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위각은 특정 기준선 또는 자오선에서 시계 방향으로 측정되는 수평각을 의미하며, 항해, 천문학, 측지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어원은 아랍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진북, 도북, 자북 방위각 등 여러 종류가 있다. 항해에서는 북쪽을 기준으로, 천문학에서는 수평 좌표계의 한 요소로 사용되며, 측지학에서는 지구 표면의 두 지점 사이의 각도를 나타낸다. 지도 제작, 방위각 계산, 자기 테이프 드라이브, 소리 위치 인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적경, 시각, 극좌표계의 각도와 같은 관련 좌표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구좌표계 - 천정
천정은 관측자의 머리 바로 위 천구상의 점으로, 천정각 측정의 기준 방향으로 사용되며, 태양의 위치, 기블라 관측, 천정 망원경, 천체항해, 그리고 지심 천정과 측지 천정의 구분에 활용된다. - 천구좌표계 - 황도
황도는 지구가 태양을 공전함에 따라 지구에서 보이는 태양의 연중 겉보기 운동 경로로, 천구 적도에 대해 약 23.4° 기울어져 천문학과 점성술에서 기준면으로 사용되며, 춘분점, 추분점 결정과 일식, 월식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측량학 - 측지계
측지계는 지구의 형태와 위치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위도, 경도, 고도 등을 정의하고 측량, 지도 제작, GPS 등에 활용되는 기준 좌표계이다. - 측량학 - 마일
마일은 고대 로마 시대에서 유래한 길이 단위로, 지역과 시대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었으나 현재는 국제 마일로 표준화되었으며, 일부 국가에서 사용되고 여러 영어권 관용구에도 쓰인다.
방위각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정의 | 북쪽 또는 다른 기준 방향에서 측정한 수평각 |
다른 이름 | 방위 |
응용 분야 | |
항법 | 천문항법 육상항법 항공항법 |
측량 | 지적측량 토목측량 |
천문학 | 천체의 위치 측정 |
레이더 | 레이더 안테나의 방향 |
탄도학 | 탄도 궤적 계산 |
음향학 | 음원 방향 결정 |
측정 | |
기준 방향 | 일반적으로 북쪽 |
측정 단위 | 각도 (도, 분, 초) |
측정 방법 | 나침반 경위의 자이로스코프 전지구 위치 결정 시스템 (GPS) |
수학적 표현 | |
수식 | 2차원 극좌표계에서 각도 |
범위 | 0도에서 360도 (또는 -180도에서 +180도) |
계산 | 삼각법을 사용하여 계산 가능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고도 방향 각도 |
참고 | 수평좌표계 |
2. 어원
방위각이라는 단어는 오늘날 모든 유럽 언어에서 사용된다. 이 단어는 중세 아랍어 السموت|알-수무트ar(''as-sumūt''로 발음)에서 유래했는데, "방향들"(아랍어 السمت|알-삼트ar = "방향"의 복수)을 의미한다. 아랍어 단어는 천문학적 맥락에서, 특히 아랍식 천구의 천문 기구의 사용과 관련하여 중세 후기 라틴어로 들어왔다.[3] 영어로 처음 기록된 사용은 1390년대 제프리 초서의 ''천구의에 관한 논문''에 있다.[3] 서구 언어 중 최초로 알려진 기록은 1270년대 스페인어로 된 천문학 책인 알폰소 10세 카스티야 국왕이 의뢰한 ''천문학 지식의 책''에 있으며, 이 책은 대부분 아랍 자료를 바탕으로 했다.[3]
방위각은 기준에 따라 진북방위각, 도북방위각, 자북방위각 등으로 나뉜다.[13]
3. 종류
기준 방위는 방위각 0°의 방위이며, 좌표축의 x축 방향이다. 우좌표계에서는 동쪽을 기준 방위로 하고 반시계 방향을 양의 각도로 한다. 좌표계에서는 북쪽을 기준 방위로 하고 시계 방향을 양의 각도로 한다. 드물게 남쪽을 기준 방위로 하는 좌표계 정의도 존재한다.
이러한 좌표계 사용은 측량이나 항법 등의 분야에서 표준적이다.[11] 경위도(경도, 위도) 순서와 비슷한 상황이다.
동쪽, 서쪽, 남쪽, 북쪽 방향에 상당하는 방위각의 값은 아래 표와 같다.방위/기준 좌표계 북기준 좌표계 남기준 우좌표계 동기준 북쪽 0°/360° 180° 90° 동쪽 90° 270° 0°/360° 남쪽 180° 0°/360° 270° 서쪽 270° 90° 180°
방위각의 값과 좌표축 방향의 대응은 아래 표와 같다.방위각 0° 90° 180° 270° 좌표축 방향
3. 1. 진북방위각
자오선 북쪽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잰 각을 진북방위각이라고 한다.[14]
3. 2. 도북방위각
도북방위각은 지도상의 북쪽인 도북을 기준으로 측정한 방위각이다.[13]
3. 3. 자북방위각
기준에 따라 진북방위각, 도북방위각, 자북방위각 등이 있다.[13]
4. 항해
일반적으로 항해에서 방위각은 진북을 기준으로 0°로 나타내며, 그레이드, 밀과 같은 다른 단위들도 사용될 수 있다.[5][6][7][8][9] 방위각은 360°를 넘을 수 없으므로, 360° 원에서는 최대 359도 59분 59초 (359° 59' 59")까지 나타낼 수 있다.
