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실리 주콥스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실리 주콥스키는 러시아의 시인으로, 러시아 낭만주의 문학을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는 1783년 사생아로 태어나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토마스 그레이의 "묘지에서 쓴 비가"를 번역하며 문단에 데뷔했다. 이후 낭만주의 시의 신비로움을 러시아에 소개하고, 독일어와 영어 발라드를 번역하여 러시아 시의 발전에 기여했다. 또한, 알렉산드르 2세의 스승으로 자유주의적 개혁 사상을 심어주는 데도 영향을 미쳤다. 주콥스키는 다양한 번역과 창작 활동을 통해 러시아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작품은 현대 러시아 문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튀르키예계 러시아인 - 알렉세이 베르스토프스키
알렉세이 베르스토프스키는 러시아의 작곡가, 극작가, 극장 운영자로, 모스크바 황실 극장의 '음악 검사'를 역임하며 러시아 낭만 오페라 발전에 기여한 《아스콜드의 무덤》의 작곡가이다. - 튀르키예계 러시아인 - 알리나 보즈
알리나 보즈는 2013년 연기를 시작하여 드라마 '파람파르차', '바타님 센신',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사랑 101' 등에 출연하며 인지도를 높인 터키의 배우로, 영화와 광고 모델로도 활동하고 있다. - 문학 번역가 - 무라카미 하루키
일본 소설가이자 번역가인 무라카미 하루키는 재즈 카페 운영 후 1979년 데뷔작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로 주목받기 시작하여 『노르웨이의 숲』, 『해변의 카프카』, 『1Q84』 등의 대표작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서양 문화의 영향을 받은 독특한 문체와 초현실적인 이야기 전개, 마라톤, 사회 참여 활동 등으로도 유명하다. - 문학 번역가 - 존 베처먼
존 베처먼은 빅토리아 시대 건축에 대한 애정과 유머러스한 시로 알려진 영국의 시인이자 작가, 방송인으로, 계관 시인 임명 및 건축 보존 운동 참여 등의 활동을 했다. - 오페라 대본가 - 토니 모리슨
토니 모리슨은 흑인 여성의 삶과 경험을 중심으로 인종, 성별, 계급 문제를 다룬 작품으로 미국 문학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소설가, 에세이 작가, 편집자, 그리고 대학교수였다. - 오페라 대본가 - 엥겔베르트 훔퍼딩크
독일의 후기 낭만주의 작곡가인 엥겔베르트 훔퍼딩크는 바그너의 영향을 받아 《헨젤과 그레텔》과 같은 동화 오페라를 작곡했으며, 쾰른 음악원과 뮌헨 음악원에서 공부하고 여러 음악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했다.
바실리 주콥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명 | 바실리 안드레예비치 주콥스키 |
출생일 | 1783년 2월 9일 |
출생지 | 툴라 군, 미셴스코예 |
사망일 | 1852년 4월 24일 |
사망지 | 바덴바덴, 독일 |
직업 | 시인 |
배우자 | 엘리자베트 폰 로이터른 |
자녀 | 알렉산드라 주콥스카야 |
작품 활동 | |
장르 | 낭만주의 시 |
기타 정보 | |
영향 받은 인물 | 니콜라이 카람진 요한 볼프강 폰 괴테 프리드리히 실러 조지 고든 바이런 발터 스콧 |
로마자 표기 | |
러시아어 | Васи́лий Андре́евич Жуко́вский (Vasiliy Andreyevich Zhukovskiy) |
2. 생애
바실리 주콥스키는 1783년 러시아 제국 툴라 현 미셴스코예 마을에서 지주 아파나시 부닌과 그의 튀르크족 가정부 살카 사이에서 사생아로 태어났다.[2][3] 부닌 가문은 문학적 성향을 띠었으며, 약 90년 후에는 노벨상을 수상한 모더니스트 작가 이반 부닌을 배출했다. 부닌 가문에서 자랐지만, 유아였던 시인은 사회적 품위를 위해 가족 친구에게 정식으로 입양되었고, 평생 동안 입양된 성과 부칭을 유지했다. 열네 살에 그는 모스크바 대학교 귀족 기숙학교(기숙학교)에서 교육을 받기 위해 모스크바로 보내졌다. 그곳에서 그는 프리메이슨, 그리고 영국 감상주의와 독일 ''슈투름 운트 드랑''의 유행하는 문학 경향에 큰 영향을 받았다. 그는 또한 당대 가장 중요한 문학 저널인 ''베스트니크 예브로피'' (유럽의 헤럴드)의 창간 편집자이자 뛰어난 러시아 문인인 니콜라이 카람진을 만났다.
