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양 이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배양 이론은 조지 거브너에 의해 개발된 이론으로, 텔레비전 시청이 시청자의 사회 현실 인식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을 분석한다. 이 이론은 텔레비전을 많이 시청할수록 텔레비전에서 묘사되는 현실을 실제와 가깝게 믿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배양 이론은 메시지 시스템 분석, 배양 분석, 제도적 과정 분석의 세 가지 분석 유형을 포함하며, 텔레비전 폭력 노출이 시청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주류화, 공명, 배양 차이 등의 개념을 통해 미디어의 영향을 설명한다. 이론은 폭력에 대한 인식, 성 역할, 인종 및 민족에 대한 인식, 정치 및 사회 정책에 대한 태도 등 다양한 측면에 적용되어 왔으며, 뉴미디어 환경에서도 그 영향력을 연구하고 있다. 그러나 배양 이론은 텔레비전 시청과 현실 인식 간의 상관관계에도 불구하고, 개인의 세계관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는 비판과, 기술 변화에 따른 이론의 한계에 대한 지적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배양 이론 | |
---|---|
배양 이론 | |
![]() | |
개요 | |
유형 | 미디어 연구, 심리 이론 |
제안 | 텔레비전을 많이 보는 사람들은 세상이 '실제'로 어떤 모습인지에 대한 일관된 관점을 개발한다. |
분야 | 미디어 효과 |
창시자 | 조지 거브너 |
영향 | |
영향 받은 이론 | 액세서빌리티 진단 모델 통합-변화 이론 |
핵심 개념 | |
주류화 | 텔레비전 시청은 다양한 그룹 간의 견해 차이를 희석시킨다. |
공명 | 개인의 실제 경험과 텔레비전에서 본 것이 일치할 때 발생한다. |
평균 세계 증후군 | 폭력에 대한 과장된 두려움으로 이어진다. |
비판 | |
방법론적 문제 | 인과 관계를 확립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
과도한 단순화 | 모든 시청자가 동일한 방식으로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한다. |
대안적 설명 무시 | 텔레비전 외 다른 요인들의 영향력을 고려하지 않는다. |
관련 인물 | |
관련 학자 | 조지 거브너 낸시 시그먼 마이클 모건 제임스 섀너핸 스튜어트 홀 레오 그로스 |
2. 이론의 기원과 발전
매스미디어 연구에서 효과이론은 탄환이론, 피하주사이론 등에서 시작해 1940년대 제한효과이론으로 강도가 낮아졌다가 1970년대 ‘어젠다 세팅 이론’ 등 중효과이론이 등장하고, 1990년대에는 침묵의 나선 이론, 프레이밍 이론, 제3자 효과 이론 등 ‘강효과 이론’이 주목받는 추세다.
‘배양이론(cultivation theory)’은 조지 거브너(George Gerbner)의 연구에 기반한 이론으로, 위 분류에 따르자면 중효과 이론에 해당한다.
거브너는 배양이 일어나는 방식을 주류화(mainstreaming)와 공명(resonance) 등 두 가지 개념으로 설명한다.
- 주류화: ‘중시청자’들이 서로 유사한 경향성과 시각, 의미를 공유하게 되는 현상, 즉 사고방식의 공통성을 창출하는 과정을 일컫는 말이다. 이는 시청자 자신이 실제로 조건지워진 ‘경제적’, ‘정치적’ 차별을 흐려놓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 ‘경시청자’는 자기 자신의 정치, 경제적 지위를 정확히 인식한 반면, ‘중시청자’는 자신의 수입과 상관없이 스스로를 중산층이라고 판단하고, 스스로는 정치적으로 중립이라고 생각하지만, 따져보면 낮은 세금과 경찰 보호, 강력한 국가방위 등 보수적 정치 이슈에 찬성하는 반면 진보적 정치 이슈에는 반대하는 ‘정치적 우익’으로 변화시켰다. (거브너는 이를 ‘신 대중주의’라고 이름붙였다.)
- 공명: ‘중시청자’가 현실에서 일부 겪었던 경험을 TV를 시청하면서 유사한 장면이 나올 때마다 반복 재생하도록 만드는 것을 말한다. 텔레비전에서 본 것과 현실 환경의 일치가 서로 공명하고 증폭되어 배양이라는 패턴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 저소득층 거주지일 수록 하루 종일 TV를 켜놓는 경우가 많은데, 결국 이런 지역에 거주하는 ‘중시청자’들은 TV를 통해 일상적으로 야만적인 폭력을 경험한 결과 삶의 터전을 더욱 두렵게 여기게 된다.
배양 이론은 텔레비전 매체가 시청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후 거브너의 연구는 미국의 시나리오 작가 래리 그로스(Larry Gross)에 의해 확장되고 발전되었다.[4] 거브너는 1973년에 대중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패러다임을 공식화했는데, 여기에는 세 가지 유형의 분석이 포함되었다.[5]
배양 이론은 텔레비전이 시청자에게 미치는 영향, 특히 텔레비전을 통한 폭력 노출이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테스트하는 방법으로 시작되었다.[7] 이 이론의 핵심 명제는 "사람들이 텔레비전 세계에서 '사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사회 현실이 텔레비전에서 묘사되는 현실과 일치한다고 믿을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이다.[8]
배양 이론의 전통적인 관점은 장르 선택보다는 개인의 전반적인 시청 습관에 중점을 두었다. 이는 시청자가 사용할 수 있는 선택의 폭이 적었기 때문이다. 기술의 변화에 비추어 볼 때, 시청 시간의 양을 시청 선택과 결합할 수 있다. 거브너는 시청자들이 텔레비전을 사용하여 자신의 삶에서 발생하지 않은 특정 경험에 대한 지식의 "격차를 메운다"고 믿었다.[6] 배양 이론은 객관적 현실과 가치 중립적 연구의 존재를 가정하기 때문에 실증주의 철학의 일부로 분류될 수 있다.[9]
배양 이론은 세 가지 핵심 가정을 기반으로 한다.[10]
배양 이론은 미디어 노출이 시청자의 현실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안하며, 제도, 메시지, 대중의 세 가지 측면에 주목한다.[11]
거버는 텔레비전이 사람들을 표준화된 역할과 행동으로 사회화함으로써 다양한 지역 사회를 결속시킨다고 제안했다. 따라서 텔레비전은 문화화 과정의 일부로 기능한다.[12][13] 거버의 연구는 특정 메시지 뒤에 숨겨진 의미가 아니라, 과도한 텔레비전 시청이 갖는 더 큰 의미에 초점을 맞추었다.[14]
배양 이론에는 세 가지 차수의 효과가 있다.
2. 1. 조지 거브너와 초기 연구
배양 이론은 1960년대 조지 거브너가 텔레비전이 시청자에게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을 연구하면서 시작되었다.[4] 거브너는 '문화 지표 프로젝트'(Cultural Indicators Project)를 통해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폭력 묘사를 분석하고, 이것이 시청자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그는 TV를 많이 보는 것, 즉 ‘TV 중시청(heavy TV use)’과 ‘세상에 대한 인식’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 20년 이상 TV프로그램에 나오는 폭력을 모니터했다.
이러한 과정을 토대로 그는 TV에서의 거대한 양의 상징적 폭력에 대한 노출이 시청자(중시청자)에게 세상을 야비하고 비열한 장소로 인식하도록 조건화시킨다고 결론지었다. 이 과정은 일회성의 시청이 아니라 누적적인 경험에 의해서 조건지워지는 것이라는 뜻에서 조지 거브너는 ‘배양(cultivation)’이라는 용어를 섰다.