360° 원에서 시계 방향으로 움직일 때, 동쪽은 90°, 남쪽은 180°, 서쪽은 270°의 방위각을 가진다. 하지만 일부 항해 시스템에서는 남쪽을 기준으로 하는 예외도 있다. 어떤 방향이든 기준이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다면, 그 방향을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방위각은 나침반 방위로 표시할 때, 북쪽 또는 남쪽을 0으로 하고 0에서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각도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남쪽에서 동쪽으로 30도"는 "S30°E"로 সংক্ষিপ্ত하게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북쪽에서 시계 방향으로 150°를 의미한다. 기준 방향은 항상 북쪽 또는 남쪽이며, 회전 방향은 동쪽 또는 서쪽이다. 각도는 0도와 90도 사이의 양수가 되도록 선택한다. 방위가 주요 방위 중 하나와 정확히 일치하는 경우에는 "정동"과 같은 표기법을 사용한다.
방향 | 방위각 |
---|---|
N | 0° |
NNE | 22.5° |
NE | 45° |
ENE | 67.5° |
E | 90° |
ESE | 112.5° |
SE | 135° |
SSE | 157.5° |
방향 | 방위각 |
---|---|
S | 180° |
SSW | 202.5° |
SW | 225° |
WSW | 247.5° |
W | 270° |
WNW | 292.5° |
NW | 315° |
NNW | 337.5° |
5. 천문학
천체항해에 사용되는 수평 좌표계에서 방위각은 두 좌표 중 하나이다.[4] 다른 하나는 지평선 위의 높이를 나타내는 ''고도''이다. 인공위성 안테나 설치에도 방위각이 사용된다.[4] 현대 천문학에서 방위각은 거의 항상 북쪽에서 측정된다.
좌표계에서는 북쪽을 기준 방위로 하고 시계 방향을 양의 각도로 한다. 남쪽을 기준 방위로 하는 좌표계 정의도 일부 존재한다.
동쪽, 서쪽, 남쪽, 북쪽 방향에 상당하는 방위각의 값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방위/기준 | 좌표계 북기준 | 좌표계 남기준 | 우좌표계 동기준 |
---|---|---|---|
북쪽 | 0°/360° | 180° | 90° |
동쪽 | 90° | 270° | 0°/360° |
남쪽 | 180° | 0°/360° | 270° |
서쪽 | 270° | 90° | 180° |
6. 측지학
측지학에서 방위각은 지구 표면 상의 두 지점 사이의 각도를 나타낸다. 지구를 구로 가정하거나 타원체로 가정하는 등, 계산 방법에 따라 법선 단면 방위각과 측지 방위각(측지선 방위각)으로 나눌 수 있다.[10]
법선 단면 방위각과 측지 방위각의 차이는 일반적으로 무시해도 될 정도로 작다. 예를 들어 100km 미만의 거리에서는 0.03초 미만이다.[10]
만약 지구가 약간 납작한 구(타원체)라고 가정하면, 방위각은 법선 단면 방위각과 측지 방위각으로 나뉜다. 법선 단면 방위각은 타원체 표면에 수직인 축을 가진 세오돌라이트로 관측 지점에서 측정한 각도이다. 측지 방위각(또는 측지선 방위각)은 북쪽과 관측 지점에서 다른 지점까지의 타원체 측지선(타원체 표면에서 최단 경로) 사이의 각도이다.
7. 지도 제작
지도 방위각(또는 격자 방위각)은 평면(지도 좌표)에서 두 점의 좌표를 통해 계산할 수 있다. 이때 기준 축은 수학적 극좌표계와 달리 북쪽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이며, X축과 Y축이 바뀌어 있다.[11] 방위각이 음수가 되면 360°를 더할 수 있다.
방위각(십진도 단위)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다.
:
라디안 단위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
일반적인 atan2 입력 순서와 달리 순서가 바뀐 것에 주의해야 한다.
한 점의 좌표(''X''1, ''Y''1), 거리 ''D'', 그리고 다른 점(''X''2, ''Y''2)까지의 방위각 ''α''가 주어지면, 다른 점의 좌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이는 레이더 응용 분야에서 삼각측량과 방위각 식별(AzID)에 사용된다.
방위도법은 중심점에서의 방향(방위각)을 보존하는 특징이 있다.
좌표계에서는 북쪽을 기준 방위로 하고 시계 방향을 양의 각도로 한다. 우좌표계에서는 동쪽을 기준 방위로 하고 반시계 방향을 양의 각도로 한다.