1802년 12월, 19세의 주콥스키는 카람진의 저널에 토마스 그레이의 "묘지에서 쓴 비가"를 자유롭게 번역하여 게재했다. 이 번역은 그의 특징인 감상적이고 멜랑콜리한 스타일의 최초의 지속적인 예시였으며, 당시 러시아에서 매우 독창적이었다. 이로 인해 그는 러시아 독자들 사이에서 매우 유명해졌고, 1808년 카람진은 그에게 ''베스트니크 예브로피''의 편집장직을 맡아달라고 요청했다. 젊은 시인은 이 직책을 사용하여 로맨틱한 테마, 모티프, 장르를 탐구했는데, 주로 번역을 통해서였다.
주콥스키는 낭만주의 시인의 신비를 키운 최초의 러시아 작가 중 한 명이었다. 그의 독창적인 작품의 대부분은 그가 열정적이지만 결국 플라토닉한 관계를 가졌던 여러 이복 자매 중 한 명의 딸인 이복 조카 마리아 "마샤" 프로타소바에게서 영감을 받았다. 그는 또한 당시 러시아 제국에 속했던 한자 도시인 도르파트와 레벨, 현재 타르투와 탈린에서 낭만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도르파트 대학교(현재 타르투 대학교)는 러시아 제국에서 유일한 독일어 사용 대학교로 다시 문을 열었다.
주콥스키가 궁정에서 부상한 것은 나폴레옹의 1812년 침공과 그 결과로 러시아 귀족의 선호하는 외국어로서의 프랑스어에 대한 비난과 함께 시작되었다. 수천 명의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주콥스키는 모스크바 방어를 자원했고, 보로디노 전투에 참여했다. 그곳에서 그는 쿠투조프 휘하의 러시아 참모진에 합류하여 선전 및 사기 진작에 참여했다. 전쟁 후 그는 1815년 돌비노 마을에 잠시 정착하여 돌비노 가을이라고 알려진 시적 창의력의 폭발을 경험했다. 이 시기의 그의 작품은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 대공비, 즉 미래의 니콜라이 1세 차르의 독일 출신 아내의 주목을 받았다. 알렉산드라는 주콥스키를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초청하여 그녀의 개인적인 러시아어 교사로 삼았다. 괴테의 거의 모든 번역을 포함한 주콥스키의 독일어 번역 중 상당수는 알렉산드라를 위한 실용적인 언어 연습으로 만들어졌다.
주콥스키의 교육 경력은 러시아 문학계의 최전선에서 그를 어느 정도 멀어지게 하면서도 동시에 러시아에서 가장 강력한 지식인 중 한 명이 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이게 했다. 그가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주한 후 가장 먼저 한 일 중 하나는 카람진의 유럽 지향적이고 반고전주의 미학을 장려하기 위해 유쾌한 아르자마스 문학 협회를 설립하는 것이었다. 아르자마스 회원에는 10대 알렉산드르 푸시킨이 포함되었으며, 그는 빠르게 그의 시적 후계자로 부상했다. 실제로 1820년대 초, 푸시킨은 심지어 주콥스키의 판단에서도 그의 작품의 독창성과 뛰어난 점으로 주콥스키를 능가했다. 그러나 두 사람은 평생 친구로 남았으며, 연장자 시인은 문학적 멘토이자 궁정의 보호자 역할을 했다.
