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튼 크레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버튼 크레인은 미국의 언론인, 극작가, 가수, 교육자이다. 그는 일본에서 활동하며 '재팬 애드버타이저'의 기자로, '뉴욕 타임스'와 '월스트리트 저널'의 특파원으로 활동했고, 이후에는 '콜롬비아 레코드'에서 '일본의 빙 크로스비'로 불리며 가수로 활동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전략사무국에서 첩보 임무를 수행했으며, 한국 전쟁을 취재하다 부상을 입기도 했다. 그는 극작가로도 활동하며 연극을 연출하고 저술 활동을 했으며, 1963년 뉴욕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전쟁 종군 기자 - 마거리트 히긴스
마거리트 히긴스는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등 주요 분쟁 지역을 취재하고 한국 전쟁 보도로 여성 최초 퓰리처상을 수상한 미국의 종군 기자이자 작가이다. - 한국 전쟁 종군 기자 - 프랭크 기브니
프랭크 기브니는 미국의 언론인이자 작가, 동아시아 전문가로, 타임, 라이프, 뉴스위크 등에서 활동하며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편집에도 참여했고, 특히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깊이 있는 취재와 저술 활동, 퍼시픽 베이슨 연구소 설립을 통해 서구 사회에 해당 지역을 알리는 데 기여했으며, 그의 저서 《태평양 세기》는 에미상을 수상한 PBS 다큐멘터리로 제작되기도 했다. - 일본에 거주한 미국인 - 더럼 스티븐스
더럼 스티븐스는 미국의 외교관으로, 주일 미국 공사관 서기관으로 외교관 생활을 시작하여 일본 외무성에서 일했으며, 대한제국 외부 고문으로 친일 행보를 보이다가 샌프란시스코에서 재미 한인에게 피격되어 사망, 한국 역사에서 비판받는 인물이다. - 일본에 거주한 미국인 - 루이스 잠페리니
루이스 잠페리니는 미국의 장거리 육상 선수이자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으로, 올림픽 국가대표 출전 후 전쟁 중 일본군 포로로 억류되었으며, 전후에는 복음주의자로 용서와 화해를 전파하고 그의 삶은 여러 작품으로 제작되었다. - 뉴욕주 출신 - 믹 폴리
믹 폴리는 1965년생 미국의 프로레슬러, 작가, 배우, 코미디언, 사회 운동가이며, 캑터스 잭, 맨카인드, 듀드 러브 등 다양한 기믹으로 활동하며 WWE 챔피언 3회, WWE 월드 태그팀 챔피언 8회를 포함한 여러 챔피언십을 획득하고, 자서전 출간 및 사회 운동에도 참여했으며 2013년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뉴욕주 출신 - 루이스 잠페리니
루이스 잠페리니는 미국의 장거리 육상 선수이자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으로, 올림픽 국가대표 출전 후 전쟁 중 일본군 포로로 억류되었으며, 전후에는 복음주의자로 용서와 화해를 전파하고 그의 삶은 여러 작품으로 제작되었다.
버튼 크레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버튼 크레인 |
출생 | 1901년 1월 23일 |
사망 | 1963년 2월 3일 (향년 62세) |
출생지 | 미국 뉴욕주 버펄로 |
사망 원인 | (정보 없음) |
국적 | 미국 |
혈액형 | (정보 없음) |
학력 | |
학교 | 프린스턴 대학교 (중퇴) |
직업 | |
직업 | 가수 저널리스트 |
활동 기간 | 1931년 - 1936년 |
장르 | 재즈 송 |
소속사 | |
레이블 | 컬럼비아 테이치쿠 |
2. 초기 생애 및 언론 활동
버튼 크레인은 뉴욕주버펄로에서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1920년 프린스턴 대학교를 중퇴한 후 건설 회사에 근무하다가 경제 관련 저널리스트를 지망하여 신문계에 들어갔다.[4] 1925년 재팬 어드버타이저지의 기자 겸 뉴욕 타임스, 월스트리트 저널의 도쿄 특파원으로 일본에 왔다.
