교인들이 학식 있는 그리스어를 구사하는 지식인들과 대등하게 대화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그들은 기독교 신앙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그리고 다른 그리스 철학자들)의 사상과는 다르지만, 인간의 영혼 치유와 하나님과의 연합을 중심으로 하는 거의 과학적이고 독특한 운동이라고 주장했다. 그들은 381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제1공의회에서 확정된 삼위일체의 정의와 니케아 신경의 최종본에 크게 기여했다.
니케아 제1공의회 이후에도 아리우스파는 사라지지 않았다. 반(反)아리우스파는 아들(예수)이 아버지와 유사한 본질(homoiousios)이라고 가르친 반면, 완전한 아리우스파는 아들이 아버지와 다른 본질(heterousian)이라고 가르쳤다. 따라서 아들은 아버지와 '같다'고 여겨졌지만, 아버지와 같은 본질은 아니었다.
카파도키아 교부들은 반아리우스파를 정통 신앙으로 되돌리고자 노력했다. 그들은 저술에서 "한 본질(homoousia) 안에 세 위격(Hypostasis (philosophy and religion)|hypostases)"이라는 공식을 사용했으며,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구별(니케아 공의회가 흐릿하게 했다고 비난받았던 구별)을 명시적으로 인정하면서 동시에 그들의 본질적인 연합을 강조했다.
4. 6.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모스
요한 크리소스토모스(약 347년 ~ 407년)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대주교로서 설교와 웅변에 뛰어난 능력을 보여주었으며, 교회와 정치 지도자들의 권력 남용을 비판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의 설교와 저술은 동방 교부들 중 가장 방대한 양을 자랑하며, 금욕적인 삶 또한 알려져 있다. 사후(혹은 일부 자료에 따르면 생전에) 그는 그리스어로 "황금 입"을 뜻하는 "크리소스토모스"라는 칭호를 얻었다.[33][34]크리소스토모스는 기독교, 특히 동방 정교회에서 설교가이자 신학자로서 주로 알려져 있으며, 가톨릭교회에서는 웅변가들의 수호성인이다. 그러나 그의 여덟 편의 설교는 기독교 반유대주의 역사에서 상당한 부분을 차지했는데, 안티오크에서 사제였을 당시 유대교화자들을 향한 격렬한 비난이 나치의 유대인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선전에 광범위하게 악용되었다.[35][36] 로버트 L. 윌켄과 같은 교부학 학자들은 크리소스토모스의 발언에 현대적인 반유대주의 개념을 적용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라고 지적한다. Psogos는 encomium과 함께 고대 세계에서 논쟁적인 맥락에서 사용된 수사 기법이었다. Encomium에서는 "인물의 결점을 넘어서 칭찬하고, Psogos에서는 미덕을 넘어서 비난한다."[37]
크리소스토모스의 설교는 바실리우스 대왕의 설교와 함께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경제적이고 분배적인 정의에 대한 기독교 교회의 이해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가톨릭 교회 교리 문답[38]뿐만 아니라 프란치스코 교황의 현대 자본주의 형태를 비판하는 설교에서도 광범위하게 인용되었다.[39][40]
4. 7.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Κύριλλος Ἀλεξανδρείας|키릴로스 알렉산드레이아스grc, 376년경 ~ 444년)는 로마 제국 시기 알렉산드리아의 주교였다. 알렉산드리아가 로마 제국 내에서 큰 영향력과 권력을 행사하던 시기에 주교직을 맡았던 키릴로스는 많은 저술을 남겼으며, 4세기 후반과 5세기 초 그리스도교 논쟁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특히 431년 에페소 공의회를 이끌며 네스토리우스를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직에서 축출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러한 공헌으로 키릴로스는 기독교 세계에서 "믿음의 기둥", "모든 교부들의 인장"이라는 칭호를 얻었다.[17]4. 8. 고백자 막시모스