주콥스키의 이후 영향력의 많은 부분은 이러한 우정의 선물에 기인할 수 있다. 니콜라이와의 좋은 개인적 관계 덕분에 그는 불운했던 1825년 데카브리스트 반란 이후 다른 자유주의 지식인들의 운명을 면할 수 있었다. 니콜라이가 왕위에 오른 직후, 그는 주콥스키를 차레비치 알렉산더, 즉 나중에 차르 알렉산드르 2세가 될 사람의 가정교사로 임명했다. 주콥스키의 진보적인 교육 방식은 젊은 알렉산더에게 깊은 영향을 미쳐, 많은 역사가들은 1860년대의 자유주의 개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의 영향에 기인한다고 본다. 이 시인은 또한 궁정에서 그의 높은 지위를 이용하여 미하일 레르몬토프, 알렉산드르 헤르첸, 타라스 셰우첸코 (주콥스키는 그를 농노 신분에서 벗어나게 하는 데 기여했다)와 박해받는 데카브리스트와 같은 자유 사상가 작가들을 옹호했다.
1837년 푸시킨이 일찍 사망하자 주콥스키는 그의 문학적 유언 집행인으로 나섰으며, 적대적인 검열(미발표 걸작 포함)로부터 그의 작품을 구출했을 뿐만 아니라 이를 부지런히 수집하고 출판할 준비를 했다. 1830년대와 1840년대 내내 주콥스키는 또한 또 다른 친한 친구인 니콜라이 고골의 경력을 장려했다. 이러한 방식으로 그는 발전하는 러시아 낭만주의 운동의 기획자 역할을 했다.
그의 멘토 카람진과 마찬가지로, 주콥스키는 유럽, 특히 프로이센 궁정과의 관계가 베를린에서 바덴바덴과 바트 엠스와 같은 스파 타운의 상류 사회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준 독일어권 세계에서 널리 여행했다. 그는 또한 괴테, 시인 루트비히 티크, 풍경 화가 카스파르 다비트 프리드리히와 같은 세계적인 문화 인물들을 만나고 서신을 주고받았다. 1841년 주콥스키는 궁정에서 은퇴하여 뒤셀도르프 근처에 정착하여 예술가 친구인 게르하르트 빌헬름 폰 로이터른의 18세 딸 엘리자베스 폰 로이터른과 결혼했다. 부부는 알렉산드라라는 딸과 파벨이라는 아들을 낳았다. 알렉산드라는 나중에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 대공과 많은 이야깃거리가 된 관계를 가졌다.
주콥스키는 1852년 바덴바덴에서 6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시신은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돌아와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라브라에 묻혔다. 그의 묘는 도스토예프스키 기념비 바로 뒤에서 찾을 수 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바실리 주콥스키는 1783년 러시아 제국 툴라 현의 미셴스코예 마을에서 지주 아파나시 부닌과 튀르크족 출신 가정부 살카 사이의 사생아로 태어났다.[2][3] 부닌 가문은 문학적 성향이 강했으며, 훗날 노벨상을 수상한 이반 부닌이 이 가문 출신이다. 주콥스키는 부닌 가문에서 성장했지만, 사회적 평판을 위해 가족의 친구에게 입양되어 평생 동안 입양된 성과 부칭을 사용했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문학적 재능을 보였으며, 열네 살에 모스크바 대학교 귀족 기숙학교에서 교육받기 위해 모스크바로 보내졌다. 그곳에서 그는 프리메이슨, 영국의 감상주의, 독일의 슈투름 운트 드랑 등 다양한 사상과 문학 조류에 영향을 받았다. 또한 당대 최고의 문인 니콜라이 카람진을 만나 그의 문학적 성장에 큰 영향을 받았다.1802년 12월, 19세의 주콥스키는 카람진이 창간한 문학 저널 ''베스트니크 예브로피''(유럽의 헤럴드)에 토마스 그레이의 "묘지에서 쓴 비가"를 자유롭게 번역하여 게재했다. 이 번역은 그의 특징인 감상적이고 멜랑콜리한 스타일을 보여주는 최초의 예시였으며, 당시 러시아에서는 매우 독창적인 것이었다. 이 번역으로 인해 그는 러시아 독자들 사이에서 유명해졌고, 1808년 카람진은 그에게 ''베스트니크 예브로피''의 편집장직을 제안했다.
