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시 (요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시는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의 민간 전설에 등장하는 요정으로, 특정 가문의 죽음을 예고하는 곡성을 낸다고 알려져 있다. 외모에 대한 묘사는 다양하며, 긴 머리카락에 녹색 옷을 입거나 흰 옷을 입은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반시는 주로 게일 혈통의 가문과 관련되며, 죽음을 앞둔 사람의 비명이나 통곡으로 경고하는 역할을 한다. 스코틀랜드와 웨일스에도 유사한 존재들이 있으며, 2차 세계 대전 중 런던 대공습 사이렌 소리를 반시의 울부짖음에 비유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 민속 - 카트시
카트 시는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 민속에 등장하는 요정 고양이로, 가슴에 흰 반점이 있는 검은 고양이로 묘사되며 사람처럼 말하고 걷는 등 인간과 유사한 특징을 지니고, 때로는 마녀나 악마로 여겨지기도 하며 다양한 설화와 현대 대중문화에 등장한다. - 아일랜드 민속 - 다르쿠
다르쿠는 아일랜드 전설에 등장하는 수생 생물로, 수달과 유사하지만 더 큰 크기를 가지며, 털이 없거나 뱀장어와 비슷한 모습으로 묘사되고, 살인 사건 및 목격담과 함께 바다사자나 공룡 등으로 추정되며 대중문화의 소재로도 활용된다. - 이스시 - 쿠시 (스코틀랜드 신화)
쿠시는 스코틀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요정 개로, 짙은 녹색 털과 긴 꼬리를 가진 거대한 개의 모습으로 묘사되며, 요정 언덕에 살면서 요정들을 돕고, 먹이를 쫓을 때 으르렁거리는 소리를 내는 존재이다. - 이스시 - 페니어
페니어는 스코틀랜드 민담에 등장하는 존재로, 죽음을 앞둔 사람의 옷을 씻는 모습으로 나타나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모습과 능력을 가진 것으로 묘사된다. - 스코틀랜드 민속 - 필리
필리는 아일랜드 게일 사회에서 시인이자 예언가, 역사가로서 중요한 사회적, 정치적 역할을 수행했던 전문 계급으로, 왕권 계승 의례 참여와 풍자를 통해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구전 전통을 통해 아일랜드 신화와 서사 문학 보존에 기여했다. - 스코틀랜드 민속 - 율 (게르만)
율은 게르만 민족의 겨울 축제로서, 오딘 신과 관련되며, 현대의 크리스마스와 유사한 시기에 율 보드, 율 로그 등의 다양한 전통과 함께 기념된다.
반시 (요정) | |
---|---|
개요 | |
![]() | |
어원 | 아일랜드어: (벤 시) 고대 아일랜드어: |
의미 | 여자 요정 |
특징 | |
외모 | 긴 머리를 가진 여성 늙은 여성 또는 젊은 여성으로 나타남 |
역할 | 죽음을 예고하는 존재 |
울음소리 | 비탄에 잠긴 듯한 울음소리 날카로운 비명 |
출현 조건 | 특정 가문의 구성원이 죽을 때 |
문화적 영향 | |
대중 문화 | 다양한 판타지 작품에 등장 |
2. 외모
반시의 외모에 대한 묘사는 매우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헝클어진 긴 머리카락을 가지고 있으며, 녹색 드레스를 입고 그 위에 회색 망토를 걸친 모습으로 그려진다. 또한 끊임없는 울음 때문에 눈이 붉게 충혈되어 있다고 묘사되기도 한다.[24][3] 때로는 긴 머리카락을 빗는 모습으로 나타나는데, 일부 전설에서는 머리를 빗는 동안에만 울음소리를 낼 수 있다고 한다.[3]