동쪽, 서쪽, 남쪽, 북쪽 방향에 해당하는 방위각의 값은 다음 표와 같다.
8. 방위각 계산
지구를 구로 가정했을 때, 두 지점의 위도와 경도를 알면 방위각을 계산할 수 있다. 위도 , 경도 0인 지점에서 위도 , 경도 ''L''(동쪽이 양의 값)인 지점 2를 바라볼 때 방위각 ''α''는 다음 식으로 근사할 수 있다.
:
더 정확하게는 지구가 약간 납작한 타원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법선 단면 방위각'''은 타원체 표면에 수직인 축을 가진 세오돌라이트로 측정한 각도이고, '''측지 방위각'''(또는 '''측지선 방위각''')은 북쪽과 두 지점 사이의 타원체 측지선(타원체 표면에서 최단 경로) 사이의 각도이다. 이 차이는 100km 미만의 거리에서는 0.03초 미만으로 매우 작다.[10]
법선 단면 방위각은 다음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
여기서 ''f''는 선택한 타원체의 납작함이고 ''e''는 이심률이다(예: WGS84의 경우).
만약 ''φ''1 = 0이면,
:
지도 좌표를 통해 평면 상에서 두 점 사이의 방위각('''지도 방위각''' 또는 '''격자 방위각''')을 계산할 수도 있다. 십진도 단위의 방위각 는 다음과 같다.
:
이때 기준 축은 수학적 극좌표계와 달리 북쪽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이므로, X축과 Y축이 바뀐 것에 유의해야 한다. 방위각이 음수가 되면 360°를 더할 수 있다. 라디안 단위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
atan2 함수의 입력은 일반적인 순서가 아닌 순서임에 유의해야 한다.
만약 한 점의 좌표(''X''1, ''Y''1), 거리 ''D'', 방위각 ''α''가 주어지면, 다른 점의 좌표(''X''2, ''Y''2)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이는 레이더 응용 분야에서 삼각측량 및 방위각 식별(AzID)에 사용된다.
9. 기타 용도
자기 테이프 드라이브에서 방위각은 테이프 헤드와 테이프 사이의 각도를 말한다.
소리 위치 인지 실험 및 문헌에서 방위각은 머리 안쪽에서 눈 사이의 영역을 통과하는 상상의 직선과 소리 원이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1]
조선에서 방위각 추진기는 수평으로 회전할 수 있는 프로펠러이다.[2]
10. 관련 좌표
수평선에서 측정하는 대신 천구 적도를 따라 각도를 측정하면, 춘분점을 기준으로 측정한 각도를 적경, 천구 자오선을 기준으로 측정한 각도를 시각이라고 한다.
수학에서 원통 좌표계 또는 구면 좌표계에서의 방위각은 양의 ''x''축과 벡터를 ''xy''평면에 사영한 벡터 사이의 반시계 방향 각도이다. 방위각의 특수한 경우는 ''xy''평면에서 벡터의 성분에 대한 극좌표계의 각도이지만, 이 각도는 일반적으로 라디안으로 측정되며 ''θ''로 표기된다.
기준 방위는 방위각 0°의 방위이며, 좌표축의 x축 방향이다. 우좌표계에서는 동쪽을 기준 방위로 하고 반시계 방향을 양의 각도로 한다. 좌표계에서는 북쪽을 기준 방위로 하고 시계 방향을 양의 각도로 한다.[11] 경위도(경도, 위도)의 순서에 대해서도 비슷한 상황이 존재한다.
동쪽, 서쪽, 남쪽, 북쪽 방향에 상당하는 방위각의 값을 아래 표에 나타낸다.
방위/기준 | 좌표계 북기준 | 좌표계 남기준 | 우좌표계 동기준 |
---|---|---|---|
북쪽 | 0°/360° | 180° | 90° |
동쪽 | 90° | 270° | 0°/360° |
남쪽 | 180° | 0°/360° | 270° |
서쪽 | 270° | 90° | 180° |
방위각의 값과 좌표축 방향과의 대응을 아래 표에 나타낸다.
방위각 | 0° | 90° | 180° | 270° |
좌표축 방향 |
참조
[1]
문서
[2]
사전
azimuth
[3]
웹사이트
Azimuth
https://archive.org/[...]
2014-01-02
[4]
서적
The Wilderness Route Finder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0
[5]
간행물
Map Reading and Land Navigation
Headquarters, Dept. of the Army
1993-05-07
[6]
간행물
Map Reading and Land Navigation
Headquarters, Dept. of the Army
1956-03-28
[7]
간행물
[8]
간행물
Advanced Map and Aerial Photograph Reading
Headquarters, War Department
1941-09-17
[9]
간행물
Advanced Map and Aerial Photograph Reading
Headquarters, War Department
1944-12-23
[10]
서적
Geodesy
De Gruyter
2012
[11]
문서
[12]
문서
[13]
서적
측량학1
형설출판사
2013
[14]
서적
측량학1
형설출판사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