2. 2. 문학 활동과 낭만주의
바실리 주콥스키는 1802년 토머스 그레이의 "묘지에서 쓴 비가"를 번역하여 발표하면서 러시아 낭만주의의 시작을 알렸다. 이 번역은 러시아 독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으며, 1808년에는 니콜라이 카람진의 뒤를 이어 '유럽의 헤럴드' (베스트니크 예브로피)의 편집장을 맡아 낭만주의 문학을 적극적으로 소개했다. 그는 이 직책을 통해 번역을 중심으로 낭만주의적 주제, 모티프, 장르를 탐구했다.주콥스키는 낭만주의 시인의 신비로움을 부각시킨 최초의 러시아 작가 중 한 명이었다. 그의 많은 작품은 이복 조카인 마리아 프로타소바에 대한 비극적인 사랑에서 영감을 받았다. 그는 또한 한자 동맹 도시인 도르파트(현재 타르투)와 레벨(현재 탈린)에서 낭만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주콥스키는 나폴레옹의 1812년 침공 이후 궁정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는 보로디노 전투에 참여했으며, 전쟁 후에는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 대공비의 러시아어 교사로 임명되었다. 이 시기 주콥스키는 괴테의 작품을 비롯한 많은 독일어 번역을 했는데, 이는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를 위한 언어 연습의 일환이었다.
주콥스키의 교육 경력은 그를 러시아 문학계에서 멀어지게 했지만, 동시에 러시아에서 가장 강력한 지식인 중 한 명으로 만들었다. 그는 카람진의 유럽 지향적이고 반고전주의적인 미학을 장려하기 위해 아르자마스 문학 협회를 설립했다. 이 협회에는 알렉산드르 푸시킨이 포함되었으며, 푸시킨은 빠르게 주콥스키의 시적 후계자로 떠올랐다. 주콥스키와 푸시킨은 평생 친구로 남았으며, 주콥스키는 푸시킨의 문학적 멘토이자 궁정의 보호자 역할을 했다.
주콥스키는 대량의 유럽 문학을 러시아어로 번역하여 러시아어 개혁과 토착 문학 진흥에 기여했다. 특히 독일과 영국의 발라드 번역은 칭찬을 받았으며, 「류드밀라」(1808년)와 「스베틀라나」(1808-12년)는 뷔르거의 「레노레」를 번역한 것으로, 러시아 시의 전통에서 시대를 긋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실러의 작품 또한 번역하여 러시아에서 고전으로 여겨진다. 그는 내면적인 감정의 표출을 서정시에 시도한 최초의 인물로, 도스토옙스키를 비롯한 19세기 문인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2. 3. 궁정 활동과 사회 개혁
바실리 주콥스키는 1812년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공 당시 종군 시인으로 활동하며 애국적인 시들을 발표하여 국민적 영웅으로 떠올랐다. 보로디노 전투에 참여했고, 쿠투조프 휘하의 러시아 참모진에서 선전 및 사기 진작에 참여했다. 전쟁 후 1815년 돌비노 마을에 잠시 정착하여 돌비노 가을이라고 알려진 시적 창의력의 폭발을 경험했다. 이 시기의 작품은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 대공비의 주목을 받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초청되어 그녀의 개인적인 러시아어 교사로 임명되었다.주콥스키는 러시아 황실의 교육을 담당하며, 특히 알렉산드르 2세의 스승으로서 자유주의적 개혁 사상을 심어주는 데 기여했다. 1826년에는 황태자(후일의 알렉산드르 2세)의 교육관으로 임명되었다. 1860년대의 자유주의적인 사회 개혁은 주콥스키의 선진적인 황태자 교육에 의한 것이라고도 한다.
