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칠성장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다칠성장어는 쌍을 이룬 지느러미가 없는 뱀장어와 비슷한 몸을 가진 어류이다. 북대서양, 서대서양, 서지중해, 흑해 등지에서 서식하며, 최대 120cm까지 성장한다. 강해성 어류로, 호수나 바다에서 강으로 이동하여 산란하며, 다른 어류에 기생하여 혈액을 섭취한다. 북미 오대호에서는 침입종으로 해충 취급을 받으며, 토착 어류 개체수 감소의 원인이 되었다. 그레이트 레이크스 어업 위원회 주도로 방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살충제, 페로몬, 장벽 설치, 불임화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중해의 물고기 - 숭어
숭어는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 연안과 기수역에 서식하는 잡식성 어류로, 가로줄이 있는 몸과 얇은 입술, 지방눈꺼풀이 특징이며, 해조류 등을 섭취하고 무리 생활을 하며,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알은 가공식품으로도 쓰인다. - 지중해의 물고기 - 유럽뱀장어
유럽뱀장어는 유럽 전역의 강과 하천에 서식하며, 사르가소 해에서 산란하고, 멸종 위기에 놓인 식용 어류이다. - 칠성장어과 - 다묵장어속
다묵장어속은 칠성장어목에 속하는 속으로, 북반구 냇물에 서식하며 서식지와 형태적 특징에 따라 구분되는 7종의 칠성장어를 포함한다. - 칠성장어과 - 태평양칠성장어속
태평양칠성장어속은 칠성장어목에 속하며 북아메리카 태평양 연안에 주로 서식하는 여러 종(모독 시내칠성장어, 핏-클라마스 시내칠성장어, 호수칠성장어, 밀러호 칠성장어, 클라마스강 칠성장어, 태평양칠성장어)을 포함하는 속이다. - 캐나다의 물고기 - 무지개송어
태평양 연안이 원산지인 무지개송어는 연어목 연어과에 속하는 어종으로, 다양한 아종과 품종이 있으며, 서식 환경에 따라 담수 생활 개체와 바다를 오가는 스틸헤드로 나뉘고, 식용 및 스포츠 낚시 대상어이자 침입종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 캐나다의 물고기 - 북대서양대구
북대서양대구는 북대서양 북부에 서식하며 대구와 유사하나 위턱과 아래턱 길이가 거의 같고, 은색에 짙은 녹색을 띠며, 작은 눈과 곧은 측선을 가진 상업적 어획 대상 어종이다.
바다칠성장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 | |
학명 | Petromyzon marinus |
명명자 | 린네, 1758년 |
상태 | 관심 필요 (LC) |
학명 | Petromyzon marinus |
분류학적 동의어 | |
속(屬) 동의어 | |
종(種) 동의어 | |
어류학 정보 | |
영명 | sea lamprey (바다 칠성장어) |
2. 형태 및 어원
바다칠성장어는 쌍을 이룬 지느러미가 없는 뱀장어와 비슷한 몸을 가지고 있다. 입은 턱이 없고 둥글며 흡반 모양이며 머리만큼 넓거나 더 넓다. 날카롭고 거친 혀 주위에 여러 개의 동심원으로 배열된 날카로운 이빨이 있다. 눈 뒤에는 7개의 아가미 또는 아가미와 같은 구멍이 있다. 바다칠성장어는 등과 옆구리 부분은 올리브색 또는 갈색을 띤 노란색이며 검은색 얼룩무늬가 있고, 배는 더 밝은 색깔을 띤다. 성체는 최대 120 cm의 길이와 최대 2.3 kg의 체중에 이른다.[5][4]
속명 ''Petromyzon''의 어원은 ''petro-''(돌)과 ''myzon''(빨아들임)에서 유래하며, ''marinus''는 라틴어로 "바다의"를 의미한다.