막시무스 고백자(Maximus the Confessor, 580년경 ~ 662년)는 그리스도교 수도승이자 신학자, 학자였다. 젊은 시절에는 헤라클리우스 비잔티움 황제의 측근으로 관리직을 맡았으나, 이를 버리고 수도 생활을 시작했다.카르타고로 이주한 후 막시무스는 네오플라토니즘 작가들을 연구하며 저명한 작가가 되었다. 그는 친구가 일의지론을 옹호하자 그리스도론 논쟁에 휘말리게 되었는데, 예수가 인성과 신성 모두의 의지를 가졌다는 칼케돈 공의회의 입장을 지지했다. 이러한 그의 그리스도론적 입장은 결국 고문과 유배로 이어졌고,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
그러나 그의 신학은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옹호되었고, 사후 곧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동방 정교회와 서방 정교회 모두 그를 존경하며, 그의 축일은 1월 21일과 8월 13일 두 번 기념된다. 그의 칭호인 고백자는 그가 신앙을 위해 고난을 받았지만 순교하지는 않았음을 의미하며, 순교자와 구분된다. 그의 『성모 마리아의 생애』는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에 대한 가장 오래된 완전한 전기로 여겨진다.[17][18][19]
4. 9. 다마스쿠스의 요안니스
다마스쿠스에서 태어나 자란 다마스쿠스의 요한(약 676년 – 749년)은 시리아의 그리스도교 수도사이자 사제였으며, 성가 작곡가이자 변증가였다.[44] 마르 사바 수도원에서 사망했다.그는 법, 신학, 철학, 음악 등 다방면에 걸쳐 관심과 기여를 한 박식가였으며, '크리소로아스(Χρυσορρόας, 문자 그대로 "금으로 흐르는", 즉 "황금의 연설가")'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는 그리스도교 신앙을 설명하는 수많은 저서를 집필했고, 동방 정교회 전례에서 전 세계적으로 여전히 사용되는 찬송가와 서방 루터교의 부활절 찬송가를 작곡했다.[44] 그는 특히 성상 옹호로 유명했다.[45]
천주교회는 그를 교회 박사로 여기며, 성모 승천에 관한 그의 저술 때문에 '승천의 박사'라고도 불린다.
5. 라틴 교부
라틴어로 저술한 교부들을 라틴 교부라고 한다. 가톨릭교회 전통에서 암브로시오스 (340년경–397년), 히에로니무스 (347년경–420년),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 (354년–430년), 그레고리오 1세 (540년경–604년)는 각각 "대(大) 교부"라 불리는 네 명의 라틴 교부이다.[46][47]
이들 외에도 터툴리아누스, 카르타고의 키프리아누스, 푸아티에의 힐라리우스, 로마의 다마수스 1세, 세비야의 이시도르 등이 라틴 교부에 속한다.
- '''주요 라틴 교부 목록'''
이름 | 출생 및 사망 연도 | 주요 활동 및 저서 |
---|---|---|
미누키우스 펠릭스 | 출생 및 사망 연도 불명 | 대화 형식의 변증론 『옥타비우스(Octavius)』 저술[78] |
터툴리아누스 | 155년경? - 220년 이후 | 카르타고 출생의 법률가, 초기 기독교 변증가[79] |
히포리토스 | 170년경? - 235년경? | 칼릭스투스 1세와 대립하는 대립 교황으로 추대됨, 저술은 모두 그리스어[80] |
키프리아누스 | ? - 258년 | 249년 카르타고 주교로 선출[81] |
노바티아누스 | ? - 253년/260년 | 코르넬리우스와 대립, 로마 신학의 창시자 중 한 명[82] |
락탄티우스 | 240년경? - 320년경? | 콘스탄티누스 1세 황제의 고문 |
푸아티에의 힐라리우스 | 315년경? - 368년경? | |
다마수스 1세 | 305년경? - 384년 |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 교황 특사 파견 |
암브로시우스 | 340년경? - 397년 | 『믿음에 관하여』,『성령론』,『성례전론』 저술 |
Nicetas of Remesiana | 335년 – 414년 | 찬미가 작곡가 |
Rufinus of Aquileia | 344년/345년 - 411년 | |