주콥스키는 궁정에서의 높은 지위를 이용하여 미하일 레르몬토프, 알렉산드르 게르첸, 타라스 셰우첸코 등 자유주의 사상을 가진 작가들을 보호하고 지원했다. 그는 타라스 셰우첸코를 농노 신분에서 벗어나게 하는 데 기여하기도 했다.
1837년 알렉산드르 푸시킨 사후 그의 문학적 유산을 보호하고 출판하는 데 힘썼으며, 니콜라이 고골 등 젊은 작가들을 후원했다. 푸시킨이 죽자, 그 유지를 이어 미발표작 몇 편을 포함한 저작의 수집, 출판 준비, 검열 회피에 힘썼다. 1830년대, 1840년대를 통해 니콜라이 고골 등 재능 있는 사람들을 육성했으며, 낭만주의 운동의 숨은 조력자라고 할 수 있다.
2. 4. 만년과 죽음
1841년 주콥스키는 궁정에서 은퇴한 뒤 독일로 이주하여, 예술가 친구인 게르하르트 빌헬름 폰 로이터른의 딸 엘리자베스 폰 로이터른과 결혼했다.[2] 이 결혼으로 알렉산드라와 파벨, 두 자녀를 낳았으며, 딸 알렉산드라는 훗날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 대공과 많은 이야깃거리가 된 관계를 가졌다.[2]은퇴 후 주콥스키는 프리드리히 데 라 모트 푸케의 "운디네" 번역,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 번역 등 번역 작업에 몰두했다.[2]
1852년 주콥스키는 독일 바덴바덴에서 69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2] 유해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대수도원에 안장되었다. 그의 묘는 도스토예프스키 기념비 바로 뒤에 있다.[2]
3. 주요 작품 및 번역 활동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의견에 따르면 주콥스키는 위대함에 이르렀지만 그 영광을 완전히 달성하지 못한 시인 부류에 속한다.[4] 그의 주요 기여는 러시아어로 "원작"의 고품질 모델을 제공하기 위해 유럽 문학에서 자유롭게 빌려온 양식적이고 형식적인 혁신가로서였다.[4] 그의 그레이의 "비가" 번역은 여전히 러시아 낭만주의 운동의 전통적인 시작점으로 학자들에 의해 인용된다.[4] 그는 또한 1809년 단편 소설 "마리나 로샤"("마리아의 숲")와 같이 모스크바의 고대 과거에 대한 산문을 썼으며, 이는 니콜라이 카람진의 유명한 소설 "가련한 리자"("베드나야 리자", 1792)에서 영감을 받았다.[4]
주콥스키는 현대적 지적 재산 개념이 존재하지 않았던 시대에 출처를 밝히지 않고도 놀랍도록 광범위한 출처에서 번역했다.[4] 그러나 그의 원본 선택에서 그는 일관되게 형식적 원칙, 무엇보다도 장르에 의해 동기를 부여받았다.[4] "비가"로 처음 성공을 거둔 후 그는 독일어와 영어 발라드를 훌륭하고 멜로디하게 번역한 것으로 특히 존경을 받았다.[4] 이 중 발라드 "류드밀라"(1808)와 그 자매 작품 "스베틀라나"(1813)는 러시아 시 전통의 랜드마크로 여겨진다.[4] 둘 다 고트프리트 아우구스트 뷔르거의 유명한 독일 발라드 "레노레"를 자유롭게 번역한 것이지만, 각각 원본을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렌더링한다.[4] 특징적으로, 주콥스키는 자연스럽게 들리는 러시아어 약강 6보격을 개발하기 위한 평생의 노력의 일환으로 나중에 "레노레"를 세 번째로 번역했다.[4] 그는 실러의 많은 번역, 즉 고전과 낭만주의 발라드, 서정시, 그리고 운문 드라마 ''오를레앙의 처녀''(잔 다르크)는 러시아에서 고전 작품이 되었으며, 많은 사람들이 원본과 같거나 더 높은 품질이라고 생각한다.[4] 그들은 심리적 깊이로 두드러졌으며, 도스토예프스키를 포함하여 러시아 사실주의의 젊은 세대에게 강한 영향을 미쳤으며, 도스토예프스키는 그들을 "나쉬 실러"("우리 실러")라고 불렀다.[4]
