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밀양군 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양군 을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1963년 폐지된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이다. 밀양군 삼랑진면, 상남면, 하남면, 초동면, 무안면, 청도면을 관할했으며, 제헌 국회의원 선거부터 제5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총 5번의 선거가 치러졌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박해극, 김형덕, 조만종, 김정환, 박권희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밀양시의 정치 - 밀양시·창녕군
    밀양시·창녕군 선거구는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총 4번의 선거에서 김용갑과 조해진이 각각 2번씩 당선되었으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폐지되었다.
  • 밀양시의 정치 - 밀양시의 국회의원
    밀양시의 국회의원 문서는 1948년 제1대 국회부터 현재 제22대 국회까지 밀양시의 역대 국회의원 현황, 선거구역 변천, 선거별 당선 국회의원 정보(소속 정당, 임기, 선거구역, 개표 결과)를 제공한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창원시 을
    창원시 을은 1992년 신설되어 2012년 폐지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황낙주, 이주영, 권영길 등이 당선되었으며 보수와 진보 세력의 경쟁을 나타냈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울산시·울주군 (1978년 선거구)
    울산시·울주군 선거구는 1973년 동래군 폐지로 울산시·울주군·동래군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1978년부터 1985년까지 존속하다가 울산시 분구 및 울주군 분리로 폐지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밀양군 을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밀양군 을
의회국회
큰 지도경상남도
연도1948년
폐지1963년
유형국회
이후 선거구밀양군
의원수1인

2. 역사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밀양군의 일부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당시 밀양군 삼랑진면, 상남면, 하남면, 초동면, 무안면, 청도면을 관할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밀양군 갑 선거구와 통합되어 밀양군 단독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2. 1. 관할 구역 변천

3. 역대 국회의원

wikitable


3. 1. 제1대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박해극 후보가 19,636표(53.40%)를 얻어 당선되었다. 대동청년단의 최성권 후보는 13,388표(36.41%)를, 무소속 이기원 후보는 3,741표(10.17%)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36,765표였다.

3. 2. 제2대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밀양군 을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형덕 후보가 10,567표(28.41%)를 얻어 당선되었다. 이 선거에서는 그 외에도 민병구, 조만종, 김길원, 예원해, 신현대, 배상수, 이원학, 윤술룡, 박일현, 문이호, 유병수, 신상학, 김복식 후보 등이 출마하였다.

3. 3. 제3대 (1954년)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조만종 후보가 당선되었다. 조만종 의원은 21.15%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16.70%를 얻은 무소속 박권희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당시 이승만 정권의 독재와 부정부패에 대한 비판적인 여론이 높았음에도, 보수정당 소속인 조만종 의원이 당선되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wikitable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조만종자유당8,04621.15
박권희무소속6,35516.70
신학상무소속5,43614.29
윤술용자유당3,7439.84
김용태농민회3,0337.97
진일범무소속2,8467.48
강일상무소속1,9185.04
문이호무소속1,9065.01
이헌정대한독립촉성국민회1,8714.91
박일무소속1,5874.17
우영창무소속1,2953.40
합계38,036


3. 4. 제4대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김정환 후보가 당선되었다. 김정환 의원은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된 3.15 부정선거에 대한 국민적 저항 속에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정환민주당19559,10823.10
엄익순무소속8,27120.98
김봉재자유당8,26920.97
박권희무소속7,82019.83
이원호무소속4,30510.92
최성웅무소속1,6464.17
합계39,419


3. 5. 제5대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밀양군 을 선거구에서는 사회대중당 박권희 후보가 39.28%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민주당 김정환 후보는 36.47%로 2위를 기록하였다. 무소속 남일시 후보는 14.71%, 무소속 장필재 후보는 9.52%를 득표하였다.

4. 역대 선거 결과

4. 1. 제1대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밀양군 을 선거구에서 무소속 박해극 후보가 19,636표(53.40%)를 얻어 당선되었다. 대동청년단 최성권 후보는 13,388표(36.41%), 무소속 이기원 후보는 3,741표(10.17%)를 얻었다. 총 36,765표가 투표되었다.

4. 2. 제2대 (1950년)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김형덕 후보가 10,567표(28.41%)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외, 민병구(무소속, 5,304표), 조만종(무소속, 5,277표), 김길원(무소속, 2,894표), 예원해(무소속, 2,141표), 신현대(무소속, 2,022표), 배상수(무소속, 1,686표), 이원학(무소속, 1,646표), 윤술룡(무소속, 1,455표), 박일현(무소속, 1,064표), 문이호(무소속, 1,040표), 유병수(무소속, 1,020표), 신상학(대한독립촉성국민회, 877표), 김복식(대한독립촉성국민회, 201표) 후보가 출마하였다.

4. 3. 제3대 (1954년)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조만종 후보가 8,046표(21.15%)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박권희 후보가 6,355표(16.70%)를 얻었다. 신학상 후보는 5,436표(14.29%), 윤술용 후보는 3,743표(9.84%), 김용태 후보는 3,033표(7.97%), 진일범 후보는 2,846표(7.48%), 강일상 후보는 1,918표(5.04%), 문이호 후보는 1,906표(5.01%), 이헌정 후보는 1,871표(4.91%), 박일 후보는 1,587표(4.17%), 우영창 후보는 1,295표(3.40%)를 얻었다.

4. 4. 제4대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김정환 후보가 9,108표(23.10%)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엄익순 후보는 8,271표(20.98%), 자유당 김봉재 후보는 8,269표(20.97%), 무소속 박권희 후보는 7,820표(19.83%), 무소속 이원호 후보는 4,305표(10.92%), 무소속 최성웅 후보는 1,646표(4.17%)를 얻었다.

4. 5. 제5대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밀양군 을 선거구에서는 사회대중당 박권희 후보가 39.28%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민주당 김정환 후보는 36.47%를 득표하였고, 무소속 남일시 후보는 14.71%, 무소속 장필재 후보는 9.52%를 득표하였다. 총 투표수는 39,205표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