모니터 결과 전형적인 TV 시청자가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 쯤이면 1만 3천 회의 폭력적인 죽음을 목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폭력을 당하는 사람의 연령, 인종, 성별이 매우 불균형적으로 나타났다. TV를 시청한 지 한 시간 이내에 ‘불쌍하고 나이 든 흑인 여성’이 상해를 입지 않을 가능성은 거의 0%에 가까울 정도였다.
거브너의 이 실험 즉 ‘문화지표프로젝트’는 결국 미국 사회의 가장자리에 속한 사람들이 ‘상징적 이중 위험’에 빠져 있음을 드러냈다. ‘상징적 이중 위험’이란 TV를 시청하는 주체는 ‘존재가 과소평가 되고’ ‘폭력에 대한 연약함이 과장된다.’는 것이다. 그 결과 이렇게 ‘상징적 이중 위험’에 빠져 있는 사람들은 평소에 폭력에 대한 공포심을 가장 많이 표출하는 계층이 된다.
이런 TV 프로그램들은 시청자들에게 정말 영향을 미치는 것이냐는 질문에, 가브너는 TV 시청자를 ‘경시청자-2시간 이하’와 ‘중시청자(the television type)’ 로 나누고, 두 그룹 사이에 ‘배양차이(cultivation differential)’가 있음을 드러냈다.
미국에서 실제 특정인이 폭력에 희생자가 될 확률은 1만분의 1 정도이다. ‘경시청자’는 얼마나 될 것 같냐는 질문에 100분의 1 정도가 될거라고 응답한 데 반해, ‘중시청자’는 10분의 1이라고 답했다. 즉 자신이 폭력의 희생자가 될 가능성을 더 높게 본 것이다. 또, 얼마나 많은 사람이 경찰이나 법원에 의해서 법률적 처분을 받을 것 같냐는 질문에 대해 ‘경시청자’는 1% 정도라고 응답했지만, ‘중시청자’ 집단은 5배나 많은 5%라고 응답했다.
2. 2. 래리 그로스의 확장
조지 거브너의 연구는 미국의 시나리오 작가 래리 그로스에 의해 확장되었다.[4] 래리 그로스는 거브너가 연구했던 텔레비전이 시청자에게 미치는 영향, 특히 텔레비전을 통한 폭력 노출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인식에 텔레비전이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했다.3. 핵심 개념
매스미디어 연구에서 효과이론은 탄환이론, 피하주사이론 등에서 시작해 1940년대 제한효과이론으로 강도가 낮아졌다가 70년대에 ‘어젠다 세팅 이론’ 등 중효과이론이 등장하고, 1990년대에는 침묵의 나선이론, 프레이밍 이론, 제3자 효과이론 등 ‘강효과 이론’이 주목받고 있다.
조지 거브너의 연구에 기반한 ‘배양 이론’은 중효과 이론에 해당한다. 거브너는 TV 프로그램의 폭력성을 20년 이상 분석하여 TV 시청과 세상에 대한 인식 사이의 관계를 연구했다. 그는 TV의 폭력적인 장면에 많이 노출된 시청자(중시청자)가 세상을 더 위험하게 인식한다고 결론지었다. 이러한 인식은 일회성 시청이 아닌 누적된 경험으로 형성되기에, 거브너는 '배양'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10]
거브너의 실험(‘문화지표프로젝트’)에 따르면, TV 시청자는 고등학교 졸업 때쯤이면 1만 3천 회의 폭력적인 죽음을 목격하며, 피해자의 연령, 인종, 성별이 불균형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약자들이 ‘상징적 이중 위험’에 빠져 폭력에 대한 공포심을 더 크게 느낀다.
거브너는 TV 시청자를 ‘경시청자(하루 2시간 이하)’와 ‘중시청자(하루 4시간 이상)’로 나누고, 두 그룹 간에 ‘배양 차이’가 있음을 발견했다. '중시청자'는 '경시청자'보다 자신이 폭력의 희생자가 될 가능성을 더 높게 보았고, 법률적 처분을 받을 사람의 비율도 더 높게 예측했다.[13]
배양 이론은 사람들이 폭력적인 프로그램을 시청한 후 무엇을 할지 예측하지 않고, 폭력으로 가득 찬 세상에 대한 사람들의 두려움과 폭력적인 프로그램 노출 사이의 연관성을 가정한다. 폭력적인 프로그램에 노출되면 평균적 세상 증후군(mean world syndrome)이 나타난다.[4]
배양 이론은 세 가지 핵심 가정을 기반으로 한다.
# 매체: 텔레비전은 다른 형태의 대중 매체와 근본적으로 다르다.[10]
# 수용자: 폭력적인 미디어에 장기간 노출되면 세상이 실제보다 더 폭력적이라는 왜곡된 시각을 갖게 된다.[4]
# 기능과 효과: 텔레비전의 영향은 더 큰 사회 문화 시스템의 일부이기 때문에 제한적이지만 지속적으로 존재한다.[10]
거브너는 텔레비전이 사람들을 표준화된 역할과 행동으로 사회화함으로써 다양한 지역 사회를 결속시킨다고 보았다. 즉, 텔레비전은 문화화 과정의 일부로 기능한다.[12][13]
배양 이론에는 세 가지 차수의 효과가 있다.
마법의 탄환 이론은 대중 매체가 수동적인 청중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선형 커뮤니케이션 모델이다. 해럴드 라스웰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이 이론을 정립했다.
3. 1. 주류화 (Mainstreaming)
주류화는 텔레비전을 많이 시청하는 사람들('중시청자')이 서로 비슷한 경향성과 시각, 의미를 공유하게 되는 현상이다. 즉, 사고방식의 공통성이 만들어지는 과정이다. 이는 시청자들이 실제로 겪는 경제적, 정치적 차별을 흐릿하게 만드는 효과를 낸다.[80]예를 들어, '중시청자'들은 자신의 수입과 상관없이 스스로를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스스로는 정치적으로 중립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낮은 세금, 강력한 국가 방위 등 보수적인 정치 이슈에는 찬성하고 진보적인 정치 이슈에는 반대하는 '정치적 우익' 성향을 보이게 된다. 조지 거브너는 이러한 현상을 '신 대중주의'라고 불렀다.
결과적으로 서로 다른 집단의 TV 시청자들이 동일한 이미지와 레이블에 노출되어 세상에 대한 공통된 관점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효과는 TV 시청을 꾸준하게 하는 사람들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TV를 많이 시청하는 사람들은 TV에 묘사된 모습 및 가치와 더 일치하는 방식으로 세상을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80] 거브너와 그로스는 "TV가 공유된 개념과 신념을 배양하는 것은 청중의 현실 판단에 미묘하지만 누적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언급했다.[80]
3. 2. 공명 (Resonance)
공명은 '중시청자'가 현실에서 겪었던 경험을 TV를 시청하면서 유사한 장면이 나올 때마다 반복 재생하도록 만드는 것을 말한다. 텔레비전에서 본 것과 현실 환경의 일치가 서로 공명하고 증폭되어 배양이라는 패턴으로 나타나는 것이다.[33]예를 들어, 저소득층 거주지일수록 하루 종일 TV를 켜놓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지역에 거주하는 '중시청자'들은 TV를 통해 일상적으로 야만적인 폭력을 경험한 결과 삶의 터전을 더욱 두렵게 여기게 된다.
