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독일 공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독일 공군은 독일 연방군의 공군으로, 1956년 창설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군사 항공이 금지되었으나, 서독이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가입하면서 재건되었다. 독일 공군은 유로파이터 타이푼, 파나비아 토네이도, F-35 라이트닝 II 등의 전투기와 수송기, 헬리콥터, 훈련기, 무인 항공기 등을 운용하며, 2023년 기준 약 62,700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공군 사령관은 중장 잉고 게르하르츠이며, 공군 사령부와 공군 군 사령부, 공군 작전 사령부로 구성되어 있다. 독일 영공 방어와 NATO 임무 수행을 위해 12개의 공군 기지를 사용하고 있으며, 2015년 기준으로 700여 대의 항공기를 운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공군 - 쾰른 본 공항
    쾰른 본 공항은 독일 쾰른과 본 사이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저비용 항공사 유치와 페덱스 및 UPS 항공의 허브 역할을 통해 여객 및 화물 운송의 중심지로 성장했다.
  • 독일 공군 - 공군총감
    공군총감은 독일 연방군의 공군 최고 지휘관 직책으로, 요제프 캄후버를 시작으로 16명의 총감이 임명되었으며 독일 공군 발전과 NATO 내 역할 증대에 기여했다.
  • 독일 연방방위군의 군종 - 연방방위군 중앙구호업무군
    연방방위군 중앙구호업무군은 독일 연방군의 재해 및 비상사태 대응 조직으로, 평시에는 의료 지원, 교육 훈련, 재해 대비, 공공 구조 업무 지원 등을 수행하며, 장비 및 인력 부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독일 연방방위군의 군종 - 독일 육군
    독일 육군은 독일 제국 육군에서 기원하여 국방군을 거쳐 현재의 독일 연방군 육군으로 이어져 왔으며, 양차 세계 대전과 냉전 시대를 거쳐 독일 재통일 후에는 국제 평화 유지 작전에 참여하고 있다.
  • 국기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국기 - 아시아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유라시아 동쪽 4/5를 차지하며, 4대 문명 중 3개의 발원지이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발전했으며 경제 성장과 분쟁을 동시에 겪고 있다.
독일 공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독일 공군 로고
독일 공군 로고
명칭루프트바페 (Luftwaffe)
슬로건언제나 작전 중 (Immer im Einsatz)
창설일1956년 1월 9일
군종공군
역할항공 전투
규모27,725명
본부가토우 (공군 사령부)
별칭팀 루프트바페 (Team Luftwaffe)
웹사이트https://www.luftwaffe.de
지휘부
총사령관잉고 게어하르츠 중장 (공군 총감)
부사령관루츠 콜하우스 중장
참모총장볼프강 올 소장
주요 지휘관요제프 카머후버 대장
요하네스 슈타인호프 대장
귄터 랄 중장
장비
공격기토네이도 IDS
전자전기토네이도 ECR
전투기유로파이터 타이푼, 토네이도 IDS
헬리콥터CH-53, H145M, AS532
훈련기그로프 G-120, T-6 텍산 II, T-38 탤론
수송기A400M, 글로벌 익스프레스 5000, A319, A350, A321
공중 급유기A400M
훈장
관련 작전델리버레이트 포스 작전
코소보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2021)
ISIL 격퇴 군사 개입
말리 북부 분쟁
상징
독일 공군 라운델
라운델
독일 국기
핀 플래시
독일 공군 조종사 휘장
조종사 휘장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의 항공 능력은 크게 제한되었고, 1946년 연합국 관리 위원회는 나치 시대의 Luftwaffe|루프트바페de를 해산하고 군사 항공 활동을 금지했다. 그러나 냉전이 심화되면서 서방 연합국은 소련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서독의 재무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서독이 1955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에 가입하면서, 1956년 1월 9일 새로운 독일 연방군( Bundeswehr|분데스베어de )의 일부로서 현대적인 독일 공군( Luftwaffe|루프트바페de )이 창설되었다.

새로운 공군은 창설 초기 미국의 지원을 받아 F-84 썬더스트릭과 같은 항공기를 도입했으며, NATO의 통합 지휘 체계 아래 운영되었다. 과거 Wehrmacht Luftwaffe|베어마흐트 루프트바페de에서 복무했던 에리히 하르트만, 요하네스 슈타인호프 등 숙련된 조종사들이 합류하여 공군 재건에 기여했지만, 새로운 공군은 나치 시대 군대와의 조직적 연속성을 명확히 부정하며 민주주의 국가의 군대로서 정체성을 확립했다.

냉전 기간 동안 독일 공군은 NATO의 핵심 전력으로 성장했다. F-104 스타파이터, F-4 팬텀, 파나비아 토네이도 등 주요 전투기와 전폭기를 도입했으며, NATO의 핵 공유 정책에 따라 핵무기 운용 능력을 갖추기도 했다. 그러나 F-104 스타파이터의 잦은 추락 사고로 인한 '스타파이터 위기'를 겪으며 안전 문제와 훈련 시스템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되기도 했다. 이에 따라 공군은 훈련 체계를 개편하고 미국, 캐나다, 이탈리아, 포르투갈 등 해외에 훈련 시설을 마련하여 조종사들의 기량 향상과 안전 확보에 힘썼다.

1990년 독일 재통일은 독일 공군에게 새로운 전환점이 되었다. 옛 동독 공군인 국민인민군 공군의 인력과 장비 일부를 흡수했으며, 특히 미코얀 MiG-29 전투기는 통일 독일 공군에서 한동안 운용되며 NATO 동맹국과의 이질 공중전 훈련에 활용되기도 했다. 통일 이후 독일 공군은 보스니아 내전과 코소보 전쟁 등 국제 분쟁에 참여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으로 전투 작전을 수행했다. 이는 독일의 국제적 역할 변화를 상징하는 사건이었으며, 국내적으로는 군대의 해외 파병에 대한 논쟁을 거쳐 헌법적 정당성을 확보하는 계기가 되었다.

21세기에 들어 독일 공군은 유로파이터 타이푼과 같은 차세대 항공기를 도입하며 현대화를 지속하고 있으며, 아프가니스탄에서의 국제안보지원군(ISAF) 활동 등 다양한 국제 평화 유지 및 안보 협력 임무에 참여하고 있다. 최근에는 '래피드 퍼시픽 2022' 훈련과 같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의 연합 훈련에도 참여하며 활동 범위를 넓히고 있다.

2. 1. 창설 배경 (1945년 ~ 1956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나치 독일이 패배하면서 독일의 군사력은 해체되었고, 연합국에 의한 군정이 실시되었다. 이후 서방 3국(미국, 영국, 프랑스) 점령 지역에는 서독, 소비에트 연방 점령 지역에는 동독이 들어섰다.

전쟁 이후 독일의 항공 능력은 크게 제한되었으며, 1946년 8월 연합국 관리 위원회는 나치 시대의 공군이었던 Luftwaffe|루프트바페de를 공식적으로 해산시키고 군사 목적의 항공 활동을 전면 금지했다.

그러나 전후 동서 냉전이 심화되면서 상황은 변화했다. 서방 국가들은 1949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를 결성하여 소련 중심의 동구권에 맞섰다. 소련바르샤바 조약 기구 동맹국들의 군사적 위협이 커지자, 서방 연합국은 서독의 군사적 역할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서독 내에서도 1950년 힘메로트 각서를 통해 재무장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고, 1954년에는 브란크 기관에서 서독 독자적인 전술 공군 창설 계획을 발표했다.

결국 서독은 1955년 NATO에 가입하였고, 이는 새로운 독일 공군 창설의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1956년 1월 9일, 새로운 독일 연방군인 Bundeswehr|분데스베어de의 일부로서 새로운 독일 공군, Luftwaffe|루프트바페de가 공식적으로 창설되었다.