히에로니무스 | 347년경? - 420년 | |
아우구스티누스 | 354년 - 430년 | |
Paulinus of Nola | 354년 – 431년 | 로마 집정관을 사임하고 놀라의 주교가 됨 |
John Cassian | 360년 - 435년 | |
Vincent of Lérins | ? - 445년 | 격언집 『공통의 전승』 |
Peter Chrysologus | 380년 - 450년 | 교회 박사로 여겨짐 |
레오 1세 (로마 교황) | 390년 - 461년 | 칼케돈 공의회에 교황 특사를 파견함[83] |
누르시아의 베네딕투스 | 480년경? - 547년 | 베네딕토 수도회의 창립자 |
아이오나 섬의 콜룸바 | 521년 - 597년 | 수도원의 창립자, 아일랜드, 스코틀랜드의 수호 성인 |
그레고리우스 1세 (로마 교황) | 540년경? - 604년 | |
세비야의 이시도루스 | 560년경? - 636년 |
5. 1. 테르툴리아누스
퀸투스 셉티미우스 플로렌스 테르툴리아누스(Quintus Septimius Florens Tertullianusla, 155년경? - 220년 이후)는 197년 이전에 기독교로 개종한 다작의 저술가로, 변증론적, 신학적, 논쟁적, 금욕적인 저술들을 남겼다.[48] 그는 카르타고에서 로마 백부장의 아들로 태어났다.[48]테르툴리아누스는 과부의 재혼이나 기독교인의 박해 도피 등을 허용하는 기독교 교리를 비난했지만, 삶의 후반에는 주류 교회에서 이단으로 간주되었던 몬타누스파를 받아들여 시성되지 못했다. 그는 그리스어로 세 권의 책을 썼으며, 라틴 기독교의 최초의 위대한 작가였기 때문에 "라틴 교회의 아버지"로 알려져 있다.[49] 그는 로마에서 변호사였던 것으로 보인다.[50]
그는 신성(삼위일체, Trinity)에 관한 라틴어 용어 "trinitas"를 기독교 어휘에 도입했다고 알려져 있다.[51] (그러나 안티오크의 테오필루스는 이미 "하나님과 그분의 말씀과 그분의 지혜의 삼위일체"에 대해 썼는데, 이는 삼위일체적인 어구와 유사하지만 동일하지는 않다.)[52] 그리고 "''tres Personae, una Substantia''"(코이네 그리스어 "τρεῖς ὑποστάσεις, ὁμοούσιος; ''treís hypostasis, Homoousios''"에서 유래)라는 "세 위격, 한 본질" 공식과 "vetus testamentum"(구약 성서)과 "novum testamentum"(신약 성서)라는 용어도 도입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의 ''변명론''에서 그는 기독교를 "''vera religio''"로 규정한 최초의 라틴 작가였으며, 고전 로마 제국의 종교와 다른 수용된 종교들을 단순한 "미신"으로 체계적으로 격하시켰다.
그는 초기 교회의 물고기 상징—그리스어로 "물고기"를 뜻하는 ΙΧΘΥΣ는 Ἰησοῦς Χριστός, Θεοῦ Υἱός, Σωτήρ (예수 그리스도, 하나님의 아들, 구세주)의 두문자어이다—를 사용하여 물에서 태어나는 물고기처럼 세례의 의미를 설명했다. 그는 인간이 작은 물고기와 같다고 썼다.
5. 2. 카르타고의 키프리아누스
키프리아누스(약 200년 – 258년)는 카르타고의 주교이자 중요한 초기 기독교 작가였다. 그는 3세기 초, 아마도 카르타고에서 북아프리카에서 태어났으며, 뛰어난 고전 (이교의) 교육을 받았다. 기독교로 개종한 후 주교가 되었고, 결국 카르타고에서 순교자의 죽음을 맞았다.[81] 그는 기독교인들이 그들의 주교들과의 일치의 필요성과 로마 교구의 권위를 강조했는데, 그는 그것을 "사제적 일치"의 근원이라고 주장했다.5. 3. 푸아티에의 힐라리우스
푸아티에의 힐라리우스(300년경 ~ 368년)는 푸아티에의 주교이자 교회 박사였다. "서방의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 또는 "아리우스파의 망치"(라틴어: Malleus Arianorum)라고도 불렸다.[17] 그의 이름은 그리스-라틴어에서 유래했으며, 행복하거나 쾌활하다는 뜻이다. 로마 일반 달력상 그의 선택 기념일은 1월 13일이다. 과거 이 날짜가 주현절 옥타브일에 해당했을 때는 축일을 1월 14일로 옮겼다.5. 4. 밀라노의 암브로시우스