다른 기록에서는 다른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앤 레이디 팬쇼의 회고록에는 반시가 붉은 머리카락에 흰 옷을 입고 다소 무서운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기록되어 있다.[25][4] 제인 와일드 여사는 《아일랜드의 고대 전설》에서 반시가 집안에서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난 아름다운 처녀의 모습으로 나타나 노래를 부르며, 보이지 않는 힘에 의해 혈족에게 다가올 불행을 예고하는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26][6] 또는 밤에 수의(壽衣)로 몸을 감싸고 나무 뒤에 웅크려 앉아 얼굴을 가린 채 흐느끼거나, 달빛을 가로지르며 날아다니면서 구슬프게 울부짖는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26][6] 이 영혼의 울음소리는 세상의 어떤 소리보다 슬프며, 한밤중에 들리면 그 가족 구성원 중 누군가의 죽음을 예고하는 징조로 여겨졌다.[6]
반시의 키에 대한 설명 역시 다양하다. 비정상적으로 키가 크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대부분의 전승에서는 키가 약 0.30m에서 약 1.22m 사이의 작은 존재로 묘사된다. 이렇게 작은 키는 종종 반시가 노파의 모습이라는 설명과 함께 나타나며, 그녀가 요정임을 강조하려는 의도로 해석되기도 한다.[5]
지역별로 묘사되는 반시의 모습에는 차이가 있다. 아일랜드의 반시는 J.F. 와일드의 설명처럼 일찍 죽은 집안의 아름다운 소녀 유령으로, 미녀의 모습을 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반면, 스코틀랜드의 반시는 다른 요정과 비슷하게 코가 하나뿐이거나, 앞니가 크게 튀어나오고, 유방이 축 늘어진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스코틀랜드와 웨일스 등지에서 전해지는 반시 또는 유사한 존재들의 외형 묘사는 더욱 구체적이다.
- 벤 니어(Bean-nighe|빈 니어gla, '씻는 여자'): 스코틀랜드 고지, 서쪽 섬 등지에 전해지며, 작고, 녹색 옷을 입고, 붉은 물갈퀴가 있는 발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 쿤아크(Caoineag|카오이낙gla, '우는 자'): 스코틀랜드 고지에서의 반시 별명으로,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
- 쿤치아흐(Caointeach|킨치어흐gla, '울부짖는 자'): 스코틀랜드 서부 아가일셔(아가일 앤 뷰트), 헤브리디스 제도 등지에서 나타나며, 녹색의 짧은 가운과 스커트, 산처럼 높은 흰 모자를 쓴 작은 여성 또는 소녀의 모습을 하고 있다고 한다.
- 글라하 아 흐리빈(Gwrach y Rhibyn|구라흐 어 리빈cym): 웨일스 서부 카드건셔에 전해지는 여요정으로, 헝클어진 머리카락과 검게 늘어진 이빨, 비정상적으로 길고 초췌한 팔을 가진 구체적인 형상을 하고 있다고 한다.
3. 통곡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일부 지역의 전통 장례 풍습 중에는 '통곡하는 여자'(bean chaointe|밴 킨터ga, kneening woman영어)가 애가를 부르는 것이 있었다. 이들은 때로 전문적인 직업으로 여겨졌으며, 가장 뛰어난 통곡꾼은 높은 수요를 누렸다.