2. 1. 형태
바다칠성장어는 쌍을 이룬 지느러미가 없는 뱀장어와 비슷한 몸을 가지고 있다. 입은 턱이 없고 둥글며 흡반 모양이며 머리만큼 넓거나 더 넓다. 날카롭고 거친 혀 주위에 여러 개의 동심원으로 배열된 날카로운 이빨이 있다. 눈 뒤에는 7개의 아가미 또는 아가미와 같은 구멍이 있다. 바다칠성장어는 등과 옆구리 부분은 올리브색 또는 갈색을 띤 노란색이며 검은색 얼룩무늬가 있고, 배는 더 밝은 색깔을 띤다. 성체는 최대 120 cm의 길이와 최대 2.3 kg의 체중에 이른다.[5][4]2. 2. 어원
속명 ''Petromyzon''의 어원은 ''petro-''(돌)과 ''myzon''(빨아들임)에서 유래하며, ''marinus''는 라틴어로 "바다의"를 의미한다.3. 분포 및 서식지
바다칠성장어는 유럽과 북미 해안을 따라 북대서양과 서대서양, 서지중해, 흑해에서 서식하며, 침입종으로는 북미의 五大湖에서 발견된다. 수심 4000m까지 서식하며, 1-20°C의 온도를 견딜 수 있다.
북미에서는 미국 코네티컷 강 유역이 원산지이며, 뉴욕과 버몬트의 내륙 五大湖와 챔플레인 호에 침입종으로 존재한다. 유럽에서는 포르투갈 중북부, 스페인 북서부, 프랑스 서남부 등 유럽 남서부 지역에 가장 큰 바다칠성장어 개체군이 분포한다. 이들 국가는 또한 이 종의 주요 어업을 지원한다.
4. 생태
바다칠성장어는 강해성 어류이며, 호수나 바다 서식지에서 강을 거슬러 올라가 산란한다. 암컷은 수컷이 중간 정도의 강한 유속을 가진 하천의 기질에 만든 둥지에 많은 알을 낳는다. 산란 후 어미는 죽는다.[1] 유생은 산란 지역 하류의 조용한 물의 모래와 진흙 바닥에 굴을 파고 플랑크톤과 부유물을 걸러 먹는다.[1]
담수 서식지에서 수년을 보낸 후, 유생은 변태를 거쳐 어린 변태 후 칠성장어가 바다나 호수로 이동하여 성체의 혈액 섭취성 섭식 방식을 시작한다.[9] 일부 개체는 바다로 이동하기 전에 강에서 혈액 섭취성 섭식을 시작하기도 한다.[10] 바다칠성장어는 다양한 종류의 어류를 포식한다.[11]
칠성장어는 흡반 모양의 입을 사용하여 물고기의 피부에 부착하고, 날카롭고 탐침 같은 혀와 케라틴화된 이빨로 조직을 긁어낸다. 칠성장어의 입에서 생성되는 '람프레딘'이라는 액체는[12] 피해자의 혈액 응고를 방지한다. 피해자는 일반적으로 과다 출혈이나 감염으로 죽는다. 혈액 섭취성 섭식을 1년 동안 한 후, 칠성장어는 산란을 위해 강으로 돌아와 죽는데, 이는 변태가 완료된 후 1년 반 후이다.[13]
강에서 부화한 애벌레(Ammocoetes)는 유속이 느린 모래 진흙 바닥으로 이동한다. 애벌레는 눈이나 흡반이 없으며, 미생물과 데트리터스를 먹으며 4~6년을 보낸다.[42][41] 여름에 변태를 시작하여 1~2년 후 성체가 되어 바다 또는 호수로 내려간다. 성체는 다양한 어류의 몸에 흡반 모양의 입으로 붙어 날카로운 가시가 있는 혀와 이빨로 조직을 긁어 먹는다.[34][42] 성체의 침은 혈액 응고를 방해하며, 공격받은 먹이는 일반적으로 대량 출혈이나 감염으로 죽는다. 성체는 12~20개월 후 봄에 강을 거슬러 올라가 산란한다.[35] 산란 시에는 수많은 개체가 서로 얽혀 구형의 덩어리를 만든다. 산란 수는 60,000~70,000이며, 번식 후에는 죽는다.[42][41]
칠성장어는 유럽의 일부 지역에서 별미로 여겨지며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갈에서는 계절적으로 구할 수 있다. 핀란드에서는 절인 상태로 제공된다.[14] 주로 조리하거나 구운 강칠성장어를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바다칠성장어는 라트비아의 강에서 강칠성장어와 함께 가끔 잡히기도 한다.[15]
5. 생리학
민물과 바닷물을 오가는 바다칠성장어의 생활사 때문에 넓은 범위의 염분 농도를 견딜 수 있도록 적응되어 있다. 아가미 표면의 세포막은 이온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포막 구성의 변화는 막을 가로지르는 다양한 이온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며, 구성 요소의 양을 변화시켜 막의 환경을 바꾼다. 어떤 경우에는, 북아메리카의 오대호에 서식하는 개체군에서 볼 수 있듯이, 바다칠성장어는 민물에서만 생활하도록 적응한 경우도 있다.[4]