암브로시우스는 4세기 밀라노의 대주교이자 영향력 있는 교회 인물 중 한 명이었다. 주교가 되기 전에는 총독이었으며, 교회의 원초적인 네 명의 교부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속죄 이론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46][47] Ambrosius|암브로시우스la, Ambrosius|암브로시우스프랑스어, Ambrogio|암브로조it, Ambroeus|암브로에우스lmo는 모두 그를 가리키는 다른 언어 표현이다.5. 5. 로마의 다마수스 1세
다마수스 1세는 분열의 위협으로부터 가톨릭 교회를 옹호하는 데 적극적이었다. 368년과 369년에 두 차례 로마 공의회를 통해 아폴리나리우스파와 마케도니우스파의 이단을 정죄하고, 381년에 소집된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 교황 대표단을 파견했다.[78] 또한 로마 교황청의 권위를 옹호하는 글을 썼으며, 서방 교회에서 여전히 예배에 사용되던 코이네 그리스어 대신 미사에 라틴어를 사용하는 것을 시작했다.[78]5. 6. 히에로니무스

히에로니무스(Hieronymus|히에로니무스la, 약 347년 – 420년)는 그리스어와 히브리어로 된 성경을 라틴어로 번역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는 기독교 변증가이기도 했다. 히에로니무스가 편집한 성경인 ''불가타''는 여전히 가톨릭의 중요한 경전이다. 그는 가톨릭교회에서 교회 박사로 인정받고 있다.
5. 7.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354년 ~ 430년)는 가톨릭 교회학자이자 철학자, 신학자이다. 서방 기독교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플로티누스 등 플라톤주의자들의 저술을 포함한 그리스-로마 수사학과 철학을 폭넓게 공부했다.[54] 원죄와 정의로운 전쟁 개념을 체계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아우구스티누스는 로마 멸망 후 많은 기독교인들의 신앙이 흔들리자, 교회를 영적인 하느님의 도시로 묘사한 ''하느님의 도시''를 저술하여 기독교를 옹호했다.[9] 그의 작품은 중세 세계관 형성에 기여했으며, 이후 그레고리오 대교황에 의해 확고히 자리 잡게 되었다.[9]
알제리에서 기독교인 어머니 히포의 모니카에게서 태어나 북아프리카에서 교육받았다. 그는 어머니의 권유에도 불구하고 기독교인이 되기를 거부하고 첩을 두고 마니교도가 되었다. 이후 기독교로 개종하여 주교가 되었고, 펠라기우스파와 같은 이단에 맞서 싸웠다. 그의 ''고백록''은 최초의 서구 자서전으로 평가받으며, 그의 생애 이후로 꾸준히 읽히고 있다. 아우구스티누스회는 그의 이름과 삶의 방식을 따르는 가톨릭 수도회이다.
5. 8. 로마의 그레고리우스 1세
그레고리오 1세는 540년경에 태어나 604년에 사망했으며, 590년 9월 3일부터 사망할 때까지 교황으로 재임했다. 동방 정교회에서는 저서 『대화록』 때문에 '그레고리우스 대화가'로도 알려져 있다.[59] 그는 수도원 출신 첫 교황이었다.[59] 아우구스티누스, 히에로니무스, 암브로시오스와 함께 교회의 성인이자 4명의 위대한 라틴 교부 중 한 명으로 꼽힌다.[59] 그레고리우스 1세는 초기 중세 교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교황으로 평가받는다.[59]5. 9. 세비야의 이시도르
서고트족 아리우스파의 니케아 기독교로의 개종에 관여했으며, 그의 형제인 레안데르를 도왔고, 그의 형제가 죽은 후에도 이 일을 계속해 나갔다.[46][47] 이베리아 반도의 서고트 왕 시세부트의 측근에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레안데르와 마찬가지로 톨레도와 세비야 공의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러한 공의회에서 나온 서고트 법은 현대 역사가들에 의해 대의 정부의 시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간주된다.[46][47]6. 시리아 교부
몇몇 교부들은 시리아어로 저술했으며, 그들의 저술은 라틴어와 그리스어로 널리 번역되기도 했다. 대표적인 시리아 교부로는 아프라하트, 니시비스의 야곱, 에프렘, 나르사이, 세루그의 야곱, 헤나나, 아바, 이즐라의 아브라함, 바바이, 호르미즈드, 니네베의 이삭 등이 있다.