아일랜드 전설에 따르면, 요정 여인인 반시는 가족 구성원이 죽었거나 죽음에 임박했을 때 나타나 곡을 한다. 이는 죽은 사람이 멀리 떨어져 있어 소식이 바로 닿지 않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여서, 반시의 곡소리는 집안에 죽음이 닥쳤음을 알리는 첫 번째 경고로 여겨졌다.[27][28][8][9]
반시는 또한 죽음을 미리 감지하고 경고하는 역할도 한다. 누군가가 생존하기 어려운 위험한 상황에 처할 것으로 예상될 때, 반시는 비명이나 통곡으로 이를 알린다. 이런 이유로 반시는 '곡하는 여자'라고도 불린다. 반시는 죽음의 마차와 연관되기도 하는데, 자신의 곡성으로 마차를 부르거나 마차와 함께 나타난다고 전해진다.[10]
일설에 따르면 반시는 순수한 게일인(밀레시안의 후예)의 죽음만을 슬퍼하며 곡한다고 하며,[29][30] 어떤 전승에서는 게일 혈통의 집안마다 각기 다른 반시가 딸려 있다고도 한다. 한편, 노르만인 혈통인 제럴딘 가문에도 반시가 있었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는 제럴딘 가문이 아일랜드인보다 더 아일랜드인 같다고 할 정도로 게일 문화에 깊이 동화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31]
여러 명의 반시가 동시에 나타나는 것은 위대하거나 성스러운 인물의 죽음을 예고하는 징조로 해석된다.[32][11] 일부 이야기에서는 반시를 귀신으로 묘사하기도 하지만, 본질적으로는 요정에 가깝다. 반시를 귀신으로 볼 경우, 구체적으로 살해당한 여성이나 출산 중 사망한 산모의 영혼이라는 설도 있다.[24][3] 반시에 대한 기록은 1380년 Sean mac Craith가 저술한 ''Cathreim Thoirdhealbhaigh''(''토를러프의 승리'')까지 거슬러 올라가며,[22] 당시 노르만 문학에서도 반시에 대한 언급을 찾아볼 수 있다.[22]
3. 1. 레인스터 지역의 전승
아일랜드 전설 속 요정인 반시는 가족 구성원의 죽음이 임박했을 때 나타나 곡을 하는 존재로 알려져 있다.[8][9] 레인스터의 일부 지역에서는 반시를 bean chaointe|빈 킨터gle(곡하는 여인)라고 부른다. 이 지역의 전승에 따르면, 빈 킨터의 곡소리는 매우 날카로워서 유리를 산산조각 낼 정도라고 한다.[12]스코틀랜드 민담에도 유사한 존재가 등장하는데, bean nighe|빈 니어gla(작은 세탁부) 또는 nigheag na h-àth|니샥 너 하gla(여울의 작은 세탁부)라고 불린다. 이들은 죽음을 앞둔 사람의 피 묻은 옷이나 갑옷을 세탁하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웨일스 민담의 cyhyraeth|커히라이스cym 역시 비슷한 존재로 여겨진다.[12]
3. 2. 스코틀랜드 민간 설화
스코틀랜드 민간 설화에서도 아일랜드의 반시와 유사한 존재들이 등장한다. 아일랜드처럼 스코틀랜드 일부 지역에서도 장례식 때 전문적으로 곡을 하는 여인(bean chaointe|밴 킨터ga)이 있었는데, 이는 반시 설화와 연결되는 문화적 배경으로 볼 수 있다.스코틀랜드의 반시는 주로 죽음을 예고하는 존재로 나타나며, 특히 물가에서 죽을 사람의 피 묻은 옷이나 수의를 빠는 모습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세탁하는 여인' 모티프로 알려져 있으며, 켈트 신화의 영웅 쿠 훌린의 죽음을 예언했다는 전승과도 연결된다. 이러한 존재는 "얕은 여울의 세탁부" 또는 "물가의 세탁부(little washer by the ford영어)"로도 불린다. 일설에는 출산 중 일찍 죽은 여인의 영혼이 본래 살았어야 할 수명이 다할 때까지 자신의 옷을 빠는 것이라고도 한다.[23]
스코틀랜드의 반시는 아일랜드의 미녀 모습과는 달리, 코가 하나이거나, 앞니가 크게 튀어나오고, 유방이 축 늘어진 기이한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스코틀랜드 각지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이름과 특징을 가진 반시 또는 유사 존재들이 전해진다.