이처럼 미디어 콘텐츠에 장기간 노출되면 개인은 현실 세계에 대한 인식과 신념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미디어가 묘사하는 현실과 개인의 이해 사이에 일치성을 가져온다. 예를 들어, 이미 범죄 피해를 입은 사람은 폭력적인 텔레비전을 더 많이 시청할 때 세상을 훨씬 더 두려운 곳으로 인식한다. 그들은 이러한 신념의 확인으로 인해 정부에 더 큰 안전 및 보안 조치를 요구할 수 있다.[33] 공명은 기존의 신념과 태도를 강화할 수 있지만, 사회 규범과 가치에 대한 시청자의 인식을 변화시켜 문화적 및 사회적 변화를 촉진할 수도 있다.
3. 3. 배양 차이 (Cultivation Differential)
배양 차이는 텔레비전 시청 시간에 따라 현실을 인식하는 데 차이가 발생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을 많이 시청하는 사람들은 적게 시청하는 사람들보다 텔레비전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다.[13]조지 거브너는 텔레비전 시청자를 '경시청자(하루 2시간 이하)'와 '중시청자(하루 4시간 이상)'로 나누고, 두 그룹 사이에 '배양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미국에서 실제 특정인이 폭력의 희생자가 될 확률은 1만분의 1 정도이다. '경시청자'는 자신이 피해자가 될 확률을 100분의 1 정도로 예측한 반면, '중시청자'는 10분의 1이라고 답하여, 자신이 폭력의 희생자가 될 가능성을 더 높게 인식했다. 또한, 얼마나 많은 사람이 법률적 처분을 받을 것 같냐는 질문에 '경시청자'는 1% 정도라고 응답했지만, '중시청자'는 5배나 많은 5%라고 응답했다.[13] 2012년 연구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는데, 많은 시청 습관을 가진 사람들은 사회의 5%가 법 집행에 종사한다고 믿는 반면, 가벼운 시청 습관을 가진 사람들은 보다 현실적인 1%로 추정했다.[13]
거브너의 연구 결과, 텔레비전 시청 시간과 범죄 피해에 대한 두려움 사이에는 작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지역 범죄에 대한 관심과 두려움, 그리고 범죄와 폭력에 대한 두려움과 텔레비전 시청 횟수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37]
지역 뉴스는 "살인 및 폭력에 특히 중점을 둔 범죄 및 기타 혼란에 대한 선정적인 보도에 크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38] 거브너는 뉴스 시청량이 많은 사람들이 범죄율과 개인적인 범죄 노출 위험을 과대평가하고, 자신들의 지역의 안전을 과소평가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39] 여러 연구에서 지역 뉴스 시청과 범죄에 대한 두려움 사이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40][41] 지역 범죄율과는 무관하게 지역 뉴스 노출이 범죄에 대한 두려움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42]
지역 뉴스 외에도 전국 뉴스,[43] 경찰 드라마,[40] 일반 TV 뉴스 시청[61]도 범죄에 대한 두려움과 관련이 있다. 또한, 특정 장르가 아닌 일반적인 TV 시청도 범죄에 대한 두려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44][45]
배양 효과를 설명하는 인지 메커니즘으로는 슈럼(Shrum)의 가용성-휴리스틱 설명이 있다. 이는 텔레비전 현실의 사례에 대한 생생한 기억을 더 많이 유지하고, 질문에 더 쉽게 접근하여 시청과 관련된 응답을 더 빠르게 제공한다는 것이다.[16][17][18] 인지-내러티브 메커니즘은 내러티브의 현실성과 개인 수준의 "이동성", 즉 내러티브에 대해 덜 비판적일 수 있는 능력이 배양 효과를 촉진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19]
3. 4. 평균 세상 증후군 (Mean World Syndrome)
조지 거브너는 텔레비전, 특히 폭력적인 내용을 많이 보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세상이 실제보다 더 무섭고 위험하다고 믿는 경향인 평균 세상 증후군(Mean World Syndrome) 을 연구했다.[47]거브너는 평균 세상 증후군 지수를 개발했다. 텔레비전을 많이 시청하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을 잘 믿지 못하고 의심하는 경향이 있다.[13] 예를 들어, 폭력적인 텔레비전을 많이 보는 사람들은 밤에 혼자 걸어갈 때 강도나 폭행, 심지어 살해를 당할까 봐 더 두려워한다.[36] 이 때문에 텔레비전을 많이 보는 사람들은 감시견을 두거나, 새 자물쇠를 사거나, 보안 카메라를 설치하고, 총기를 소지하는 등 자신을 보호하려는 경향이 더 강하다.[48]
4. 배양 이론의 분석 방법
조지 거브너는 텔레비전을 많이 시청하는 것(TV 중시청)과 '세상에 대한 인식'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20년 이상 TV 프로그램에 나오는 폭력을 모니터했다.[49] 이를 '배양'이라고 칭했는데, 이는 일회성이 아닌 누적적인 경험에 의해 조건 지워진다는 의미이다.
모니터 결과, 전형적인 TV 시청자는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쯤이면 1만 3천 회의 폭력적인 죽음을 목격하며, 폭력을 당하는 사람의 연령, 인종, 성별이 매우 불균형적으로 나타났다. TV를 시청한 지 한 시간 이내에 '불쌍하고 나이 든 흑인 여성'이 상해를 입지 않을 가능성은 거의 0%에 가까웠다.
거브너는 실험을 통해 미국 사회 가장자리에 속한 사람들이 '상징적 이중 위험'에 빠져 있음을 드러냈다. '상징적 이중 위험'이란 TV를 시청하는 주체가 '존재가 과소평가되고' '폭력에 대한 연약함이 과장된다'는 것이다. 그 결과 이들은 평소에 폭력에 대한 공포심을 가장 많이 표출하는 계층이 된다.
거브너는 TV 시청자를 '경시청자(2시간 이하)'와 '중시청자'로 나누고, 두 그룹 사이에 '배양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미국에서 특정인이 폭력에 희생자가 될 확률은 1만분의 1 정도이다. '경시청자'는 100분의 1 정도라고 응답한 반면, '중시청자'는 10분의 1이라고 답하여 자신이 폭력의 희생자가 될 가능성을 더 높게 보았다. 또, 얼마나 많은 사람이 법률적 처분을 받을 것 같냐는 질문에 '경시청자'는 1%, '중시청자'는 5%라고 응답했다.
거브너는 배양이 일어나는 방식을 주류화(mainstreaming)와 공명(resonance) 등 두 가지 개념으로 설명한다.
- 주류화: '중시청자'들이 서로 유사한 경향성과 시각, 의미를 공유하게 되는 현상, 즉 사고방식의 공통성을 창출하는 과정이다. 이는 시청자 자신이 실제로 조건 지워진 '경제적', '정치적' 차별을 흐려놓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중시청자'는 자신의 수입과 상관없이 스스로를 중산층이라고 판단하고, 정치적으로 중립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보수적 정치 이슈에 찬성하는 '정치적 우익'으로 변화했다. (거브너는 이를 '신 대중주의'라고 명명했다.)
- 공명: '중시청자'가 현실에서 일부 겪었던 경험을 TV를 시청하면서 유사한 장면이 나올 때마다 반복 재생하도록 만드는 것을 말한다. 텔레비전에서 본 것과 현실 환경의 일치가 서로 공명하고 증폭되어 배양이라는 패턴으로 나타난다. 저소득층 거주지일수록 하루 종일 TV를 켜놓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지역에 거주하는 '중시청자'들은 TV를 통해 일상적으로 야만적인 폭력을 경험한 결과 삶의 터전을 더욱 두렵게 여기게 된다.