- 타티아누스(Tatianus) 2세기 (합본 복음서 『디아테사론』(Diatessaron)의 저자)[74])
- 나르사이(Narsai) 399년 - 503년[74]
- 마부그의 필록세누스(Philoxenus of Mabbug) 440년 - 523년[74]
- 세루그의 야곱(Jacob of Serugh) 451년 - 521년[87]
- 에페소스의 요한(John of Ephesus) 507년? - 588년?[74][88]
- 니시비스의 바바이(Babai the Great) 551년 - 628년[89]
- 에데사의 야곱(Jacob of Edessa) 633년? - 708년[74]
6. 1. 아프라하트
아프라하트(c. 270 – c. 345)는 3세기 북부 메소포타미아의 아디아베네 지역(당시 페르시아 제국령) 출신 시리아 기독교 저술가였다.[84][85] 기독교 교리와 실천에 대한 23편의 해설 또는 설교를 저술했다. 270년경 페르시아에서 태어났지만, 그의 모든 알려진 저작인 『증명들(Demonstrations)』은 그의 삶의 후반기에 나왔다. 금욕주의자이자 독신자였으며, 거의 확실히 계약의 아들(초기 시리아식 공동체 수도원 생활의 한 형태)이었다. 주교였을 가능성도 있으며, 후대 시리아 전통에서는 현재 이라크 북부 모술 근처 마르 마티 수도원의 원장으로 여겨진다. 약간 후배인 에프렘 시리아인과 거의 동시대 인물이었지만, 후자는 로마 제국 영역 내에서 살았다. “페르시아의 현인”(ܚܟܝܡܐ ܦܪܣܝܐ|ḥakkîmâ p̄ārsāyāsyr)이라고 불리는 아프라하트는 로마 제국의 동쪽 경계 너머 초기 교회의 관심사를 보여준다.6. 2. 시리아의 에프렘
'''시리아의 에프렘'''(ܐܦܪܝܡ ܣܘܪܝܝܐ|아프렘 수리아syc) (약 306년 – 373년)은 4세기 시리아 지역 출신의 집사이자 시리아어 찬송가 작곡가 겸 신학자였다.[60][61][62][63] 그의 저술은 전 세계 기독교인들로부터 칭송받고 있으며, 많은 교파에서 그를 성인으로 존경한다. 그는 가톨릭교회에서 교회 박사로 선포되었다. 특히 시리아 정교회와 동방 교회에서 매우 사랑받는 인물이다.에프렘은 다양한 찬송가, 시, 설교를 운문으로 썼을 뿐만 아니라 산문으로 된 성경 주석도 저술했다. 이들은 혼란스러운 시대에 교회를 격려하기 위한 실천적인 신학 작품이었다. 그의 작품은 매우 인기가 많아 사후 수세기 동안 기독교 저술가들은 그의 이름으로 수백 편의 위작을 썼다. 그는 시리아어를 사용하는 교회 전통의 가장 중요한 교부 중 한 사람으로 불린다.[64]
6. 3. 안티오키아의 이스하크
시리아 문학의 거장 중 한 명으로, 수많은 운문 설교를 남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스타프 비켈이 작성한 목록에는 현재 사본으로 남아 있는 191편의 설교가 포함되어 있다. 그의 설교 중 상당수는 시리아 작가들 사이에서 드물게 독창성과 날카로운 통찰력이 돋보인다는 평가를 받는다.[74]6. 4. 니네베의 이스하크
니네베의 이삭(Isaac of Nineveh)은 7세기 시리아의 주교이자 신학자로, 그의 저술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는 동방 교회, 가톨릭 교회, 동방 정교회 등에서 성인으로 추앙받으며, 모든 사도적 교회에서 인정받은 마지막 성인이기도 하다. 그의 축일은 1월 28일(시리아 정교회 달력으로는 3월 14일)이다. 이삭은 내면 삶에 대한 영적인 설교로 기억되는데, 이 설교들은 그가 속한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를 뛰어넘는 인간적인 폭과 신학적인 깊이를 지니고 있다. 그의 설교들은 시리아어 사본과 그리스어 및 아랍어 번역본으로 남아 있다.[74]7. 사막 교부
사막의 교부들은 이집트 사막에서 수도 생활을 한 초기 수도자들이다. 이들은 많은 저술을 남기지는 않았지만, 수도 생활의 시작과 그 특징을 확립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테베의 바울, 안토니우스 대성인, 파코미우스가 대표적인 사막 교부들이다. 이들의 짧은 말씀들은 "사막의 교부들의 금언집"(''Apophthegmata Patrum'')에 수록되어 있다.