명칭 (원어) | 지역 | 특징 | 비고 |
---|---|---|---|
벤 니어 (Bean-nighegla) | 고지 지방, 서쪽 섬, 북동부 밴프셔 | 작은 키, 녹색 옷, 붉은 물갈퀴 발을 가진 모습. 죽을 사람의 피 묻은 옷을 세탁한다. 그녀를 보기 전에 그녀와 강 사이에 먼저 들어가면 세 가지 소원을 들어주고 세 가지 질문에 답해준다고 한다. | 씻는 여자라는 뜻이다. 그녀의 축 처진 유방을 빨면 그녀의 양자가 될 수 있다는 이야기도 있다. |
쿤아크 (Caoineaggla) | 고지 지방 | 모습은 보이지 않으며, 재앙이 닥치기 전의 초승달이나 폭포 근처에서 울음소리만 들린다고 한다. | 우는 자라는 뜻이다. "후아"의 일종으로 여겨진다. |
쿤치아흐 (caointeachgla) | 스코틀랜드 서부 (아가일 앤 뷰트), 헤브리디스 제도 | 녹색의 짧은 가운과 스커트, 산 모양의 높은 흰 모자를 쓴 작은 여성 또는 소녀의 모습이다. 섬기는 집안에 죽을 사람이 생기기 전에 나타나 울부짖는다. | 울부짖는 자라는 뜻이다. 아일라 섬에서는 자신의 작업을 방해한 사람의 발에 젖은 삼 베를 때려 박아 못 쓰게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맥밀란, 마케이, 맥팔란, 매시슨, 켈리, 쇼, 카리 가문 등 특정 가문에 속해 있다고 한다. |
스코틀랜드의 반시 설화는 웨일스의 민간 설화와도 유사점을 보인다. 웨일스에는 카히라에스라는 존재가 있는데, 모습은 보이지 않지만 전염병이나 재해로 인한 대량 사망 전에 무서운 소리를 내어 예고한다고 전해진다.[12] 이는 스코틀랜드의 쿤아크와 비슷하며, 멀리 타국에서 죽은 동포의 죽음까지 슬퍼한다고 한다. 또한 웨일스 서부 카드건셔에는 글라하 아 흐리빈(Gwrach y Rhibyncy, 웨일스어로 '추한 노파'라는 뜻)이라는 여요정이 전해지는데, 헝클어진 머리카락과 검고 늘어진 이빨, 길고 초췌한 팔을 가진 구체적인 형상을 하고 있다. 이 요정은 경고하려는 사람에게 모습을 보이지 않고 따라다니다가, 그 친족이 십자로 또는 시냇가에 이르면 땅이나 수면을 두드리며 죽을 사람에 대해 섬뜩한 소리로 울부짖는다고 한다.
3. 3. 웨일스 민간 설화
웨일스 민간 설화에도 반시와 유사한 존재가 등장하는데, 이를 Cyhyraeth|카히라에스cy라고 부른다.[12] 카히라에스는 보통 모습은 보이지 않지만, 전염병이나 재해로 인해 많은 사람이 죽기 전에 무서운 소리를 내어 이를 예고한다고 전해진다. 이는 스코틀랜드의 쿤아크와 유사하여 '쿤아크의 웨일스판'으로 여겨지기도 하며, 반시처럼 다른 나라에서 죽은 동포의 죽음을 슬퍼하기도 했다고 한다.또한 웨일스 서부의 케레디지온 지역에는 Gwrach y Rhibyn|글라하 아 흐리빈cy이라는 여성 요정이 전해진다. Gwrach|그라흐cy는 웨일스어로 '추한 노파'를, Rhibyn|리빈cy은 '줄무늬' 또는 '열'을 의미한다. 글라하 아 흐리빈은 헝클어진 머리카락, 검고 늘어진 이빨, 비정상적으로 길고 야윈 팔을 가진 모습으로 묘사된다. 이 요정은 경고하려는 사람에게 직접 모습을 드러내지는 않지만, 그 사람의 친족이 십자로에 가거나 시냇가에 이르면 땅이나 물 표면을 치면서 죽을 사람에 대해 섬뜩한 소리로 울부짖는다. 예를 들어 죽는 이가 어린아이일 경우 "내 아이가!" 하고 외치는 식이다. 때로는 죽음을 앞둔 사람이 며칠 전에 직접 이 소리를 듣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소리가 불분명하게 들린다고 한다.
