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르샤바 국립 필하모니 관현악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르샤바 국립 필하모니 관현악단은 1901년 창단된 폴란드 최초의 연주회 전문 관현악단이다. 1차 세계 대전 이후 피아니스트 이그나시 얀 파데레프스키의 지원과 로만 초이나츠키 지휘 아래 실력과 명성을 쌓았으나, 2차 세계 대전 중 공연장 파괴와 단원 피해로 해체되었다. 1945년 재건된 후 비톨트 로비츠키의 장기 재임 기간 동안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현재까지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 등 주요 행사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영화 및 애니메이션 OST 녹음에도 참여하여 활동 범위를 넓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의 관현악단 - 폴란드 발트 필하모닉
폴란드 발트 F. 쇼팽 필하모닉은 폴란드 그단스크에 위치한 오케스트라로, 1945년 그단스크 심포니 오케스트라로 시작하여 여러 변화를 거쳐 1993년 독립적인 형태가 되었으며, 신고딕 양식의 옛 발전소 건물을 개조한 필하모닉 홀을 사용하고 있다. - 바르샤바의 문화 - 바르샤바 국제 영화제
바르샤바 국제 영화제는 1985년부터 매년 개최되는 영화제로, 국제 영화 제작자 협회로부터 국제 경쟁 영화제로 인정받았으며, 바르샤바 그랑프리 등 다양한 부문에서 시상한다. - 바르샤바의 문화 - 바르샤바의 문장
바르샤바의 문장은 멜루시나 전설에서 유래된 갑옷을 입은 인어의 형상으로, 도시의 역사와 정체성을 나타내며 비스와 강과의 연관성을 상징하고, 의례적인 경우에는 비르투티 밀리타리 훈장과 "Semper invicta" 모토를 포함하여 도시의 용맹함을 나타낸다. - 1901년 설립 - 장로회신학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는 1901년 설립되어 일제강점기 폐교 후 1961년 재개교한 대한민국의 사립 신학교로, 통전적 신학을 기반으로 다양한 신학 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며 한국 장로교회의 발전과 깊은 연관을 맺고 활발한 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 1901년 설립 - 마이즈루항
마이즈루항은 교토부 마이즈루시에 위치하며 군항과 상업항으로 나뉘어 운영되고, 에도 시대부터 상업항으로, 이후 군항 및 국제 무역항으로 발전했으나 현재는 국내 항로와 해상자위대 기지, 그리고 관광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바르샤바 국립 필하모니 관현악단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바르샤바 국립 필하모니 관현악단 |
원어 이름 | Orkiestra Filharmonii Narodowej w Warszawie |
영어 이름 | The Warsaw National Philharmonic Orchestra |
![]() | |
위치 | 바르샤바, 폴란드 |
콘서트홀 | 바르샤바 필하모니 |
창립 | 1901년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음악가 정보 | |
장르 | 클래식 음악 |
활동 기간 | 1901년 - 현재 |
음악 감독 | 크시슈토프 우르반스키 |
2. 역사
바르샤바 국립 필하모니 관현악단은 1901년 폴란드 귀족, 재정가, 음악가들의 주도로 설립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큰 시련을 겪었지만, 폴란드를 대표하는 관현악단으로 꾸준히 성장해왔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단원 절반이 사망하고 공연장이 파괴되는 등 큰 피해를 입었으나, 전쟁 후 재건되어 1955년 새로운 공연장에서 '국립 관현악단'으로 다시 태어났다. 비톨트 로비츠키는 악단을 현대화하고 폴란드 음악의 위상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카지미에슈 코르트, 안토니 비트 등 후임 지휘자들도 악단의 명성을 이어갔다.