2. 2. 초기 발전 (1956년 ~ 1960년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의 항공 능력은 심각하게 제한되었고, 1946년 8월 연합국 관리 위원회가 나치 시대의 Luftwaffe|루프트바페de를 해산하면서 군사 항공은 완전히 금지되었다. 그러나 냉전이 심화되면서 서방 연합국은 소련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군사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서독의 재무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했고, 1955년 서독이 북대서양 조약 기구에 가입하면서 상황이 변했다. 이에 따라 1956년 1월 9일, 새로운 독일 연방군( Bundeswehr|분데스베어de )의 한 분과로서 새로운 독일 공군( Luftwaffe|루프트바페de )이 창설되었다. 이날 넬페니히 공군 기지의 공군 교육 중대에 첫 지원병들이 도착하면서 공식적인 시작을 알렸다.

새로운 공군은 초기에 미국으로부터 F-84 썬더스트릭 전투기를 인수받았다. 조직적으로는 북부와 남부의 두 개 작전 사령부로 나뉘어, 북부는 영국이 주도하는 제2 연합 전술 공군에, 남부는 미국이 주도하는 제4 연합 전술 공군에 배속되어 NATO의 지휘 체계 아래 운영되었다.

나치 독일 시절 공군( Wehrmacht Luftwaffe|베어마흐트 루프트바페de )에서 복무했던 유명 조종사들, 예를 들어 에리히 하르트만, 게르하르트 바르크호른, 귄터 랄, 요하네스 슈타인호프 등이 새로운 공군에 합류했다. 이들은 미국에서 재교육을 받고 최신 미국산 장비를 운용하기 위해 서독으로 돌아왔다. 슈타인호프와 랄은 후에 공군 사령관을 역임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야간 전투 전문가였던 요제프 캄후버 역시 전후 공군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아 1962년 공군 총감( Inspekteur der Luftwaffede )으로 퇴역했다. 하지만 이러한 인적 자원의 활용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공군은 과거 나치 시대 공군과의 조직적 연속성을 갖지 않으며, 이는 독일 연방군 전체의 방침이기도 했다.

1957년, 공군은 렌츠부르크에 주둔하던 육군 방공 부대를 인수하여 자체적인 지대공 미사일 능력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최초로 작전 태세를 갖춘 부대는 에어딩 공군 기지의 제61 공수 비행단이었으며, 이어서 뷔헬 공군 기지의 제31 전투폭격 비행단이 창설되었다. 1958년에는 최초의 징집병이 공군에 배치되었다.

thumb 분데스베어 군사 역사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는 캐나디아 CL-13 세이버. JG 71의 초기 주력기였다.]]

1959년에는 공군의 작전 능력이 더욱 강화되었다. 카우프보이렌에 주둔한 제11 미사일 그룹이 MGM-1 매터도어 지대지 전술 핵 순항 미사일을 장비하고 작전 태세를 갖추었다고 선언했다. 같은 해, 아흘호르너 하이데 공군 기지에서는 에리히 하르트만 대령을 초대 단장으로 하는 제71 전투 비행단( Jagdgeschwader 71de )이 창설되어 캐나디아 CL-13 세이버[5] 전투기를 운용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부터 모든 공군 항공기에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 공군( Luftstreitkräfte|루프트슈트라이트크레프테de )을 연상시키는 철십자 문양이 동체에, 서독 국기가 꼬리 부분의 핀 플래시로 표시되었다.

1960년에는 록히드 F-104 스타파이터 전투기 조종사 훈련이 시작되었고, 이 기종이 도입되면서 독일 공군은 '스타파이터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F-104는 초기부터 NATO의 핵 공유 정책에 따라 핵무기 투발 플랫폼으로 고려되었으며, 공군은 창설 직후부터 미 제17공군과 함께 핵무기 취급 및 운용 훈련을 시작했다.

1963년에는 첫 번째 조직 개편이 이루어져 북부와 남부 공군 그룹 사령부가 창설되고 그 아래에 공군 사단과 지원 부대가 배치되었다. 특히 소련 및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군대의 침공 위협에 직접적으로 노출된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지역 방어를 위해 제7공군사단이 편성되었다.

그러나 1960년대에는 훈련 중 항공기 추락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특히 F-84F 썬더스트릭과 F-104 스타파이터의 높은 손실률(각각 36%, 약 30%)은 심각한 문제였으며, 이는 서독 내의 제한된 공역과 훈련 환경 때문이라는 지적이 많았다. 이로 인해 공군은 주요 훈련 시설을 해외로 이전하기 시작했다. 1960년 이탈리아 사르데냐 섬의 데치모만누 공군 기지에 훈련 사령부를 설치했고, 1964년에는 포르투갈 베자 공군 기지에도 훈련 부대를 두었다. 또한 미국 애리조나주의 루크 공군 기지에서 F-104 조종사 훈련을 시작했으며(1964년), 1966년에는 텍사스주 포트 블리스에 지대공 미사일 부대원 교육을 위한 재미 독일 공군 훈련 사령부를 설립했다. 이러한 해외 훈련 시설 확보는 이후에도 계속되었다. 한편, 1966년에는 F-104 도입과 관련된 비리 의혹, 소위 스타파이터 사건이 발생하여 당시 공군 총감이던 베르너 파니츠키 중장이 책임을 지고 사임하는 일도 있었다.

2. 3. 냉전 시기 (1960년대 ~ 1990년)

1960년, 독일 공군deu은 첫 록히드 F-104 스타파이터 제트기를 인수했다. 스타파이터는 냉전 기간 내내 운용되었으며 마지막 기체는 1991년에 퇴역했다. 공군은 총 916대의 스타파이터를 운용했으나, 이 중 292대가 추락하여 116명의 조종사가 사망하는 등 심각한 안전 문제를 겪었다. 특히 1965년에만 27대의 스타파이터가 추락하고 17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자, 1966년 이는 스타파이터 위기로 불리는 사회적 문제로 비화되었다. 당시 서독 국민들은 스타파이터를 Witwenmacherdeu(과부 제조기), fliegender Sargdeu(나는 관), Fallfighterdeu(추락 전투기) 등으로 부르며 비판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1966년 8월 25일, 스타파이터 도입을 "순전히 정치적인 결정"이라고 공개적으로 비판했던 공군 감찰감 베르너 파니츠키 중장과 제71 전투 비행대대 지휘관 에리히 하르트만 대령이 각각 해임 및 전출되었다. 9월 2일, 요하네스 슈타인호프귄터 랄을 부관으로 하여 새로운 공군 감찰감으로 임명되었다. 슈타인호프와 랄은 미국에서 직접 스타파이터 훈련을 받으며 독일 조종사들의 훈련 방식(특히 저고도 고기동 비행)과 기체 특성 이해 부족이 높은 사고율의 원인임을 파악했다.[6] 이들은 F-104 조종사 훈련 계획을 전면 개편했고, 그 결과 사고율은 다른 운용 국가들과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했다. 슈타인호프는 공군 전체의 훈련 수준과 전문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으며, 조종사들이 해외에서 전술 및 전투 훈련을 받도록 하는 정책의 기반을 마련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F-104는 '과부 제조기'라는 오명을 완전히 벗지 못했고, 다른 국가들보다 일찍 맥도넬 더글러스 F-4 팬텀 II 전투기와 파나비아 토네이도 전투 폭격기로 대체되었다.

1963년에는 첫 번째 대규모 조직 개편이 이루어졌다. 기존의 북부와 남부 공군 그룹 사령부가 해체되고, 비행 부대와 방공 부대를 통합한 2개의 혼합 공군 사단과 1개의 지원 사단으로 재편되었다. 또한,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의 방어를 위해 비행 부대, 미사일 부대, 지원 부대 및 독일 해군의 해군 항공대(Marineflieger)를 포함하는 제7 공군 사단이 창설되어 발트해 접근 연합군(Allied Forces Baltic Approaches)의 지휘를 받게 되었다.