2. 1. 미국에서의 활동
프린스턴 대학교를 중퇴한 후 건설 회사에 근무하다가, 경제 관련 저널리스트를 지망하여 신문계에 들어갔다.[4] 뉴저지주엘리자베스의 엘리자베스 타임스와 AP 통신 필라델피아 지국에서 기자로 근무하였다.2. 2. 일본에서의 활동 (1925-1936)
1925년 도쿄로 건너가 ''재팬 애드버타이저''(Japan Advertiser)의 재정 담당 편집자로 일했으며, 1936년까지 뉴욕 타임스와 월스트리트 저널의 도쿄 특파원도 겸임했다. 이 기간 동안 일본 경제에 대한 권위자로 명성을 얻었다.[4]3. 가수 활동
콜롬비아 레코드에서 가수로 활동하며 당시 유행하던 서양 노래를 일본어로 번안해 불러 "일본의 빙 크로스비"라는 별명을 얻었다.[2]
1931년(쇼와 6년) 모리 이와오의 협력으로 녹음한 첫 작품 『술이 마시고 싶어』는 같은 해 4월 발매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 이 곡은 당시 미국 대학생들 사이에서 불리던 California Drinking Song영어을 번안한 것으로 추정된다.[5]
이후 『집에 가고 싶어』, 『어이 어이 노부코 씨』, 『유키 짱은 마물이다』, 『일본 아가씨』 등 30곡 가까운 코믹송과 『월광가천금』 등 재즈송을 녹음했다. 1934년(쇼와 9년) 녹음을 중단하고, 1936년(쇼와 11년) 테이치쿠에서 레코드 1장을 낸 후 가수 활동을 중지하고 귀국했다.
3. 1. 데뷔 계기
콜롬비아 레코드의 L.A. 화이트 사장은 1927년(쇼와 2년)에 축음기 수입 판매 회사인 일본 축음기 상회를 매수한 미국의 외자계 회사 사장이었다. 당시 콜롬비아 레코드는 라이벌인 빅터와 함께 최신 기술인 전기 녹음 방식을 이용한 고음질 국산 레코드 판매를 추진했다. 1928년(쇼와 3년) 니무라 테이이치・아마노 키쿠요의 'My Blue Heaven' 발매로 미국의 재즈 음악을 일본에 보급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판매 체제 강화를 위해 일본에 방문한 화이트는 연회에서 고국의 노래를 서투른 일본어로 부르는 크레인을 보고 가수로서의 재능을 발견했다.[2]3. 2. 주요 활동 및 평가
Burton Crane영어은 《재팬 애드버타이저(Japan Advertiser)》에서 일하면서 콜롬비아 레코드에서 독특한 가수로 명성을 얻었다. 당시 유행하던 서양 노래를 일본어로 번안해 불러 "일본의 빙 크로스비"로 알려지게 되었다.[2]1931년(쇼와 6년) 1월에 녹음된 첫 작품 『술이 마시고 싶어』는 같은 해 4월에 발매되어 큰 히트를 기록했다. 이 곡은 작곡이 크레인 본인 명의로 되어 있지만, 버턴 크레인 연구자들은 당시 미국 대학생들 사이에서 불리던 California Drinking Song영어과 가사가 일치하기 때문에 그 부분이 원곡이 아니겠냐고 추측하고 있다. 작사는 모리 이와오 명의이지만, 모리 본인이 버턴 크레인 작임을 시사하는 증언을 남겼으며, 본인이 만든 일본어 가사를 모리가 정리하고 보충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5]
『술이 마시고 싶어』의 가사에 대해 시인 사토 하치로는 '''"이 노래는 노래 그 자체가 만취해 있다", "나도 이런 취한 노래를 만들고 싶다"'''라고 격찬했다.[5] 이 곡은 후에 가토 도키코가 1983년 앨범 "꿈의 인어"에서 커버하여, 자신의 "알딸딸 콘서트"의 테마송으로 사용했다. 반주는 콜롬비아 전속 재즈 연주가로 구성된 콜롬비아 재즈 밴드가 담당하여, 당시 사회를 반영한 모던한 음악을 만들어냈다.
단숨에 인기 가수가 된 크레인은, 『집에 가고 싶어』, 『어이 어이 노부코 씨』, 『유키 짱은 마물이다』, 『일본 아가씨』 등 30곡 가까운 코믹송을 중심으로 한 레코드를 냈다. 그 대부분이 미국의 속요에 번역 가사를 붙인 것이었다. 또한 『월광가천금』등 본격적인 재즈송도 녹음했다. 크레인의 레코드는 처음에는 신기함 때문에 팔렸지만 점차 매너리즘에 빠져 1934년(쇼와 9년)에 녹음을 하지 않게 된다. 1936년(쇼와 11년) 테이치쿠로 이적 후, 레코드를 1장만 낸 후 가수 활동을 중지하고 그 해 가을에 귀국했다.
일본 체류 중의 크레인은, 롯폰기에 가족과 함께 살았으며, 틈만 나면 아사쿠사로 나가 카페에서 술을 마시고, 에노모토 겐이치 등의 연예인들과 교류했다. 기자로서는 성실하고 엄격한 업무 태도였지만 '''"매우 세련된 면이 있었으며, 꽤 훌륭한 일본어였다."''' (에노모토 겐이치 담)라고 한다.