4. 1. 메시지 시스템 분석 (Message System Analysis)
메시지 시스템 분석은 미디어 메시지의 내용, 특히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폭력성, 성 역할, 인종 묘사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이다.[20][12] 이를 통해 미디어가 전달하는 가치와 관점을 파악할 수 있다. 조지 거브너는 텔레비전 시청에서 텔레비전 쇼와 영화에 나타나는 폭력 묘사에 중점을 두었다.[20]거브너의 초기 연구는 특히 미국 시청자에게 미치는 텔레비전 폭력의 영향에 초점을 맞췄다.[28] 그는 드라마틱 폭력을 "플롯의 일부로서 명백한 신체적 폭력의 표현 또는 위협"으로 정의하여 측정했다.[13][29] CHAMP(Coding of Health and Media Project)는 등장인물이 다른 등장인물에게 의도적으로 신체적 고통을 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드라마틱 폭력을 정의하는 폭력 코드북을 만들었다.[30] ''Law & Order SVU'' 및 ''CSI: 마이애미''와 같은 프로그램은 과도하고 드라마틱한 폭력의 존재를 강조한다.[31]
4. 2. 제도적 과정 분석 (Institutional Process Analysis)
제도적 과정 분석은 미디어 조직 내에서 일어나는 일을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앤드루 레드베터(Andrew Ledbetter)에 따르면, 메시지 분석 및 배양 분석에 비해 이 분석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80] 제도 분석은 미디어 조직의 정책, 방송 콘텐츠, 그리고 그 콘텐츠에 대한 동기를 이해하려고 시도한다.[80]마이클 모건(Michael Morgan), 제임스 섀너핸(James Shanahan), 낸시 시뇨리엘리(Nancy Signorielli)는 미디어 콘텐츠를 통제하는 개인의 수가 시청하는 청중에 비해 불균형적으로 적다고 주장한다. 미디어 조직의 주요 관심사는 윤리 및 다양한 청중과 관점에 대한 배려보다는 이익이다. 거브너(Gerbner)는 제도적 과정 분석에 관심을 가졌지만, 미디어 조직의 관행과 콘텐츠 뒤에 숨겨진 동기를 연구할 수 있는 명확한 방법은 제시되지 않았다.[56][100]
4. 3. 배양 분석 (Cultivation Analysis)
조지 거브너는 텔레비전을 많이 시청하는 것('TV 중시청')과 '세상에 대한 인식'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20년 이상 TV 프로그램에 나오는 폭력을 모니터했다. 이러한 과정을 '배양'이라고 칭했는데, 이는 일회성이 아닌 누적적인 경험에 의해 조건지워진다는 의미이다.[49]모니터 결과, 전형적인 TV 시청자는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쯤이면 1만 3천 회의 폭력적인 죽음을 목격하며, 폭력을 당하는 사람의 연령, 인종, 성별이 매우 불균형적으로 나타났다. TV를 시청한 지 한 시간 이내에 '불쌍하고 나이 든 흑인 여성'이 상해를 입지 않을 가능성은 거의 0%에 가까웠다.
거브너는 실험을 통해 미국 사회 가장자리에 속한 사람들이 '상징적 이중 위험'에 빠져 있음을 드러냈다. '상징적 이중 위험'이란 TV를 시청하는 주체가 '존재가 과소평가되고' '폭력에 대한 연약함이 과장된다'는 것이다. 그 결과 이들은 평소에 폭력에 대한 공포심을 가장 많이 표출하는 계층이 된다.
거브너는 TV 시청자를 '경시청자(2시간 이하)'와 '중시청자'로 나누고, 두 그룹 사이에 '배양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미국에서 특정인이 폭력에 희생자가 될 확률은 1만분의 1 정도이다. '경시청자'는 100분의 1 정도라고 응답한 반면, '중시청자'는 10분의 1이라고 답하여 자신이 폭력의 희생자가 될 가능성을 더 높게 보았다. 또, 얼마나 많은 사람이 법률적 처분을 받을 것 같냐는 질문에 '경시청자'는 1%, '중시청자'는 5%라고 응답했다.
거브너는 배양이 일어나는 방식을 주류화(mainstreaming)와 공명(resonance)이라는 두 가지 개념으로 설명한다.
- 주류화: '중시청자'들이 서로 유사한 경향성과 시각, 의미를 공유하게 되는 현상, 즉 사고방식의 공통성을 창출하는 과정이다. 이는 시청자 자신이 실제로 조건지워진 '경제적', '정치적' 차별을 흐려놓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중시청자'는 자신의 수입과 상관없이 스스로를 중산층이라고 판단하고, 정치적으로 중립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보수적 정치 이슈에 찬성하는 '정치적 우익'으로 변화했다. (거브너는 이를 '신 대중주의'라고 명명했다.)
- 공명: '중시청자'가 현실에서 일부 겪었던 경험을 TV를 시청하면서 유사한 장면이 나올 때마다 반복 재생하도록 만드는 것을 말한다. 텔레비전에서 본 것과 현실 환경의 일치가 서로 공명하고 증폭되어 배양이라는 패턴으로 나타난다. 저소득층 거주지일수록 하루 종일 TV를 켜놓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지역에 거주하는 '중시청자'들은 TV를 통해 일상적으로 야만적인 폭력을 경험한 결과 삶의 터전을 더욱 두렵게 여기게 된다.
배양 이론 연구는 텔레비전을 많이 시청하면 시청자가 사실보다는 콘텐츠에 기반한 신념을 갖게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49] 텔레비전을 많이 시청하는 사람들의 세계관은 텔레비전에서 반복적이고 강조되는 이미지와 주제와 일치한다.[22]
텔레비전의 주요 등장인물은 종종 젊고, 외향적이며, 활력이 넘치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히스패닉계와 같은 민족 집단은 부정확하게 묘사되는데, 인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지만 캐릭터로서는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중동 사람들도 텔레비전에서 악당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51][53] 텔레비전은 텔레비전을 많이 시청하는 사람들에게 총기 폭력, 주먹 싸움, 고속 추격전과 같은 범죄를 정상적인 것으로 여기도록 훈련시키는 반면, 실제 범죄 통계는 폭력 범죄가 미국 인구의 1% 미만에서 발생한다고 기록한다.[52]
와이어와 부데스하임에 따르면, 텔레비전 메시지 또는 정보는 시청자가 사회적 판단을 내리는 데 여전히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무효로 판명된 정보도 시청자의 판단에 영향을 줄 수 있다.[54]
거브너는 프라임 타임 텔레비전 쇼가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대중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도 연구했다.[55] 그는 텔레비전이 사람들의 인식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한다. 과학적 이해 부족은 더 이상 '정보 결핍 모델'과 관련될 수 없는데, 이는 우리가 '정보가 풍부한 세상'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과도한 과학적 지식은 불안감, 두려움, 의심 및 불신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텔레비전은 비교적 비선택적인 방식으로 시청되므로, 과학자와 과학계는 제작자, 감독 및 엔터테인먼트 산업과 더욱 강력한 관계를 맺는 것이 이익이 될 수 있다.
거브너는 배양 분석을 사용하여 가벼운 시청자와 텔레비전을 많이 시청하는 시청자를 포함한 1,631명의 응답자 그룹의 반응 패턴을 조사했다. 그들은 과학에 대한 다섯 가지 명제를 제시하고, 성별과 교육 수준에 따라 나뉜 두 그룹을 기반으로 과학에 대한 긍정적 반응의 비율을 추정했다. 이 연구는 "텔레비전 쇼를 통한 과학 노출은 과학에 대한 덜 호의적인 성향을 배양하며, 특히 가벼운 시청자들이 가장 큰 지지자인 높은 지위 집단과 과학에 대해 전반적으로 낮은 의견을 가진 낮은 지위 집단에서 그러하다"는 것을 시사했다. 이러한 관찰은 주류화의 개념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5. 배양 이론의 적용 및 확장
조지 거브너의 배양 이론은 텔레비전을 많이 시청하는 것이 시청자가 세상을 실제보다 더 위험하고 무섭게 인식하도록 만든다는 이론이다. 이러한 배양 효과는 텔레비전뿐만 아니라 뉴미디어 환경에도 적용될 수 있다. 배양 이론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 및 확장되었다.
