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합목 (동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분류
- 2.1. 과거 백합목에 속했던 주요 분류군
- 2.1.1. 백합상과 (Veneroidea)
- 2.1.2. 등줄조개상과 (Astartoidea)
- 2.1.3. 재첩상과 (Corbiculoidea)
- 2.1.4. 접시조개상과 (Tellinoidea)
- 2.1.5. Arcticoidea
- 2.1.6. 새조개상과 (Cardioidea)
- 2.1.7. Dreissenoidea
- 2.1.8. 비늘조개상과 (Galeommatoidea)
- 2.1.9. Glossoidea
- 2.1.10. 꽃잎조개상과 (Lucinoidea)
- 2.1.11. 개량조개상과 (Mactroidea)
- 2.1.12. 죽합상과 (Solenoidea)
- 2.1.13. 주름방사륵조개상과 (Carditoidea)
- 2.1.14. Gastrochaenoidea
- 2.1.15. Cyamioidea
- 2.1.16. Chamoidea
- 2.1.17. Crassatelloidea
- 2.1. 과거 백합목에 속했던 주요 분류군
- 3. 계통 분류
- 참조
1. 개요
백합목은 측계통 분류군으로, 현재 계통 분류에서는 인정되지 않는다. 이치아강 내에서 원시적인 Archiheterodonta와 진화적인 Euheterodonta로 나뉘며, Archiheterodonta는 전통적으로 백합목에 포함되었으나 현재는 토마야가이목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Euheterodonta는 협의의 백합목, 대형조개목, 이인대류로 구성된다. 과거 백합목에 속했던 주요 분류군들은 분자계통학 연구 결과에 따라 재분류되고 있으며, 18상과 36과로 분류되었던 것이 최근에는 상과나 과의 분할로 그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백합목 (동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학명 | Veneroida |
명명자 | H. Adams & A. Adams, 1856 |
이명 | Euheterodonta |
분류 | |
계 | 동물계 (Animalia) |
문 | 연체동물문 (Mollusca) |
강 | 이매패강 (Bivalvia) |
아강 | 이치아강 (Heterodonta) |
단계 없는 아강 | Euheterodonta |
하위 분류 | |
과 | Arcticoidea 돌조개상과 (Astartoidea) 좁쌀무늬조개상과 (Carditoidea) 새조개상과 (Cardioidea) 백합조개상과 (Chamoidea) 대맛조개상과 ( гладконоговideoidea) 고둥조개상과 (Galeommatoidea) 군소붙이상과 (Gastrochaenoidea) 콩조개상과 (Glycymeridoidea) 고이아상과 ( Cyamoidea) 내장조개상과 (Hiatelloidea) 범부채조개상과 (Lucinoidea) Mactroidea 진주조개상과 (Mytiloida) 모시조개상과 (Tellinoidea) 오스테오비르가상과 (Osteobirgoidea) 팻상과 (Pectinoidea) Petricolarioidea Pholadoidea 석회관조개상과 (심히 잘 함) 꽃잎새발이조개상과 (Psammobiidae) 바위틈새조개상과 (Pupilloidea) Solenoidea 돌기맛상과 (Solemyoidea) 개량조개상과 (Sphaerioidea) 고막상과 (Cyamiidae) Teredinidae 닭부리조개상과 (Tridacnoidea) 진흙조개상과 (Veneroidea) 콩꼬투리조개상과 (Thyasiroidea) Orbignyioidea |
2. 분류
백합목은 측계통이며, 이치아강 중에서 몇몇 작은 계통(다계통의 대형조개목과 단계통의 이인대류)을 제외한 나머지이다. 따라서 현재의 계통분류에서는 인정되지 않는다.
이치아강은 계통적으로, 원시적이며 종수가 적은 Archiheterodonta 와 진화적이며 종수가 많은 Euheterodonta 로 나뉜다.[2] Archiheterodonta 는 전통적으로 백합목에 포함되지만, 백합목에서 제외하고 토마야가이목[3] 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다만 토마야가이목을 제외한 협의의 백합목 역시 측계통이다. Euheterodonta 는 협의의 백합목, 대형조개목, 이인대류로 구성된다.
Beesley ''et al''. (1998)[4]에서는 백합목을 18상과 36과로 분류했지만, 최근의 계통 분석에 따라 다계통으로 밝혀진 상과나 과가 분할되면서 그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과거 백합목에 속했던 주요 분류군은 #과거 백합목에 속했던 주요 분류군에 표로 정리되어있다.