공군의 훈련 강화를 위해 북미 지역에서의 훈련이 확대되었다. 1966년, 슈타인호프의 주도로 미국 텍사스주 엘파소의 포트 블리스에 독일 공군 사령부 미국/캐나다(Deutsches Luftwaffenkommando USA/Kanadadeu)가 개설되어 미사일 및 방공 부대 훈련과 조종사 기본 훈련을 실시했다. 또한, 1960년에는 이탈리아 사르데냐 섬의 데치모만누 공군 기지에, 1964년에는 포르투갈 베자 공군 기지에 훈련 시설을 마련하여 각각 이기종 간 공중전 훈련과 근접 항공 지원 임무 훈련 등을 수행했다. (베자 기지는 1993년 철수)

1967년부터 1970년까지 두 번째 대대적인 조직 개편이 단행되었다. 기존의 작전 사령부들이 해체되고, 4개의 혼합 공군 사단은 2개의 비행 사단과 2개의 방공 사단으로 분리되었다. 또한 기능별 사령부가 신설되었다.

  • 공군 작전 사령부(Luftwaffenführungsdienstkommandodeu): 신호 연대, 레이더 및 신호 정보 부대 담당
  • 공군 훈련 사령부(Luftwaffenausbildungskommandodeu): 학교 및 훈련 연대 담당
  • 공군 지원 사령부(Luftwaffenunterstützungskommandodeu): 모든 물류, 유지 보수, 수리 부대 및 공군 물자 사무소 담당
  • 공군 수송 사령부(Lufttransportkommandodeu): 공중 수송 비행대대 담당


1996년의 다쏘/도르니에 알파 제트(Alpha Jet A)


thumb IDS 중 하나]]

1970년대에는 새로운 항공기들이 대거 도입되었다. 1968년 첫 트란살 C-160 수송기를 시작으로, 1974년 맥도넬 더글러스 F-4 팬텀 II 전투 폭격기, 1978년 다쏘/도르니에 알파 제트 경공격기, 그리고 1979년에는 총 212대가 도입된 파나비아 토네이도 전투기의 첫 기체가 인도되었다.

1986년, 방공군은 기존의 MIM-14 나이키 허큘리스 미사일 시스템을 대체하기 시작하여 MIM-104 패트리어트 시스템을 도입했으며, 이듬해인 1987년에는 롤랜드 단거리 미사일 시스템을 도입했다.

독일은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핵 공유 정책에 참여했다. 이는 핵무기를 보유하지 않은 회원국이 NATO의 핵무기 사용 계획에 참여하고, 유사시 핵무기 투발 임무를 수행하는 개념이다. 공군은 창설 직후부터 미국 제17공군과 함께 핵무기 취급, 장착 및 투발 훈련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F-104 스타파이터가 핵 공대공 미사일, 공대지 미사일, 핵폭탄 투발 플랫폼으로 지정되었고, 이후 도입된 토네이도는 B61 핵폭탄 투발 임무를 담당했다.

1965년부터 1970년까지 미사일 비행대 1과 2는 미 육군의 관리 하에 핵탄두를 장착한 16기의 퍼싱 1 미사일 시스템을 운용했으며, 1970년에는 72기의 퍼싱 1a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했다. 이 미사일들은 1988년 중거리 핵전력 조약의 직접적인 대상은 아니었으나, 공군은 1991년 자체적으로 퍼싱 1a 미사일을 폐기했다. 냉전 말기 공군의 병력은 10만 명 이상에 달했다. 미국의 핵무기는 핵 공유 협정에 따라 독일에 계속 배치되었으며, 뷜헬 공군 기지에는 제33 전술 공군 비행단의 토네이도 IDS 전투폭격기가 사용할 수 있는 B61 핵폭탄이 2007년 기준으로 22기 보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 뇌르페니히 공군 기지, 람슈타인 공군 기지, 멤밍겐 공군 기지 등에 보관되었던 미국의 핵무기는 1990년대 중후반에 모두 철수했다.

2. 4. 독일 통일과 그 이후 (1990년 ~ 현재)

독일 공군의 미코얀 MiG-29


1999년 코소보 공습 당시 AGM-88-HARM 미사일을 탑재한 독일 공군 토네이도 ECR


1990년 10월 독일 재통일 이후, 옛 동독 공군인 국민인민군 공군의 항공기와 인력이 흡수되었다. 동독 공군의 잔여 병력은 슈트라우스베르크에 새로 창설된 제5 공군 사단(5. Luftwaffendivisionde)에 배치되었다. 1993년 이 사단은 제3 공군 사단(3. Luftwaffendivisionde)으로 개편되어 베를린가토로 이동했으며, 1994년 사단 사령부를 이전하고 1995년에는 NATO 지휘 구조에 통합되었다. 통일 이후 동독 항공기의 마크는 서독 공군의 철십자로 교체되었는데, 이는 소련제 항공기가 NATO 공군에서 운용된 첫 사례였다. 그러나 국민인민군 공군은 주로 동구권에서 생산된 수호이 Su-17, MiG-21, MiG-23 등으로 구성되어 서독의 NATO 표준 장비와 호환되지 않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장비는 퇴역 처리되거나 폴란드, 발트 3국 등 동유럽의 새로운 NATO 회원국에 판매 또는 양도되었다.

예외적으로 프레셴 공군 기지에 주둔했던 제3 전투비행단 "블라디미르 코마로프"(Jagdfliegergeschwader 3 "Vladimir Komarov"de)는 최신형 미코얀 MiG-29 전투기를 운용하고 있었다. 1993년 6월 1일, 이 부대는 제73 전투비행단(Jagdgeschwader 73de, 이하 JG 73)으로 개명되었고, 1994년 10월 1일 라게 공군 기지로 이전했다. JG 73의 조종사들은 세계적으로도 경험 많은 MiG-29 조종사들로 평가받았으며, 주된 임무 중 하나는 다른 NATO 국가 조종사들에게 이질 공중전 훈련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미국은 '적색 10월' 훈련 기간 동안 조종사들을 독일로 파견하여 실전에서 마주칠 가능성이 높은 MiG-29를 상대로 전술을 연습하기도 했다. JG 73의 MiG-29는 독일 공군 방공 시스템에 완전히 통합되어 NATO 내에서 작전 가능한 최초의 소련제 항공기가 되었다.[7] 이후 유로파이터 타이푼 도입이 결정되면서 MiG-29는 퇴역하게 되었고, 1대를 제외한 모든 독일 MiG-29는 상징적인 가격인 1유로에 폴란드로 판매되었다. 2004년 8월 9일 마지막 MiG-29가 폴란드에 인도되어 폴란드 공군 제41 전술 비행대대에서 계속 운용되고 있다.

통일 이후 독일 공군은 여러 국제 분쟁에 참여하며 변화를 겪었다. 1991년 걸프 전쟁 당시에는 NATO의 에이스 가드 작전의 일환으로 알파 제트 경공격기 18기를 터키에 파견하여 이라크군의 공격에 대비했으며, 호크 및 롤랑 지대공 미사일 부대를 전개하여 터키 영공 방위를 지원했다. 1994년 2월 28일, 보스니아 상공 비행 금지 구역에서 미 공군 F-16이 세르비아계 G-4 슈퍼 갈레브 4기를 격추했을 때, 상황 확인을 지시한 조기경보통제기(AWACS)에 독일 공군 병사가 탑승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독일 연방군의 역외 전투 행동 관여 문제가 부각되었다.[93] 이러한 국외 파병과 무력 행사는 독일 내에서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고, 1994년 7월 12일 독일 연방헌법재판소가 합헌 판결을 내리면서 논란이 일단락되었다.