4. 관련 가문
일부 설에 따르면 반시는 순수한 게일인(즉 밀레시안의 후예)의 죽음만 슬퍼한다고도 하며,[29][30][13][14] 원래 이 민속 설화는 여러 고대 아일랜드 가문과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15][16] 이 전통에 따르면 반시는 색슨족이나 노르만인 후손 또는 나중에 아일랜드에 온 사람에 대해서는 애도하거나 찾아가지 않는다고 한다.[14][17][18] 반시와 관련된 성씨의 대부분은 'Ó' 또는 'Mc/Mac' 접두사를 가지고 있는데,[19] 이는 고이델어파 기원의 성씨로, 도서 켈트족 지역의 토착 가문임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 전승에는 몇 가지 예외가 있다.[20] 노르만인 혈통인 제럴딘가(피츠제럴드 왕조)에도 반시가 있었다고 하는데, 이는 제럴딘가가 '아일랜드인보다 더 아일랜드인이 되었다'고 할 정도로 게일 문화에 동화되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31] 또한 반시는 "음악과 노래에 재능이 있는" 사람을 애도할 수 있다는 설도 있다.[21] 예를 들어, 번워스 밴시는 앵글로-색슨 기원의 이름인 찰스 번워스 목사와 연관되어 있는데, 음악가들의 후원자였던 아일랜드인의 죽음을 예고했다고 전해진다.
전통에 따르면, 일부 가문은 자신들만의 반시를 가지고 있었다.[16] 예를 들어, Aibell이라는 이름을 가진 Ua Briain 가문의 반시는 25명의 다른 반시의 지배자였으며, 그들은 항상 그녀를 수행했다고 한다.[22]
반시가 속한다고 알려진 주요 가문은 다음과 같다. 캐서린 M. 브리그스의 『요정 사전』 등 여러 자료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가문들이 언급된다.
구분 | 관련 가문 |
---|---|
아일랜드 (Ó 또는 Mc/Mac 성씨)[19] | 오그래디 가문, 오닐 가문, 오브라이언 가문, 오코너 가문 |
스코틀랜드 서부 (쿤치아흐 관련) | 맥밀란 가문, 마케이 가문, 맥팔란 가문, 매시슨 가문, 켈리 가문, 쇼 가문, 카리 가문 |
또한, 캐나다로 이주하는 오그래디 가문을 따라간 반시가 있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5. 전승의 분포 및 유사 사례
반시 민담은 주로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에 걸쳐 전승되고 있으며, 그 모습이나 행동 등은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24][25][26] 이 전승은 이민 등을 통해 다른 지역으로 퍼지기도 했다. 예를 들어, 캐나다로 이주한 오그래디 가문을 따라간 반시 이야기가 있으며, 미국에도 전해져 미국 독립 전쟁 시기 미국 남부에는 "안개 낀 밤, 아비와 같은 소리를 지르며 노란 머리카락을 휘날리며 슬퍼하는 반시"의 전승이 있었다고 한다.
일부 전승에 따르면 반시는 순수한 게일인(밀레시안의 후예) 혈통의 죽음만을 슬퍼하며,[29][30] 특정 게일인 가문(주로 '맥(Mac)' 또는 '오(O')'로 시작하는 성씨, 예를 들어 오그래디, 오닐, 오브라이언, 오코너 가문)에는 각기 다른 반시가 속해 있다고도 한다. 그러나 아일랜드 문화에 깊이 동화되었던 노르만 혈통의 제럴딘가(피츠제럴드 왕조)에도 반시가 있었다는 이야기가 있어,[31] 반드시 게일 혈통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님을 보여준다. 스코틀랜드 서부에서는 맥밀란, 마케이, 맥팔란 가문 외에도 매시슨, 켈리, 쇼, 카리 가문 등에 속한 반시 이야기가 전해진다.