주콥스키는 또한 원작 시를 썼다.[4] "모이 드루그, 크라니텔'-안젤 모이"("나의 친구, 나의 수호 천사 ...")와 같은 마샤 프로타소바에 대한 그의 사랑의 서정시는 장르의 작은 고전이다.[4] 아마도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원작시는 쿠투조프의 참모로 복무하는 동안 러시아 군대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쓴 애국적 송시 "러시아 전사들의 진영에 있는 음유 시인"일 것이다.[4] 그는 또한 러시아 제국의 국가, "신이여, 차르를 구하소서!"의 가사를 작곡했다.[4]
1830년대 후반, 문학계에서 부분적으로 은퇴한 후, 주콥스키는 독일인 친구 프리드리히 데 라 모트 푸케의 산문 소설 ''운디네''를 매우 독창적으로 운문 번역하여 컴백했다.[4] 왈츠형 6보격으로 쓰인 주콥스키의 버전은 나중에 차이코프스키의 오페라의 대본에 영감을 주었다.[4]
궁정에서 은퇴한 후 주콥스키는 남은 생애를 페르시아어 서사시 ''샤나메''에서 발췌한 내용을 포함하여 동방 시의 6보격 번역에 헌신했다.[4] 그러나 이 기간 동안 그의 가장 큰 업적은 1849년에 최종적으로 출판한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 번역이었다.[4] 이 번역은 원본을 왜곡했다는 비판을 받았지만 그 자체로 고전이 되었으며 러시아 시의 역사에서 주목할 만한 위치를 차지한다.[4] 일부 학자들은 그의 ''운디나''와 ''오디세이아''가 운문으로 된 장편 서사 작품으로 19세기 러시아 소설의 발전에 간접적이지만 중요한 기여를 했다고 주장한다.[4]
결론적으로 주콥스키의 작품은 아마도 현대 러시아 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해석학의 집합을 구성한다.[4] 그는 종종 러시아 시인들의 "독일 학파"의 창시자로 여겨지며 그 영향은 표도르 튜체프와 마리나 츠베타예바와 같은 인물에게까지 미쳤다.[4]
3. 1. 시
바실리 주콥스키는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에 따르면 위대함에 이르렀지만 그 영광을 완전히 달성하지 못한 시인 부류에 속한다. 그의 주요 기여는 유럽 문학에서 자유롭게 빌려온 양식적이고 형식적인 혁신을 통해 러시아어로 "원작"의 고품질 모델을 제공한 것이었다. 특히 그의 그레이의 "비가" 번역은 러시아 낭만주의 운동의 전통적인 시작점으로 학자들에 의해 인용된다.주콥스키는 고트프리트 아우구스트 뷔르거의 유명한 독일 발라드 "레노레"를 자유롭게 번역한 발라드 "류드밀라"(1808)와 "스베틀라나"(1813)를 통해 러시아 시 전통의 랜드마크를 세웠다. 그는 자연스럽게 들리는 러시아어 약강 6보격을 개발하기 위해 "레노레"를 세 번이나 번역하는 노력을 기울였다. 실러의 서정시, 발라드, 운문 드라마 ''오를레앙의 처녀''(잔 다르크) 번역은 러시아에서 고전 작품이 되었으며, 도스토예프스키를 포함한 러시아 사실주의의 젊은 세대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주콥스키는 원작 시도 썼는데, 마샤 프로타소바에 대한 사랑을 노래한 서정시 "모이 드루그, 크라니텔'-안젤 모이"("나의 친구, 나의 수호 천사 ...") 등은 장르의 작은 고전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대표적인 애국시 "러시아 전사들의 진영에 있는 음유 시인"(1812)은 나폴레옹 전쟁 당시 러시아 군인들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쓴 작품이다. 그는 또한 러시아 제국의 국가인 "신이여, 차르를 구하소서!"의 가사를 작곡했다.
