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백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미는 쌀의 겉껍질, 겨층, 배아를 제거하여 만든 쌀이다. 기계식 도정 기술의 발달로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으며, 도정 정도에 따라 쌀의 영양 성분과 식감이 달라진다. 현미와 비교했을 때, 백미는 칼로리와 탄수화물은 비슷하지만, 영양소 측면에서는 덜 풍부하다. 백미는 망간의 좋은 공급원이며, 비타민 B군과 철분 등은 강화 과정을 통해 보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쌀 - 현미
    현미는 벼에서 겉껍질만 제거하고 쌀겨와 쌀눈을 남겨둔 쌀로, 백미보다 영양소가 풍부하여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동아시아 등지에서 섭취되고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 쌀 -
    벼는 벼과에 속하는 중요한 식량 작물로, 자포니카, 인디카, 자바니카의 세 가지 아종으로 분류되며, 볍씨 선별, 비료 사용, 수확 등의 과정을 거쳐 재배된다.
백미
일반 정보
지어진 흰쌀밥
흰쌀
종류
설명도정된 쌀로, 겉껍질, 겨, 배아를 제거한 것
특징
식감부드러움
영양소탄수화물 함량 높음, 비타민 B와 미네랄 부족
역사
관련 질병과거 각기병의 원인으로 여겨짐 (도정 과정에서 티아민 손실)
건강
장점소화 용이, 특정 질환 환자에게 유익할 수 있음
단점혈당 지수 (GI) 높음, 과다 섭취 시 당뇨병 위험 증가 가능성
영양 강화정부 차원에서 미량 영양소 강화 정책 시행 (일부 국가)
생산 및 소비
주요 소비 국가아시아 국가 (주식)
문제점저소득층의 과다 섭취로 인한 영양 불균형 문제
기타
관련 연구현미와 비교 연구 활발
주의사항균형 잡힌 식단 섭취가 중요

2. 도정

기계식 도정 이전에는 쌀을 절구와 같은 큰 기구를 사용하여 손으로 찧는 방식으로 도정했다. 이 방식은 제품의 균일성을 어느 정도 향상시켰지만, 기계식 도정을 통해 훨씬 더 많은 양을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엥겔베르크 제분기와 같은 다양한 도정 기계가 개발되었다.[10]

2. 1. 도정 과정

현미를 정미하면 백미와 쌀겨로 나뉜다. 백미는 현미보다 희고 투명하며, 주로 밥을 짓거나 가공식품, 청주의 원료로 사용된다.[10]

19세기 후반에는 엥겔베르크 제분기와 같은 다양한 도정 기계가 생산되었다. 1955년에는 일본에서 쌀의 품질과 생산 능력을 크게 향상시킨 새로운 기계가 개발되었다.[10]

백미는 배젖만 남기고 쌀겨층과 배아를 제거했기 때문에, 전분을 제외한 영양소는 대부분 깎여 나간다. 특히 비타민 B1의 경우, 100g당 백미는 0.07mg, 현미는 0.4mg으로 백미에는 현미의 1/6 정도만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백미만 섭취하면 각기병과 같은 비타민 B1 결핍증이 발생할 수 있다. 쌀밥은 전분 비율이 높을수록 찰기가 있어 일본인이 선호하는 식감을 가지며, 밥맛이 좋은 쌀은 단백질 등 전분 이외의 성분이 적다.[10]

1989년 11월 22일 일본 국세청 고시 제8호에 따라, 백미는 농산물 검사법에 의해 3등급 이상으로 등급이 매겨진 현미 또는 그에 상당하는 현미를 정미한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10]

정미 후 백미는 껍질이 벗겨진 상태이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산화 등으로 품질이 저하되기 때문에, 조금씩 구입하여 저온에서 보관하는 것이 좋다.[10]

3. 영양 성분

백미는 주로 탄수화물(전분)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미에 비해 단백질, 지방, 비타민, 미네랄 등의 함량이 낮다. 특히 비타민 B1(티아민) 함량이 현저히 낮아 백미 위주의 식사는 각기병을 유발할 수 있다. 강화 백미는 손실된 영양소 중 일부(주로 비타민 B1, B3, 철분)를 첨가하여 영양가를 높인 제품이다.[11] 백미는 망간의 좋은 공급원이며, 판토텐산셀레늄과 같은 다른 영양소를 적당량 함유하고 있다.[12][13]

3. 1. 현미와의 영양 비교

현미는 겉껍질만 제거한 통곡물 쌀로, 백미에 비해 영양소가 풍부하다. 백미는 겨층과 배아를 제거하여 주로 전분질의 배유만 남기 때문에 여러 비타민과 식이 미네랄이 감소하거나 고갈된다.[11]

백미는 망간의 좋은 공급원이며, 판토텐산셀레늄과 같은 다른 영양소를 적당량 함유하고 있지만,[12][13] 비타민 B1의 경우 100g당 백미는 0.07mg, 현미는 0.4mg으로 백미는 현미의 6분의 1밖에 포함되지 않아 백미만 섭취하면 각기병과 같은 비타민 B1 결핍증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은 백미(강화되지 않은 장립종, 생)의 영양 성분표이다.