한 번에 여러 명의 반시가 나타나는 것은 위대하거나 성스러운 인물이 죽을 징조로 여겨진다.[32] 반시의 정체는 일반적으로 요정으로 간주되지만, 살해당한 여성이나 출산 중 사망한 산모의 귀신이라는 설도 있다.[24] 반시 전승의 정확한 기원은 특정하기 어려우며, 까마귀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하는 여신 바즈브 신화가 변형된 것이라는 설도 제기된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공군의 런던 대공습 당시 공습 경보 사이렌 소리를 "반시의 울부짖음"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이처럼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를 중심으로 다양한 반시 이야기가 전해지며, 웨일스 등 다른 지역에서도 유사한 특징을 가진 존재들에 대한 전승이 발견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5. 1. 유사 존재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일부 지역의 장례 풍습 중에는 "통곡하는 여자(bean chaointe|밴 킨터ga, keening woman영어)"라는 역할이 있다. 이들은 장례식에서 비통하게 곡을 하는 역할을 맡았으며, 때로는 전문 직업으로 여겨져 가장 곡을 잘 하는 여성이 선호되기도 했다. 이는 가족의 죽음을 슬퍼하며 곡하는 반시의 모습과 유사한 문화적 배경을 보여준다.반시는 지역에 따라 다른 이름이나 유사한 존재로 나타나기도 한다.
- 얕은 여울의 세탁부 또는 물가의 세탁부(little washer by the ford영어):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고원 지방에서 반시를 부르는 다른 이름이다. 한 전승에서는 출산 중 일찍 죽은 여인의 영혼으로, 본래 살았어야 할 수명이 다할 때까지 자신의 옷을 씻어야 한다고 전해진다. 다른 유명한 전승에서는 피로 물든 남자의 수의를 씻어 그 남자의 죽음을 예고한다고 하며, 켈트 신화의 영웅 쿠 훌린의 죽음을 예언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 벤 니어(Bean-nighe|벤 니어gd, 게일어로 "씻는 여자"): 스코틀랜드의 고지 지방, 서쪽 섬, 북동부 밴프셔에 전해지는 반시의 일종이다. 작고 녹색 옷을 입었으며, 붉은 물갈퀴가 있는 발을 가졌다고 묘사된다. 그녀를 보기 전에 그녀와 강 사이에 먼저 도달하면 세 가지 소원을 이뤄주고 세 가지 질문에 답해주지만, 그 대가로 그녀의 세 가지 질문에도 답해야 한다. 그녀의 축 늘어진 유방을 빨면 벤 니어의 양자라고 주장할 수 있다는 이야기도 있다.
- 쿤아크(Caoineag|쿤아크gd, 게일어로 "우는 자"): 스코틀랜드 고지 지방에서 반시를 부르는 다른 이름으로, "후아(Uaigh)"의 일종이다. 재앙이 닥치기 전 초승달이 뜰 때 폭포 근처에서 울부짖으며,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 스코틀랜드 서부의 아가일셔, 헤브리디스 제도 일부 섬에는 쿤치아흐(Caointeach|쿤치아흐gd, 게일어로 "울부짖는 자")라는 존재가 전해진다. 녹색 짧은 가운과 스커트, 산처럼 높은 흰 모자를 쓴 작은 여성이나 소녀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섬기는 집안에 죽을 사람이 생기면 나타나 울부짖는다고 한다. 아일라 섬에서는 쿤치아흐가 자신의 작업을 방해한 사람의 발에 젖은 삼 베를 때려 못 쓰게 만들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 카히라에스(Cyhyraeth|카히라에스cy): 웨일스에 전해지는 존재로, 모습은 보이지 않지만 전염병이나 재해로 인한 대규모 죽음이 임박했을 때 무서운 소리를 내어 예고한다. 반시처럼 외국에서 죽은 동포의 죽음도 슬퍼했다고 전해진다.
- 글라하 아 흐리빈(Gwrach y Rhibyn|글라하 아 흐리빈cy): 웨일스 서부 카드건셔에 전해지는 여요정이다. 헝클어진 머리카락, 검고 늘어진 이빨, 비정상적으로 길고 초췌한 팔을 가진 구체적인 형상으로 묘사된다. 경고하려는 사람에게 직접 모습을 보이지는 않지만, 그 사람의 친족이 십자로 또는 시냇가에 가면 땅이나 수면을 두드리며 죽을 사람에 대해(아이라면 "내 아이가!"라고 외치는 등) 섬뜩한 소리로 울부짖는다. 때로는 며칠 뒤 죽을 사람이 직접 그 소리를 듣기도 하는데, 이 경우 소리가 불분명하게 들린다고 한다.