7. 1. 테베의 바울
테베의 바울은 사막의 교부들 중 한 명으로, 이집트 사막에서 살았던 초기 수도자이자 최초의 은수자로 알려져 있다.[1] 수도 생활의 시작과 그 특징의 많은 부분을 확립한 것으로 여겨져 다른 교부들처럼 많은 저술을 남기지는 않았지만, 그 영향력은 컸다.[1]
7. 2. 안토니우스 대성인
사막의 교부들은 이집트 사막에서 살았던 초기 수도자들이었다. 다른 교부들처럼 많은 저술을 남기지는 않았지만, 그들의 영향력은 컸으며, 수도 생활의 시작과 그 특징의 많은 부분을 확립한 것으로 여겨진다. 안토니우스 대성인은 테베의 바울, 파코미우스와 함께 은수 생활의 선구자로 알려져 있다. 이들의 짧은 말씀들은 "사막의 교부들의 금언집"(''Apophthegmata Patrum'')에 수록되어 있다.
7. 3. 파코미우스
파코미우스는 사막의 교부들 중 한 명으로 테베의 바울, 안토니우스 대성인과 함께 수도 생활의 시작과 그 특징의 많은 부분을 확립한 것으로 여겨진다.[1]
8. 교부학
교부들의 연구는 교부학으로 알려져 있다.
가톨릭에서는 다마스쿠스의 요한과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를 교부들의 마지막으로 여긴다.[65][66] 그러나, 가톨릭 신학이나 교리에 중요한 공헌을 한 교부 시대 이후의 성인들에게는 교회 박사라는 칭호를 부여한다.[65][66]
동방 정교회는 교부들의 시대가 끝났다고 생각하지 않으며, 현재까지도 영향력 있는 저술가들을 포함한다. 정교회는 모든 세부 사항에 동의할 필요는 없으며, 무오류일 필요도 없다고 본다. 정교회 교리는 성부들의 합의를 통해 결정되며, 이는 교회가 교리 문제, 성경의 올바른 해석, 교회의 진정한 성전승을 분별하는 지침이 된다.[67]
프로테스탄트 신앙 사상은 ''sola scriptura''(성경 자체가 교리적 문제에 대한 최고 권위라는 원칙)에 기반하지만, 최초의 프로테스탄트 개혁가들은 초기 교부들이 제시한 성경 해석을 사용했다. 장 칼뱅의 1559년 ''프랑스 신앙 고백서''는 고대 공의회에서 확립된 것을 고백하며, 성 힐라리, 성 아타나시우스, 성 암브로시우스, 성 키릴과 같은 성스러운 교부들이 배척한 모든 분파와 이단들을 혐오한다고 말한다.[68] 많은 프로테스탄트 신학교에서는 교부학 강좌를 제공하며, 많은 역사적 프로테스탄트 교회는 성경 해석에서 전통과 교부들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니케아 신앙 이전 초기 기독교 시대의 교부 저술들은 19세기에 영어로 번역되어 ''니케아 이전 교부들''이라는 책으로 출판되었다. 제1차 니케아 공의회(325년)부터 제2차 니케아 공의회(787년)까지의 저술들은 ''니케아 및 니케아 이후 교부들''에 수록되어 있다.
참조
[1]
서적
Tradition Alive: On the Church and the Christian Life in Our Time : Readings from the Eastern Church
Rowman & Littlefield
2003
[2]
서적
Encyclopedia of Medieval Philosophy
Encyclopedia of Medieval Philosophy
2011
[3]
학술지
The Use of the Church Fathers in the Formula of Concord
1984
[4]
백과사전
https://www.britanni[...]
2018-05-11
[5]
웹사이트
Who are the Fathers of the Church? A chronological list
http://chrysologus.b[...]
2018-05-11
[6]
가톨릭 백과사전
The Apostolic Fathers
2016-06-30
[7]
서적
The Philosophy of the Church Fathers: Faith, Trinity, Incarnation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56
[8]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Pope St. Clement I
https://www.newadven[...]
