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나나컬쳐 엔터테인먼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나나컬쳐 엔터테인먼트는 2016년 중국 다롄 완다 그룹 회장의 아들 왕쓰총이 설립한 바나나 프로젝트와의 제휴를 통해 설립된 연예 기획사이다. 예당기획으로 시작하여 예당음향, 예당엔터테인먼트, 예당컴퍼니로 사명을 변경하며 연예 매니지먼트, 영화, 게임, 위성 방송, 공연 사업 등 다양한 분야에 진출했다. 2014년 EXID를 인수했으며, EXID, TREI 등이 소속되어 있었으나 2020년 소속 아티스트들과의 계약이 종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방송채널사용사업자 - 한국교육방송공사
한국교육방송공사는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방송하는 대한민국의 공영 교육 방송사로, 지상파 TV, 라디오, 케이블/위성/IPTV 채널을 운영하며 본사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에 위치한다. - 대한민국의 방송채널사용사업자 - CJ ENM
CJ ENM은 2000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미디어, 커머스, 영화, 음악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여러 채널 운영과 영화 제작 및 배급, 온라인 커머스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투표 조작 및 광고 논란 등의 문제도 겪었다. - 대한민국의 음반사 - CJ ENM
CJ ENM은 2000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미디어, 커머스, 영화, 음악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여러 채널 운영과 영화 제작 및 배급, 온라인 커머스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투표 조작 및 광고 논란 등의 문제도 겪었다. - 대한민국의 음반사 - 스타덤 엔터테인먼트
스타덤 엔터테인먼트는 조PD가 1998년 설립한 힙합 레이블로, 블락비 등을 데뷔시켰으나 2015년 재정 문제로 후너스 엔터테인먼트에 인수 합병되어 해체되었다. - 2013년 설립된 기업 - 종근당
종근당은 1941년 이종근이 설립하여 1968년 미국 FDA 승인을 받은 최초의 한국 제약 회사로, 2013년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 후 신약 개발 및 글로벌 시장 진출에 힘쓰고 있다. - 2013년 설립된 기업 - 플릭스버스
플릭스버스는 독일에서 시작하여 유럽, 미국, 브라질 등지로 확장한 장거리 버스 회사로, 저가 정책과 인수합병을 통해 성장했지만 안전 문제, 시장 독점, 장애인 접근성 문제 등 논란이 있다.
바나나컬쳐 엔터테인먼트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회사명 | 바나나컬쳐 |
영문 회사명 | Banana Culture |
이전 회사명 | 예당기획 (1984–1992) 예당음향 (1992–2000) 예당엔터테인먼트 (2000–2010) 예당컴퍼니 (2010–2016) |
종류 | 자회사 |
산업 | 엔터테인먼트 |
설립 | 1984년 |
해체 | 2020년 |
창립자 (Banana Culture Music) | 왕쓰총 (2015년) |
본사 위치 | 서울특별시 |
핵심 인물 | 유재웅 (CEO) |
모회사 | Banana Culture Music (상하이)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연혁
- 1984년: 변대윤이 '''예당기획'''을 설립하였다.[1]
- 1992년 10월 28일: 법인으로 전환되면서 '''예당음향'''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1]
- 2000년 5월: '''예당엔터테인먼트'''로 사명을 변경하였다.[1]
- 2010년 3월: '''예당컴퍼니'''로 사명을 변경하였다.[1]
- 2013년 9월: 웰메이드스타엠이 예당컴퍼니를 인수하였다.[15]
- 2014년: 예당컴퍼니가 AB 엔터테인먼트를 인수·합병하였다.[2][3]
- 2015년 12월 11일: 웰메이드 예당이 예당컴퍼니 주식을 매각하면서 예당에서 분리되었다.[4][5]
- 2016년 3월 2일: 중국 법인과 합작하여 '''바나나컬쳐 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하였다.[17]
- 2020년 3월: 연예 매니지먼트 사업 정리 보도가 나왔으나, 회사 측은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다.[6] 그러나 TREI 해체 이후 웹사이트가 삭제되었다.[7]
2. 1. 예당기획 및 예당음향 시절 (1984년 ~ 2000년)
1984년, 변대윤에 의하여 '''예당기획'''이 설립되었다.[1] 1992년 10월 28일, 법인으로 전환되면서 사명이 '''예당음향'''으로 변경되었다.[1]2. 2. 예당엔터테인먼트 시절 (2000년 ~ 2010년)
1984년, 변대윤에 의해 '''예당기획'''이 설립되었다.[1] 1992년 10월 28일, 법인으로 전환되면서 사명이 '''예당음향'''으로 변경되었다.[1] 2000년 5월, 사명이 '''예당엔터테인먼트'''로 변경되었다.[1]2000년, 코스닥에 상장되었고, 영화 산업에 진출하였다. 2001년에는 러시아 클래식 아시아 판권 독점 계약을 체결하고 Yedang Classic 레이블을 설립하여 연예 매니지먼트 사업에도 진출하였다. 2003년에는 드라마 겨울연가를 일본에 공급하고, Trigrow Pictures(현 예당 온라인)를 인수하여 게임 사업에도 진출하였다. 2005년에는 위성 방송 사업에, 2006년에는 뮤지컬 등 공연 사업에 진출하는 등 사업 영역을 확장해 나갔다.
