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운더리 거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운더리 거리는 홍콩의 구룡과 신계의 경계로, 1860년 제2차 아편 전쟁 이후 영국이 주룽 반도 일부를 할양받으면서 설정된 경계선에서 유래되었다. 1934년 가우룽통 개발로 인해 도로가 건설되었으며, 1997년 홍콩 반환으로 인해 바운더리 거리의 남북 모두가 중화인민공화국에 양도되었다. 현재는 신계와 구룡의 경계 역할을 하며, 동철선 서쪽으로는 유젠왕 구와 선수이부 구의 경계를 이룬다. 주변 지역에는 고급 주택가, 학교, 상업 및 주거 혼합 지역이 있으며, 버드 가든과 같은 관광 명소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의 거리 - 네이선 로드
네이선 로드는 1861년 완공된 홍콩 구룡 지역의 주요 도로이며, 1909년 매튜 네이선 총독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 5개의 MTR 역과 다양한 랜드마크가 주변에 위치해 있다. - 가우룽통 - 워털루 로드 (홍콩)
워털루 로드는 홍콩 구룡반도의 주요 도로로, 야우마테이, 호만틴, 몽콕, 가우룽통을 연결하며 1910년대 초 주거 지역 개발과 함께 건설되었고 웰즐리 공작의 워털루 전투 승리를 기념하여 명명되었으며 주요 시설과 랜드마크가 위치하고 문학 작품의 배경으로도 등장한다. - 가우룽통 - 야오중 국제학교
야오중 국제학교는 1932년 유아 교육을 중심으로 설립되어 홍콩, 베이징, 상하이 등에 캠퍼스를 둔 국제적인 교육 기관으로, 영국 국가 커리큘럼 기반의 IGCSE, YCIS, IB 등의 교육 과정과 음악 교육, 학생 교환 프로그램 등의 특색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IB 월드 스쿨 및 WASC 인증을 받았다. - 삼서이보 - 남청역
남청역은 1998년에 개통된 홍콩 철도역으로, 퉁충선과 툰마선이 지나가는 환승역이며, 주변에 다양한 편의 시설과 버스 노선이 있어 대중교통의 요충지 역할을 한다. - 삼서이보 - 드래건 센터
드래건 센터는 홍콩 샴수이포에 위치한 쇼핑몰로, 과거 난민 수용소 부지였으며 아트리움을 갖춘 건물에 선싱 백화점, 스케이트 링크, AKB48 굿즈 숍 등이 입점해 있고 MTR 쌈서이포 역에서 접근 가능하다.
바운더리 거리 | |
---|---|
위치 정보 | |
위치 | 구룡, 홍콩 |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바운더리 스트리트 |
중국어 간체 | 界限街 |
병음 | Jièxiàn Jiē |
광둥어 발음 | Gaai3 haan6 gaai1 |
IPA (광둥어) | kāːi hàːn káːi |
이전 이름 | Old Frontier Line (오래된 국경선) |
위치 | 홍콩・구룡 |
추가 정보 | |
길이 | 알 수 없음 |
폭 | 알 수 없음 |
2. 역사
1860년 제2차 아편 전쟁의 결과로 체결된 베이징 조약에 따라 영국은 청나라로부터 홍콩섬 인근의 주룽 반도 일부를 할양받았다. 이때 설정된 청나라와 영국령 홍콩의 경계가 현재의 바운더리 거리가 위치한 곳이며, 영국은 이 경계선을 '바운더리 선'(Boundary Line)이라고 불렀다.
이후 1898년 영국이 신계 지역을 99년간 조차하면서 기존 경계선의 남북 모두 영국령이 되었고, 이 경계는 '구변경선'(Old Frontier Line)으로 불리게 되었다. 처음에는 이 경계선 위에 정식 도로가 없었으나, 1934년 가우룽통 지역의 개발이 진행되고 조차지와 할양지 간의 행정적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당시 홍콩 정부는 경계선을 따라 도로를 건설했다. 이것이 현재의 바운더리 거리이다.
도로 건설 초기에는 동쪽과 서쪽 끝이 모두 바다에 인접했으나, 이후 지속적인 매립 공사, 특히 동쪽의 카이탁 공항 건설로 인해 현재는 양쪽 모두 내륙에 위치하게 되었다.
1997년 7월 1일 홍콩 반환으로 조약에 따른 조차지와 할양지의 구분 없이 홍콩 전체가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되면서, 바운더리 거리는 더 이상 법적인 경계로서의 의미를 잃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에도 불구하고 현재 바운더리 거리는 평범한 시가지 도로이며, 그 역사적 의미를 나타내는 별도의 기념물은 없다.