헌법재판소 판결 이후, 독일 공군은 본격적인 전투 작전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1995년 9월 보스니아 내전 중 델리버레이트 포스 작전에 참여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으로 전투를 경험했다.[8] 전방 감시 적외선(FLIR) 장치를 장착한 6대의 토네이도 IDS 전투폭격기가 8대의 토네이도 ECR 전자전기의 호위를 받으며, 사라예보 주변 보스니아 세르비아인 진지에 대한 NATO의 포격 임무를 지원했다.[9][10] 1999년 3월에는 코소보 전쟁에서 연합군 작전에 직접적인 전투 역할로 참여했다. 이는 영국 언론에서도 주목받았으며, 더 선은 "독일 공군과 영국 공군이 나란히 전투에 투입"이라는 헤드라인을 내걸기도 했다.[11] 독일 공군은 토네이도 ECR을 장비한 제32 전투 폭격 비행단을 파견하여 코소보 안팎의 적 방공망 제압(SEAD) 임무를 수행했다. 이들 전투폭격기는 전자전 포드, 자가 방어를 위한 AIM-9 사이드와인더 공대공 미사일 1기, 그리고 AGM-88 HARM 대레이더 미사일을 장착했다. 작전 기간 동안 총 2,108시간을 비행하며 446회의 출격을 했고, 236발의 HARM 미사일을 적 목표물에 발사했다. 이 작전에서 독일 공군의 유인 항공기 손실은 없었다.[12]

통일 이후 독일 공군은 여러 차례 조직 개편을 거쳤다. 공군 제4차 편제(1990년대)에서는 통일로 인한 동서독 부대 통합과 함께 지휘 구조 개편이 이루어졌고, MGM-31 퍼싱 미사일 폐기, 알파 제트 경공격기 감축 및 관련 부대 해체가 진행되었다. 2001년부터 시작된 제5차 편제에서는 지역화와 집중화가 추진되어 공군 사령부와 남북 공군 집단이 해체되고 공군 사단의 책임 범위가 확대되었으며, 일부 기능은 신설된 전력기반군과 구호업무군으로 이관되었다. 2004년에는 제73 전투비행단에서 유로파이터 타이푼 교육 비행이 시작되며 MiG-29와 F-4 팬텀 전투기의 교체가 본격화되었다. 그러나 인원 감축 목표 미달 등의 이유로 2005년 제5차 편제가 완료되기 전에 제6차 편제로 이행되었다.

2020년대 들어 독일 공군은 해외 실탄 훈련과 공동 훈련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021년 6월에는 스웨덴에서 유로파이터와 토네이도를 이용한 실탄 폭격 훈련을 실시했으며[89], 2022년 8월부터 10월까지는 '래피드 퍼시픽 2022' 훈련의 일환으로 유로파이터 6기, 공중급유기 3기, 수송기 4기를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파견하여 일본 등 여러 국가와 군사 훈련을 실시했다.[90] 이는 전투 및 공격 능력을 갖춘 독일 군용기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 첫 파견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사적 영향력 확대에 대한 우려 속에서 독일 정부가 2020년 발표한 '인도-태평양 정책 지침'에 따른 "규칙에 기반한 국제 질서" 유지 의지를 보여주는 행보로 평가된다.[90]

3. 구조

현재 독일 공군 사령관은 잉고 게르하르츠 중장이다. 공군 사령부는 직접적인 작전 지휘보다는 예하 부대의 전투 준비 태세를 보장하는 병력 제공 사령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2011년, 당시 국방 장관이었던 토마스 데 메지에르가 발표한 연방군 개편 계획에 따라 독일 공군은 대대적인 구조 조정을 거쳤다. 이 계획에는 공군 병력을 23,000명 수준으로 감축하고 기존의 3개 공군 사단, 공군 훈련 사령부, 공군 무기 시스템 사령부를 해산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부대 구조도 개편되어, 3개의 지대공 미사일 부대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후숨의 단일 비행단으로 통합되었다. 또한 3개의 공군 수송 비행단은 니더작센주 분스토르프 공군 기지에서 A400M 아틀라스 수송기를 운용하는 단일 비행단으로 재편되었다.

주력 항공기 운용 계획도 조정되어, 유로파이터 타이푼을 운용하는 다목적 비행단 3개를 유지하며 총 143대의 유로파이터 타이푼을 보유하게 된다. 파나비아 토네이도 IDS 항공기를 운용하는 전투 폭격 비행단은 라인란트팔츠주 뷔헬 공군 기지에서 계속 운용되며, 슐레스비히 공군 기지의 제51 정찰 비행단 "임멜만"은 파나비아 토네이도 ECR 운용과 더불어 무인 항공기 비행대를 추가하여 임무를 수행한다.

독일 공군은 임무 성격에 따라 개입 전력, 안정화 전력, 지원 전력의 세 가지로 분류되어 운용되며, 독일 영공 방어와 NATO의 영공 감시 작전 기여를 주요 임무로 한다. 이를 위해 독일 영공을 남북으로 나누어 24시간 요격기 경계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

3. 1. 공군 작전 사령부 (Air Operations Command)


  • '''항공 작전 센터''' (NATO CAOC 위뎀), 위뎀에 위치하며, 알프스 북쪽의 NATO 통합 방공 시스템을 담당한다.
  • * 공군 지원 그룹 (Luftwaffenunterstützungsgruppede), 칼카르에 위치한다.
  • * 통제 및 보고 센터 2 (Einsatzführungsbereich 2de), 에른데브뤼크에 위치한다.[38]
  • ** 작전 비행대대 21, 에른데브뤼크에 위치한다.
  • ** 작전 지원 비행대대 22, 에른데브뤼크에 위치한다.

센서 소대 I, 라우다에 위치한다.
* 원격 레이더 기지 240 "론쉽", 에른데브뤼크에 GM 406F 레이더와 함께 위치한다.
* 원격 레이더 기지 246 "하드휠", 에르베스코프에 HADR 레이더와 함께 위치한다.
* 원격 레이더 기지 247 "배트맨", 라우다에 GM 406F 레이더와 함께 위치한다.
* 원격 레이더 기지 248 "콜드트랙", 프라이징에 GM 406F 레이더와 함께 위치한다.
* 원격 레이더 기지 249 "스위트 애플", 메스슈테텐에 HADR 레이더와 함께 위치한다.
센서 소대 II, 아우엔하우젠에 위치한다.
* 원격 레이더 기지 241 "크래브트리", 마리엔바움에 HR-3000 레이더와 함께 위치한다.
* 원격 레이더 기지 242 "백워시", 아우엔하우젠에 GM 406F 레이더와 함께 위치한다.
* 원격 레이더 기지 243 "실버 코르크", 피젤호페데에 GM 406F 레이더와 함께 위치한다.
* 원격 레이더 기지 244 "라운드 업", 브로크제텔에 HADR 레이더와 함께 위치한다.
* 원격 레이더 기지 245 "버글", 브레켄도르프에 GM 406F 레이더와 함께 위치한다.

  • ** 통제 및 보고 훈련 검사 23, 에른데브뤼크에 위치한다.

교육 및 훈련 센터, 에른데브뤼크에 위치한다.
교육, 시험 및 훈련 그룹, 에른데브뤼크에 위치한다.

  • * 통제 및 보고 센터 3 (Einsatzführungsbereich 3de), 쇠네발데에 위치한다.[39]
  • ** 작전 비행대대 31, 쇠네발데에 위치한다.
  • ** 작전 지원 비행대대 32, 쇠네발데에 위치한다.