2. 1. 창단과 초기 활동 (1901-1939)
1901년에 폴란드 최초의 연주회 전문 관현악단을 목표로 에밀 무이나르스키를 초대 상임 지휘자로 임명하여 창단되었다.[9] 무이나르스키는 1905년까지 재임하면서 악단의 기초를 닦고, 국내외 동시대 작곡가들의 최신작을 폴란드에 소개하는 데 힘썼다. 이러한 경향은 후임자인 지그문트 노스코프스키, 헨리크 멜체르-슈차빈스키, 그제고쥬 피텔베르크, 즈지스와프 비른바움에게도 계승되었다.1차 세계대전 종전 후 폴란드가 열강들의 분할 통치에서 벗어나 독립하면서, 초대 수상으로 취임한 피아니스트 이그나시 얀 파데레프스키의 전폭적인 지원과 신임 상임 지휘자였던 로만 초이나츠키의 지도로 악단의 실력과 명성이 빠르게 향상되기 시작했다. 초이나츠키는 1938년 타계할 때까지 20년간 장기 재임했다. 초이나츠키의 후임으로는 유제프 오지민스키가 임명되었으나, 이듬해 나치스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면서 강제로 물러나게 되었다.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공연장이었던 국립 필하모닉 홀이 폭격으로 전소되었고, 단원들도 상당수가 죽거나 다쳐 연주 활동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으면서 악단도 자동적으로 소멸되었다.
1901년부터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까지, 에드바르 그리그, 아르튀르 오네게, 루지에로 레온카발로,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모리스 라벨, 카미유 생상스,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등 여러 거장이자 지휘자 겸 작곡가들이 이 오케스트라와 함께 정기적으로 자신의 작품을 연주했다.[2] 이그나시 얀 파데레프스키,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클라우디오 아라우, 야샤 하이페츠, 파블로 데 사라사테, 파블로 카잘스 등도 필하모닉과 함께 연주했다.[2] 필하모닉은 1927년 대회가 시작된 이후로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를 개최해 왔으며, 비에니아프스키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1935)와 폴란드 예술 만국 축제 (1937)의 개막식에도 참여했다.[3]
2. 2. 전쟁과 재건 (1939-1955)
1차 세계대전 종전 후 폴란드가 독립하면서 초대 수상으로 취임한 피아니스트 이그나시 얀 파데레프스키의 전폭적인 지원과 신임 상임 지휘자였던 로만 초이나츠키의 지도로 악단의 실력과 명성이 빠르게 향상되기 시작했다. 초이나츠키는 1938년에 타계할 때까지 20년간 장기 재임했다.[3] 초이나츠키의 후임으로는 유제프 오지민스키가 임명되었으나, 이듬해 나치스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면서 강제로 물러나게 되었다.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공연장이었던 국립 필하모닉 홀이 폭격으로 전소되었고, 단원들 상당수가 죽거나 다쳐 연주 활동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으면서 악단도 자동적으로 소멸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악단 구성원의 절반이 전쟁으로 사망했다.[4] 전쟁 중 음악 활동 중단을 강요받아, 유럽 음악계에서 명예로운 지위를 거의 잃었다.[9]
독일 패망 후인 1945년에 악단 재건이 시작되었고, 올기에르트 스트라신스키와 안제이 파누프니크, 얀 마클라키에비츠 등이 차례로 상임 지휘자를 역임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1~2년 동안의 단기 재임에 그쳤고, 1950년까지 잦은 상임 지휘자 교체로 이렇다 할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었다.
1950년 비톨트 로비츠키가 상임 지휘자에 임명되면서 본격적인 악단 재건과 발전 계획이 시작되었다.[5] 1947년부터 1948년에 정기 공연을 재개했지만,[9] 1955년 2월 21일에 새로운 양식의 연주회장이 재건되었으며, "국립 관현악단"이라는 명칭을 갖게 되었다.[9] 로비츠키는 1955~58년의 공백기를 제외하고 1977년까지 자리를 유지하면서 해외 순회 공연이나 음반 녹음, 바르샤바의 가을 국제음악제 출연 등으로 해외에도 유명세를 떨치기 시작했다.[5]
2. 3. 현대 (1955-현재)
1950년 비톨트 로비츠키가 상임 지휘자에 임명되면서 악단 재건과 발전 계획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로비츠키는 1955~58년의 공백기를 제외하고 1977년까지 자리를 유지하면서 해외 순회 공연, 음반 녹음, 바르샤바의 가을 국제음악제 출연 등으로 해외에서도 명성을 얻었다.[1] 그는 앙상블을 현대화하고 프레데리크 쇼팽, 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 헨리크 구레츠키 등 폴란드 고전 및 현대 음악을 육성하는 동시에 세계 레퍼토리의 숙련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5] 국내에서는 바르샤바 가을 국제 현대 음악 축제에서 공연하고, 국제 쇼팽 피아노 콩쿠르 결선 라운드에 반주를 제공하며, 해외에서는 5개 대륙을 순회하며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다.[6]로비츠키 사임 후 카지미에슈 코르트가 직책을 이어받았고, 1989년 사회주의 정권 붕괴 후에도 유임하면서 악단의 명성과 실력을 유지했다. 2001년 코르트가 사임한 뒤 안토니 비트가 2002년부터 후임으로 활동하고 있다.