애기칠성장어(ammocoetes)가 바다로 이동함에 따라 아가미에서 포화지방산(SFA)과 다가불포화지방산(PUFA)의 비율이 SFA의 양이 증가하는 쪽으로 변화하는데, 이는 세포막의 유동성에 영향을 미치며, 높은 수준의 SFA는 PUFA에 비해 투과성을 감소시킨다.[16] 애기칠성장어는 비교적 좁은 범위의 염분 내성을 가지지만, 성장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더 넓은 범위의 염분 농도를 견딜 수 있게 된다. Na/K-ATPase의 엄격한 조절과 H-ATPase 발현의 전반적인 감소는 염분 농도가 높은 지역으로 이동할 때 칠성장어의 체내 수분과 이온 균형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17]
칠성장어는 또한 산-염기 항상성을 유지한다. 산성도가 높아지면 다른 대부분의 바닷물고기보다 훨씬 빠르고 높은 비율로 과도한 산을 배출할 수 있으며, 이온의 대부분은 아가미 표면에서 이동한다.[18]
바다칠성장어는 상어와 가오리와 같은 연골어류를 포함한 다른 어류를 기생하여 먹이를 얻는데, 이 어류들은 혈액에 자연적으로 높은 수준의 요소를 함유하고 있다. 요소는 고농도에서 대부분의 어류에게 독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즉시 배출된다. 칠성장어는 다른 대부분의 물고기보다 훨씬 높은 농도를 견딜 수 있으며, 섭취한 혈액에서 얻은 요소를 매우 높은 비율로 배출한다. 섭취한 연골어류의 혈액에 존재하는 트리메틸아민 옥사이드는 칠성장어가 먹이를 먹을 때 혈류 내 높은 요소 농도의 해로운 영향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된다.[19]
5. 1. 삼투 조절
민물과 바닷물을 오가는 바다칠성장어는 넓은 범위의 염분 농도를 견딜 수 있도록 적응되어 있다. 아가미 표면의 세포막은 이온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4] 세포막 구성의 변화는 막을 가로지르는 다양한 이온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며, 구성 요소의 양을 변화시켜 막의 환경을 바꾼다. 북아메리카의 오대호에 서식하는 개체군과 같이, 바다칠성장어가 민물에서만 생활하도록 적응한 경우도 있다.[4]애기칠성장어가 바다로 이동함에 따라 아가미에서 포화지방산(SFA)과 다가불포화지방산(PUFA)의 비율이 SFA의 양이 증가하는 쪽으로 변화하는데, 이는 세포막의 유동성에 영향을 미친다. 높은 수준의 SFA는 PUFA에 비해 투과성을 감소시킨다.[16] 애기칠성장어는 비교적 좁은 범위의 염분 내성을 가지지만, 성장하면서 더 넓은 범위를 견딜 수 있게 된다. Na/K-ATPase의 엄격한 조절과 H-ATPase 발현의 전반적인 감소는 염분 농도가 높은 지역으로 이동할 때 칠성장어의 체내 수분과 이온 균형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17]
칠성장어는 또한 산-염기 항상성을 유지한다. 산성도가 높아지면 다른 대부분의 바닷물고기보다 훨씬 빠르고 높은 비율로 과도한 산을 배출하며, 이온의 대부분은 아가미 표면에서 이동한다.[18]
바다칠성장어는 연골어류를 포함한 다른 어류를 기생하여 먹이를 얻는데, 이 어류들은 혈액에 자연적으로 높은 수준의 요소를 함유하고 있다. 요소는 고농도에서 대부분의 어류에게 독성이 있지만, 칠성장어는 다른 대부분의 물고기보다 훨씬 높은 농도를 견딜 수 있으며, 섭취한 혈액에서 얻은 요소를 매우 높은 비율로 배출한다. 섭취한 연골어류의 혈액에 존재하는 트리메틸아민 옥사이드는 칠성장어가 먹이를 먹을 때 혈류 내 높은 요소 농도의 해로운 영향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된다.[19]
