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드나무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버드나무과는 말피기아목에 속하는 식물 과로, 과거에는 버드나무속과 사시나무속만을 포함했으나, 분자계통학 연구를 통해 플라쿠르티아과에 속했던 많은 속들이 통합되었다. 이 과는 3개의 아과로 나뉘며 약 55속 1,250종을 포함한다. 버드나무족은 북반구 온대 및 한대에 주로 분포하며, 잎은 단엽이고 꽃은 단성화이며, 삭과 열매를 맺는다. 계통 분류상 제비꽃과, 시계꽃과 등과 가까운 관계를 가지며, 하위 분류의 일부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버드나무과 - 산유자나무
산유자나무는 중국에서 유래한 2.4~3미터 높이의 나무로, 붉은 새 잎이 밝은 녹색으로 변하며 항염증, 출산 촉진, 항멜라닌 생성 효과가 있는 작은 검은 열매를 맺어 피부 미용 제품에 활용된다. - 버드나무과 - 이나무
이나무는 일본, 한반도, 중국 등지에 분포하는 낙엽 활엽수로, 붉은 잎자루와 심장형 잎, 황록색 꽃을 피우며, 가을에 주황색에서 짙은 적자색으로 익는 열매는 관상수 및 식용으로 사용된다. - 1815년 기재된 식물 - 느릅나무과
느릅나무과는 점액 물질을 가진 나무와 관목으로, 잎은 어긋나게 배열되고 잎 기부가 비대칭인 특징을 가지며, 목재, 식용, 약용 등으로 이용되고 좋은 인연의 상징으로도 여겨지는 느릅나무속, 느티나무속, 시무나무속 등을 포함한다. - 1815년 기재된 식물 - 미나리아재비아과
미나리아재비아과는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5개의 아과 중 하나로, 여러 족으로 세분된다. - 식물의 과 - 박과
박과는 주로 덩굴성 한해살이 식물로, 잎은 어긋나고 꽃은 단성화이며, 오이, 수박, 호박, 멜론 등 채소 및 과일로 재배되거나 약재로 사용되는 페포 열매를 맺는 식물군이다. - 식물의 과 - 나한송과
나한송과는 19개 속으로 분류되며, 잎 모양이 다양하고 암수딴그루인 경우가 많으며, 남반구에 주로 분포하고 목재나 정원수로 이용되기도 한다.
버드나무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Salicaceae |
명명자 | Mirb. |
동의어 | Bembiciaceae Caseariaceae 플라쿠르티아과 Homaliaceae Poliothyrsidaceae Prockiaceae 사미다과 스쿠포스테기아과 |
분류 | |
계 | 식물계 |
미분류 문 | 속씨식물 |
미분류 강 | 진정쌍떡잎식물 |
목 | 키트라노오목 |
과 | 버드나무과 |
아과 | 버드나무아과 사미다아과 스쿠포스테기아아과 |
분포 | |
화석 범위 | 에오세 - 현재 |
한국어 명칭 | |
한국어 | 야나기과 |
일본어 | ヤナギ科 |
라틴어 | Salicaceae |
2. 역사적 분류
과거 크론키스트 분류 체계나 새로운 엥글러 분류 체계에서는 버드나무속과 사시나무속만이 버드나무과를 구성했다. 분자계통학 연구 결과에 따라, 과거 플라쿠르티아과(Flacourtiaceae)에 속했던 많은 속들이 버드나무과로 통합되었다.[3][10][11] 이들 족 중 일부는 단계통이 아니며, 추가적인 개정이 필요하다.[4]
- †삭시프라기스페르뭄(Saxifragispermum) Reid & Chandler[13]
- †우트홀로키아(Utkholokia) (Cheleb.) Iljinskaja & Chelb.[13]
3. 주요 특징
버드나무과의 버드나무아과와 갯버들아과는 잎의 톱니까지 잎맥이 들어가 그곳에서 확장되어 분비선이나 짧은 털이 된 구조(Salicoid teeth)를 가지고 있다.[17] 살리실산의 배당체인 살리신은 식물에서는 버드나무아과에서만 발견된다.[18]
버드나무족(Saliceae)은 이 과에서 유일하게 북반구의 온대에서 한대에 분포하는 특징적인 그룹이다. 버드나무속(Chosenia 버드나무속과 Toisusu 왕버들속을 포함)·사시나무속을 포함하며, 과거의 크론키스트 분류 체계나 새로운 엥글러 분류 체계에서는 이 두 속만이 버드나무과였다.