단원들은 현대 폴란드 음악을 자발적으로 다수 연주하고 있지만, 현대 음악 연주는 곡목의 국적에 상당히 편향되어 있다.
2019년부터 안드레이 보레이코[10], 2024년부터 크시슈토프 우르반스키가 음악 감독을 맡고 있다.[11] 아놀드 레슬러, 스타니스와프 스크로바체프스키, 스타니스와프 비스워츠키 등도 역대 상임 지휘자를 역임했다. 레퍼토리는 폭넓으며, 특히 차이콥스키, 브루크너, 말러 등 오케스트라의 기능성을 살린 작곡가의 작품과 잘 어울린다.
3. 주요 활동
바르샤바 국립 필하모니 관현악단은 폴란드 민주화 이후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애니메이션, 게임 등 다양한 매체의 음악 연주를 담당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일본 애니메이션 OST 녹음으로 유명하다.
참여한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종류 | 제목 |
---|---|
영화 | 세대 (1954년), Passenger (1963 film)|파사젤카영어 (1963년), 태양과 달을 등지고 (1995년), 배틀 로얄 (2000년), 아발론 (2001년), 피아니스트 (2002년), 배틀 로얄 II: 레퀴엠 (2003년), 카틴의 숲 (2007년), 북쪽 나라에서 (1981년), 바람의 린카 (2007년), 군사 간베에 (2014년) |
애니메이션 | 자이언트 로보 THE ANIMATION - 지구 정지하는 날 (1992년), 신 해저 군함 (1995년), 천공의 에스카플로네 (1996년), 프린세스 나인 키사라기 여자고교 야구부 (1998년), 브렌파워드 (1998년), sin THE MOVIE (2000년), WOLF'S RAIN (2003년), 창궁의 파프너 (2004년), 니타보 - 쓰가루 샤미센 시조 외전 (2004년), 창성의 아쿠에리온 (2005년), 헬싱 (2006년), 마크로스 F (2008년), 강철의 연금술사 FULLMETAL ALCHEMIST (2009년), 마기 The labyrinth of magic (2012년), 마기 The kingdom of magic (2013년), 블랙 불릿 (2014년), 창궁의 파프너 EXODUS (2015년), SSSS.GRIDMAN (2018년), 피아노의 숲 (2019년) |
게임 | 노부나가의 야망·천상기 (1994년), A 열차로 가자 5 (1996년), 천외마경 제4의 묵시록 (1997년), 환상수호전 II (1998년), 귀무자 3 (2004년), 에이스 컴뱃 5 The Unsung War (2004년), 괴혼 (2004년), 판타시 스타 유니버스 (2006년), 파이널 판타지 XIII (2009년) |
기타 | 노무라 부동산 PROUD × NY・크루즈 편 (2015년) |
3. 1. 공연
창단 때부터 바르샤바의 국립 필하모닉 홀을 상주 공연장으로 삼아 활동했으나, 필하모닉 홀은 독일 공군의 무차별 폭격으로 전소되었다. 현재의 국립 필하모닉 홀은 1955년에 스탈린 식의 사회주의 사실주의 설계로 재건축된 공연장이며, 사회주의 정권 붕괴 후에도 계속 상주 공연장으로 사용되고 있다.1920년대 후반과 1930년대 중반부터는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쿨(약칭 쇼팽 콩쿨)과 비에니아프스키 국제 바이올린 콩쿨(약칭 비에니아프스키 콩쿨) 등의 음악 경연대회 결선 무대에서 협연 관현악단으로 출연하기 시작했으며, 전쟁으로 강제 중단된 기간을 제외하고는 지금도 계속 고정 출연하고 있다. 바르샤바의 가을 국제음악제에서는 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 헨리크 구레츠키, 카지미에슈 세로츠키 등 자국 작곡가들의 최신작을 비롯한 현대 작품을 적극적으로 소개했으며, 몇몇 곡들은 로비츠키와 펜데레츠키(자작자연) 등의 지휘로 폴란드 국영 음반사인 무자나 EMI 등을 통해 음반으로 제작되기도 했다.[9]