센서 소대 III, 쾰핀에 위치한다.
* 원격 레이더 기지 351 "매치포인트", 푸트가르텐에 RRP-117 레이더와 함께 위치한다.
* 원격 레이더 기지 352 "마인드리더", 쾰핀에 RRP-117 레이더와 함께 위치한다.
* 원격 레이더 기지 353 "테디 베어", 템펠호프RRP-117 레이더와 함께 위치한다.
* 원격 레이더 기지 356, 엘멘호르스트에 RRP-117 레이더와 함께 위치한다.
센서 소대 IV, 레겐에 위치한다.
* 원격 레이더 기지 354 "블랙무어", 되베른에 RRP-117 레이더와 함께 위치한다.
* 원격 레이더 기지 355 "로열 플래시", 글라이나에 RRP-117 레이더와 함께 위치한다.
* 원격 레이더 기지 357, 되브라베르크에 RRP-117 레이더와 함께 위치한다.
* 원격 레이더 기지 358 "스노우 캡", 그로세 아르버에 RRP-117 레이더와 함께 위치한다.

  • ** 배치 가능한 통제 및 보고 센터, 쇠네발데에 위치한다.
  • * 공군 사령부 지원 센터 (Führungsunterstützungszentrum der Luftwaffede), 쾰른-반에 위치한다.
  • * NATO의 연합 공군 사령부에 대한 독일 대표, 람슈타인 공군 기지에 위치한다.
  • * 공동 공군력 역량 센터에 대한 독일 대표, 칼카르에 위치한다.
  • * 유럽 공수 수송 사령부에 대한 독일 대표, 아인트호벤 공군 기지에 위치한다.
  • * NATO 공중 조기 경보 및 통제 사령부에 대한 독일 대표, NATO 공군 기지 가일렌키르헨에 위치한다.
  • * 동맹 지상 감시에 대한 독일 대표, 시골렐라 공군 기지에 위치한다.

3. 2. 공군 군 사령부 (Air Force Forces Command)

공군 군 사령부의 주요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직속 기관:'''

'''예하 비행 부대:'''

'''예하 지상 기반 부대:'''

  • 제1 대공 미사일 비행단 "슐레스비히-홀슈타인", 후숨 공군기지
  • * 제21 대공 미사일 그룹, 자니츠 및 프란겐도르프, MIM-104 패트리어트 운용
  • * 제24 대공 미사일 그룹, 바트 쥘체, MIM-104 패트리어트 운용
  • * 제26 대공 미사일 그룹, 후숨 공군기지, MIM-104 패트리어트 운용
  • * 제61 대공 미사일 그룹, 토덴도르프, MANTIS 운용 (2018년 4월부터 네덜란드 육군의 합동 지상 기반 방공 사령부 소속)
  • * 대공 미사일 전술 훈련 및 지침 센터, 포트 블리스, 텍사스
  • * 대공 미사일 훈련 센터, 후숨
  • 공군 연대 "프리슬란트", 예버 공군기지
  • * 제1 대대 (보병), 예버 공군기지
  • * 제2 대대 (병참, 공병, 소방관), 디프홀츠 공군기지
  • 공군 장교 학교, 퓌르스텐펠브루크
  • 공군 부사관 학교, 아펜 및 하이드
  • 공군 훈련 대대, 게르머스하임
  • 공군 지원 그룹, 쾰른-반 공군기지


'''예하 지원 부대:'''

  • 무기 시스템 지원 센터 1, 에어딩 공군기지
  • * 유지보수 센터 11, 에어딩 공군기지
  • * 유지보수 센터 12, 움멘도르프
  • * 유지보수 센터 13, 란츠베르크/레흐 공군기지
  • * 유지보수 센터 14, 잉골슈타트/맹칭 공군기지
  • 무기 시스템 지원 센터 2, 디프홀츠 공군기지
  • * 유지보수 센터 21, 디프홀츠 공군기지 (홀츠도르프 공군기지로 이동 예정)
  • * 유지보수 센터 23, 분스토르프 공군기지
  • * 유지보수 센터 24, 트로르헨하겐 공군기지 (라게 공군기지로 이동 예정)
  • * 유지보수 센터 25, 에른드테브뤼크
  • * 유지보수 센터 26, 분스토르프 공군기지
  • 공군 기술 훈련 센터, 파스베르크 공군기지
  • * 공군 기술 훈련 센터 북부, 파스베르크 공군기지
  • * 공군 기술 훈련 센터 남부, 카우프보이렌 공군기지
  • * 공군 전문 대학, 파스베르크 공군기지
  • 벨기에 글론에 있는 NATO 프로그래밍 센터의 독일 대표

4. 장비

독일 공군은 약 62,700명의 병력과 다양한 종류의 항공기를 운용하고 있다. 주요 전투 전력으로는 유럽 국가들과 공동 개발한 유로파이터 타이푼 다목적 전투기와 파나비아 토네이도 공격기/전자전기가 있다. 과거 주력 기종이었던 미국제 F-4 팬텀은 퇴역하였으며[16], 토네이도 역시 점차 F-35A 라이트닝 II와 유로파이터 타이푼 EK로 대체될 예정이다.[29][55]

수송 능력은 A400M 전술 수송기를 중심으로 에어버스 A310, 에어버스 A319, 에어버스 A321 등 다양한 기종이 담당하고 있다. 과거 프랑스와 공동 개발하여 오랫동안 운용한 C-160 트란스알 수송기는 2021년 퇴역하였다.[28] 헬리콥터 전력으로는 CH-53GA/GS 대형 수송 헬리콥터와 H145M 다목적 헬리콥터 등을 운용 중이며, 노후화된 CH-53은 미국제 CH-47F 치누크로 교체될 계획이다.[32][70] 무인 항공기 분야에서는 이스라엘헤론 1 정찰기를 운용하고 있으며, 공격 능력을 갖춘 헤론 TP 도입을 추진 중이다.[75]

독일 공군은 NATO의 발트해 공역 감시 임무[13][14]아프가니스탄에서의 ISAF 작전 지원[15] 등 동맹국과의 연합 작전 및 국제 평화 유지 활동에 꾸준히 참여해왔다. 이러한 작전에는 토네이도 정찰기, C-160 수송기 등이 투입되었다.

1970년대부터 독일은 파나비아 토네이도, 유로파이터 타이푼, A400M 등 유럽 국가들과의 공동 항공기 개발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왔다. 2004년 국방 개혁의 일환으로 전투기 규모 감축 계획이 발표되었고[16], 같은 해 독일 해군 항공대(Marinefliegerde)가 운용하던 토네이도 부대가 공군으로 통합되어 해상 타격 임무까지 맡게 되었다.

지상 기반 방공 시스템으로는 미국MIM-104 패트리어트 미사일 시스템을 주력으로 운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방공 능력 강화를 위해 자체 개발한 IRIS-T SLM 중거리 방공 시스템과 이스라엘과 공동 개발하는 애로우 3 탄도 미사일 방어 시스템 도입을 추진하며 방공망 현대화에 나서고 있다.[83][85]