5. 2. 산-염기 항상성
민물과 바닷물을 오가는 바다칠성장어는 넓은 범위의 염분 농도를 견딜 수 있도록 적응되어 있다. 아가미 표면의 세포막은 이온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4] 세포막 구성의 변화는 막을 가로지르는 다양한 이온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며, 구성 요소의 양을 변화시켜 막의 환경을 바꾼다. 북아메리카의 오대호에 서식하는 개체군에서 볼 수 있듯이, 바다칠성장어는 민물에서만 생활하도록 적응한 경우도 있다.[4]애기칠성장어가 바다로 이동함에 따라 아가미에서 포화지방산(SFA)과 다가불포화지방산(PUFA)의 비율이 SFA의 양이 증가하는 쪽으로 변화하는데, 이는 세포막의 유동성에 영향을 미친다.[16] 높은 수준의 SFA는 PUFA에 비해 투과성을 감소시킨다.[16]
칠성장어는 또한 산-염기 항상성을 유지한다. 산성도가 높아지면 다른 대부분의 바닷물고기보다 훨씬 빠르고 높은 비율로 과도한 산을 배출할 수 있으며, 이온의 대부분은 아가미 표면에서 이동한다.[18]
바다칠성장어는 상어와 가오리와 같은 연골어류를 포함한 다른 어류를 기생하여 먹이를 얻는데, 이 어류들은 혈액에 자연적으로 높은 수준의 요소를 함유하고 있다. 요소는 고농도에서 대부분의 어류에게 독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즉시 배출된다. 칠성장어는 다른 대부분의 물고기보다 훨씬 높은 농도를 견딜 수 있으며, 섭취한 혈액에서 얻은 요소를 매우 높은 비율로 배출한다. 섭취한 연골어류의 혈액에 존재하는 트리메틸아민 옥사이드는 칠성장어가 먹이를 먹을 때 혈류 내 높은 요소 농도의 해로운 영향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된다.[19]
5. 3. 요소 대사
민물과 바닷물을 오가는 바다칠성장어는 넓은 범위의 염분 농도를 견딜 수 있도록 적응되어 있다. 아가미 표면의 세포막은 이온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포막 구성의 변화는 막을 가로지르는 다양한 이온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며, 구성 요소의 양을 변화시켜 막의 환경을 바꾼다. 북아메리카의 오대호에 서식하는 개체군과 같이 바다칠성장어가 민물에서만 생활하도록 적응한 경우도 있다.[4]애기칠성장어(ammocoetes)는 성장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더 넓은 범위의 염분 농도를 견딜 수 있게 된다. 애기칠성장어가 바다로 이동함에 따라 아가미에서 포화지방산(SFA)과 다가불포화지방산(PUFA)의 비율이 SFA의 양이 증가하는 쪽으로 변화하는데, 이는 세포막의 유동성에 영향을 미치며, 높은 수준의 SFA는 PUFA에 비해 투과성을 감소시킨다.[16] Na/K-ATPase의 엄격한 조절과 H-ATPase 발현의 전반적인 감소는 염분 농도가 높은 지역으로 이동할 때 칠성장어의 체내 수분과 이온 균형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17]
칠성장어는 산-염기 항상성을 유지한다. 산성도가 높아지면 다른 대부분의 바닷물고기보다 훨씬 빠르고 높은 비율로 과도한 산을 배출할 수 있으며, 이온의 대부분은 아가미 표면에서 이동한다.[18]
바다칠성장어는 상어와 가오리와 같은 연골어류를 포함한 다른 어류를 기생하여 먹이를 얻는데, 이 어류들은 혈액에 자연적으로 높은 수준의 요소를 함유하고 있다. 요소는 고농도에서 대부분의 어류에게 독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즉시 배출된다. 칠성장어는 다른 대부분의 물고기보다 훨씬 높은 농도를 견딜 수 있으며, 섭취한 혈액에서 얻은 요소를 매우 높은 비율로 배출한다. 섭취한 연골어류의 혈액에 존재하는 트리메틸아민 옥사이드는 칠성장어가 먹이를 먹을 때 혈류 내 높은 요소 농도의 해로운 영향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된다.[19]
