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철수 (영화 감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철수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으로, 《밤에 내리는 비》(1979)로 데뷔하여 멜로드라마, 실험적인 영화, 에로틱 드라마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작품 활동을 했다. 그는 《301, 302》(1995)를 통해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으며, 《내 사랑, 안녕》(1996)으로 몬트리올 세계 영화제에서 최고 예술 공헌상을 수상했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녹색 의자》(2003)와 같은 에로틱 드라마를 연출하며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박철수는 2013년 교통사고로 사망했으며, 유작으로는 《먹고, 말하고, 섹스하고》(2013)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죽산 박씨 - 박제환 (1905년)
박제환은 도시샤 대학교 법학부를 졸업하고 수리조합연합회 경기도 지부장, 부천군 권업과장, 경기도 식량과장을 거쳐 농림부 장관과 제2대, 제5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죽산 박씨 - 박원형
-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감독상 수상자 - 봉준호
봉준호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로, 《플란다스의 개》로 데뷔하여 《살인의 추억》, 《괴물》, 《기생충》 등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작품을 연출하며 세계적인 거장으로 인정받았다. -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감독상 수상자 - 박찬욱
박찬욱은 서강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영화 평론가로 활동하다 영화감독으로 데뷔하여, 복수 3부작과 인간이 아닌 존재의 3부작 등 독특한 스타일의 작품들로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세계적인 거장으로, 칸 영화제 감독상을 수상하는 등 한국 영화의 위상을 높이며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신인감독상 수상자 - 신성일
강신성일은 1960년 데뷔 후 청춘 멜로 영화로 큰 인기를 얻고 엄앵란과의 결혼과 별거, 국회의원 역임, 뇌물 수수 혐의, 그리고 폐암으로 사망하기까지 한국 영화계와 정치계에 족적을 남긴 배우이자 정치인이다. -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신인감독상 수상자 - 김도영 (영화 감독)
김도영은 영화 《82년생 김지영》을 연출하여 백상예술대상 신인감독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배우이다.
박철수 (영화 감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인물 정보 | |
직업 | 영화 감독, 영화 각본가, 영화 프로듀서, 배우 |
출생일 | 1948년 11월 20일 |
출생지 | 대구, 대한민국 |
사망일 | 2013년 2월 19일 (향년 64세) |
사망 장소 | 용인시, 경기도, 대한민국 |
활동 기간 | 1978년 – 2013년 |
배우자 | 최은희 |
자녀 | 박가영, 박피오니, 박지강 |
학력 | 성균관대학교 경영학과 학사 |
2. 학력
박철수는 신필름에서 영화 경력을 시작하여 1978년 《골목의 패왕》으로 데뷔하였으나 큰 반응을 얻지 못했다. 하지만 1979년 두 번째 영화 《밤에 내리는 비》가 성공을 거두었다. 1985년 작품인 《어머니》는 대종상에서 최우수 작품상을 포함한 여러 부문에서 수상했다. 1995년 작품인 컬트 영화 《301 302》는 북미에서 극장 개봉된 최초의 현대 한국 영화 중 하나로, 박철수는 한국 영화를 국제적으로 알린 감독으로 평가받는다.[5] 1996년 작품 《내 사랑, 안녕》은 몬트리올 세계 영화제에서 최고 예술 공헌상을 수상했다.[4] 1998년 영화 《가족 시네마》는 일본 배우들을 캐스팅하고 일본에서 촬영했다.
