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자연주의 문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자연주의 문학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일본과 유럽에서 자연주의 문학의 경향에 반발하여 등장한 문학 사조이다.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 말 자연주의 문학의 분석적, 결정론적 경향에 반대하여 개인주의적 윤리를 추구하며 탐미주의, 신낭만주의, 신현실주의 등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다. 나가이 가후, 다니자키 준이치로 등의 작가들은 예술지상주의를 표방하며 향락적이고 퇴폐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나쓰메 소세키는 다이쇼 시대 이지주의 문학에 영향을 주었다. 유럽에서는 헨리크 입센 등의 희곡이 상징적, 신비적 경향을 띠면서 모리스 메테를링크 등을 중심으로 반자연주의 희곡이 발전했다. 반자연주의 문학은 탐미파, 여유파, 고답파, 백화파, 신현실주의 등 다양한 파로 나뉘어 각기 다른 가치관을 추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문학사 - 뇨보
뇨보는 일본 헤이안 시대부터 궁중에서 윗사람을 모시던 궁녀를 지칭하는 용어로, 시대에 따라 역할과 의미가 변화했으며 현대 일본어에서는 아내를 뜻하는 단어로도 사용된다. - 일본 문학사 - 일본의 상대문학사
일본의 상대문학사는 일본 고대 문학 시대로, 구승문학에서 기록문학으로 전환되며 고대 가요, 와카, 한시문과 함께 《고사기》, 《일본서기》, 《만엽집》 등의 주요 작품이 편찬되었고 언령 신앙, 도래인 영향, 귀족 향유, 만요가나 등의 특징을 보인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반자연주의 문학 | |
---|---|
문학 사조 | |
정의 | 자연주의 문학에 대한 반발 또는 대안을 제시하는 문학적 경향 |
특징 | |
주관주의 및 낭만주의 경향 | 개인의 내면세계 탐구, 아름다움과 이상 추구 |
다양한 시도 | 상징주의, 심리주의, 신이상주의 등 다양한 문학 기법 활용 |
주요 작가 및 작품 | |
프랑스 | 모리스 바레스 폴 부르제 마르셀 프루스트 |
독일 | 슈테판 게오르게 라이너 마리아 릴케 게르하르트 하우프트만 (자연주의에서 벗어난 작품) |
러시아 | 레오니트 안드레예프 알렉산드르 블로크 안드레이 벨리 |
영국 | 월터 페이터 오스카 와일드 |
일본 | 나쓰메 소세키 모리 오가이 이즈미 교카 다니자키 준이치로 나가이 가후 |
참고 문헌 |
2. 일본의 반자연주의 문학
메이지 시대 말기, 일본 문학에서는 자연주의 문학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인간의 행동을 본성과 환경으로 설명하려는 것에 대한 비판적인 움직임이 나타났다. 모리 오가이, 나쓰메 소세키 등은 자연주의 문학의 편향성을 비판하고 독자적인 개인주의적 윤리를 추구했다.[1] 이러한 경향은 다이쇼 시대에 들어와 탐미주의적인 신낭만주의, 인도적인 신이상주의, 이지적인 신현실주의 등 다채로운 반자연주의 문학 운동으로 이어졌다.[1]
2. 1. 전개
메이지 시대 말기, 자연주의 문학이 일본 문학의 주류를 이루었으나, 인간 행동을 본성과 환경에 따라 분석하고 설명하려는 자연주의 문학의 특징에 대해 모리 오가이, 나쓰메 소세키 등의 작가들은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들은 자연주의 문학의 편향성을 비판하고 독자적인 개인주의적 윤리를 추구했으며, 다이쇼 시대에 들어와 각각 원숙한 작풍을 완성했다. 그 영향으로 젊은 세대의 반자연주의 운동이 일어나 탐미주의적인 신낭만주의, 인도적인 신이상주의, 이지적인 신현실주의 등이 다채롭게 전개되었다. 이들은 자연주의 문학 측으로부터 고답적 자세에 대해 비난을 받기도 했다. 다이쇼 시대는 반자연주의 여러 파의 눈부신 활약이 두드러지나 자연주의의 영향은 강하게 남아있어, 기성작가의 활약 이외에 '기세키(奇蹟)'를 통해 히로츠 가즈오, 우노 고지, 가사이 젠조 등의 신인이 새로운 사소설의 세계를 개척했다.2. 2. 대표 작가 및 작품
나가이 가후는 미다분가쿠(三田文學) 등을 통해 기노시타 모쿠타로, 다니자키 준이치로 등과 함께 예술지상적인 분위기를 조성했다. 나가이 가후는 〈아메리카 모노가타리(아메리카 이야기)〉(1908) 등에서 정서적인 풍속소설의 새 경지를 개척했다. 다니자키 준이치로는 〈시세이(剌靑)〉(1910) 등에서 환상과 공상을 구사하여 관능미를 추구했다. 구보타 만다로는 아사쿠사(淺草) 정서를 그렸고, 사토 하루오는 낭만적, 공상적 세계에 세기말적 권태감을 더했다.2. 3. 영향