2. 1. 조약에 따른 경계 설정 (1860-1898)
1860년 제2차 아편 전쟁 (애로우 전쟁)의 결과로 체결된 베이징 조약에 따라, 청나라는 영국에게 홍콩섬과 가까운 주룽 반도 남부 지역 일부와 스톤컷터스 섬을 할양했다.[1] 이때 청나라 영토와 새롭게 영국령이 된 지역 사이의 경계가 설정되었는데, 이 경계선이 현재의 바운더리 거리가 위치한 곳이다. 영국 측에서는 이 경계선을 '''바운더리 선'''(Boundary Line|eng)이라고 불렀다. 당시 경계는 중국령 구룡과 영국령 구룡 사이의 밀수를 효과적으로 막기 위해 높은 대나무 울타리로 표시되었다.[1]이후 1898년, 영국은 신계 조차에 관한 조약 (Convention for the Extension of Hong Kong Territory)을 통해 신계 지역을 99년간 조차했다.[1] 이로써 기존의 경계선 남북 양쪽 모두 영국의 통치하에 들어가게 되면서, 영국은 이 경계선을 '''구변경선'''(Old Frontier Line|eng)이라고 고쳐 불렀다.[1] 신계 지역이 영국의 식민지에 포함되면서 기존의 대나무 울타리 경계는 더 이상 필요 없게 되었다.[1]
2. 2. 신계 조차와 경계선 명칭 변경 (1898-1934)
1898년 제2차 베이징 조약에 따라 신계 지역이 99년 기한으로 영국에 조차되었다. 이 조차로 인해 기존에 청나라와 영국령 홍콩의 경계였던 바운더리 선(Boundary Line)의 남북 양쪽 모두 영국의 영향권 아래 놓이게 되었다. 이에 따라 영국은 이 경계선을 '구변경선(Old Frontier Line)'으로 바꿔 불렀다.[1]원래 이 경계는 중국령 구룡과 영국령 구룡 사이의 밀수를 효과적으로 막기 위해 설치된 높은 대나무 울타리였으나, 신계가 영국의 조차지가 되면서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
신계 조차 이후 약 30여 년간 경계선 자리에는 정식 도로가 없었다. 그러나 1934년 가우룽통 지역의 개발이 진행되면서, 조차지와 할양지 간의 토지 세금 계산 문제 등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당시 홍콩 정부는 구변경선을 따라 도로를 건설하였고, 이것이 현재의 바운더리 거리가 되었다.
2. 3. 도로 건설과 구룡통 발전 (1934-1997)
1860년 베이징 조약으로 구룡반도 남부가 영국에 할양되고, 1898년 신계가 조차되면서 설정된 영국령 홍콩과 청나라의 경계선은 처음에는 정식 도로가 아니었다. 영국은 처음 이 경계를 경계선(Boundary Line)이라 불렀고, 신계 조차 이후에는 구변경선(Old Frontier Line)으로 불렀다.[1] 초기에는 이 경계를 따라 키 큰 대나무 울타리가 설치되어 중국령 구룡과 영국령 구룡 사이의 밀수를 막는 역할을 했으나, 신계가 영국 조차지가 되면서 불필요해졌다.1934년, 구룡통 지역이 발전하면서 조차지와 할양지 사이의 토지 세율 계산 등 행정적 문제가 발생하자, 당시 홍콩 정부는 이 경계선 위에 도로를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이것이 현재의 바운더리 거리(界限街|제한제zho)이다. 이 도로는 구룡통 지역의 개발을 촉진하고, 경계 남북 간의 행정적 구분을 명확히 하는 역할을 했다.
도로 건설 당시에는 동쪽과 서쪽 끝이 모두 바다(빅토리아 항)에 가까웠으나, 이후 계속된 매립 공사, 특히 동쪽의 카이탁 공항 건설로 인해 현재는 양쪽 모두 바다에서 멀어졌다.