4. 1. 항공기

훈련 중인 유로파이터 타이푼


첫 비행하는 A400M


2016년 ILA 베를린 에어쇼에서 비행하는 CH-53G


항공기제작 국가종류파생형운용 수량비고
전투기
파나비아 토네이도다국적 (독일, 영국, 이탈리아)공격기 / SEADIDS / ECR85 [54]IDS는 F-35 라이트닝 II로, ECR은 15대의 유로파이터 타이푼 EK로 교체 예정[29][55]
유로파이터 타이푼다국적 (독일,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다목적 전투기T1, T2, T3, T4141 [55]35대 주문
F-35 라이트닝 II미국다목적 전투기F-35A035대 주문[56]
공중 급유기
C-130J 슈퍼 허큘리스미국공중 급유KC-130J3[57]프랑스-독일 연합 부대 소속[68]
군용 수송기
에어버스 A310유럽 연합수송 / 공중급유A310-304 / A310 MRTT5에어버스 A330 MRTT로 교체 예정 (MRTT 프로그램 참여)
에어버스 A319유럽 연합VIP 수송A319CJ3[58]1대는 오픈 스카이 조약 프로그램에 사용[59]
에어버스 A321유럽 연합수송기A321-2001[60]
에어버스 A321neo유럽 연합수송 / 후송A321LR2[61]
에어버스 A340유럽 연합VIP 수송A340-300-퇴역 (A350으로 대체)
에어버스 A350유럽 연합VIP 수송ACJ3503[62]
에어버스 A400M유럽 연합수송기 / 급유기A400M48[63]5대 주문[64]
글로벌 익스프레스캐나다VIP 수송5000 / 60003 / 3[65][66]3대의 SIGINT 파생형 주문[59]
C-130J 슈퍼 허큘리스미국전술 수송C-130J3[67]프랑스-독일 연합 부대 소속[68]
챌린저 600캐나다VIP 수송CL-601-퇴역
C-160 트란스알프랑스 / 독일전술 수송기C-160D-퇴역 (2021년)[28]
헬리콥터
보잉 CH-47 치누크미국수송CH-47F060대 주문 (약 50억유로 규모)[32]
시코르스키 CH-53미국 / 독일수송CH-53GA/GS70 [69]보잉 CH-47F로 교체 예정[70]
UH-1미국 / 독일다용도 헬리콥터UH-1D-퇴역 (H145M으로 대체)
유로콥터 EC145독일다목적 / SAR / 특수작전H145M LUH SOF/SAR15[71]5대 주문, 특수 부대 사령부에서 운용[72]
유로콥터 AS532프랑스VIP 수송AS532 U23[73]
NHI NH90유럽 연합수송 / CSARNH90 TTH-육군 운용 (공군 미운용)
훈련기
그로브 G 120독일기본 훈련기G 120A / G 120TP6 / 11[74]G 120A는 루프트한자 비행 훈련 학교 위탁 운용
T-6 텍산 II미국기본 훈련기T-6미상미국 셰퍼드 공군기지에서 유로-나토 합동 제트 조종사 훈련(ENJJPT)용으로 운용
T-38 탤론미국고등 훈련기T-38C30미국 셰퍼드 공군기지에서 유로-나토 합동 제트 조종사 훈련(ENJJPT)용으로 운용
무인 항공기
RQ-4 유로 호크미국 / 유럽 연합HALE 정찰기RQ-4B Block 20 기반-개발 중단
IAI 헤론이스라엘MALE 정찰/감시헤론 16[75]
IAI 에탄이스라엘MALE 정찰/타격 (UCAV)헤론 TP0[75]5대 주문[75]



참고: 독일은 다국적 다목적 공중 급유 수송기대(MMF) 프로그램을 통해 에어버스 A330 MRTT 공중 급유기를 공동 운용하고 있다[76]. 또한, 노르웨이 헬리콥터스 플란데렌과 계약하여 H145 헬리콥터 훈련을 제공받고 있다[77]. 과거 운용했던 F-4 팬텀, MiG-29 등은 퇴역하였다.

4. 2. 방공 시스템



이름원산지유형비고
MIM-104 패트리어트미국SAM9대 운용 중,[78][79] 8개 신규 시스템 주문[80][81]
오첼로트독일이동형 SAM 시스템67대 – FIM-92 스팅어 장착[82]
IRIS-T SLM독일SAM 시스템Luftverteidigungssystem Nah- und Nächstbereichsschutz (LVS NNbS): 6개 시스템 주문, 2개 추가 계획.[83] 2024년 8월 첫 시스템 인도[84]
애로우 3이스라엘탄도 미사일 방어 시스템2025년 인도 예정, 3개 시스템[85]


4. 3. 레이더

공군은 지상 감시 레이더 406F, RRP 117 시스템, 헨졸트 ASR-S 레이더, 그리고 통제된 항공 교통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이탈리아제 셀렉스 RAT-31DL 레이더를 포함하여 여러 종류의 레이더를 운용하고 있다.[86][87]

5. 인원

2010년 기준으로 독일 공군의 현역 병력은 약 42,200명, 예비군은 약 15,300명이었다.[95]

2011년 9월 20일, 당시 국방부 장관이었던 토마스 데 메지에르는 공군 병력을 23,000명 수준으로 감축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50]

2012년 기준으로 독일 공군은 44,565명의 현역 공군 병력과 4,914명의 예비군을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공군 소속 민간 인력은 5,950명의 공무원 및 직원 규모로 감축될 예정이었다. 이들 민간 인력의 대부분은 정비 부서와 공군 소방서 등에서 근무한다.

6. 계급

독일 연방군의 계급은 독일 육군의 계급과 동일하다. 공군의 야전복은 육군 야전복과 동일하다. 공군의 정복은 금색-노란색 날개가 있는 짙은 파란색이며, 깃장을 착용한다. 머리에는 짙은 파란색 사이드캡 또는 짙은 파란색 정모를 착용할 수 있다. 독일 공군 연대 소속원은 짙은 파란색 베레모를 착용한다.

'''장교 계급장'''[52]

NATO 코드OF-9OF-8OF-7OF-6OF-5OF-4OF-3OF-2OF-2OF-1OF-1
계급장
독일 공군 대장 계급장
독일 공군 중장 계급장
독일 공군 소장 계급장
독일 공군 준장 계급장
독일 공군 대령 계급장
독일 공군 중령 계급장
독일 공군 소령 계급장
독일 공군 참령 계급장
독일 공군 대위 계급장
독일 공군 상위 계급장
독일 공군 소위 계급장
계급명대장
(General)
중장
(Generalleutnant)
소장
(Generalmajor)
준장
(Brigadegeneral)
대령
(Oberst)
중령
(Oberstleutnant)
소령
(Major)
참령
(Stabshauptmann)
대위
(Hauptmann)
상위
(Oberleutnant)
소위
(Leutnant)



'''부사관 계급장'''[53]

NATO 코드OR-9OR-8OR-7OR-6OR-5OR-4OR-3OR-2OR-1
계급장
독일 공군 수석상사 계급장
독일 공군 상사 계급장
독일 공군 선임상사 계급장
독일 공군 중사 계급장
독일 공군 펠트베벨 계급장
독일 공군 병장 계급장
독일 공군 상병 계급장
독일 공군 슈타프스코르포랄 계급장
독일 공군 코르포랄 계급장
독일 공군 수석일등병 계급장
독일 공군 일등병 계급장
독일 공군 상등병 계급장
독일 공군 이등병 계급장
독일 공군 게프라이터 계급장
독일 공군 사병 계급장
계급명수석상사
(Oberstabsfeldwebel)
상사
(Stabsfeldwebel)
선임상사
(Hauptfeldwebel)
중사
(Oberfeldwebel)
펠트베벨
(Feldwebel)
병장
(Stabsunteroffizier)
상병
(Unteroffizier)
슈타프스코르포랄
(Stabskorporal)
코르포랄
(Korporal)
수석일등병
(Oberstabsgefreiter)
일등병
(Stabsgefreiter)
상등병
(Hauptgefreiter)
이등병
(Obergefreiter)
게프라이터
(Gefreiter)
사병
(Flieger)
계급장
(장교 임명 예정)
colspan=8 rowspan=2|
독일 공군 오버펜리히 계급장
독일 공군 펜리히 계급장
독일 공군 파넨융커 계급장
colspan=14 rowspan=2|
계급명
(장교 임명 예정)
오버펜리히
(Oberfähnrich)
펜리히
(Fähnrich)
파넨융커
(Fahnenjunker)



일반적으로 최고위직인 독일 공군 감찰감은 중장이며, 대장은 독일 연방군 감찰감이다.