6. 면역학
바다칠성장어(*P. marinus*)의 림프구에서 발현되는 두 가지 추정 아포리포단백질 B mRNA 편집 효소 촉매 폴리펩티드 유사체(APOBEC)인 CDA1과 CDA2가 발견되었다.[20]
7. 유전학
2013년에 바다칠성장어(*Petromyzon marinus*)의 게놈이 시퀀싱되었다.[21] 이 시퀀싱 작업을 통해 바다칠성장어는 다른 척추동물과 비교하여 특이한 구아닌-시토신 함량과 아미노산 사용 패턴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바다칠성장어 게놈은 반복 서열의 전위를 포함하는 발생 생물학 및 진화 연구의 모델로 사용될 수 있다. 바다칠성장어 게놈은 초기 배아 발생 중에 극적인 재배열을 거치는데, 체세포 조직에서 약 20%의 생식세포 DNA가 탈락된다. 게놈은 고도로 반복적이다. 현재 게놈 어셈블리의 약 35%는 높은 시퀀스 동일성을 가진 반복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21] 북방 바다칠성장어는 척추동물 중 가장 많은 수의 염색체(164~174개)를 가지고 있다.[22]
바다칠성장어 게놈의 전체 시퀀스 및 주석은 Ensembl 게놈 브라우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면역 기능에 중요한 두 개의 유전자-CDA1과 CDA2-는 처음에 *P. marinus*에서 발견되었고, 이후 바다칠성장어 전반에 걸쳐 보존되어 있음이 밝혀졌다.[20]
8. 오대호 침입
바다칠성장어는 북아메리카의 그레이트 레이크스 지역에서 해충으로 간주된다.[23] 1830년대에 온타리오 호에서 처음 발견되었는데,[41] 원산지인지 1825년에 개통된 이리 운하를 통해 유입되었는지는 2007년 기준으로 명확하지 않다.[23]
이 종은 나이아가라 폭포라는 자연 장벽으로 인해 처음에는 온타리오 호에만 국한되었다. 그러나 1800년대 후반~1900년대 초에 웰랜드 운하가 건설 및 개수되면서 나이아가라 폭포를 우회하여 나머지 그레이트 레이크스로 침입했다. 1919년 웰랜드 운하 개수 후, 이리 호(1921년),[24][41] 미시간 호(1936년), 휴런 호(1937년), 슈피리어 호(1938년)로 확산되었다.[24] 1930년대와 1940년대에는 이들 호수의 토착 어류 개체군을 격감시켰다.[24][26]
원래 서식지에서 바다칠성장어는 숙주와 함께 공진화하여 숙주가 어느 정도 저항성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그레이트 레이크스에서는 호송어, 흰살 생선, 납자루, 호 청어와 같은 토착 어류를 공격했는데, 이들은 역사적으로 바다칠성장어의 위협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피해가 컸다. 바다칠성장어는 12~18개월의 먹이 섭취 기간 동안 40파운드(약 18kg)의 물고기를 죽일 수 있다.[26]
이러한 포식자의 감소는 또 다른 침입종인 멸치의 개체 수 폭발을 초래하여 많은 토착 어종에 악영향을 미쳤다.[25] 특히 최상위 포식자였던 호송어는 슈피리어 호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나, 바다칠성장어의 유입과 열악하고 지속 불가능한 어업 관행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 그 결과 그레이트 레이크스 생태계에서 포식자와 먹이의 관계는 불균형 상태가 되었다.[25]
8. 1. 침입 경로 및 피해
