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순아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배순아목(Notaspidea)은 바다 달팽이, 바다 고둥 또는 가짜 삿갓조개를 포함하는 바다 후새류 복족류 연체동물의 하위 분류였다. 2005년 부셰 & 로크루아의 분류에서 검둥이삿갓조개과(Umbraculidae)와 둥근삿갓조개과(Tylodinidae)는 검둥이삿갓조개류(Umbraculida)의 일부인 검둥이삿갓조개상과(Umbraculoidea)에 속한다. 배순아목에는 군소붙이과(Pleurobranchidae), 틸로디나과(Tylodinidae), 삿갓군소붙이과(Umbraculidae)가 속하며, 형태적 특징은 종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복족류 - 달팽이
달팽이는 복족류에 속하며 배 전체를 발처럼 써서 느리게 이동하고 껍데기 유무와 서식 환경에 따라 종류가 나뉘며, 자웅동체로 교미하여 번식하고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여러 천적에게 포식당하고 인간과 복잡한 관계를 맺으면서 문화적으로 다양한 상징성을 갖는다. - 복족류 - 민달팽이
민달팽이는 껍데기가 퇴화된 형태를 가지며 달팽이와 같은 진유폐류 눈가류에 속하는 여러 계통의 종들을 아우르는 다계통군으로, 껍질 소실은 운동의 자유와 좁은 공간 이용 등 생존에 유리한 이점을 제공하며 일부 종은 농업 해충으로 간주되지만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다양한 문화적 상징으로도 나타난다.
배순아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학적 정보 | |
계 | 동물계 |
문 | 연체동물문 |
강 | 복족강 |
아강 | 직복족아강(옛 분류) |
상목 | 이새류(옛 분류) |
목 | 후새목(옛 분류) |
아목 | 배순아목 (Notaspidea) |
아목 명명자 | P. Fischer, 1883 |
하위 분류 | |
과 | 본문 참조 |
참고 문헌 | R. Willan, Phylogenetic systematics of the Notaspidea (Opisthobranchia) with a reappraisal of families and genera, AM; Malacol. Bull., 1987, 5, pp. 215–241 Aldo Spinella, Ernesto Mollo, Enrico Trivellone and Guido Cimino, Testudinariol A and B, two unusual triterpenoids from the skin and the mucus of the marine mollusc Pleurobrancus testudinarius, Tetrahedron, December 1997, 53, 49, pp. 16891–16896 |
2. 분류의 역사
배순아목(Notaspidea)은 '곁아가미 민달팽이'라고도 불리며, 바다 달팽이와 바다 고둥 또는 가짜 삿갓조개를 모두 포함하는 바다 후새류 복족류 연체동물의 계통 분류 하위 분류였다.
그러나, 새로운 부셰 & 로크루아의 분류 (2005)에서는, 검둥이삿갓조개과(Umbraculidae)와 둥근삿갓조개과(Tylodinidae)는 클레이드 검둥이삿갓조개류(Umbraculida)의 일부인 상과 검둥이삿갓조개상과(Umbraculoidea 달, 1889)에 속한다. Grande 외 (2004)는 검둥이삿갓조개류가 머리없는조개류 (Acteonoidea 제외)의 자매 클레이드임을 발견했다.[2]
둥근삿갓조개과와 검둥이삿갓조개과는 크고 삿갓조개와 같은 외부 껍질과 작은 외투막을 가지고 있는 반면, 군소붙이과(Pleurobranchidae)의 종은 두드러진 외투막과 성체에서 줄어들거나 사라지는 내부 껍질을 가지고 있다.[3]
2. 1. 과 (Families)
배순아목에는 군소붙이과(Pleurobranchidae) Menke, 1828, 틸로디나과(Tylodinidae) Gray, 1847, 삿갓군소붙이과(Umbraculidae) Dall, 1889가 속한다.[7] 2005년 부쉐와 로크루아의 복족류 분류에서는 삿갓군소붙이과(Umbraculidae)와 틸로디나과(Tylodinidae)를 산각류에 속하는 산각상과의 일부로, 산각상과는 두순류(비자고둥상과 제외)의 자매군으로 분류했다.[7]2. 2. 형태적 특징
참조
[1]
웹사이트
Notaspidea
http://www.marinespe[...]
2015-02-12
[2]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Opisthobranchia (Mollusca, Gastropoda) based on mitochondrial cox1, tmV, and rmL genes
[3]
논문
Phylogenetic systematics of the Notaspidea (Opisthobranchia) with a reappraisal of families and genera
[4]
논문
Testudinariol A and B, two unusual triterpenoids from the skin and the mucus of the marine mollusc ''Pleurobrancus testudinarius''.
1997-12
[5]
저널
Phylogenetic systematics of the Notaspidea (Opisthobranchia) with a reappraisal of families and genera
[6]
저널
Testudinariol A and B, two unusual triterpenoids from the skin and the mucus of the marine mollusc Pleurobrancus testudinarius
http://www.sciencedi[...]
2012-03-19
[7]
저널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Opisthobranchia (Mollusca, Gastropoda) based on mitochondrial cox1, tmV, and rmL gen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