3. 경력
3. 1. 영화계 입문 및 초기 활동
대구에서 태어난 박철수는 대구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에서 장학금을 받으며 경제학을 전공했다. 대학교 졸업 후에는 고향인 대구에서 잠시 교사로 일했다.[2][3]
신필름에서 스태프로 일하며 영화계에 입문했으며, 1978년 《골목의 패왕》으로 연출 데뷔했으나 큰 반응을 얻지 못했다. 이듬해 두 번째 영화 《밤에 내리는 비》가 성공하면서 주목받았다. 이 영화는 자신을 강간한 권투선수와 사랑에 빠지는 여성의 이야기를 다룬 멜로드라마였다. 박철수 감독의 초기 영화는 주로 감성적이고 세련된 멜로드라마가 주를 이루었다.[4]
3. 2. 2000년대 이후 활동 및 평가
오랜 기간 영화계를 떠나 있던 박철수는 2000년대 초반, 논란이 되는 에로틱 드라마로 연출 활동에 복귀했다. 특히 고등학생 남자아이와 30대 여성의 실제 사건에서 영감을 받은 《그린체어(2003)가 대표적이다.[5] 《그린체어》는 2005년 선댄스 영화제와 베를린 국제 영화제 파노라마 부문에 상영되었다.[5] 그는 《붉은 바캉스 검은 웨딩(2011), 《B-E-D(2013) 등 성과의 관계를 다룬 저예산 드라마도 제작했다.[5]
박철수는 한국 영화계의 아웃사이더였음에도 불구하고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PiFan)를 강력하게 지지했다. 초창기 PiFan은 한국 영화계와 학계의 많은 부분에서 보이콧을 당했다.[5]
3. 3. 기타 경력
연도 | 직함 | 기관/행사 |
---|---|---|
1980 | 프로듀서 | MBC |
프로듀서 | MBC 베스트셀러극장 | |
1994 | 설립 | 독립영화사 박철수 필름 |
1998 | 집행위원장 | 제1회 한일청소년영화제 |
2005 | 부교수 | 대구한의대학교 문화과학대 디지털문화콘텐츠학부 |
심사위원 | 홍콩 국제 영화제 | |
심사위원 | 상하이 국제 영화제 | |
교수 | 한겨레 영화연출학교 | |
심사위원 | 유바리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 | |
교수 | 일본 교토예술대학 | |
교수 | 한국예술종합학교 | |
교수 | 목원대학교 | |
교수 | KGIT |
4. 작품 목록
박철수 감독의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제목 | 연도 |
---|---|
마스터 클래스의 산책 | 2013 |
생생활활 | 2013 |
베드 | 2013 |
붉은 바캉스 검은 웨딩 | 2011 |
녹색 의자 | 2003 |
봉자 | 2000 |
가족 시네마 | 1998 |
푸시! 푸시! | 1997 |
맥주가 애인보다 좋은 일곱 가지 이유 | 1996 |
학생부군신위 | 1996 |
301, 302 | 1995 |
우리 시대의 사랑 | 1994 |
눈꽃 | 1992 |
서울 에비타 | 1991 |
테레사의 연인 | 1991 |
오세암 | 1990 |
물 위를 걷는 여자 | 1990 |
오늘 여자 | 1989 |
접시꽃 당신 | 1988 |
박철수의 헬로 임국정 | 1987 |
안개 기둥 | 1986 |
어미 | 1985 |
땜장이 아내 | 1983 |
들개 | 1982 |
이런 여자 없나요 | 1981 |
아픈 성숙 | 1980 |
밤이면 내리는 비 | 1979 |
골목대장 | 1978 |
4. 1. 감독 작품
- 《골목대장》 (1978)
- 《밤이면 내리는 비》 (1979)
- 《아픈 성숙》 (1980)
- 《이런 여자 없나요》 (1981)
- 《나르바나의 종》 (1982)
- 《들개》 (1982)
- 《땜장이 아내》 (1983)
- 《어미》 (1985)
- 《생인손》 (1986)
- 《안개 기둥》 (1986)
- 《박철수의 헬로 임꺽정》 (1987)
- 《접시꽃 당신》 (1988)
- 《오늘 여자》 (1989)
- 《오세암》 (1990)
- 《물 위를 걷는 여자》 (1990)
- 《서울 에비타》 (1991)
- 《테레사의 연인》 (1991)
- 《눈꽃》 (1992)
- 《여자의 남자》 (1993)
- 《우리 시대의 사랑》 (1994)
- 《301, 302》 (1995)
- 《맥주가 애인보다 좋은 일곱가지 이유》 (1996)
- 《학생부군신위》 (1996)
- 《산부인과》 (1997)
- 《푸시! 푸시!》 (1997)
- 《가족시네마》 (1998)
- 《봉자》 (2000)
- 《녹색 의자》 (2003)
- 《붉은 바캉스 검은 웨딩》 (2011)
- 《베드》 (2013)
- 《마스터 클레스의 산책》(유작) (2013)
- 《마스터 클레스의 산책-미몽》(유작) (2013)
- 《생생활활》(유작) (2013)
- 《녹색의자 2013 - 러브 컨셉츄얼리》(유작) (2013)
- 《성철》
- 《후쿠오카 이미지》
4. 2. 연출
- 말하는 눈 - 베스트셀러극장
- 〈베스트셀러 극장〉 작품 다수
- '''마스터 클래스의 산책''' (A Journey with Korean Masters), 2013년
- '''생생활활''' (Eating, Talking, Faucking), 2013년
- '''베드''' (B-E-D), 2013년
- '''붉은 바캉스 검은 웨딩''' (Red Vacance Black Wedding), 2011년
- '''녹색 의자''' (Green Chair), 2003년
- '''봉자''' (Bongja), 2000년
- '''가족 시네마''' (Kazoku Cinema), 1998년
- '''푸시! 푸시!''' (Push! Push!), 1997년
- '''맥주가 애인보다 좋은 일곱 가지 이유''' (Seven Reasons Why Beer Is Better Than a Lover), 1996년