- 녹색 글래스티그: 반시 신앙이 변화한 형태로,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의 죽음이나 병을 슬퍼하는 존재로 이야기되기도 한다.
6.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나니아 연대기의 하얀 마녀의 모델이라고 여겨지기도 한다. 또한, 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 원작 소설에서는 보가트가 변신하는 학생들의 공포의 대상으로 등장했다.
참조
[1]
백과사전
Celtic Folklore: Banshee
https://www.britanni[...]
2020-06-11
[2]
사전
síd, síth
http://www.dil.ie/37[...]
[3]
서적
An Encyclopedia of Fairies
Pantheon Books
[4]
서적
The Memoirs of Ann, Lady Fanshawe
John Lane
[5]
저널
The Death Knock
[6]
서적
Ancient Legends, Mystic Charms, and Superstitions of Ireland
Ticknor and Co.
[7]
서적
Focalóir Gaoidhilge Sax-Bhéarla
Nicolas-Francis Valleyre, Paris
[8]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 CLIO
2006-01-01
[9]
서적
Encyclopedia of death and the human experience
SAGE
2009-07-15
[10]
웹사이트
death coach
https://www.oxfordre[...]
2024-01-29
[11]
서적
A Treasury of Irish Myth, Legend, and Folklore
Gramercy Books
[12]
서적
Welsh folk-lore: A collection of the folk-tales and legends of North Wales
Llanerch
[13]
서적
Letters on Demonology and Witchcraft
https://archive.org/[...]
Harper & Brothers
1836-01-01
[14]
서적
The London Journal: and Weekly Record of Literature, Science, and Art
https://books.google[...]
G. Vickers
1847
[15]
서적
Encyclopedia of Goddesses and Heroines [2 volumes]: [2 volume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USA
2009-12-18
[16]
서적
Fairy Legends and Traditions of the South of Ireland. [By Thomas Crofton Croker.]
https://books.google[...]
John Murray; Thomas Tegg&Son
1838
[17]
서적
Letters on Demonology and Witchcraft: Addressed to J. G. Lockhart, Esq
https://books.google[...]
John Murray
1831
[18]
서적
Collectanea de Rebus Hibernicus
https://books.google[...]
T. Ewing
1786
[19]
서적
Packy Jim: Folklore and Worldview on the Irish Borde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
2016-08-30
[20]
간행물
Ancient History of the Kingdom of Kerry
http://www.corkhist.[...]
[21]
서적
Ancient Legends, Mystic Charms, and Superstitions of Ireland
https://books.google[...]
Ticknor and Company
1887
[22]
저널
A Folklore Survey of County Clare
https://zenodo.org/r[...]
1910-06
[23]
서적
水木しげるの世界妖怪事典
東京堂出版
1985-07
[24]
서적
An Encyclopedia of Fairies
Pantheon Books
[25]
서적
The Memoirs of Ann, Lady Fanshawe
John Lane
[26]
서적
Ancient Legends, Mystic Charms, and Superstitions of Ireland
Ticknor and Co.
[27]
서적
Celtic culture :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www.worldcat[...]
ABC CLIO
2006-01-01
[28]
서적
Encyclopedia of death and the human experience
https://www.worldcat[...]
SAGE
[29]
서적
Letters on Demonology and Witchcraft
https://books.google[...]
Harper & Brothers
1836-01-01
[30]
서적
Packy Jim: Folklore and Worldview on the Irish Borde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
2016-08-30
[31]
저널
Ancient History of the Kingdom of Kerry
http://www.corkhist.[...]
[32]
서적
A Treasury of Irish Myth, Legend, and Folklore
Gramercy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