2. 3. 예당컴퍼니 시절 (2010년 ~ 2016년)
1984년, 변대윤에 의하여 '''예당기획'''이 설립되었다.[1] 1992년 10월 28일, 법인으로 전환되면서 사명이 '''예당음향'''으로 변경되었다.[1] 2000년 5월에는 사명이 '''예당엔터테인먼트'''로 변경되었다.[1]2010년 3월, 회사는 다시 '''예당컴퍼니'''로 사명을 변경하였다.[1] 같은 해, 김홍섭 대표이사가 사임하고 창업주인 변두섭 최대 주주가 대표이사로 선임되었다.[13]
2013년 6월 4일, 양수경의 남편이기도 한 변두섭 회장이 자살하였다.[14] 같은 해 9월, 예당컴퍼니는 웰메이드스타엠에 인수되었다.[15]
2014년, 예당컴퍼니는 AB 엔터테인먼트를 인수·합병하였다.[2][3] 이로 인해 걸그룹 EXID는 예당컴퍼니와 계약을 맺게 되었고, AB 엔터테인먼트의 대표이자 프로듀서였던 신사동호랭이 또한 예당컴퍼니에 합류했다.[2][3]
2015년 12월 11일, 웰메이드 예당은 보유한 예당컴퍼니의 주식을 매각함으로써 예당컴퍼니를 분리시켰고, 예당컴퍼니는 독립적인 회사가 되었다.[4][5]
2. 4. 바나나컬쳐 엔터테인먼트 시절 (2016년 ~ 2020년)
2016년, 예당컴퍼니는 바나나컬쳐 뮤직과의 합병 계약을 체결한 후 공식적으로 사명을 변경했으며, '예당' 브랜드가 전 예당컴퍼니 회장 변두섭 가문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발표했다.[4][5] 같은 해 3월, 다롄 완다 그룹(Dalian Wanda Group) 회장 왕젠린의 아들이자 스트리밍 사이트 PandaTV(판다TV, 熊猫直播) CEO인 왕쓰총이 2015년 6월 상하이에 설립한 미디어 회사 바나나 프로젝트와 제휴하여 합작 회사 바나나컬쳐엔터테인먼트를 설립했다.[17]2020년 3월 25일, 바나나컬쳐가 폐업하고, 직원과 임원들이 사임하며 EXID가 떠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그러나 레이블 CEO는 이 진술을 부인하며, 레이블은 여전히 많은 중국 지분을 가지고 있으며, TREI 및 다른 여성 연습생들을 계속 관리할 것이라고 밝혔다.[6] 그럼에도 불구하고, TREI 해체 이후 웹사이트가 삭제되었다.[7] 6월에는 TREI 멤버 전원도 데뷔 1년 만에 계약 해지되었다.[20]
3. 소속 연예인
- 이정현[8]
- 신지수
- 이유진
- 레어 포테이토
- * 김동현
- * 김영훈
- * 김영수
- 성은
4. 이전 소속 연예인
- 서태지와 아이들 (1992–1996)
- 듀스 (1993–1995)
- 팀 (2005–2006)
- 씨클라운 (2012–2015)
- EXID (2014–2020)[21][22][23][24][25]
- 성은 (2015–2020)
- 트레이 (2019–2020)[20]
- 임주환 (2004–2011)[12]
4. 1. 가수
소속 가수 |
---|
4. 2. 배우
4. 3. 개그맨
이혁재5. 디스코그래피
바나나컬쳐 엔터테인먼트에서 발매한 음반 목록은 바나나컬쳐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문서를 참고하라.