로비츠키 재임기에는 필립스나 도이체 그라모폰 등 서방 음반사들과도 녹음 작업을 시작했으며, 주로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가 협연한 라흐마니노프나 프로코피예프 등 러시아/소련 작곡가들의 피아노 협주곡이나 차이콥스키의 발레 음악 등을 출반했다. 사회주의 정권 붕괴와 자유화 이후에는 영화음악 등의 녹음도 적극적으로 진행하게 되었는데, 특히 일본 애니메이션들인 자이언트 로보(OVA판), 천공의 에스카플로네, 창궁의 파프너, 턴에이 건담, 헬싱(OVA판), 창성의 아쿠에리온 등의 OST 녹음으로 유명하다.
최근에는 낙소스와도 계약해 펜데레츠키의 '누가 수난곡' 이나 교향곡 제 7번 '예루살렘의 일곱 대문' 등을 녹음하면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으며, 피아니스트 백건우도 비트의 지휘로 데카에 쇼팽의 피아노 협주 작품 전곡을 취입한 바 있다. 부속 단체로는 1953년에 창단된 바르샤바 국립 필하모니 합창단(Chór Filharmonii Narodowej)과 악단원들이 결성한 바르샤바 국립 필하모니 실내 관현악단(Orkiestra Kameralna Filharmonii Narodowej)이 활동하고 있다.
1901년 폴란드[9] 귀족과 재계 인사들의 주도로 설립되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기 전까지, 사라사테, 파데레프스키, 카잘스, 하이페츠 등 수많은 거장들과 생상스, 그리그, 레온카발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라흐마니노프, 라벨, 스트라빈스키, 오네게르, 프로코피예프, 푸르트벵글러 등 작곡가와 지휘자들이 초청되어 함께 공연했다. 1927년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 개최 이후 주최를 맡았으며, 1935년 비에니아프스키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와 1937년 폴란드 예술 국제 페스티벌의 개막 공연에도 출연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음악 활동 중단을 강요받아, 유럽 음악계에서 명예로운 지위를 거의 잃었다. 1947년부터 1948년에 정기 공연을 재개했고, 1955년 2월 21일에 새로운 양식의 연주회장이 재건되었으며, "국립 관현악단"이라는 명칭을 갖게 되었다.
지휘자 비톨트 로비츠키의 지휘 아래 프로그램 현대화가 시도되었고, 쇼팽, 구레츠키, 루토스와프스키 등 신구 음악의 공연을 통해 폴란드 음악계를 세련되게 만들고, 세계적인 연주 수준을 끌어올렸다. 국내에서는, "바르샤바의 가을" 국제 현대 음악 페스티벌 연주 외에도,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 최종 선발에서 반주를 맡고 있으며, 국외에서는 5대륙에서 연주 활동을 하고 있다.[10][11]
현대 음악의 연주는 곡목의 국적에 상당히 편향되어 있지만, 현대 폴란드 음악은 단원들이 자발적으로 다수 연주하고 있다.