1830년대 후반, 주콥스키는 프리드리히 데 라 모트 푸케의 산문 소설 ''운디네''를 운문으로 번역하여 문학계에 복귀했다. 이 작품은 차이코프스키의 오페라 대본에 영감을 주었다. 궁정에서 은퇴한 후, 주콥스키는 페르시아어 서사시 ''샤나메''에서 발췌한 내용을 포함하여 동방 시의 6보격 번역에 헌신했다. 1849년에 출판한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 번역은 원본을 왜곡했다는 비판을 받았지만, 러시아 시 역사에서 주목할 만한 위치를 차지하는 고전이 되었다. 일부 학자들은 그의 ''운디나''와 ''오디세이아''가 19세기 러시아 소설 발전에 간접적이지만 중요한 기여를 했다고 평가한다.
3. 2. 번역
주콥스키는 현대적 지적 재산 개념이 존재하지 않았던 시대에 다양한 출처에서 번역을 했다.[4] 그의 번역은 원작 선택에서 형식적 원칙, 특히 장르에 의해 동기를 부여받았다. "비가"로 처음 성공을 거둔 후, 그는 독일어와 영어 발라드를 훌륭하고 멜로디하게 번역한 것으로 특히 존경을 받았다.[4] 블라디미르 나보코프는 주콥스키가 위대함에 이르렀지만 그 영광을 완전히 달성하지 못한 시인 부류에 속한다고 평가했다.주콥스키의 번역 중 고트프리트 아우구스트 뷔르거의 "레노레"를 번역한 "류드밀라"(1808)와 "스베틀라나"(1813)는 러시아 시 전통의 랜드마크로 여겨진다.[4] 이들은 각각 원본을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번역했다. 주콥스키는 자연스럽게 들리는 러시아어 약강 6보격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레노레"를 세 번째로 번역하기도 했다. 프리드리히 실러의 발라드, 서정시, 운문 드라마 ''오를레앙의 처녀''(잔 다르크)는 러시아에서 고전 작품이 되었으며, 원본과 같거나 더 높은 품질이라고 평가받는다. 이들은 표도르 도스토옙스키를 포함한 러시아 사실주의의 젊은 세대에게 강한 영향을 미쳤다.[4]
1830년대 후반, 주콥스키는 프리드리히 데 라 모트 푸케의 산문 소설 ''운디네''를 운문 번역하여 문학계에 복귀했다. 왈츠형 6보격으로 쓰인 주콥스키의 버전은 차이코프스키의 오페라 대본에 영감을 주었다. 궁정에서 은퇴한 후, 주콥스키는 페르시아어 서사시 ''샤나메'' 발췌 번역을 포함하여 동방 시의 6보격 번역에 헌신했다.
1849년에는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 번역을 출판했다.[4] 이 번역은 원본을 왜곡했다는 비판을 받았지만, 러시아 시 역사에서 주목할 만한 위치를 차지한다. 일부 학자들은 그의 ''운디나''와 ''오디세이아''가 19세기 러시아 소설 발전에 간접적이지만 중요한 기여를 했다고 주장한다. 주콥스키의 작품은 현대 러시아 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해석학의 집합을 구성하며, 그는 러시아 시인들의 "독일 학파"의 창시자로 여겨진다.[4] 그의 영향은 표도르 튜체프와 마리나 츠베타예바와 같은 인물에게까지 미쳤다.
4. 문학적 유산과 영향
바실리 주콥스키는 서유럽 낭만주의 문학을 러시아에 소개하고 러시아 고유의 낭만주의 문학을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4] 그의 시는 서정성과 음악성이 뛰어나며, 러시아 국민의 정서와 감성을 섬세하게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4] 그는 유럽 문학에서 자유롭게 빌려온 양식적이고 형식적인 혁신가로서, 러시아어로 "원작"의 고품질 모델을 제공했다.[4] 블라디미르 나보코프는 주콥스키가 위대함에 이르렀지만 그 영광을 완전히 달성하지 못한 시인 부류에 속한다고 평가했다.