바다칠성장어는 북아메리카의 그레이트 레이크스 지역에서 해충으로 간주된다.[23] 1830년대에 온타리오 호에서 처음 발견되었는데,[41] 원산지인지 1825년에 개통된 이리 운하를 통해 유입되었는지는 2007년 기준으로 명확하지 않다.[23]이 종은 나이아가라 폭포라는 자연 장벽으로 인해 처음에는 온타리오 호에만 국한되었다. 그러나 1800년대 후반~1900년대 초에 웰랜드 운하가 건설 및 개수되면서 나이아가라 폭포를 우회하여 나머지 그레이트 레이크스로 침입했다. 1919년 웰랜드 운하 개수 후, 이리 호(1921년),[24][41] 미시간 호(1936년), 휴런 호(1937년), 슈피리어 호(1938년)로 확산되었다.[24] 1930년대와 1940년대에는 이들 호수의 토착 어류 개체군을 격감시켰다.[24][26]
원래 서식지에서 바다칠성장어는 숙주와 함께 공진화하여 숙주가 어느 정도 저항성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그레이트 레이크스에서는 호송어, 흰살 생선, 납자루, 호 청어와 같은 토착 어류를 공격했는데, 이들은 역사적으로 바다칠성장어의 위협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피해가 컸다. 바다칠성장어는 12~18개월의 먹이 섭취 기간 동안 40파운드(약 18kg)의 물고기를 죽일 수 있다.[26]
이러한 포식자의 감소는 또 다른 침입종인 멸치의 개체 수 폭발을 초래하여 많은 토착 어종에 악영향을 미쳤다.[25] 특히 최상위 포식자였던 호송어는 슈피리어 호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나, 바다칠성장어의 유입과 열악하고 지속 불가능한 어업 관행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 그 결과 그레이트 레이크스 생태계에서 포식자와 먹이의 관계는 불균형 상태가 되었다.[25]
8. 2. 방제 노력
전기 충격과 화학적 살충제[27]를 포함한 방제 노력은 다양한 성공을 거두었다. 방제 프로그램은 캐나다-미국 합동 기구인 그레이트레이크스 어업위원회의 지휘 아래, 특히 캐나다 어업해양부와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 관리청의 담당자들에 의해 수행된다.[27]미시간 주립대학교 연구원들은 미네소타 대학교, 구엘프 대학교, 위스콘신 대학교 등 여러 대학과 협력하여 새롭게 합성된 페로몬을 연구하고 있다. 이 페로몬은 바다칠성장어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한 종류는 유충이 생성하여 성체를 산란 서식지로 유인하고, 다른 종류는 수컷이 방출하여 암컷을 유인한다. 과학자들은 각 페로몬과 분자의 각 부분의 기능을 특성화하여 환경 친화적인 칠성장어 방제에 활용하고자 한다.[41] 그러나 2017년 현재 가장 효과적인 방제 방법은 여전히 강에 (3-트리플루오로메틸-4-니트로페놀)(TFM)를 살포하는 것이다.[28] 그레이트레이크스에서는 살충제 내성이 감지되지 않았으며, 내성의 발달을 막기 위해 추가 연구와 여러 방제 방법의 결합된 사용이 필요하다.[27]
칠성장어 개체군 증가 방지에 사용되는 또 다른 기술은 칠성장어에게 중요한 주요 번식 하천에 장벽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 장벽은 상류 이동을 차단하여 번식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다른 수생 종도 방해받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고려하여 대부분의 어종은 통과할 수 있지만 다른 어종은 여전히 통과할 수 없도록 장벽을 변경하고 설계했다.[29][30]
1950년대에 발견된 살충제 TFM(3-트리플루오로메틸-4-니트로페놀)은 바다칠성장어에 대해 선택적 독성을 나타내며, 다른 어류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TFM은 40년 이상 사용되어 왔지만, 환경에서 곧 분해되고 생물농축도 되지 않아 특별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41]