3. 1. 형태적 특징
잎은 단엽이며 잎자루가 있고, 일반적으로 어긋난다. 턱잎은 발달하지만 조기에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잎 가장자리에는 뚜렷한 톱니(Salicoid teeth)가 있으며, 톱니 끝에는 분비선이나 짧은 털이 있다.[17] 살리실산의 배당체인 살리신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18]3. 2. 생식적 특징
꽃은 단성화이며, 암수딴그루이다. 꽃덮이가 없고(단, 꽃 밑에 포가 있다), 암술 1개 또는 수술 1~2개로 이루어지며, 미상꽃차례를 이룬다. 충매화(버드나무속, 왕버들속) 또는 풍매화(사시나무속, 버드나무속)이다. 열매는 삭과이며, 익으면 벌어져 솜털에 싸인 작은 종자를 다수 방출한다. 종자는 유주(柳絮)라고 불리며, 바람을 타고 퍼진다.[17]4. 하위 분류
버드나무과는 크게 3개의 아과, 55속 1,250여 종으로 분류된다.[19]
- 버드나무속(''Salix'' L.)
- 사시나무속(''Populus'' L.)
- 산유자나무속(''Xylosma'' G.Forst.)
- 이나무속(''Idesia'' Maxim.)
- ''Abatia'' Ruiz & Pav.
- ''Azara'' Ruiz & Pav.
- ''Banara'' Aubl.
- ''Bartholomaea'' Standl. & Steyerm.
- ''Bembicia'' Oliv.
- ''Bennettiodendron'' Merr.
- ''Bivinia'' Tul.
- ''Byrsanthus'' Guill.
- ''Calantica'' Jaub. ex Tul.
- ''Carrierea'' Franch.
- ''Casearia'' Jacq.
- ''Dankia'' Gagnep.
- ''Dianyuea'' C.Shang, S.Liao & Z.X.Zhang
- ''Dissomeria'' Hook.f. ex Benth.
- ''Dovyalis'' E.Mey. ex Arn.
- ''Euceraea'' Mart.
- ''Flacourtia'' Comm. ex L'Hér.
- ''Hasseltia'' Kunth
- ''Hasseltiopsis'' Sleumer
- ''Hecatostemon'' S.F.Blake
- ''Hemiscolopia'' Slooten
- ''Homaliopsis'' S.Moore
- ''Homalium'' Jacq.
- ''Irenodendron'' M.H.Alford & Dement
- ''Itoa'' Hemsl.
- ''Laetia'' Loefl. ex L.
- ''Lasiochlamys'' Pax & K.Hoffm.
- ''Ludia'' Comm. ex Juss.
- ''Lunania'' Hook.
- ''Macrohasseltia'' L.O.Williams
- ''Macrothumia'' M.H.Alford
- ''Mocquerysia'' Hua
- ''Neopringlea'' S.Watson
- ''Neoptychocarpus'' Buchheim
- ''Neosprucea'' Sleumer
- ''Olmediella'' Baill.
- ''Oncoba'' Forssk.
- ''Ophiobotrys'' Gilg
- ''Osmelia'' Thwaites
- ''Pangium'' Reinw.
- ''Phyllobotryon'' Müll.Arg.
- ''Pineda'' Ruiz & Pav.
- ''Piparea'' Aubl.
- ''Pleuranthodendron'' L.O.Williams
- ''Poggea'' Gürke
- ''Prockia'' P.Browne ex L.
- ''Pseudoscolopia'' Gilg
- ''Ryania'' Vahl
- ''Samyda'' Jacq.
- ''Scolopia'' Schreb.
- ''Scottellia'' Oliv.
- ''Streptothamnus'' F.Muell.
- ''Tetrathylacium'' Poepp.
- ''Tisonia'' Baill.
- ''Trichadenia'' Thwaites
- ''Trichostephanus'' Gilg
- ''Trimeria'' Harv.