6. 기타 사업
바나나컬쳐 엔터테인먼트는 연예 산업 외에도 드라마,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제작 및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사업, 음악 제작 및 유통, 해외 진출 등 다양한 분야에 진출해 있었다. 겨울연가는 이러한 진출의 시작점이 된 작품이다. 또한, 자회사를 통해 유전 개발과 같은 에너지 사업에도 참여했으며, PRODUCE 48에 연습생을 보내는 등 아이돌 관련 사업도 진행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웰메이드스타엠, '웰메이드 예당'으로 상호변경
https://news.naver.c[...]
[2]
웹사이트
걸그룹 Exid, 예당엔터 전속계약 체결…컴백 앨범 준비中
https://n.news.naver[...]
[3]
웹사이트
웰메이드 예당, 이단옆차기·신사동호랭이 회사 인수
https://n.news.naver[...]
[4]
웹사이트
Exid 소속사 예당에서 바나나컬쳐로 이름 바꿔
https://n.news.naver[...]
[5]
웹사이트
㈜예당엔터테인먼트, ㈜바나나컬쳐로 새 출발
https://n.news.naver[...]
[6]
웹사이트
"[단독] 바나나컬쳐 유재웅 대표 \"엔터 사업 정리는 '오보', 트레이 소속\"(인터뷰)"
https://entertain.na[...]
2020-03-25
[7]
웹사이트
바나나컬쳐 엔터테인먼트
http://www.bananact.[...]
2020-03-25
[8]
웹사이트
이정현, 바나나컬쳐엔터와 전속 계약 '과거 의리 빛났다'
https://n.news.naver[...]
2020-03-25
[9]
웹사이트
'학교2017' 하승리, 바나나컬쳐와 전속계약..이정현·Exid와 한솥밥
https://n.news.naver[...]
[10]
웹사이트
"[단독] 성은, 바나나컬쳐 전속계약 종료→독자 활동 중"
https://n.news.naver[...]
[11]
웹사이트
"[전문] 트레이, 데뷔 1년여 만에 해체…\"새 시작 응원 부탁\""
https://entertain.na[...]
[12]
웹사이트
Lim Ju-hwan profile
http://www.yedang.co[...]
Yedang Entertainment
2013-06-22
[13]
웹사이트
http://www.etoday.co[...]
[14]
웹사이트
イェダ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会長が死去、過労死ではなく自殺と推定
https://news.kstyle.[...]
kstyle
2013-06-04
[15]
웹사이트
대기업·벤처, 벼랑에 내몰린 ‘고난의 2013’
http://www.skyedaily[...]
[16]
웹사이트
ウェルメイド、作曲チーム「異端サイドキック」の会社株を買収へ
http://www.wowkorea.[...]
[17]
웹사이트
EXID所属のイェダ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BANANA CULTUREとして新しくスタート
https://news.kstyle.[...]
[18]
웹사이트
예당엔터테인먼트, ‘㈜바나나컬쳐’로 새 출발
http://tenasia.hanky[...]
[19]
웹사이트
バナナカルチャー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マネジメント事業終了?報道を否定「TREIも変わらず所属」
https://news.kstyle.[...]
2021-08-18
[20]
웹사이트
“EXIDの弟分”TREI、デビューからわずか1年で契約解除に…それぞれがSNSで心境告白
https://news.kstyle.[...]
2021-08-18
[21]
뉴스
EXIDのハニ・ジョンファ、所属事務所を離れる…チームの解体ではない
https://s.japanese.j[...]
中央日報
2019-09-16
[22]
뉴스
EXID ジョンファ、J.Wideカンパニーと専属契約を締結…イ・ボヨン&キム・テリと同じ事務所に
https://news.kstyle.[...]
LINE
2019-09-16
[23]
웹사이트
EXID ヘリン、事務所との契約解除を報告「話し合いの上で決定…応援してほしい」
https://news.kstyle.[...]
2021-08-18
[24]
웹사이트
“契約終了”EXID ソルジ、事務所を離れ…インスタで心境告白「良い音楽で恩返ししたい」
https://news.kstyle.[...]
2021-08-18
[25]
웹사이트
EXIDのLE、バナナカルチャー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との契約解除を発表…メンバー全員が新しいスタートへ
https://news.kstyle.[...]
2021-08-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