- 폭력 인식: 텔레비전에서 폭력적인 장면을 많이 보는 사람들은 범죄 피해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법 집행 기관 종사자 비율을 과장한다.
- 성 역할 및 성적 태도: 텔레비전은 성 역할 고정관념을 강화하고, 성적 대상화 인식을 왜곡시킬 수 있다.
- 인종 및 민족 인식: 미디어는 특정 인종 및 민족에 대한 고정관념을 만들고 굳힐 수 있으며, 소수 인종에 대한 부정적 묘사는 편견과 차별을 유발할 수 있다.
- 정치 및 사회 정책 태도: 텔레비전 시청은 정치적 태도와 사회 정책 선호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시청 시간이 많은 사람들은 자신을 중도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는 경향이 있다.
- 뉴미디어와 배양 이론: 배양 이론은 인터넷, 소셜 미디어 등 뉴미디어 환경에도 적용되며, 이러한 뉴미디어가 사람들의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5. 1. 폭력에 대한 인식
조지 거브너의 배양 이론은 텔레비전, 특히 폭력적인 내용을 많이 시청하는 것이 시청자가 세상을 실제보다 더 위험하고 무섭게 인식하도록 만든다고 주장한다. 이를 "평균 세상 증후군"이라고 부른다.거브너는 연구를 통해 텔레비전을 많이 시청하는 사람들('중시청자')이 적게 시청하는 사람들('경시청자')보다 범죄 피해자가 될 가능성을 훨씬 더 높게 예측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실제 범죄율은 훨씬 낮은데도 말이다.[3] 예를 들어, 실제 범죄 피해 확률은 1만분의 1 정도인데, 경시청자는 100분의 1, 중시청자는 10분의 1로 과대평가했다.
또한, 텔레비전을 많이 시청하는 사람들은 사회의 5%가 법 집행에 관여하고 있다고 믿는 반면, 텔레비전을 적게 시청하는 사람들은 더 현실적인 1%로 추정했다.[2]
이러한 인식 차이는 '주류화'와 '공명'이라는 두 가지 방식으로 설명된다.
- 주류화: 텔레비전을 많이 보는 사람들이 서로 비슷한 생각과 관점을 공유하게 되는 현상이다. 이들은 자신의 실제 경제적, 정치적 차이를 잊고 스스로를 중산층이라고 생각하거나, 보수적인 정치 성향을 갖게 될 수 있다.
- 공명: 텔레비전에서 본 폭력적인 장면이 현실에서의 경험과 겹쳐지면서, 세상을 더 위험하게 느끼게 되는 현상이다. 특히 저소득층 거주 지역의 중시청자들은 TV 속 폭력을 일상적으로 접하면서 자신의 삶의 터전을 더욱 두렵게 여기게 된다.
지역 뉴스는 범죄와 폭력 사건을 선정적으로 보도하기 때문에 배양 효과를 높이는 데 큰 영향을 미친다.[3] 지역 뉴스를 많이 보는 사람들은 범죄율과 개인적인 범죄 위험을 과대평가하고, 자신이 사는 지역의 안전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3]
또한, 범죄 드라마와 같은 폭력적인 프로그램을 많이 시청하는 부모는 자녀에게 범죄에 대해 더 많이 경고하고, 이는 자녀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증가시킨다.[3]
5. 2. 성 역할과 성적 태도
배양 이론은 텔레비전이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강화하고, 성적인 대상화에 대한 인식을 왜곡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53] 예를 들어, 텔레비전에서 여성이 과도하게 성적 대상화되는 것을 많이 보면, 여성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가질 수 있다.사라 베이커 네츨리(Sara Baker Netzley, 2010)는 텔레비전에서 게이가 묘사되는 방식에 대해 조지 거브너와 유사한 연구를 수행했다. 이 연구는 텔레비전에 등장하는 게이 캐릭터의 수에 비해 성적 활동의 수준이 매우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은 텔레비전을 많이 시청하는 사람들이 게이 커뮤니티가 매우 성적이라고 믿게 만들었다.[57]
제렐 칼조(Jerel Calzo)와 모니크 워드(Monique Ward, 2009)는 텔레비전에서 게이 및 레즈비언 캐릭터 묘사에 대한 최근 연구를 분석했다. 게이 및 레즈비언 캐릭터의 표현은 계속 증가했지만,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텔레비전 쇼는 LGBT 스테레오타입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게이 및 레즈비언 캐릭터를 구성했다. ''엘렌''(The Ellen Show)과 ''윌 & 그레이스''(Will & Grace)와 같은 쇼에서도 "안정적인 관계가 부족하고, 성에 몰두하거나(또는 전혀 성적이지 않으며), 게이 및 레즈비언을 웃기고, 평면적인 인물로 인식하게 만드는 스테레오타입을 강화하는" 스토리라인 내용을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58]
2022년 연구에서 샤러와 워렌은 넷플릭스, 비디오 게임, 유튜브와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를 함께 시청하는 시청자들 사이에서 성 역할과 관련하여 전통적인 남성적 가치에 대한 지지를 조사했다. 이 연구에서 전통적인 남성적 특성은 "정서적 거리감, 지배력, 강인함, 여성성 회피"를 포함했다. 연구 결과, 텔레비전을 많이 보는 시청자 그룹이 적게 보는 시청자 그룹보다 남성의 전통적인 남성적 특성에 대한 지지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베벌리 로스코스-이월드슨, 존 데이비스, 데이비드 로스코스-이월드슨(2004)은 여성에 대한 인식이 텔레비전에서 남성의 묘사에 비해 다소 전형적인 방식으로 통합된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남성은 TV 프로그램에서 여성보다 약 2 대 1의 비율로 등장한다"고 말한다. 텔레비전을 더 많이 시청하는 시청자는 일반적으로 여성에 대한 더 전통적인 관점을 갖는다. 연구에 따르면 여성은 남성보다 텔레비전에서 피해자로 묘사될 가능성이 더 높다.
알렉산더 싱크와 데이나 마스트로(2017)는 미국 프라임타임 텔레비전에서 여성과 성 묘사를 연구했다. 이들은 여성이 미국의 인구의 50.9%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프라임타임 텔레비전에서 캐릭터의 39%만을 차지하며, 여성의 비율이 과소 대표된다고 주장한다. 남성은 여성보다 더 지배적으로 묘사되었고, 남성이 더 자주 대상화되었지만, 여성은 일관되게 과도하게 성적 대상화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프라임타임에는 남성에 비해 더 적은 수의 노년 여성들이 등장했으며, 종종 노년 남성 캐릭터보다 덜 유능한 것으로 묘사되었다.
리타 시브룩은 리얼리티 TV, 포르노, 스포츠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것과 여성 객체화에 대한 수용, 그리고 성적 공격성에 대한 더 높은 관용 사이의 긍정적인 관계를 발견했다.[63]
브래들리 J. 본드와 크리스틴 L. 드로고스(2014)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저지 쇼어'' 시청과 대학생의 성적 태도 및 행동 사이의 관계를 조사했다. 그들은 ''저지 쇼어'' 시청 시간과 성적 관용의 증가 사이의 긍정적인 관계를 발견했다. 이러한 영향은 나이가 많은 참가자보다 젊은 참가자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종교적 신념과 부모의 태도와 같은 참가자의 성적 태도에 대한 다른 영향들을 연구자들이 통제했을 때에도 유효했다.