다른 효과적인 대책으로 수컷을 불임화하는 방법도 있다. 1991년부터 연평균 26,000마리에 대해 시행되고 있으며, 번식을 위해 강을 거슬러 오르는 수컷을 포획하여 불임화제인 비사지르(bisazir)를 주입하고 강으로 돌려보낸다. 이 수컷은 생식능력을 가진 수컷과 경쟁하여 수정란의 수를 줄일 수 있다.[42][36]
바다칠성장어는 호수로 흘러드는 강에서 번식하기 때문에, 강에 울타리를 설치하여 이동을 저지하는 방법도 시행되었지만, 다른 어류의 이동도 저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바다칠성장어의 유영 능력이 높지 않다는 점을 이용하여, 울타리 높이를 낮추어 다른 어류가 뛰어넘을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41]
이러한 대책으로 바다칠성장어 개체 수는 최고치였던 1961년 이후 90% 이상 감소했다.[42]
9. 이용
영국에서는 즉위식이나 장기 재위를 기념하는 행사 때 800년 동안 왕실에 칠성장어 파이를 봉납하는 관습이 있었지만, 영국산 칠성장어는 멸종 위기에 처해있다.[37] 2012년 엘리자베스 2세의 다이아몬드 주빌리에서는 캐나다산 바다칠성장어 파이가 봉납되었다.[38][39]
참조
[1]
IUCN
Petromyzon marinus
2021-11-19
[2]
웹사이트
Petromyzontidae
http://www.fishbase.[...]
2017-05-18
[3]
웹사이트
Petromyzontidae
http://deeplyfish.co[...]
2017-05-18
[4]
논문
The Sea Lamprey
https://www.jstor.or[...]
1955-00-00
[5]
웹사이트
Petromyzon marinus – Sea lamprey
http://www.fishbase.[...]
[6]
뉴스
A 'vampire fish' is spawning in Vermont's waters. Experts say most of them are nothing to worry about
https://www.cnn.com/[...]
2020-06-25
[7]
논문
Densities and biomass of larval Sea Lamprey populations (Petromyzon marinus Linnaeus, 1758) in North West Spain and data comparisons with other European regions
[8]
서적
Jawless Fishes of the World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9]
논문
Downstream migration and hematophagous feeding of newly metamorphosed sea lampreys (Petromyzon marinus Linnaeus, 1758)
[10]
논문
Hematophagous feeding of newly metamorphosed European sea lampreys Petromyzon marinus on strictly freshwater species
[11]
논문
The haematophagous feeding stage of anadromous populations of sea lamprey Petromyzon marinus: low host selectivity and wide range of habitats
[12]
논문
Suppression of neuronal excitability by the secretion of the lamprey (Lampetra japonica) provides a mechanism for its evolutionary stability
[13]
논문
Life cycle of the sea lamprey Petromyzon marinus: duration of and growth in the marine life stage
[14]
웹사이트
Lamprey: a prehistoric sea monster sucks blood, then gets cooked in its own
https://www.atlasobs[...]