2024-07-18
[9]
서적
Caesar and Christ
Simon and Schuster
1972
[10]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Christianity
IVP Academic
2014
[11]
서적
1 Peter
Doubleday
2000
[12]
웹사이트
The Ecclesiastical Canons of the Same Holy Apostles
https://www.ccel.org[...]
Eerdmans Pub Co.
2020-10-09
[13]
서적
Muqaddimah
1958
[14]
서적
The Westminster Dictionary of Church History
Westminster
1971
[15]
웹사이트
EPISTLE OF IGNATIUS TO THE MAGNESIANS
http://www.earlychri[...]
[16]
서적
The Apostolic Fathers
G.P. Putnam's Sons
1912
[17]
서적
Reading Scripture with the Church Fathers
InterVarsity Press
1998-08-17
[18]
서적
History of the Concept of Mind
Ashgate
2003-03
[19]
서적
The Blackwell Dictionary of Eastern Christianity
Oxford: Blackwell
[20]
서적
Justin Martyr and the Jews
2002
[21]
웹사이트
Dialogue with Trypho
https://www.academia[...]
[22]
가톨릭 백과사전
St. Justin Martyr
http://www.newadvent[...]
2024-10-13
[23]
웹사이트
For All the Saints
http://dl.dropbox.co[...]
2012-11-08
[24]
웹사이트
Justin the Philosopher & Martyr and his Companions
http://www.goarch.or[...]
2011-04-02
[25]
서적
God Has Spoken
[26]
서적
The Christian Doctrine of Apokatastasis
[27]
학술지
The Unity and Diversity of the Mediterranean World
1936
[28]
웹사이트
About Caesarea
http://www.caesarea.[...]
[29]
서적
A Larger Hope, Volume 1
Cascade Books
[30]
웹사이트
The Anathemas Against Origen
http://www.ccel.org/[...]
T&T Clark
[31]
웹사이트
The Anathematisms of the Emperor Justinian Against Origen
http://www.ccel.org/[...]
[32]
웹사이트
Commentary on Song of Songs; Letter on the Soul; Letter on Ascesis and the Monastic Life
http://www.wdl.org/e[...]
World Digital Library
2013-03-06
[33]
기타
Constitution of Pope Vigilius
553
[34]
가톨릭 백과사전
[35]
서적
The Changing Face of Antisemitism: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Day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36]
백과사전
John Chrysostom
Keter Publishing House
[37]
서적
John Chrysostom and the Jews: Rhetoric and Reality in the Late 4th Centu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8]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 The seventh commandment
https://www.vatican.[...]
[39]
웹사이트
St. John Chrysostom and Pope Francis: What they have in common
https://catholicexch[...]
2014-09-12
[40]
웹사이트
What St. John Chrysostom Can Teach Us About Social Justice
https://sojo.net/art[...]
2018-09-06
[41]
웹사이트
Theodore Of Mopsuestia Syrian theologian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3-12
[42]
웹사이트
ഗ്രീക്ക് സഭാപിതാക്കന്മാരുടെ ഓർമ്മ
https://www.syromala[...]
[43]
서적
Theodore of Mopsuest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44]
서적
Lutheran Service Book
Concordia Publishing House
[45]
서적
The Fathers of the Church: An Introduction to the First Christian Teachers
https://books.google[...]
Our Sunday Visitor Publishing
[46]
서적
Reading Scripture with the Church Fathers
InterVarsity Press
1998-08-17
[47]
서적
History of the Concept of Mind
Ashgate
2003-03
[48]
백과사전
Tertullian
Oxford University Press
[49]
웹사이트
Vincent of Lerins in 434 AD, Commonitorium
http://www.tertullia[...]
[50]
백과사전
Tertullian
[51]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Touchstone Books
[52]
웹사이트
To Autolycus, Book 2, chapter XV
http://www.earlychri[...]
[53]
웹사이트
Hiëronymus in zijn studeervertrek
https://lib.ugent.be[...]
2020-10-02
[54]
서적
Platonism
Oxford University Press
[55]
서적
Leo the Great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56]
서적
The First Seven Ecumenical Councils (325–787): Their History and Theology (Theology and Life Series 21)
https://archive.org/[...]
Michael Glazier/Liturgical Press
[57]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Pope St. Leo I (The Great)
https://www.newadven[...]