3. 2. 음반 녹음
로비츠키 재임 기간에는 필립스나 도이체 그라모폰 등 서방 음반사들과도 녹음 작업을 시작했으며, 주로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가 협연한 라흐마니노프나 프로코피예프 등 러시아/소련 작곡가들의 피아노 협주곡이나 차이콥스키의 발레 음악 등을 출반했다.[7] 1945년부터 1989년까지 오케스트라는 폴스키에 나그라니아 무자, 에테르나, 텔레풍켄, 필립스에서 녹음했다. 1989년 이후에는 필립스, 폴리그램, MMC 레코딩스, 아코드, 낙소스에서 녹음했다.[7]사회주의 정권 붕괴와 자유화 이후 바르샤바 국립 필하모니 관현악단은 영화음악 등의 녹음도 적극적으로 진행하게 되었는데, 특히 일본 애니메이션들인 자이언트 로보(OVA판)와 천공의 에스카플로네, 창궁의 파프너, 턴에이 건담, 헬싱(OVA판), 창성의 아쿠에리온 등의 OST 녹음으로 유명하다.[7]
최근에는 낙소스와도 계약해 펜데레츠키의 '누가 수난곡' 이나 교향곡 제 7번 '예루살렘의 일곱 대문' 등을 녹음하면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으며, 피아니스트 백건우도 비트의 지휘로 데카에 쇼팽의 피아노 협주 작품 전곡을 취입한 바 있다.[7]
필하모닉은 여러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음악을 녹음했다. 주목할 만한 작품으로는 ''암굴왕'', ''카우보이 비밥'', ''창궁의 파프너'', ''자이언트 로보: The Animation'', ''아! 나의 여신: 극장판'', ''프린세스 나인'', ''천공의 에스카플로네'', ''울프스 레인'', ''헬싱 얼티메이트'', ''창성의 아쿠에리온''[7], 최근에는 ''강철의 연금술사: 브라더후드''가 있다. 또한 코나미의 ''환상수호전 II''[8], 남코의 ''에이스 컴뱃 5: The Unsung War''와 할리우드 세션 오케스트라와 함께 SEGA의 액션 RPG ''판타시 스타 유니버스''의 음악을 녹음했다. 오케스트라는 가와이 켄지가 작곡하고 영화의 일부가 상영된 영화 ''아발론''을 위한 주요 공연에 참여했다. 또한 영화 ''배틀 로얄''의 사운드트랙을 연주했다. 가장 최근에는 스퀘어 에닉스의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 ''파이널 판타지 XIII''의 음악을 녹음했다.[7]
3. 3. 부속 단체
1953년에 창단된 바르샤바 국립 필하모니 합창단(Chór Filharmonii Narodowej)과 악단원들이 결성한 바르샤바 국립 필하모니 실내 관현악단(Orkiestra Kameralna Filharmonii Narodowej)이 활동하고 있다.[1]3. 4. OST 참여
바르샤바 국립 필하모닉 관현악단은 폴란드 민주화 이후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애니메이션, 게임 등의 음악 연주를 담당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일본 애니메이션 OST 녹음으로 유명한데, 자이언트 로보 (OVA판), 천공의 에스카플로네, 창궁의 파프너, 턴에이 건담, 헬싱 (OVA판), 창성의 아쿠에리온 등이 대표적이다.[7]이외에도 암굴왕, 카우보이 비밥, 아! 나의 여신 극장판, 프린세스 나인, 울프스 레인, 강철의 연금술사 BROTHERHOOD 등의 애니메이션 음악을 녹음했다.[7]
게임 음악 분야에서는 환상수호전 II,[8] 에이스 컴뱃 5, 판타시 스타 유니버스, 파이널 판타지 XIII 등의 OST에 참여했다.
영화 음악에서는 아발론[7], 배틀 로얄 등의 OST를 연주했다.