2018-09-15
[15]
웹사이트
Kas ir nēģis? Zinātniekiem vienprātības nav
https://www.lsm.lv/r[...]
2024-07-24
[16]
논문
Structural lipid changes and Na+/K+-ATPase activity of gill cells' basolateral membranes during saltwater acclimation in sea lamprey (Petromyzon marinus, L.) juveniles
2015-00-00
[17]
논문
Ionoregulatory changes during metamorphosis and salinity exposure of juvenile sea lamprey (Petromyzon marinus L.)
2008-00-00
[18]
논문
Mechanisms of acid-base regulation in migrant sea lampreys (Petromyzon marinus) following exhaustive exercise
http://jeb.biologist[...]
1998-00-00
[19]
논문
Lamprey parasitism of sharks and teleosts: High capacity urea excretion in an extant vertebrate relic
2004-00-00
[20]
논문
Evolution of Alternative Adaptive Immune Systems in Vertebrates
Annual Reviews
2018-04-26
[21]
논문
Sequencing of the sea lamprey (Petromyzon marinus) genome provides insights into vertebrate evolution
[22]
FishBase
[23]
웹사이트
Nonindigenous Aquatic Species Factsheet: Petromyzon marinus
https://nas.er.usgs.[...]
U.S. Geological Survey (USGS), Nonindigenous Aquatic Species Program (NAS)
2007-08-04
[24]
방송
May 3, 1949
http://www.lib.msu.e[...]
2019-12-17
[25]
논문
Great Lake Invaders
[26]
웹사이트
Sea Lamprey: A Great Lakes Invader
http://www.glfc.org/[...]
2024-07-04
[27]
논문
Rapid evolution meets invasive species control: the potential for pesticide resistance in sea lamprey
National Research Council Canada
[28]
웹사이트
TFM fact sheet
http://www.glfc.org/[...]
2018-04-08
[29]
논문
Balancing Aquatic Habitat Fragmentation and Control of Invasive Species: Enhancing Selective Fish Passage at Sea Lamprey Control Barriers
[30]
웹사이트
Sea lamprey
http://www.in.gov/dn[...]
[31]
웹사이트
Recovery: Why Sea Lampreys Need to Be Restored and Killed
https://blog.nature.[...]
2018-04-08
[32]
서적
世界大博物図鑑 2 魚類
平凡社
2016-11-09
[33]
논문
Sequencing of the sea lamprey (Petromyzon marinus) genome provides insights into vertebrate evolution
[34]
논문
The haematophagous feeding stage of anadromous populations of sea lamprey Petromyzon marinus: low host selectivity and wide range of habitats
[35]
논문
Life cycle of the sea lamprey Petromyzon marinus: duration of and growth in the marine life stage
[36]
웹사이트
Research to Support Sterile-male-release and Genetic Alteration Techniques for Sea Lamprey Control
http://www.glfc.int/[...]
[37]
서적
Jawless Fishes of the World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38]
웹사이트
女王献上のヤツメウナギパイ カナダ産に
http://blog.livedoor[...]
[39]
웹사이트
女王献上のヤツメウナギパイ…カナダ産ヤツメとなるワケ
http://www.japanjour[...]
[40]
웹사이트
Nonindigenous Aquatic Species Factsheet: Petromyzon marinus
http://nas.er.usgs.g[...]
2007-08-04
[41]
웹사이트
glsc:sea lamprey
http://www.glsc.usgs[...]
[42]
웹사이트
dnr:sea lamprey
http://www.in.gov/dn[...]
[43]
저널
Densities and biomass of larval Sea Lamprey populations (Petromyzon marinus Linnaeus, 1758) in North West Spain and data comparisons with other European regions
[44]
서적
Jawless Fishes of the World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45]
웹인용
Petromyzon marinus – Sea lamprey
http://www.fishba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