각 아과 및 주요 속은 다음과 같다.
- 사미도이데아(Samydoideae): 카세아리아속(Casearia), 테트라틸라키움속(Tetrathylacium), 루나니아속(Lunania), 리아니아속(Ryania) 등 13속 240여 종을 포함한다.
- 스키포스테기오이데아(Scyphostegioideae): 스키포스테기아속(Scyphostegia) 1종으로 구성된다.
- 버드나무아과(Salicoideae): 아바티아족(Abatieae), 밤비시아족(Bembicieae), 플라쿠르티아족(Flacourtieae), 호말리아족(Homalieae), 프로키아족(Prockieae), 버드나무족(Saliceae), 스콜로피아족(Scolopieae)의 7개 족과 사시나무속(Populus), 버드나무속(Salix) 등 약 55속을 포함한다.
4. 1. 사미도이데아(Samydoideae)
주로 중남미 지역에 분포하며, 13속 240여 종을 포함한다.[19] 주요 속은 다음과 같다.
4. 2. 스키포스테기오이데아(Scyphostegioideae)
보르네오섬에 자생하는 스키포스테기아속(Scyphostegia) 1종으로 구성된다.[19]4. 3. 버드나무아과(Salicoideae)
버드나무아과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특히 온대 및 한대 지역에 다양한 속과 종이 분포한다. 7개의 족(Tribe)으로 나뉘며, 일부 족은 단계통군이 아니므로 추가적인 계통 연구가 필요하다.[4] 버드나무과는 세 개의 아과로 나뉘며, 그 중 버드나무아과는 다시 일곱 개의 족으로 나뉜다.[3][10][11] 약 55속 1,250종이 속한다.[19]버드나무아과의 하위 족으로는 아바티아족(Abatieae), 밤비시아족(Bembicieae), 플라쿠르티아족(Flacourtieae), 호말리아족(Homalieae), 프로키아족(Prockieae), 버드나무족(Saliceae), 스콜로피아족(Scolopieae)이 있다.
4. 3. 1. 아바티아족(Abatieae)
4. 3. 2. 밤비시아족(Bembicieae)
밤비시아[12]는 마다가스카르에 자생하는 1~2종을 포함하는 속이다.4. 3. 3. 플라쿠르티아족(Flacourtieae)
4. 3. 4. 호말리아족(Homalieae)
속(Genus) | 학명 | 종 수 | 분포 지역 |
---|---|---|---|
바르톨로마에아 | 스탠들리와 스테이어마크(Standley & Steyerm) | 2종 | 중앙아메리카 |
비비니아 | 툴라스네(Tulasne) | 1종 | 동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
비르산투스 | 기유맹(Guillemin) | 1종 | 서아프리카 |
칼란티카 | 툴라스네(Tulasne) | 약 8종 | 동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
디소메리아 | 벤담(Bentham) | 1종 | 서아프리카 |
호말리움 (타카사고노키속) | 자킨(Jacquin) | 180여 종 | 전열대 |
네오프링글레아 | 왓슨(S. Watson) | 3종 | 중앙아메리카 |
트리메리아 | 하비(Harvey) | 2종 | 남아메리카 |
4. 3. 5. 프로키아족(Prockieae)
- 아에르니아 머릴(Merrill)
- 바나라 오블레(Aublet)
- 하셀티아 쿤트(Kunth)
- 하셀티옵시스 슬루머(Sleumer)
- 마크로하셀티아 윌리엄스(L. O. Williams)
- 마크로투미아 알포드(M.H.Alford)
- 네오스프루체아 슬루머(Sleumer)
- 피네다 루이스와 파봉(Ruiz & Pavón)
- 플레우란토덴드론 윌리엄스(L. O. Williams)
- 프로키아 린네(L.)