모리 오가이는 직접 제자를 가르치지는 않았으나 나가이 가후, 기노시타 모쿠타로 등 많은 후진에게 영향을 주었다. 나쓰메 소세키는 그의 목요회(木曜會)를 통해서 고미야 도요타카(1884-1966), 스즈키 미에키치(1882-1936), 모리다 쇼헤이(1881-1949) 등을 비롯하여 만년의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구메 마사오(1891-1952) 등 다이쇼 시대의 이지(理智)주의를 밑받침하는 문학자, 나아가서 '시라카바(白樺)'파의 무샤노코지 사네아쓰(1885- ? ), 시가 나오야(1883-1971) 등에게도 많은 영향을 끼침으로써, 다이쇼 문학의 한 원천이 되었다.2. 4. 평가
서양과 동양, 외래문화와 전통문화 간의 대립과 갈등이 벌어지던 당시 일본 근대화의 고민을 내면적으로 받아들여 자연주의와는 경계선을 그은 지점에서 현대인이 나아갈 길을 추구하고, 윤리적인 색채가 짙은 문학을 창조했다고 평가된다.3. 유럽의 반자연주의 문학
19세기 말, 모리스 메테를링크를 비롯한 반자연주의 작가들이 출현하였다. 이들은 자연주의의 기계적 결정론, 과학 만능주의에 반발하였다.[1]
3. 1. 반자연주의 희곡
헨리크 입센이나 게르하르트 하웁트만의 희곡이 만년에 이르러 차차 상징적·신비적 경향을 띠어 왔듯이, 19세기 말에는 모리스 메테를링크를 비롯한 반자연주의 작가들이 출현하게 된다. 이들은 자연주의의 기계적인 결정론, 과학 만능주의에 반발하였다. 환경이나 유전에 의해 좌우되는 인물들이 만들어내는 드라마가 아니라 인간의 영혼 내부에 드라마의 근원을 탐구하는 시도가 꾀해지는 것이다. 모리스 메테를링크, 레오니트 안드레예프, 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베리 등의 이른바 <꿈의 희극>에서 그 구체적 예를 볼 수 있다. 또한 세기말의 퇴폐적인 풍조 속에서 아르투어 슈니츨러나 후고 폰 호프만슈탈의 탐미적인 정조극(情調劇)이 태어났다. 헨리크 입센에 의해서 확립된 근대 희곡은 이러한 신비주의·상징주의·유미주의의 작가들을 포함하여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엽에 걸쳐서의 유럽 각국의 자유극장 운동과 결부되어 다방면에 걸쳐 다채롭게 꽃피고, 나아가서는 버나드 쇼나 안톤 체호프에 이르러 완성을 보았다고 볼 수 있다.4. 일본의 반자연주의 제파
메이지 시대 말기, 자연주의 문학이 일본 문학의 주류를 이루었으나, 모리 오가이, 나쓰메 소세키 등은 인간의 행동을 본성과 환경에 따라 분석하고 설명하려는 자연주의 문학에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들은 자연주의 문학의 편향성을 비판하고 독자적인 개인주의적 윤리를 추구했으며, 다이쇼 시대에 들어와 각각 원숙한 작풍을 완성했다. 그 영향으로 젊은 세대의 반자연주의 운동이 일어나 탐미주의적인 신낭만주의, 인도적인 신이상주의, 이지적인 신현실주의 등이 다채롭게 전개되었다. 이들은 자연주의 문학 측으로부터 고답적 자세에 대해 비난을 받기도 했다.
다이쇼 시대에는 반자연주의 여러 파의 눈부신 활약이 두드러졌으나, 자연주의의 영향은 강하게 남아있었다. '기세키(奇蹟)'를 통해 히로츠 가즈오, 우노 고지, 가사이 젠조 등의 신인이 새로운 사소설의 세계를 개척하기도 했다.
4. 1. 탐미파 (耽美派)
나가이 가후, 기노시타 모쿠타로, 다니자키 준이치로 등의 작가들은 '미다분가쿠(三田文學)' 등을 통해 반자연주의적 입장에서 예술지상주의적인 분위기를 문단에 조성시켰다. 이들은 새로운 낭만주의를 찾아 이국(異國) 취미나 에도 정서를 동경하는 관능적인 탐미주의를 심화시켜 향락적·퇴폐적인 경향을 보였다. 나가이 가후는 구미 유학에서 돌아와 <아메리카 모노가타리(아메리카 이야기)>(1908) 등에서 정서적인 풍속소설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했고, 그의 추상(推賞)으로 화려하게 문단에 등장한 다니자키는 <시세이(剌靑)>(1910) 등의 작품에서 환상과 공상을 구사하여 관능미를 찾아 도착적(倒錯的)인 농염(濃艶)한 작풍을 전개했다. 탐미파 작가로 약간 뒤의 구보타 만다로(1889-1963)는 아사쿠사(淺草) 정서를 그려 재능을 보였고, 사토 하루오(1892-1964)는 낭만적·공상적인 세계에 세기말적인 권태감을 더하여 지적이고 섬세한 작풍을 보였다.4. 2. 여유파 (余裕派)
탐미파와 함께 반자연주의 문학의 경향을 보이며, 현실에서 벗어나 정신적인 여유와 초월적인 가치를 추구했다.4. 3. 고답파 (高踏派)
사회 현실과 거리를 두고 고고한 정신세계를 추구하였다.4. 4. 백화파 (白樺派)
백화파는 인도주의적 이상주의를 바탕으로 자아를 긍정하고 인간의 생명력을 중시하였다.4. 5. 신현실주의 (新現実主義)
신현실주의는 현실을 객관적으로 묘사하면서도 인간의 내면 심리와 이성을 중시했다.참조
[1]
서적
研究資料現代日本文学: 小說・戯曲 I
https://books.google[...]
明治書院
2021-11-19
[2]
간행물
明治四〇年前後の明治大学教壇文学者たち-「明治文学会」の可能性と限界
https://hdl.handle.n[...]
明治大学
[3]
간행물
日本近代文学史
https://ir.lib.hiros[...]
広島大学
2021-1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