2. 1. 과거 백합목에 속했던 주요 분류군
다음은 과거 백합목에 속했던 주요 분류군이다. 현재는 각각 다른 계통군에 속한다.상과 | 과 |
---|---|
백합상과 (Veneroidea) | |
등줄조개상과 (Astartoidea) | 등줄조개과 (Astartidae) |
재첩상과 (Corbiculoidea) | |
접시조개상과 (Tellinoidea) | |
Arcticoidea | |
새조개상과 (Cardioidea) | |
Dreissenoidea | Dreissenidae |
비늘조개상과 (Galeommatoidea) | |
Glossoidea | |
꽃잎조개상과 (Lucinoidea) | |
개량조개상과 (Mactroidea) | |
죽합상과 (Solenoidea) | |
주름방사륵조개과 (Carditoidea) | |
Gastrochaenoidea | Gastrochaenidae |
Cyamioidea | |
Chamoidea | 굴아재비과 (Chamidae) |
Crassatelloidea | Crassatellidae |
2. 1. 1. 백합상과 (Veneroidea)
- 돌속살이조개과 (Petricolidae)
- 백합과 (Veneridae)
- 새알조개과 (Glauconomyidae)[5]
- 자갈색반질이조개과 (Turtoniidae)[5]
2. 1. 2. 등줄조개상과 (Astartoidea)
등줄조개과 (Astartidae)2. 1. 3. 재첩상과 (Corbiculoidea)
- 재첩과 (Corbiculidae)
- Sphaeriidae
2. 1. 4. 접시조개상과 (Tellinoidea)
- 자패과 (Psammobiidae)
- 반투명조개과 (Semelidae)
- 접시조개과 (Tellinidae)
- 발가리맛조개과 또는 가리맛조개과 (Solecurtidae 또는 Novaculinidae)[5]
2. 1. 5. Arcticoidea
Arcticoidea영어- * Arcticidae
- * 돌고부지과 (Trapezidae)
2. 1. 6. 새조개상과 (Cardioidea)
- 새조개과 (Cardiidae)
- Tridacnidae
2. 1. 7. Dreissenoidea
- Dreissenidae
2. 1. 8. 비늘조개상과 (Galeommatoidea)
비늘조개과 (Galeommatidae)가재더부살이조개과 (Lasaeidae)
큰집가재더부살이조개과 (Kelliidae)
2. 1. 9. Glossoidea
- Glossidae
- Vesicomyidae
2. 1. 10. 꽃잎조개상과 (Lucinoidea)
- 꽃잎조개과 (Lucinidae)
- 말발조개과 (Thyasiridae)
- 돌살이조개과 (Ungulinidae)
- Cyrenoididae
- Fimbriidae
2. 1. 11. 개량조개상과 (Mactroidea)
- 개량조개과 (Mactridae)
- 퇴조개과 (Mesodesmatidae)
2. 1. 12. 죽합상과 (Solenoidea)
2. 1. 13. 주름방사륵조개상과 (Carditoidea)
주름방사륵조개과 (Carditidae)와 Condylocardiidae를 포함한다.[5]2. 1. 14. Gastrochaenoidea
Gastrochaenidae2. 1. 15. Cyamioidea
- Cyamiidae
- Neoleptonidae
- Sportellidae
2. 1. 16. Chamoidea
굴아재비과 (Chamidae)2. 1. 17. Crassatelloidea
Crassatellidae3. 계통 분류
현재 백합목은 이치아강(Heterodonta) 내에서 원시적인 Archiheterodonta와 진화적인 Euheterodonta로 나뉜다.[2] 과거 백합목에 속했던 일부는 Archiheterodonta에 속하며, 토마야가이목(Carditoida)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3] Euheterodonta는 과거 협의의 백합목, 대형조개목, 이인대류 등으로 구성된다. 분자계통학 연구 결과에 따라, 과거 백합목에 속했던 상과 및 과는 계속해서 재분류되고 있다.
1998년 Beesley 등[4]은 백합목을 18상과 36과로 분류했지만, 최근의 계통 분석에 따라 다계통으로 밝혀진 상과나 과가 분할되면서 그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다음은 백합목에 속했던 상과 및 과의 일부이다.
상과 | 과 |
---|---|
백합상과 (Veneroidea) | 돌속살이조개과 (Petricolidae), 백합과 (Veneridae), 새알조개과 (Glauconomyidae),[5] 자갈색반질이조개과 (Turtoniidae)[5] |
등줄조개상과 (Astartoidea) | 등줄조개과 (Astartidae) |
재첩상과 (Corbiculoidea) | 재첩과 (Corbiculidae), Sphaeriidae |
접시조개상과 (Tellinoidea) | Donacidae, 자패과 (Psammobiidae), 반투명조개과 (Semelidae), 접시조개과 (Tellinidae), 발가리맛조개과 또는 가리맛조개과 (Solecurtidae 또는 Novaculinidae)[5] |
Arcticoidea | Arcticidae, 돌고부지과 (Trapezidae) |
새조개상과 (Cardioidea) | 새조개과 (Cardiidae), Tridacnidae |
Dreissenoidea | Dreissenidae |
비늘조개상과 (Galeommatoidea) | 비늘조개과 (Galeommatidae), 가재더부살이조개과 (Lasaeidae), 큰집가재더부살이조개과 (Kelliidae) |
Glossoidea | Glossidae, Vesicomyidae |
꽃잎조개상과 (Lucinoidea) | Cyrenoididae, Fimbriidae, 꽃잎조개과 (Lucinidae), 말발조개과 (Thyasiridae), 돌살이조개과 (Ungulinidae) |
개량조개상과 (Mactroidea) | 개량조개과 (Mactridae), 퇴조개과 (Mesodesmatidae) |
죽합상과 (Solenoidea) | 둥근맛조개과 (Cultellidae),[5] 작두콩가리맛조개과 (Pharidae 또는 Pharellidae), 죽합과 (Solenidae) |
주름방사륵조개상과 (Carditoidea) | 주름방사륵조개과 (Carditidae), Condylocardiidae |
Gastrochaenoidea | Gastrochaenidae |
Cyamioidea | Cyamiidae, Neoleptonidae, Sportellidae |
Chamoidea | 굴아재비과 (Chamidae) |
Crassatelloidea | Crassatellidae |
참조
[1]
서적
岩波生物学辞典 第4版
岩波書店
[2]
서적
Phylogeny and Evolution of the Mollusca
University of California ress
[3]
웹사이트
Species list
http://bivatol.org/i[...]
[4]
서적
Mollusca: The Southern Synthesis
CSIRO publishing
[5]
웹사이트
http://www.ncbi.nl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