'''보충 설명'''


  • 사병(Soldat) 계급은 병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불린다.
  • * Flieger (Flg, S): 항공병
  • * Kanonier (Kan, S): 고사포병

7. 공군 기지

2020년 현재, 독일 공군은 12개의 공군 기지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중 4개 기지(디에폴츠, 혼, 란츠베르크-레흐, 레흐펠트)에는 비행 부대가 주둔하지 않는다. 또한, 2020년 11월에 폐쇄된 베를린 테겔 공항을 포함하여 3개의 민간 공항(쾰른 본 공항, 로스토크-라아게 공항)에도 주둔하고 있다.

이름주요 주둔 부대ICAO 코드IATA 코드활주로개설 연도인근 도시
방향포장크기 (m)
베를린 테겔 공항수송기단; 활주로 폐쇄 후 헬리콥터만 운용EDDTTXL08L/26R아스팔트3022x451948베를린베를린
08R/26L아스팔트2427x45
뷔헬 공군 기지제33 전술 비행단ETSB03/21아스팔트2507x451955뷔헬라인란트팔츠주
쾰른 본 공항수송기단EDDKCGN14L/32R아스팔트3815x601938쾰른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06/24콘크리트2459x45
14R/32L아스팔트1863x45
디에폴츠 공군 기지– (비행 부대 없음)ETND08/26아스팔트1283x451936디에폴츠니더작센주
혼 공군 기지제51 전술 비행단 예비 비행장 (이전 제63 공수 비행단)ETNH08/26콘크리트2440x30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홀츠도르프 공군 기지제64 헬리콥터 비행단ETSH09/27아스팔트2419x301974홀츠도르프작센안할트주
란츠베르크-레흐 공군 기지제74 전술 비행단 예비 비행장ETSA07/25콘크리트2066x301935란츠베르크바이에른주
라우프하임 공군 기지제64 헬리콥터 비행단ETHL09/27아스팔트1646x301940라우프하임바덴뷔르템베르크주
레흐펠트 공군 기지두 번째 A400M 비행단 구성 예정ETSL03/21콘크리트2678x301912클로스터레흐펠트바이에른주
노이부르크 공군 기지제74 전술 비행단ETSN09/27아스팔트2440x301960노이부르크바이에른주
뇌르페니히 공군 기지제31 전술 비행단ETNNQOE07/25아스팔트2439x451954뇌르페니히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로스토크-라아게 공항제73 전술 비행단ETNLRLG10/28콘크리트2500x451984라아게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슐레스비히 공군 기지제51 전술 비행단ETNSWBG05/23아스팔트2439x30슐레스비히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비트문트하펜 공군 기지제71 "리히트호펜" 전술 비행단ETNT08/26아스팔트2440x301951비트문트니더작센주
분스토르프 공군 기지제62 공수 비행단ETNW08/26아스팔트1877x46.51936분스토르프니더작센주
03/21아스팔트1699x47.5
08/26잔디1088x40