1997년 7월 1일, 홍콩 반환으로 신계 조차지가 반환되고 구룡반도 할양지 역시 중화인민공화국에 함께 양도되면서, 바운더리 거리는 더 이상 법적인 경계로서의 의미를 갖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에도 불구하고 현재 바운더리 거리는 평범한 도심 속 도로이며, 그 역사적 의미를 기리는 기념비 등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2. 4. 홍콩 반환 (1997-현재)
1997년 7월 1일, 홍콩 반환이 이루어지면서 영국이 조차하거나 할양했던 지역 구분 없이, 바운더리 거리 남북 양쪽을 포함한 홍콩 전체의 주권이 중국으로 넘어갔다.바운더리 거리는 홍콩의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지만, 현재는 특별한 기념비 없이 평범한 시가지의 일부가 되었다. 일상생활에서 신구룡 지역은 더 이상 신계의 일부로 여겨지지 않고, 법률이나 토지 임대료 관련 사항을 제외하면 구룡의 도시 지역으로 간주되며, 원래의 행정 구역 배치는 유지되고 있다. 행정적으로 동철선 서쪽 구간은 여전히 유침왕구와 심수보구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3. 현재
1997년 7월 1일, 홍콩 반환을 통해 영국에서 중국으로 홍콩 전체의 주권이 넘어갔다. 이로 인해 과거 신계와 구룡을 나누던 경계선으로서 바운더리 거리의 의미는 점차 희미해지고 있다. 다만, 법률이나 토지 임대료 관련 규정에서는 기존의 구분이 유지되고 있으며, 일상생활에서는 신구룡 지역을 더 이상 신계의 일부가 아닌 구룡 도시 지역의 일부로 간주한다.
행정 구역상으로는 동철선 철교 서쪽 구간에서 바운더리 거리가 남쪽의 유침왕구와 북쪽의 삼수이포구를 나누는 경계선 역할을 한다. 이 경계는 과거 반도의 서쪽 해안선이었던 곳까지 이어지며, 매립지에서는 도로를 따라 경계가 설정되어 있다. 반면, 동철선 철교 동쪽 구간에서는 바운더리 거리의 남북 양쪽 모두 구룡당구에 속한다.
4. 주변 지역
바운더리 거리 주변은 지역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동쪽 지역은 고급 주택가와 학교들이 밀집한 반면, 서쪽 지역은 상업 시설과 주택이 혼재하며 자동차 관련 업종이 모여 있는 특징이 있다. 유명한 관광 명소인 버드 가든(雀鳥花園|작조화원중국어)도 이 거리 근처에서 찾아볼 수 있다.
4. 1. 고급 주택가
바운더리 거리의 중간 지점에서 동쪽으로 가까운 지역에는 又一村|예우얏 촌중국어(Yau Yat Tsuen)이나 九龍仔|주룽차이중국어(Kowloon Tsai)와 같은 고급 주택가가 자리 잡고 있다. 이 지역은 쿤퉁(Kwun Tong)에 위치한 일본계 기업들의 공장이나 사무실과 비교적 가까워, 해당 기업의 주재원과 그 가족들이 많이 거주하는 경향이 있다.또한, 이 일대는 학교가 밀집한 지역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홍콩 내에서도 이름난 여러 사립학교가 길가를 따라 위치해 있다. 닛렌쇼슈와 홍콩 SGI 회관도 이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관광 명소로는 雀鳥花園|작조화원중국어(버드 가든)이 있다. 현재는 KCR 선로 옆에 자리하고 있지만, 본래는 몽콕(旺角)에 있었으나 지역 재개발로 인해 현재 위치로 이전되었다.
4. 2. 교육 시설 밀집 지역
바운더리 거리는 학교가 많이 모여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홍콩에서 유명한 사립학교들이 이 거리 주변에 여럿 자리 잡고 있다.4. 3. 상업 및 주거 혼합 지역
바운더리 거리의 중앙에서 동쪽으로 치우친 지역에는 예우얏 촌( 又一村|야우얏췬zho )이나 주룽차이( 九龍仔|가우룽차이zho )와 같은 고급 주택가가 자리 잡고 있다. 이 지역은 일본계 기업의 공장이나 사무실이 많은 쿤퉁(Kwun Tong)과 비교적 가까워, 주로 제조업에 종사하는 일본계 기업의 현지 주재원과 그 가족들이 많이 거주한다. 또한, 학교가 밀집한 지역으로, 홍콩 내에서도 유명한 사립학교 여러 곳이 길가에 위치해 있다. 닛렌쇼슈와 홍콩 SGI 회관도 이 지역에 있다.서쪽 지역은 상업지와 주택지가 혼합된 형태를 보인다. 특히 아파트 1층에 자동차 수리 업체가 많이 모여 있는 구역이 있으며, 주로 중저 소득층 주민들이 거주한다.
관광 명소로는 버드 가든(雀鳥花園)이 있다. 현재는 구광철로 선로 옆에 위치하지만, 원래는 몽콕(旺角)에 있었으나 지역 재개발로 인해 이전되었다.
5. 관광 명소
바운더리 거리의 주요 관광 명소로는 버드 가든(雀鳥花園, Bird Garden)이 있다. 이곳은 원래 몽콕에 위치했으나, 지역 재개발 사업으로 인해 현재 위치인 구룡광동철로(KCR) 선로변으로 이전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