2022-01-24
[58]
웹사이트
Philip Schaff: NPNF2-14. The Seven Ecumenical Councils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www.ccel.org[...]
2022-01-24
[59]
웹사이트
Pope St. Gregory I
http://historymedren[...]
[60]
서적
Symbols of the cross in the writings of the early Syriac Fathers
https://books.google[...]
Gorgias Press LLC
2004-12
[61]
서적
The Aramaeans: their ancient history, culture, religion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2011-06-08
[62]
서적
Evidence of Greek philosophical concepts in the writings of Ephrem the Syrian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2011-06-08
[63]
서적
Images of women in antiquity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1-06-08
[64]
서적
The Blackwell Dictionary of Eastern Christianity
https://onlinelibrar[...]
Blackwell Publishing
[65]
웹사이트
Doctor Mellifluus
http://www.vatican.v[...]
2020-08-06
[66]
웹사이트
Who Was the Last of the Church Fathers?
https://www.ncregist[...]
2018-02-20
[67]
서적
Orthodox Dogmatic Theology (English trans.)
http://www.intratext[...]
Saint Herman of Alaska Brotherhood
[68]
서적
Calvin's Tracts
Calvin Translation Society
[69]
기타
The ROC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Ecumenical Patriarchate in 2018, and later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primates of the Church of Greece, the Patriarchate of Alexandria, and the Church of Cyprus in 2020.
[70]
기타
Autocephaly or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71]
설명
[72]
설명
[73]
논문
古代キリスト論の歩み
http://www.ic.nanzan[...]
[74]
서적
原典 古代キリスト教思想史 1 初期キリスト教思想家
[75]
서적
原典 古代キリスト教思想史 1 初期キリスト教思想家
[76]
서적
原典 古代キリスト教思想史 1 初期キリスト教思想家
[77]
서적
原典 古代キリスト教思想史 1 初期キリスト教思想家
[78]
서적
原典 古代キリスト教思想史 1 初期キリスト教思想家
[79]
서적
原典 古代キリスト教思想史 1 初期キリスト教思想家
[80]
서적
原典 古代キリスト教思想史 1 初期キリスト教思想家
[81]
서적
原典 古代キリスト教思想史 1 初期キリスト教思想家
[82]
서적
原典 古代キリスト教思想史 1 初期キリスト教思想家
[83]
서적
キリストの神秘-説教全集-
創文社
1965
[84]
논문
オリエントの歴史と文化-古代学の形成と展開-
https://www.tulips.t[...]
筑波大学附属図書館
[85]
웹사이트
教皇ベネディクト十六世の117回目の一般謁見演説 ペルシアの賢者アフラハト
https://www.cbcj.cat[...]
CBCJ
2018-09-04
[86]
서적
聖エフレム伝
愛心館
1993-06-01
[87]
논문
モーセの顔の覆いについて
新世社
1991-02-10
[88]
설명
[89]
논문
シリア語文学:諸文化の十字路
http://id.nii.ac.jp/[...]
国際基督教大学
[90]
웹사이트
砂漠の師父略伝
http://web.kyoto-ine[...]
2018-02-28
[91]
서적
古典の祈り
中央出版社
1979-01-15
[92]
서적
大聖マカリオスの言行録
中央出版社
1985-07-25
[93]
서적
中世思想原典集成3 後期ギリシャ教父・ビザンティン思想
[94]
서적
中世思想原典集成3 後期ギリシャ教父・ビザンティン思想
[95]
서적
中世思想原典集成3 後期ギリシャ教父・ビザンティン思想
[96]
서적
中世思想原典集成3 後期ギリシャ教父・ビザンティン思想
[97]
웹사이트
第一奉献文(ローマ典文) ミサ式次第
http://ubecat.jp/mis[...]
カトリック宇部教会
[98]
서적
公教会祈祷文
1909
[99]
웹사이트
第2バチカン公会議の流れ 第2バチカン公会議から50年
http://www.pauline.o[...]
女子パウロ会
[100]
서적
日本聖公会 祈祷書
日本聖公会
1991-06-20
[101]
서적
내가 사랑한 교부들
바오로딸
[102]
서적
쉽고 재미있는 교회사
작은 행복
[103]
서적
그리스도인이 되어가는 나 그리고 우리
대한성공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