참조

[1] 웹사이트 Bundeswehr https://www.bundeswe[...] 2023-11-18
[2] 서적 Tradition und Traditionsverständnis in der Deutschen Luftwaffe: Geschichte - Gegenwart - Perspektiven https://books.google[...] BoD – Books on Demand
[3] 웹사이트 Kommando Luftwaffe https://www.bundeswe[...] 2024-01-26
[4] 간행물 The Military Balance 2012
[5] 웹사이트 Jagdgeschwader 71 "Richthofen" https://www.geschich[...] 2019-03-15
[6] 웹사이트 German F-104 losses (Ed Rasimus; LT Scott A. Norton, USN; Mike Schmitt; anon) http://yarchive.net/[...] 2014-12-24
[7] 웹사이트 MiG-29s leave Luftwaffe http://www.flug-revu[...] Flug Revue 2010-06-24
[8] 뉴스 The Victoria Advocate - Google News Archive Search https://news.google.[...] 2014-12-24
[9] 서적 Deliberate Force: a case study in effective air campaigning DIANE Publishing
[10] 서적 Challenges for the new peacekeepers Oxford University Press
[11] 뉴스 Historic day for Germany http://news.bbc.co.u[...] 2006-11-01
[12] 웹사이트 The History of Fighter Bomber Wing 32 http://stampa.aerona[...] 2012-05-22
[13] 뉴스 Germans takes over Baltic NATO mission http://www.baltictim[...] Baltic News Ltd. 2006-11-01
[14] 뉴스 Germany hails Eurofighter's Baltic debut as 'mission accomplished' http://www.flightglo[...] Dan Thisdell 2009-11-29
[15] 웹사이트 Recce-Tornados in Afghanistan http://www.luftwaffe[...] Luftwaffe.de 2018-05-04
[16] 뉴스 Germany Announces Major Armed Forces Cuts Key Publishing 2004-03
[17] 뉴스 Breakdowns highlight Germany's struggles to project military might http://www.stripes.c[...] 2014-09-27
[18] 뉴스 Germany's von der Leyen admits major Bundeswehr shortfalls http://www.dw.de/ger[...] Deutsche Welle 2014-09-28
[19] 웹사이트 Long live the Chinook: Germany chooses CH-47F to replace its CH-53Gs https://www.aviacion[...] Aviacionline 2022-04-22
[20] 웹사이트 German Eurofighter Typhoons demonstrate interoperability and aerial diplomacy over the Negev desert http://www.airbus.co[...] 2018-01-10
[21] 웹사이트 Eurofighter outline why they believe Typhoon is 'the Perfect Choice for Germany' https://ukdefencejou[...] 2018-04-26
[22] 웹사이트 Germany – C-130J and KC-130J Aircraft - The Official Home of the Defense Security Cooperation Agency https://www.dsca.mil[...] 2019-02-08
[23] 웹사이트 France –C-130J Aircraft - The Official Home of the Defense Security Cooperation Agency https://www.dsca.mil[...] 2019-02-08
[24] 웹사이트 Germany picks Super Hornet and more Eurofighters for Tornado replacement https://www.flightgl[...] 2020-04-21
[25] 뉴스 Germany won't be buying US planes to replace aging Tornados before 2022, official says https://www.stripes.[...] 2021-01-30
[26] 웹사이트 Nukes Drive Germany's Plan To Replace Tornados With Typhoons, Super Hornets, and Growlers https://www.thedrive[...] 2020-01-30
[27] 웹사이트 Here's Where Boeing Aims To Take The Super Hornet In The Decades To Come https://www.thedrive[...] 2020-03-31
[28] 웹사이트 Goodbye C-160 Transall https://eatc-mil.com[...] European Air Transport Command 2021-10-11
[29] 뉴스 Germany to buy 35 Lockheed F-35 fighter jets from U.S. amid Ukraine crisis https://www.reuters.[...] 2022-03-15
[30] 뉴스 Germany Is in Talks to Buy 10 Additional F-35 Fighter Jets https://www.bloomber[...] 2024-06-21
[31] 뉴스 Germany to Buy F-35 and Typhoon Fighters as It Boosts Defense Spending https://www.airforce[...] 2022-03-15
[32] 뉴스 Germany to buy 60 heavy transport helicopters from Boeing, Bild am Sonntag reports https://www.reuters.[...] 2022-04-28
[33] 뉴스 Germany plays down Asian involvement as air force sends 13 planes to Australia for Pitch Black exercises https://www.abc.net.[...] 2022-08-16
[34] 웹사이트 Germany prepares to host NATO's biggest ever air exercise over Europe https://www.euronews[...] 2023-06-07
[35] 웹사이트 Orbats - Scramble http://www.scramblem[...] Scramblemagazine.nl 2013-08-16
[36] 웹사이트 Eurofighter Typhoon Marks Delivery of 400th Aircraft http://www.eurofight[...] 2013-12-04
[37] 서적 Die Neuausrichtung der Bundeswehr http://www.bmvg.de/r[...] German Ministry of Defence 2012-06
[38] 웹사이트 Einsatzführungsbereich 2 http://www.luftwaffe[...] German Air Force 2018-05-21
[39] 웹사이트 Einsatzführungsbereich 3 http://www.luftwaffe[...] German Air Force 2018-05-21
[40] 웹사이트 Mission accomplished – well done! http://www.luftwaffe[...] Homepage der Luftwaffe 2016-07-26
[41] 웹사이트 Weniger in Upjever – mehr in Wittmund http://www.nwzonline[...] 2015-03-05
[42] 뉴스 German Air Force leaving Holloman by 2019 https://www.alamogor[...] 2024-02-23
[43] 웹사이트 Letzter gemeinsamer Flug von Tornado und F-16 in Holloman https://www.bundeswe[...] mediakompakt 2024-02-23
[44] 간행물 Thiesen takes command of GAF TTC, prepares for move to Sheppard https://www.sheppard[...] United States Air Force 2024-02-23
[45] 웹사이트 News - Portal Aeronautical Publications http://www.mil-aip.d[...] 2014-12-24
[46] 문서 DoD Information Publication (Enroute) Supplement Europe, North Africa and Middle East
[47] 웹사이트 Great Circle Search http://gc.kls2.com/a[...] 2014-12-24
[48] 웹사이트 Ministerin: Tegel schließt, die Bundeswehr bleibt (jedenfalls die Hubschrauber) https://augengeradea[...] 2020-12-28
[49] 웹사이트 Lechfeld: A400M-Stationierung auch ohne Interesse aus der Nato https://www.br.de/na[...] 2022-02-18
[50] 웹사이트 "The Military Balance 2013" http://www.tandfonli[...] 2013-03-14
[51] 웹사이트 Ausbildungseinrichtungen http://www.luftwaffe[...] 2018-06-21
[52] 웹사이트 Dienstgradabzeichen Luftwaffe https://www.bundeswe[...] Bundeswehr 2021-05-30
[53] 웹사이트 Dienstgradabzeichen Luftwaffe https://www.bundeswe[...] Bundeswehr 2021-05-30
[54] 웹사이트 Tornado https://www.bundeswe[...]
[55] 웹사이트 Electronic Warfare Typhoon EK Fighter To Join German Air Force https://www.twz.com/[...] 2024-04-25
[56] 웹사이트 Germany clinches $8 billion purchase of 35 F-35 aircraft from the US https://www.defensen[...] 2023-05-23
[57] 트위터 https://twitter.com/[...]
[58] 웹사이트 Airbus A319 CJ (Corporate Jetliner) http://www.luftwaffe[...] 2018-05-20
[59] 웹사이트 World Air Forces 2022 https://www.flightgl[...] 2022-06-25
[60] 뉴스 World Air Forces 2023 https://www.flightgl[...] Flightglobal Insight 2023-05-12
[61] 웹사이트 Das BAAINBw übernimmt zweiten Airbus A321LR für die Bundeswehr https://www.pressepo[...] 2022-08-12
[62] 웹사이트 Die nächste A350 für Deutschland ist fertig https://www.flugrevu[...] FlugRevue 2023-03-16
[63] 트위터 https://twitter.com/[...]
[64] 트위터 Weiterer #Meilenstein erreicht: 42. deutsche #A400M wurde übernommen und wird aktuell von Sevilla nach #Wunstorf überführt✈️@Team_Luftwaffe Über die OCCAR hat das #BAAINBw insgesamt 53 Maschinen bestellt, die bis 2026 ausgeliefert werden sollen. #Beschaffungläuft 2023-08-21
[65] 웹사이트 Bombardier Global 5000 http://www.luftwaffe[...] 2018-05-20
[66] 웹사이트 Drei Bombardier Global 6000 werden beschafft: Noch mehr Geld für die Flugbereitschaft https://www.flugrevu[...] 2021-12-04
[67] 웹사이트 Germany's third C-130J delivered https://www.scramble[...] 2022-09-07
[68] 웹사이트 Die deutsch-französische Hercules-Staffel in Évreux https://www.bundeswe[...] Bundeswehr 2023-08-21
[69] 웹사이트 CH-53 – unverwüstliche Veteranen der Luftwaffe https://www.bundeswe[...] 2023-01-04
[70] 웹사이트 Chinook-Helikopter, Flottendienstboote, luftlandefähige Fahrzeuge für die Truppe https://www.bmvg.de/[...] Bundesministerium der Verteidigung 2023-08-21
[71] 웹사이트 H145M LUH SOF http://www.luftwaffe[...] Luftwaffe 2018-05-19
[72] 웹사이트 Airbus Helicopters and German Armed Forces sign largest H145M contract | Airbus https://www.airbus.c[...] 2023-12-13
[73] 웹사이트 Cougar AS532 http://www.luftwaffe[...] 2018-05-20
[74] 웹사이트 FLEET CUSTOMERS https://grob-aircraf[...] 2022-06-25
[75] 웹사이트 Neue Planungen zu bewaffneten und bewaffnungsfähigen Drohnen https://dserver.bund[...] Deutscher Bundestag 2023-08-21
[76] 웹사이트 NHV awarded H145 service contract by German Air Force 2022-06-25
[77] 웹사이트 Sieben Tankflugzeuge Airbus A330 MRTT für die NATO http://www.bundesweh[...] Bundeswehr Journal 2018-05-20
[78] 뉴스 Germany to transfer quarter of its Patriot stocks to Ukraine, says Defense Minister https://newsukraine.[...] 2024-07-06
[79] 뉴스 Europe Seeks to Solve the 'Patriot Puzzle' in Ukraine https://www.nytimes.[...] 2024-07-06
[80] 뉴스 Pistorius will vier weitere Patriot-Systeme für die Bundeswehr https://www.faz.net/[...] 2024-07-06
[81] 뉴스 Neue Patriot und PAC-2 GEM-T für die Luftverteidigung der Bundeswehr https://defence-netw[...] 2024-07-06
[82] 웹사이트 Kräfte der Flugabwehrraketengruppe 61 verstärken die eFP Battlegroup Litauen https://web.archive.[...] 2023-05-15
[83] 웹사이트 BAAINBw vergibt Auftrag : Bundeswehr kauft sechs IRIS-T SLM https://www.flugrevu[...] 2023-06-23
[84] 웹사이트 Erste Feuereinheit Iris-T SLM für die Bundeswehr abgenommen https://www.hartpunk[...] 2024-08-19
[85] 웹사이트 Bundestag billigt Beschaffung von Raketenabwehrsystem Arrow 3 https://esut.de/2023[...] 2023-06-26
[86] 웹사이트 6. Without Thales Deutschland … https://www.thalesgr[...] 2023-05-22
[87] 웹사이트 Hensoldt delivers ASR-S radar to German military training centre https://www.airforce[...] 2023-05-22
[88] 웹사이트 Personalzahlen der Bundeswehr https://www.bundeswe[...] Bundesministerium der Verteidigung 2024-01-08
[89] 간행물 北極圏直下、スウェーデンのビッセルで行われたドイツ空軍の実弾射爆撃訓練 문린당 2022-02-01
[90] 뉴스 インド太平洋政策 独が堅持■戦闘機 豪演習初参加/対中関係 見直し着手 2022-08-24
[91] 웹사이트 Chronik über die Einsätze der Luftwaffe http://www.luftwaffe[...] 2010-07-01
[92] 문서 Übersicht über bestehende Auslandsmandate der Bundeswehr (Stand 25.06.2010) http://www.bundestag[...]
[93] 서적 ドイツの安全保障政策
[94] 뉴스 Von Biggles goes bombing with the RAF http://www.timesonli[...] 2010-04-10
[95] 웹사이트 Die Starke der Streitkrafte http://www.bundesweh[...] 2010-07-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