4. 3. 6. 버드나무족(Saliceae)
4. 3. 7. 스콜로피아족(Scolopieae)
- 헤미스콜로피아 반 슬로텐(van Slooten)
- 슈도스콜로피아 길그(Gilg)
- 스콜로피아 슈레버(Schreber)
5. 계통 분류
말피기아목 내에서 버드나무과의 계통학적 위치는 다음과 같다.[22][23]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에 따르면, 버드나무과는 제비꽃과, 시계꽃과 등과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 현재 사용되는 과 내의 하위 분류는 완전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일부 속의 분류학적 위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20]
{| class="wikitable"
|-
! 말피기아목
|-
|
{| class="wikitable"
|-
|
푸트란지바과 |
로포피시스과 |
|-
| 와일드망고과
|-
| 켄트로플라쿠스과
|-
| 카리오카르과
|-
| 판다과
|-
| 익소난테스과
|-
| 후미리아과
|-
| 아마과
|-
|
|-
|
{| class="wikitable"
|-
| 크테놀로폰과
|-
|
|}
|-
|
{| class="wikitable"
|-
| 발라놉스과
|-
|
{| class="wikitable"
|-
|
|-
|
에우프로니아과 |
크리소발라누스과 |
|}
|}
|-
|
오크나과 |
해파리나무과 |
쿠이나과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칼로필룸과
|-
|
|}
|}
|-
|
|-
|
{| class="wikitable"
|-
| 페라과
|-
|
|}
|-
|
{| class="wikitable"
|-
| 아카리아과
|-
|
{| class="wikitable"
|-
| 고우피아과
|-
|
{| class="wikitable"
|-
| 제비꽃과
|-
|
{| class="wikitable"
|-
| 말레셰르비아과
|-
|
투르네라과 |
시계꽃과 |
|}
|}
|-
|
{| class="wikitable"
|-
| 라키스테마과
|-
| 버드나무과 ''s.l.''
{| class="wikitable"
|-
| 사미다과
|-
|
스키포스테기아과 |
버드나무과 |
|}
|}
|}
|}
|}
|}
참조
[1]
웹사이트
Malpighiales
https://mobot.org/MO[...]
2023-06-16
[2]
웹사이트
Salicaceae Mirb., nom. cons.
http://www.ars-gri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3-01-17
[3]
웹사이트
Angiosperm Phylogeny Website
http://www.mobot.org[...]
2015-01-28
[4]
저널
When in doubt, put it in Flacourtiaceae: a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plastid rbcL DNA sequences
[5]
저널
The number of known plants species in the world and its annual increase
http://biotaxa.org/P[...]
Magnolia Press
[6]
웹사이트
Angiosperm Phylogeny Website
http://www.mobot.org[...]
2008-06-01
[7]
저널
New Names and Combinations in Neotropical Samydaceae
[8]
저널
Malpighiales phylogenetics: Gaining ground on one of the most recalcitrant clades in the angiosperm tree of life
[9]
서적
Plant systematics : a phylogenetic approach
2015-01-01
[10]
저널
A synopsis of Flacourtiaceae
http://scholarship.c[...]
1988-01-01
[11]
웹사이트
Family Salicaceae
https://www.uniprot.[...]
UniProt
[12]
저널
Nomenclatural innovations in neotropical Salicaceae
https://www.biodiver[...]
2006-01-01
[13]
저널
An extinct genus of Salicaceae based on twigs with attached flowers, fruits, and foliage from the Eocene Green River Formation of Utah and Colorado, USA
[14]
저널
Irenodendron, a new genus of Samydaceae from South America
2015-01-01
[15]
저널
A taxonomic revision of Ophiobotrys, Osmelia, and Pseudosmelia (Samydaceae/Salicaceae s.l.)
[16]
저널
Dianyuea gen. nov. (Salicaceae: Scyphostegioideae) from southwestern China
2017-01-01
[17]
웹사이트
Salicaceae
http://www.mobot.org[...]
2006-05-01
[18]
저널
Molecular phylogeny of Salicaceae and closely related Flacourtiaceae: Evidence from 5.8 S, ITS 1 and ITS 2 of the rDNA
[19]
서적
見わけがすぐつく樹木図鑑
成美堂出版
2023-05-20
[20]
저널
When in doubt, put it in Flacourtiaceae: a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plastid rbcL DNA sequences
http://www.jstor.org[...]
[21]
서적
Elémens do Physiologie Végétale et de Botanique
[22]
저널
Resolving an Ancient, Rapid Radiation in Saxifragales
[23]
저널
How Much Data are Needed to Resolve a Difficult Phylogeny? Case Study in Lamial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