4. 극작가 및 연출가 활동
버튼 크레인은 도쿄 국제 극단에서 연극 6편을 연출했으며, 그중 5편은 직접 집필했다. 그는 연극 및 재정 관련 서적도 4권 집필했다.[1]
5. 저술 활동 및 교육 활동
그는 도쿄 국제 극단에서 연극 6편을 연출했으며, 그중 5편은 직접 집필했다. 그는 연극 및 재정 관련 서적 4권을 추가로 집필했다. 1952년부터 1953년까지 뉴욕 대학교에서 강의했다.[1] 그의 주식 시장 관련 저서 《현명한 투자자(The Sophisticated Investor)》는 두 번의 개정판과 수많은 재판을 거쳤다. 1964년 랜덤 하우스에서 《스마트 머니(Smart Money)》를 출판했다.[1]
6.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
버튼 크레인은 미국 여러 신문사에서 근무한 후, 1925년 도쿄로 건너가 ''재팬 애드버타이저''(Japan Advertiser)의 재정 담당 편집자가 되었다. 그는 1936년까지 이 직책을 유지했으며, 일본 경제에 대한 권위자로 명성을 얻었다.
1945년 전략사무국에 복무하기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크레인은 ''뉴욕 타임스''의 도쿄 지국에 합류했다. 그는 한국 전쟁을 취재하던 중 부상을 입었다.
6. 1. 전략사무국 복무
1937년 귀국 후 크레인은 《뉴욕 타임스》 기자로 초청되어 경제면을 담당했는데, 해당 기사는 미국 전체에서도 최고 수준의 평가를 받았다. 같은 해 2월 7일에는 베니 굿맨 악단의 콘서트의 일본향 국제 방송에서 해설을 하는 등 일본의 재즈 팬들과의 관계를 이어갔다. 태평양 전쟁 개전 후에는 일본 전문가라는 이유로 중용되어, 1945년 전략사무국(OSS) 극동 지역에 소속되어 중화민국 곤명에서 첩보 관련 임무를 맡았다.7. 일본과의 인연
1925년 도쿄로 건너가 ''재팬 애드버타이저''(Japan Advertiser)의 재정 담당 편집자 겸 뉴욕 타임스, 월스트리트 저널의 도쿄 특파원으로 일했다. 1936년까지 재팬 애드버타이저 편집자로 근무하며 일본 경제에 대한 권위자로 명성을 얻었다.[4]
1937년 2월 7일에는 베니 굿맨 악단의 콘서트의 일본향 국제 방송에서 해설을 맡는 등 일본의 재즈 팬들과의 관계를 이어갔다. 태평양 전쟁 발발 후에는 일본 전문가로 중용되어 1945년 전략사무국 극동반에 소속, 중화민국 곤명에서 첩보 관련 임무를 맡았다.[4]
7. 1. 종전 후 재방일과 특파원 활동
종전 후, 크레인은 특파원으로서 다시 일본을 방문했다. 일본의 친구들과 예전의 친분을 나누는 한편, "코레스폰덴츠 클럽"(현 일본 외국 특파원 협회)을 설립하여 초대 회장에 취임하여, 일본에 있는 외국 특파원들을 총괄하는 역할을 맡았다.[3]전후 두 번째 일본 방문에서는 오로지 본업인 기자 활동에 힘썼으며, 가수 활동은 전혀 하지 않았다. 후루카와 롭파의 『후루카와 롭파 쇼와 일기』에는, NHK에서 롭파와 함께 노래하거나 롭파에게 각본을 제공했다는 기록이 있다.[4]
8. TV 출연
버튼 크레인은 1961년 버드 콜리어가 진행하는 진실을 말해봐 에피소드에 출연했다. 톰 포스턴, 키티 칼라일, 돈 아메체, 페기 캐스 네 명의 패널은 사칭자들 중에서 그를 정확히 알아맞혔다.[3]
9. 사망
크레인은 1963년 뉴욕에서 지병으로 사망했다.[1]
10. 사후 평가 및 재조명
최근 일본 내에서 CD 발매 등을 통해 재평가 움직임이 일고 있다.
발매일 | 앨범명 | 레이블 | 비고 |
---|---|---|---|
2006년 1월 23일 | 《버튼 크레인 작품집》 | Neach Records (품번: NEACH-0123) | |
2016년 2월 12일 | 《버튼 크레인 작품집 2nd Edition》 | Neach Records (품번: NEACH-5578) | 첫 CD화된 《나의 멋진 남자!》 추가, 후루카와 롯파와의 대담 기사 게재 |
참조
[1]
뉴스
Burton Crane Dies a N.Y. Times Writer
The New York Times
1963-02-04
[2]
방송
To Tell the Truth
1961-03-20
[3]
웹사이트
To Tell The Truth
https://www.youtube.[...]
2024-08-20
[4]
웹사이트
1-2 学校教育とジャーナリスト修行(1914-1925)
http://camp.ff.tku.a[...]
東京経済大学
2015-01-04
[5]
서적
「バートン・クレーン覚書」(『コミュニケーション科学17』、東京経済大学、2002年、下記HPで閲覧可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