주콥스키는 고트프리트 아우구스트 뷔르거의 "레노레"를 자유롭게 번역한 발라드 "류드밀라"(1808)와 "스베틀라나"(1813)를 통해 러시아 시 전통의 랜드마크를 세웠다.[4] 그는 실러의 발라드, 서정시, 운문 드라마 ''오를레앙의 처녀''(잔 다르크)를 러시아어로 번역하여 고전 작품으로 만들었으며, 이는 표도르 도스토옙스키를 포함한 러시아 사실주의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4]
주콥스키는 원작 시도 썼는데, 특히 마샤 프로타소바에 대한 사랑을 노래한 서정시는 장르의 작은 고전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애국적 송시 "러시아 전사들의 진영에 있는 음유 시인"은 러시아 침공 당시 러시아 군대의 사기를 높이는 데 기여했으며, 러시아 제국의 국가인 "신이여, 차르를 보호하소서"의 가사를 작곡하기도 했다.
1830년대 후반, 주콥스키는 프리드리히 데 라 모트 푸케의 산문 소설 ''운디네''를 운문으로 번역하여 문학계에 복귀했다. 이 작품은 차이코프스키의 오페라 대본에 영감을 주었다. 그는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를 번역하여 1849년에 출판했는데, 이는 러시아 시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러시아 소설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주콥스키의 작품은 현대 러시아 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해석학의 집합을 구성하며, 그는 러시아 시인들의 "독일 학파"의 창시자로 여겨진다.[4] 그의 영향은 표도르 튜체프, 마리나 츠베타예바와 같은 후대 시인들에게까지 미쳤다.[4]
5. 평가
바실리 주콥스키는 대량의 유럽 문학을 러시아어로 번역하여 국어 개혁 및 토착 문학 진흥에 기여했다. 특히 독일과 영국의 발라드 번역은 칭찬을 받았으며, 「류드밀라」(1808년), 「스베틀라나」(1808-12년)는 러시아 시의 전통에서 시대를 긋는 번역으로 평가받는다. 이 번역들은 뷔르거의 「레노레」(1774년)를 원본으로 하지만, 각기 다른 해석을 바탕으로 번역되었으며, 이를 통해 러시아어 장단단육보격 표현을 갈고 닦았다. 실러의 작품은 가사, 발라드에서 잔 다르크를 다룬 드라마 「오를레앙의 처녀」까지 폭넓게 번역되었고, 원전에 못지않은 명역으로 러시아에서 고전이 되었다.
주콥스키는 내면적인 감정의 표출을 서정시에 시도한 역사상 첫 인물이며, 도스토옙스키를 비롯한 19세기 문인 거의 모두에게 영향을 주었다. 1812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러시아 침공 당시에는 애국시를 양산했으며, ''A Bard in the Camp of the Russian Warriors''는 궁정에서 평판을 얻었다. 러시아 제국 국가인 신이여, 차르를 보호하소서를 작사하기도 했다.
푸시킨은 주콥스키의 후계자로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주콥스키의 보호를 받으며 평생의 친구로 지냈다. 주콥스키는 괴테와 티크 등 세계적인 문화인들과 친분을 맺었으며, 프리드리히 푹케의 『운디네』를 『운디나』로 번안하여 전위시 분야에서 주목을 받았다.
여생은 페르도우시 등 인도와 페르시아 서사시 번역에 몰두했으며, 1849년에는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를 육보격으로 번역 출판했다. 이는 원문에 충실하지는 않지만, 음조가 좋아 고전 취급을 받았으며, 러시아 시의 역사에 기록되었다. 『오디세이아』와 『운디나』는 러시아 소설의 발전에 기여했다고 평가받는다.
6.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Vasily Andreevich Zhukovsky
http://max.mmlc.nort[...]
2016-08-12
[2]
서적
Researching the Song: A Lexicon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Penguin Book of Russian Poetry
Penguin Books
[4]
서적
Russian Orthodoxy Resurgent: Faith and Power in the New Russ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