5. 3. 인종 및 민족에 대한 인식
미디어는 특정 인종 및 민족에 대한 고정관념을 만들고 굳히는 데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소수 인종에 대한 부정적인 모습은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편견과 차별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65]메건 S. 샌더스와 스리비댜 라마수브라마니안(2012)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영화와 텔레비전에 나오는 가상 인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연구했다. 연구 결과, 참가자들은 모든 아프리카계 미국인 인물들을 좋게 보는 경향이 있었지만, 인종이나 민족보다는 사회 계급이 그 인물의 따뜻함과 능력에 대한 생각에 더 중요했다.[66] 이 연구는 미디어를 보는 사람들의 민족성을 배양 연구에서 고려해야 함을 보여준다. 왜냐하면, 배경이 다른 사람들은 미디어 속 모습과 그것이 현실에 얼마나 가까운지를 다르게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디어에서 이러한 민족 집단을 어떻게 그리느냐에 따라서 현실에서 사람들이 그들을 어떻게 보는지, 심지어 서로를 어떻게 보는지에 영향을 줄 수 있다.[66]
엘리자베스 벰-모라위츠와 데이비드 타(2014)의 연구는 백인 학생들이 흑인 및 아시아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비디오 게임의 배양 효과를 조사했다. 아시아인에 대한 생각에는 큰 영향이 없었지만, 연구자들은 어떤 장르든 비디오 게임을 많이 하는 사람들이 흑인에 대해 덜 좋게 생각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흑인과 실제로 만나는 경험은 이러한 효과를 바꾸지 못했다. 벰-모라위츠와 타는 모든 장르의 비디오 게임 이야기에 나오는 안정적이고 부정적인 인종 및 민족 고정관념이, 인종 및 민족 소수자와 다양하게 실제로 만나더라도 현실 세계의 믿음에 영향을 준다고 말한다.[67]
크리설리스 라이트와 미셸 크라스케(2015)는 성적인 내용이 담긴 음악 가사와 비디오가 아프리카계 미국인, 히스패닉 및 백인 젊은이들의 성적 행동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배양 이론을 사용하여 연구했다. 이전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성적으로 노골적인 내용을 많이 들으면 현실 인식이 바뀌고 위험한 성적 행동을 정상적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68] 그러나 라이트와 캐스트는 배양 이론이 가능한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지 처음으로 평가했다. 연구 결과, 백인이나 히스패닉 사람들에게는 첫 관계 및 성적 만남의 나이와 같은 한두 가지 정상화된 성적 행동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 반면, 아프리카계 미국인 참가자들에게는 더 이른 첫 데이트 및 성적 만남, 더 많은 가벼운 성적 만남, 콘돔 사용 비율 감소와 같은 여러 정상화된 성적 행동이 발견되었다.[69]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음악을 자신들의 문화에 대한 정확한 표현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배양 효과가 다른 민족 집단보다 아프리카계 미국인 사회 안에서 더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70] 첸(2006)은 랩 음악이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가장 많이 듣는 음악 장르이며, 다른 장르에 비해 랩과 더 노골적인 성적 언급이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랩의 78%, 팝의 53%, 록의 36%, 컨트리 뮤직 비디오의 37%가 어떤 형태로든 성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71][70] 또한 이전 연구에서는 백인 가수들이 7.5%의 시간 동안 성적 행위를 언급하는 데 비해, 비백인 가수들은 21%의 시간 동안 성적인 내용을 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2] 이러한 가수들이 가사와 비디오를 통해 성적 행동과 경험에 대한 거짓 현실을 만들어내는 배양 효과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청취자들이 "자신이 듣는 음악에 포함된 내용과 비슷한 생각을 하고 행동"하는 데 더 취약하게 만들 수 있다.[73]
5. 4. 정치 및 사회 정책에 대한 태도
텔레비전 시청은 정치적 태도와 사회 정책에 대한 선호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조지 거브너의 동료인 마이클 모건과 제임스 섀너핸은 텔레비전 시청 시간이 많은 사람이 자신을 중도라고 여기지만,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한 입장은 보수적일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74] 또한, 시청 시간이 많은 사람들은 권위주의적 신념을 가질 가능성이 더 높았다.[74]다이애나 머츠와 릴라크 니르는 허구적 텔레비전 이야기 방식이 시청자의 정책 선호도와 현실 세계의 사법 시스템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태도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연구했다. 이들은 사법 시스템에 대한 긍정적인 묘사가 시청자들이 실제 삶에서 시스템에 대해 더 긍정적인 시각을 갖도록 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반면, 부정적인 텔레비전 묘사는 시청자들이 사법 시스템이 종종 불공정하게 작동한다고 느끼는 것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이러한 태도가 시청자들의 실제 사법 시스템에 대한 정책 선호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도 발견했다.[75]
아니타 앳웰 시트와 데이나 마스트로는 이민 관련 뉴스 보도와 시청자의 이민 정책 선호도 및 이민자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의 관계를 연구했다. 이들은 뉴스에서 이민자에 대한 부정적인 메시지에 노출되면 이민자에 대한 불안감을 유발하며, 특히 뉴스 프로그램에서 이민자들을 보여줄 때 더욱 그렇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노출이 반드시 즉시 이민 정책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지만, 장기간 노출되면 그러한 선호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76]
카테리나-에바 마차는 그리스에서 텔레비전이 정치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문을 통해 배양 효과를 탐구했다. 그녀는 그리스 문화 영역 내에서 풍자적 텔레비전의 역할을 설명하고, 이러한 형태의 텔레비전이 그리스 정치 기관이 부패했다는 뿌리 깊은 인식을 어떻게 만들어내어 그리스 대중의 자국 정치에 대한 전반적인 의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했다.[77]
5. 5. 뉴미디어와 배양 이론
배양 이론은 텔레비전뿐만 아니라 인터넷, 소셜 미디어 등 뉴미디어 환경에도 적용될 수 있다.[80] 앤드루 레드베터는 뉴미디어 시대의 텔레비전에서 녹화 가능성, 이동성, 그리고 많은 선택지라는 세 가지 주요 차이점을 제시했다. 녹화 가능성은 원하는 시간에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는 것을, 이동성은 스마트폰 등으로 어디서든 비디오 콘텐츠 시청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많은 선택지는 다양한 스트리밍 플랫폼과 그 안의 다양한 콘텐츠를 의미한다.[80]학자들은 미디어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라, 배양 분석 방법이 텔레비전 시청 시간 계산에서 벗어나 빅데이터 접근 방식을 취해야 할 수도 있다고 보았다.[81] 뉴미디어는 여전히 내러티브를 사용하며, 이러한 내러티브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배양 이론은 여전히 관련성이 있다고 주장한다.[81]
크라우처(2011)는 배양 이론을 소셜 미디어 이론과 이민자의 문화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적용했다.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는 이민자들이 주류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면, 해당 미디어를 통해 정착 사회에 대한 인식을 형성할 것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배양 효과는 이민자들이 호스트 국가의 원주민과 오프라인에서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믿었다.[82]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신체 이미지 효과에 대한 연구에서도 배양 프레임워크가 적용되었다. 특정 유형의 콘텐츠를 탐색하는 것이 타인의 외모에 대한 왜곡된 시각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5]
2019년, Instagram 사용을 통한 배양 적용에 초점을 맞춘 연구에서는 여성 참가자들이 홈페이지를 스크롤할 때 남성에 비해 더 부정적인 자기 신체 이미지를 묘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여성들이 다른 여성들이 신체 이미지에 대해 더 나은 자존감을 가지고 있다고 인식한다는 것을 발견했다.[89][90]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소셜 미디어가 대학생들의 다른 학생들의 자기 효능감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91] 연구자들은 Twitter가 부정적인 영향을 배양하는 Facebook에 비해 학생들에게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92]
2024년 연구에서는 소셜 미디어 사용량이 많을수록 세상에 대해 더 부정적인 사고방식을 갖게 되는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했으며,[95] 이는 평균 세계 증후군의 한 예이다. 배양 이론은 소셜 미디어의 사용이 개인들이 자신의 문화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의 문화에 대해 배우는 방식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제안한다.[96] 이는 또한 자신과 다른 집단에 대한 암묵적 편견을 배양할 수 있다.[97]
6. 한국 사회와 배양 이론
한국의 경우, 드라마, 영화, 유튜브 등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가 활발하게 소비되고 있으며, 미디어 이용 시간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또한, 정치, 사회 관련 뉴스 소비도 활발하며, 특히 선거철에는 정치 관련 뉴스 소비량이 급증한다. 미디어 발달과 함께, 배양 이론은 한국 사회의 여론과 사회 인식 형성에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틀이 될 수 있다. 특히, 한국 사회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같은 국제적 사건에 큰 영향을 받으며, 이로 인해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전쟁 관련 정보는 한국인들의 불안감을 증폭시킬 수 있다.