영양소함량 (100g 기준)
에너지1527 kJ
단백질7.13 g
지방0.66 g
탄수화물79.95 g
식이섬유1.3 g
당분0.12 g
티아민 (B1)0.07 mg
리보플라빈 (B2)0.049 mg
니아신 (B3)1.6 mg
판토텐산 (B5)1.014 mg
엽산 (B9)8 ug
비타민 B60.164 mg
칼슘28 mg
철분0.8 mg
마그네슘25 mg
망간1.088 mg
115 mg
칼륨115 mg
셀레늄15.1 ug
나트륨7 mg
아연1.09 mg
수분11.62 g



요약하자면, 현미는 백미에 비해 단백질, 지방, 비타민, 미네랄 등 다양한 영양소를 더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식이섬유 함량도 현미가 백미보다 높다.

4. 한국과 일본의 백미

한국과 일본에서는 19세기 말부터 백미를 주식으로 삼았으며, 찰기가 있는 자포니카 품종의 쌀을 선호한다. 쌀밥은 전분 비율이 높을수록 찰기가 있어 밥맛이 좋다고 평가되는데, 이는 단백질 등 전분 이외의 성분이 적기 때문이다.

일본에서는 농산물 검사법에 따라 3등급 이상으로 등급이 매겨진 현미를 정미한 것을 백미로 규정한다.[1] 백미는 껍질이 벗겨진 상태이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산화 등으로 품질이 저하되기 때문에, 조금씩 구입하는 것이 신선하며 저온 저장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본에서는 백미와 쌀겨로 나누어 각각 판매하며, 현미도 일정 수요가 있다.

한국에서는 쌀 품종 개발과 재배 기술 발전을 통해 밥맛 좋은 쌀 생산에 주력하고 있다.

4. 1. 무세미

無洗米|무세미일본어는 도정 과정에서 쌀 표면에 남은 겨층을 제거하여 씻지 않고 바로 밥을 지을 수 있는 백미이다. 물 절약과 편리성 때문에 無洗米|무세미일본어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5. 보관

백미는 껍질이 벗겨진 상태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산화 등으로 품질이 저하되므로 조금씩 구입하는 것이 신선하다. 저온 저장이 더욱 바람직하다.

참조

[1] 서적 Beriberi, white rice, and vitamin B : a disease, a cause, and a cur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0
[2] 웹사이트 Christiaan Eijkman, Beriberi and Vitamin B1 http://nobelprize.or[...] 2015-09-28
[3] 웹사이트 How Is White Rice Healthy for Our Body? http://www.livestron[...] 2015-09-28
[4] 웹사이트 7 U.S. Code § 1431c – Enrichment and packaging of cornmeal, grits, rice, and white flour available for distribution https://www.law.corn[...] 2015-09-28
[5] 논문 British India and the "beriberi problem", 1798–1942 2010-07
[6] 뉴스 Why Billions Eat Unhealthy Rice and Shouldn't https://ips-dc.org/w[...] 2011-03-09
[7] 웹사이트 Brown Rice vs. White Rice: Which Is Better? http://diabetes.webm[...] 2015-09-28
[8] 웹사이트 White or brown rice? Mee pok or spaghetti? Take our food quiz and digest the facts about glycaemic index. http://graphics.stra[...] 2016-05-27
[9] 웹사이트 Difference between white and brown rice http://recomparison.[...]
[10] 서적 Explorations in the History and Heritage of Machines and Mechanism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9
[11] 웹사이트 Enriched rice http://www.accessdat[...] 2021-04-06
[12] 웹사이트 Rice, white, long-grain, regular, raw, unenriched https://fdc.nal.usda[...] USDA 2019-04-01
[13] 웹사이트 Rice, brown, long-grain, raw https://fdc.nal.usda[...] USDA 2019-04-01
[14] 웹사이트 http://www.nal.usda.[...]
[15] 서적 タンパク質・アミノ酸の必要量 WHO/FAO/UNU合同専門協議会報告 http://whqlibdoc.who[...] 医歯薬出版 2009-05
[16] 웹사이트 日本食品標準成分表2015年版(七訂) https://www.mext.go.[...]
[17] 웹사이트 日本人の食事摂取基準(2015年版) https://www.mhlw.go.[...]
[18] 서적 Beriberi, white rice, and vitamin B : a disease, a cause, and a cur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