참여한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종류 | 제목 |
---|---|
영화 | 세대 (1954년), Passenger (1963 film)|파사젤카영어 (1963년), 태양과 달을 등지고 (1995년), 배틀 로얄 (2000년), 아발론 (2001년), 피아니스트 (2002년), 배틀 로얄 II: 레퀴엠 (2003년), 카틴의 숲 (2007년), 북쪽 나라에서 (1981년), 바람의 린카 (2007년), 군사 간베에 (2014년) |
애니메이션 | 자이언트 로보 THE ANIMATION - 지구 정지하는 날 (1992년), 신 해저 군함 (1995년), 천공의 에스카플로네 (1996년), 프린세스 나인 키사라기 여자고교 야구부 (1998년), 브렌파워드 (1998년), sin THE MOVIE (2000년), WOLF'S RAIN (2003년), 창궁의 파프너 (2004년), 니타보 - 쓰가루 샤미센 시조 외전 (2004년), 창성의 아쿠에리온 (2005년), 헬싱 (2006년), 마크로스 F (2008년), 강철의 연금술사 FULLMETAL ALCHEMIST (2009년), 마기 The labyrinth of magic (2012년), 마기 The kingdom of magic (2013년), 블랙 불릿 (2014년), 창궁의 파프너 EXODUS (2015년), SSSS.GRIDMAN (2018년), 피아노의 숲 (2019년) |
게임 | 노부나가의 야망·천상기 (1994년), A 열차로 가자 5 (1996년), 천외마경 제4의 묵시록 (1997년), 환상수호전 II (1998년), 귀무자 3 (2004년), 에이스 컴뱃 5 The Unsung War (2004년), 괴혼 (2004년), 판타시 스타 유니버스 (2006년), 파이널 판타지 XIII (2009년) |
기타 | 노무라 부동산 PROUD × NY・크루즈 편 (2015년) |
4. 역대 상임 지휘자
재임 기간 | 이름 |
---|---|
1901-1905 | 에밀 무이나르스키 |
1906-1908 | 지그문트 노스코프스키 |
1908-1909 | 헨리크 멜체르-슈차빈스키 |
1909-1911 | 그제고쥬 피텔베르크 |
1911-1914, 1916-1918 | 즈지스와프 비른바움 |
1918-1938 | 로만 초이나츠키 |
1938-1939 | 유제프 오지민스키 |
1945-1946 | 올기에르트 스트라신스키 |
1946-1947 | 안제이 파누프니크 |
1947-1948 | 얀 마클라키에비츠 |
1948-1949 | 비톨트 루진스키 |
1949-1950 | 브와디스와프 라치코프스키 |
1950-1955, 1958-1977 | 비톨트 로비츠키 |
1955-1958 | 보단 보디치코 |
1977-2001 | 카지미에슈 코르트 |
2002-2013 | 안토니 비트 |
2013-2019 | 야체크 카스프치크 |
2019-2024 | 안드레이 보레이코[10] |
2024- | 크시슈토프 우르반스키[11] |
아놀드 레슬러, 스타니스와프 스크로바체프스키, 스타니스와프 비스워츠키 등도 상임 지휘자를 역임했다.
참조
[1]
웹사이트
Filharmonia Warszawska
http://www.warszawa1[...]
2008-02-21
[2]
뉴스
Orkiestra Filharmonii Narodowej
https://www.filharmo[...]
2019-11-16
[3]
뉴스
The Orchestra of the National Philharmonic in Warsaw
https://culture.pl/e[...]
2019-11-16
[4]
뉴스
History
https://filharmonia.[...]
2019-11-16
[5]
뉴스
Aktualności 100. rocznica urodzin Witolda Rowickiego
https://filharmonia.[...]
2019-11-16
[6]
뉴스
O Warszawskiej Jesieni
https://www.warszaws[...]
2019-11-16
[7]
웹사이트
Got a case of the Mondays? Here's your cure, Genesis of Aquarion
http://www.japanator[...]
Japanator
2007-07-14
[8]
웹사이트
KICA-7935~6 | GENSOSUIKODEN II ORIGINAL GAME SOUNDTRACK Vol. 1 - VGMdb
https://vgmdb.net/al[...]
[9]
문서
당시폴란드는독립국가로존재하지않았고,바르샤바는[[러시아제국]]령이었다.
[10]
웹사이트
와르샤와발 〓 바르샤바 국립 필의 음악감독에 크시슈토프・울반스키
https://m-festival.b[...]
2024-04-27
[11]
웹사이트
Nowy Dyrektor Filharmonii Narodowej
https://filharmonia.[...]
2024-09-04
[12]
웹사이트
스태프
http://www.nitaboh.c[...]
NITABOH오피셜사이트
2016-05-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