7. 비판 및 한계
배양 이론은 텔레비전 시청과 현실 인식 간의 상관관계에도 불구하고, 개인의 세계관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는 비판을 받는다.[100] 마이클 모건과 제임스 섀너핸은 1997년 메타 분석을 통해 텔레비전 시청량 증가가 현실 인식과 유의미한 관계는 있지만, 인식 변화는 미미하다고 밝혔다.[100] 허쉬(1980)는 다른 변수를 통제하면 텔레비전의 영향은 거의 없다고 주장하며, 텔레비전을 시청하지 않는 사람들도 세상을 폭력적이고 위험하다고 인식한다고 지적했다.
코스탠제 로스만은 텔레비전 시청이 폭력에 대한 공포를 유발한다는 증거는 거의 없으며, 오히려 폭력에 대한 공포가 텔레비전 시청을 증가시키는 반대 관계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범죄율이 높은 지역에 거주하는 것과 같은 다른 변수가 영향을 미칠 수 있다.[101]
이용과 충족 이론의 창시자 엘리후 카츠는 배양 이론이 설립된 이후 발생한 기술 변화 때문에 이론을 폐기해야 한다고 언급했다.[102][103] 조지 거브너의 이론은 텔레비전이 지배적인 매체였던 1973년에 설립되었는데,[5]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 시대 이전의 이론이기에, 모건, 섀너핸, 시뇨렐리는 새로운 미디어 시대에 이론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며, 콘텐츠와 메시지가 다양해져 배양에 영향을 미치는지 의문을 제기한다.[80]
제닝스 브라이언트는 배양 연구가 "왜, 어떻게"에 더 중점을 두면서, 영향을 받는 대상이나 내용보다는 영향에 더 집중한다고 지적한다.[105] 다니엘 챈들러는 텔레비전이 세상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만, 거브너의 연구는 범죄율이 높은 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경험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106] 호레이스 뉴컴은 폭력이 텔레비전에서 균일하게 제시되지 않으므로, 텔레비전이 모든 시청자에게 동일한 현실감을 배양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107]
참조
[1]
논문
Life according to television. Implications of genre-specific cultivation effects: The Gratification/Cultivation model
http://dx.doi.org/10[...]
2004-01-12
[2]
간행물
Living with television: the violence profile
1976
[3]
논문
Theory and Research in Mass Communication
http://dx.doi.org/10[...]
2004-12-01
[4]
웹사이트
Cultivation Theory: Definition and Examples
https://www.simplyps[...]
2023-04-13
[5]
뉴스
George Gerbner | American journalist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www.britannica.com
2021-12-10
[6]
서적
Contemporary communication theory
Kendall Hunt Publishing
[7]
논문
Introducing Communication Theory: Analysis and Application
2018-11-05
[8]
Conference
Cultivation Theory Revisited: The Impact of Childhood Television Viewing Levels on Social Reality Beliefs and Construct Accessibility in Adulthood
http://citation.alla[...]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2017-11-21
[9]
서적
Introducing Communication Theory: Analysis and Application
McGraw-Hill
[10]
논문
Cultural indicators violence profile no. 9
[11]
논문
The State of Cultivation
[12]
서적
Perspectives on media effect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3]
서적
Communication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cGraw-Hill
[14]
논문
A Critical Analysis of Cultivation Theory
2014-12-01
[15]
논문
Every Insta(gram) counts? Applying cultivation theory to explore the effects of Instagram on young users' body image
[16]
논문
Assessing the social influence of television: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on cultivation effects.
[17]
논문
Psychological processes underlying cultivation effects: Further tests of construct accessibility.
[18]
논문
The role of source confusion in cultivation effects may depend on processing strategy: A comment on Mares (1996).
[19]
논문
Transportation and transportability in the cultivation of genre-consistent attitudes and estimates.
[20]
논문
Living with television: The violence profile
[21]
논문
Racial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Television Use and Self-Esteem
2011-03-16
[22]
서적
Against the mainstream: The selected works of George Gerbner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3]
논문
The Effects of Viewing Grey's Anatomy on Perceptions of Doctors and Patient Satisfaction
http://www.tandf.co.[...]
[24]
서적
Television and its viewers: Cultivation theory and resear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논문
Cultivation revisited: Some genres have some effects on some viewers
[26]
논문
Music Video Viewing as a Marker of Driving After the Consumption of Alcohol
[27]
논문
Virtual cultivation: Online worlds, offline perceptions
[28]
웹사이트
Media Effects Theories
http://oregonstate.e[...]
Oregon State University
[29]
서적
A First Look at Communication
McGraw Hill
[30]
웹사이트
Violence Code Book
https://live-youthme[...]
2023-10-13
[31]
서적
Television in Society
Transaction Publishers
1987
[32]
논문
The "Mainstreaming" of America: Violence Profile No. 11
http://dx.doi.org/10[...]
1980-09-01
[33]
문서
Contemporary Communication Theory
2010
[34]
웹사이트
Tipping the Scale: Heavy TV Viewers=a Big Opportunity for Advertisers
http://www.nielsen.c[...]
2015-11-24
[35]
논문
Life Without TV? Cultivation Theory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Television-Free Individuals and Their Television-Viewing Counterparts
http://cultivationan[...]
[36]
논문
The Fruits of Cultivation Analysis: A Reexamination of Some Effects of Television Watching
[37]
논문
Assessing cultivation theory and public health model for crime reporting
2000-09-01
[38]
문서
Hamilton, 1998; Klite, Bardwell, & Salzman, 1995, 1997
[39]
간행물
Examining Effects of Television News Violence on College Students through Cultivation Theory
2004
[40]
논문
Television and Fear of Crime: Program Types, Audience Trai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Neighborhood Racial Composition
https://academic.oup[...]
2003-08-01
[41]
논문
Breaking news: How local TV news and real-world conditions affect fear of crime
https://doi.org/10.1[...]
2004-09-01
[42]
논문
The Scary World in Your Living Room and Neighborhood: Using Local Broadcast News, Neighborhood Crime Rates, and Personal Experience to Test Agenda Setting and Cultivation
https://academic.oup[...]
2003-09-01
[43]
논문
Fear, Authority, and Justice: Crime-Related TV Viewing and Endorsements of Capital Punishment and Gun Ownership
https://journals.sag[...]