- '''학생부군신위''' (Farewell My Darling), 1996년
- '''301, 302''' (301, 302), 1995년
- '''우리 시대의 사랑''' (Sado Sade Impotence), 1994년
- '''눈꽃''' (Flower in Snow), 1992년
- '''서울 에비타''' (Seoul Evita), 1991년
- '''테레사의 연인''' (Theresa's Lover), 1991년
- '''오세암''' (Oseam), 1990년
- '''물 위를 걷는 여자''' (The Woman Who Walks on Water), 1990년
- '''오늘 여자''' (Today's Woman), 1989년
- '''접시꽃 당신''' (You My Rose Mellow), 1988년
- '''박철수의 헬로 임국정''' (Hello Im Kuk-jeong by Pak Cheol-su), 1987년
- '''안개 기둥''' (Pillar of Mist), 1986년
- '''어미''' (Mother), 1985년
- '''땜장이 아내''' (Tinker Wife), 1983년
- '''들개''' (Stray Dog), 1982년
- '''이런 여자 없나요''' (Is There a Girl Like Her?), 1981년
- '''아픈 성숙''' (Painful Maturity), 1980년
- '''밤이면 내리는 비''' (The Rain that Falls Every Night), 1979년
- '''골목대장''' (Captain of the Alley), 1978년
4. 3. 기타 스텝
5. 수상 내역
연도 | 상 이름 | 작품 | 비고 |
---|---|---|---|
1970 | 인헌무공훈장 | 5등급 | |
1979 | 대종상 신인감독상 | ||
1980 | 백상예술대상 신인감독상 | 밤마다 내리는 비 | |
1985 | 대종상 우수작품상 | ||
1985 |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대상 | ||
1986 | 대종상 우수작품상 | ||
1988 |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감독상 | 접시꽃 당신 | |
1994 | 황금촬영상 감독상 | 사도 사데 임포텐스 | |
1996 |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대상 | 학생부군신위 | |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감독상 | 학생부군신위 | ||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감독상 | 학생부군신위 | ||
1996 | 몬트리올 국제영화제 최우수 예술공로상 | ||
1997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영화제 최우수작품상 | ||
1997 | 화관문화훈장 | 5등급 | |
1999 | 춘사영화상 감독상 | 가족시네마 | |
2005 | 예술발전상 | ||
한국방송대상 | 생인손 |
6. 사망
2013년 2월 19일 용인시에서 길을 건너던 중 음주운전 차량에 치여 사망했다.[6] 사망 당시 박철수는 단편 영화 《미몽》(Illusion)을 《한국 거장들과의 여정(A Journey with Korean Masters)이라는 옴니버스 영화에 기여한 직후였으며, 새 영화 《사랑 개념적으로》(Love Conceptually)의 후반 작업을 진행 중이었다.[4][7]
그의 유작인 장편 영화 《먹고, 말하고, 섹스하고》(Eating, Talking, Faucking)는 2013년 3월에 사후에 개봉되었다.[8]
참조
[1]
웹사이트
An Interview with Park Chul-soo
http://www.koreanfil[...]
2018-06-06
[2]
웹사이트
Park Chul-soo (박철수)
https://web.archive.[...]
2018-06-06
[3]
웹사이트
Veteran Filmmaker PARK Chul-soo Dies Aged 64
http://www.koreanfil[...]
2018-06-06
[4]
웹사이트
Veteran director Park killed by drunk driver
https://www.koreatim[...]
2018-06-06
[5]
웹사이트
Park Chul-soo (1948-2013)
https://web.archive.[...]
2018-06-06
[6]
웹사이트
South Korean Director Park Chul-soo Dies in Car Accident
http://www.hollywood[...]
2018-06-06
[7]
웹사이트
"PARK Pulled Off Many Extraordinary Feats for Korean Film World": Memorial Service for PARK Chul-soo Held
http://www.koreanfil[...]
2018-06-06
[8]
웹사이트
Honest and Exceptional Experience - Eating Talking Faucking
http://www.koreanfil[...]
2018-06-06
[9]
웹사이트
'301 302'박철수 영화감독, 불의의 교통사고로 사망
https://www.ajunews.[...]
2024-04-01
[10]
뉴스인용
술렁이는 TV 연출자들 영화(영화)제작 참여 채비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2023-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