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노계집 판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박노계집 판목(朴蘆溪集 板木)은 조선 중기의 문인 박인로(朴仁老, 1561~1642)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판각한 목판입니다. 1974년 12월 10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68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주요 내용:


  • 제작 시기 및 과정: 『노계집』은 박인로의 현손 박성규(朴成規)에 의해 1707년(숙종 33)쯤 초고본이 만들어졌고, 1831년(순조 31)에 3권 2책의 초간본이 간행되었습니다. 이후 3차에 걸쳐 보각(補刻) 및 증보(增補)가 이루어졌습니다.
  • 구성: 3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2권은 한시문(漢詩文), 3권은 한글 가사(歌辭)와 시조(時調)입니다. 가사 7편과 시조 67수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 작품: 박인로의 대표작인 「태평사(太平詞)」, 「선상탄(船上嘆)」, 「사제곡(莎堤曲)」, 「누항사(陋巷詞)」, 「독락당(獨樂堂)」, 「영남가(嶺南歌)」, 「노계가(蘆溪歌)」 등의 가사와 「오륜가(五倫歌)」, 「조홍시가(早紅枾歌)」 등의 시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판목 수량: 총 99매입니다.
  • 소장처: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도천리에 있는 도계서원에 소장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노계의 종손인 박병일(朴秉一)이 소장하고 있습니다.
  • 가치: 박노계집 판목은 당시의 인쇄 문화사 연구뿐만 아니라 국문학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고사본(古寫本)과 비교 연구를 통해 노계 문학의 다양한 면모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추가 정보:

  • 박인로는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동하며, 수군절도사 성윤문(成允文)에게 발탁되어 「태평사」, 「선상탄」 등을 지었습니다. 이는 전쟁 문학 가사 중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받습니다.
  • 박인로는 안빈낙도(安貧樂道)와 충효(忠孝)를 주제로 한 시문을 주로 창작했습니다.


박노계집 판목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박노계집판목
한자 표기朴蘆溪集板木
위치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도천리 산383번지
종류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지정 번호68
지정일1974년 12월 10일
수량99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