2016-06-25
[44]
논문
Research No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levision Fiction and Fear of Crime: An Empirical Comparison of Three Causal Explanations
https://journals.sag[...]
2016-07-26
[45]
논문
Does Television Viewing Relate to Engagement in Protective Action Against Crime?: A Cultivation Analysis From a Theory of Reasoned Action Perspective
https://journals.sag[...]
2016-06-30
[46]
논문
Television Exposure, Parents' Precautionary Warnings, and Young Adults' Perceptions of Crime
http://dx.doi.org/10[...]
2003-10-01
[47]
웹사이트
The Mean-World Syndrome
https://thoughtmaybe[...]
2022-04-02
[48]
웹사이트
Mean World Syndrome
https://mediumsandme[...]
2017-10-24
[49]
서적
Modeling Behavior from Images of Reality in Television Narratives
The Edwin Mellen Press, Ltd
[50]
서적
Searching for cognitive processes in the cultivation effect: Adult and adolescent samples in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51]
웹사이트
The Mean-World Syndrome
https://thoughtmaybe[...]
2021-12-08
[52]
웹사이트
Violent Crime
https://ucr.fbi.gov/[...]
2021-12-07
[53]
논문
Aging with Television: Image on Television Drama and Conceptions of Social Reality
http://web.asc.upenn[...]
[54]
논문
Effects of Instructions to Disregard Information on Its Subsequent Recall and Use in Making Judgments
[55]
논문
SCIENCE ON TELEVISION: How It Affects Public Conceptions
https://www.jstor.or[...]
1987
[56]
간행물
Yesterday's New Cultivation, Tomorrow
http://dx.doi.org/10[...]
Routledge
2023-11-05
[57]
논문
Visibility That Demystifies Gays, Gender, and Sex on Television
[58]
논문
Media Exposure and Viewers' Attitudes Toward Homosexuality: Evidence for Mainstreaming or Resonance?
[59]
논문
Adolescents' Modern Media Use and Beliefs About Masculine Gender Roles and Norms
http://journals.sage[...]
2022-03-01
[60]
논문
Implications of the mental models approach for cultivation theory
2004
[61]
논문
Television news and the cultivation of fear of crime
[62]
논문
Depictions of Gender on Primetime Television: A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2017-01-02
[63]
논문
Less than human? Media use, objectification of women, and men's acceptance of sexual aggression.
http://dx.doi.org/10[...]
2019-09-01
[64]
논문
Sex on the Shore: Wishful Identification and Parasocial Relationships as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ersey Shore Exposure and Emerging Adults' Sexual Attitudes and Behaviors
2014-01-02
[65]
웹사이트
"Children's film media's influence on gender, race, and identity"
https://digitalcommo[...]
[66]
논문
An Examination of African Americans' Stereotyped Perceptions of Fictional Media Characters
http://dx.doi.org/10[...]
2012-01-01
[67]
논문
Cultivating Virtual Stereotypes?: The Impact of Video Game Play on Racial/Ethnic Stereotypes
2014-01-01
[68]
논문
The motorway to adulthood: Music preferences as the sex and relationship roadmap
2010-01-01
[69]
논문
Music's Influence on Risky Sexual Behaviors: Examining the Cultivation Theory
[70]
논문
Ethnic identity, self-esteem and variability in perceptions of rap music's empowering and risky influences
2012-03-01
[71]
논문
Music, substance use, and aggression
2006
[72]
논문
The motorway to adulthood: Music preferences as the sex and relationships roadmap
2010
[73]
논문
Rebellion in the top music charts: Defiant messages in Rap/hip-hop and Rock music 1993 and 2003
2008
[74]
논문
Television and the Cultivation of Authoritarianism: A Return Visit From an Unexpected Friend
http://dx.doi.org/10[...]
2017-05-08
[75]
논문
Not Necessarily the News: Does Fictional Television Influence Real-World Policy Preferences?
2010-03-31
[76]
논문
Media's influence on immigration attitudes: An intergroup threat theory approach
2016-04-02
[77]
학위논문
Laughing at politics: effects of television satire on political engagement in Greece
https://repository.l[...]
Georgetown University
[78]
논문
Media and altruistic behaviors: The mediating role of fear of victimization in cultivation theory perspective
http://dx.doi.org/10[...]
2020-01
[79]
논문
The Cultivation of Idealistic Moral Expectations: The Role of Television Exposure and Narrative Engageability
http://dx.doi.org/10[...]
2019-05-22
[80]
서적
A First Look at Communication Theory
McGraw Hill
[81]
논문
Yesterday's New Cultivation, Tomorrow
2015-09-03
[82]
논문
Social Networking and Cultural Adaptation: A Theoretical Model
2011-11-01
[83]
웹사이트
Television Viewing and Perception of Social Reality Among Native American Adolescents
http://web.uri.edu/i[...]
Illinois State University, Augustana College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1996
[84]
웹사이트
Influence-of-Televised-Violence-on-the-Behaviour-of-Selected-Teenagers-in-Ilorin-Metropolis
https://web.archive.[...]
2015
[85]
논문
A systematic review on effect of electronic media on diet, exercise, and sexual activity among adolescents
https://go.gale.com/[...]
2018-12-01
[86]
서적
Cultivation Theory of George Gerbner
McGraw Hill
2023
[87]
논문
Television's Cultivation of American Adolescents' Beliefs about Alcohol and the Moderating Role of Trait Reactance
https://doi.org/10.1[...]
2014
[88]
논문
What Does the Idea of Media Cultivation Mean?
https://doi.org/10.1[...]
2022
[89]
논문
Every (Insta)Gram Counts? Applying Cultivation Theory to Explore the Effects of Instagram on Young Users' Body Image
2021
[90]
논문
2021
[91]
논문
Social media intensity and first-year colleg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in Flanders and the United States
2020
[92]
기타
2020
[93]
논문
Cultivation effects of mass and social media on perceptions and behavioural intentions in post-disaster recovery – The case of the 2011 Great East Japan Earthquake
https://www.scienced[...]
2016-08-01
[94]
학위논문
Applying Cultivation Theory in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Use and Optimism/Pessimism of Adult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Moderating/Mediating Effects of Platform, Content, and Connections on This Relationship
https://digitalcommo[...]
2024
[95]
기타
https://digitalcommo[...]
2024
[96]
논문
The impact of TV series consumption on cultural knowledge: An empirical study based on gratification-cultivation theory
https://doi.org/10.3[...]
2022
[97]
논문
Cultivation theory: The impact of crime media's portrayal of race on the desire to become a U.S. police officer
2022
[98]
논문
The state of cultivation
https://www.tandfonl[...]
2010
[99]
웹사이트
Digital media influence : a cultivation approach
https://www.worldcat[...]
2023-04-13
[100]
논문
Two Decades of Cultivation Research: An Appraisal and Meta-Analysis
https://www.tandfonl[...]
1997-01
[101]
논문
The problem of causality in cultivation research
https://www.degruyte[...]
2004-01-12
[102]
논문
Six concepts in search of retirement
https://www.tandfonl[...]
2017-01-02
[103]
서적
A First Look at Communication
McGraw Hill
[104]
논문
Yesterday's New Cultivation, Tomorrow
http://www.tandfonli[...]
2015-09-03
[105]
논문
The Road Most Traveled: Yet Another Cultivation Critique
1986-03-01
[106]
웹사이트
Cultivation Theory
http://www.aber.ac.u[...]
Aberystwyth University
2011-12-06
[107]
간행물
Assessing the violence profile studies of Gerbner and Gross: A humanistic critique and sugges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