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부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범부채는 붓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인도, 중국 등 동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아열대 및 온대 기후 지역에서 재배된다. 잎이 부채 모양으로 퍼져 있고 꽃잎에 반점이 있어 이름이 붙었으며, 높이는 50~100cm까지 자란다. 여름에 오렌지색 또는 붉은색 꽃이 피며, 뿌리줄기는 약재로 사용된다. 관상용으로도 재배되며, 씨앗은 '사천옥'으로 불리며 문학 작품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붓꽃아과 - 제비붓꽃
제비붓꽃은 5~6월에 보라색 꽃을 피우는 붓꽃과의 다년생 초본 식물로, 습지에서 무리지어 자라며, 넓은 잎과 흰색 또는 연한 노란색 무늬가 있는 바깥쪽 꽃잎이 특징이고,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며 관상용으로 재배된다. - 붓꽃아과 - 꽃창포
꽃창포는 6~7월에 자주색 꽃잎과 노란색 줄무늬가 있는 꽃을 피우는 60~120cm 높이의 여러해살이 풀로,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습지나 물가에서 자생하고 원예용, 약재로도 사용되며 자생지 보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원예 식물 - 석류나무
석류나무는 서남아시아와 중동 원산의 부처꽃과 낙엽성 소교목으로, 붉은 꽃과 식용 열매가 특징이며, 풍요와 다산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고 전통 의학 및 염색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원예 식물 - 국화속
국화속(Chrysanthemum)은 관상용 여러해살이풀로 두상화 형태의 꽃을 피우며, 다양한 색상과 크기를 가지고 동아시아 문화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범부채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Iris domestica |
명명자 | (L.) Goldblatt & Mabb. (2005) |
이명 | Belamcanda chinensis Belamcanda chinensis var. curtata Belamcanda chinensis f. flava Belamcanda chinensis var. taiwanensis Belamcanda chinensis f. vulgaris Belamcanda flabellata Belamcanda pampaninii Belamcanda punctata Bermudiana guttata Epidendrum domesticum Ferraria crocea Gemmingia chinensis Gemmingia chinensis f. aureoflora Gemmingia chinensis f. rubriflora Ixia chinensis Ixia ensifolia Moraea chinensis Moraea guttata Pardanthus chinensis Pardanthus nepalensis Pardanthus sinensis Vanilla domestica |
영어 이름 | Leopard flower (레오파드 플라워) |
한국어 이름 | 범부채 |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미분류) | 속씨식물군 |
강 (미분류) | 외떡잎식물군 |
목 | 비짜루목 |
과 | 붓꽃과 |
속 | 붓꽃속 또는 범부채속 (Belamcanda) |
기타 | |
사용 | 아야메과의 식물 |
2. 분포
한국·인도·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범부채는 동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아열대 기후와 온대 기후 지역에서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어 왔다.[3][5] 아름다운 꽃의 관상적 가치로 인해, 18세기 초 유럽으로, 19세기에는 미국과 카리브 국가로 일찍이 유입되었다.[3]
범부채는 잎 모양이 부챗살처럼 배열되어 있고 꽃잎에 찍힌 얼룩 반점이 표범과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동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아열대 기후와 온대 기후 지역에서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어 왔다.[3][5] 아름다운 꽃의 관상적 가치로 인해, 18세기 초 유럽으로, 19세기에는 미국과 카리브 국가로 일찍이 유입되었다.[3]
범부채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50cm에서 100cm이며,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고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줄기 밑부분에서 2열로 어긋나며 다소 편평하고 길이 30cm에서 50cm, 너비 2cm에서 4cm로 끝이 뾰족하다. 잎 색깔은 백색을 띤 녹색이다. 줄기당 3~5개의 줄기와 8~14개의 잎이 부채 모양으로 자란다.[3]
3. 기원
4. 특징
일본에서는 잎이 길게 부채 모양으로 퍼져 있으며, 궁정인이 지닌 히노키 부채를 닮았다고 하여 범부채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하며, '''까마귀 부채'''라고도 불린다.[7][9][8] 야생에서는 초원, 목초지, 숲의 빈터, 목초지, 산악 지역 또는 관목지에서 자란다.[3] 혼슈, 시코쿠, 규슈에 분포한다.
4. 1. 꽃
꽃은 7-8월에 피며, 지름이 5cm에서 6cm이고, 가지 끝에 여러 개가 달려 있어 취산꽃차례를 이룬다. 꽃잎은 6개로 황적색 바탕에 암적색 반점이 있다. 꽃자루 아래 부분에는 4-5개의 포가 있는데, 포는 길이 1cm 정도의 난형이며 막질이다. 수술은 3개이며 실 모양이다.[3] 여름에 가까이에서 보면 주황색-붉은색을 띠며 어두운 색소 반점이 흩어져 있다.[3]
8월경에 꽃이 피며, 지름은 5cm에서 6cm 정도이다. 꽃덮이 조각은 주황색이며 붉은 반점이 있고, 방사상으로 벌어진다. 오전 중에 피고 저녁에는 시드는 하루살이 꽃이다.[7][9][8]
4. 2. 열매
가을에 씨방이 열리고, 블랙베리와 유사한 검고 광택이 나는 씨앗 덩어리가 나타나 "블랙베리 릴리"라는 이름이 붙었다.[3] 씨앗은 지름이 4밀리미터 정도이며 검고 윤기가 있다.
5. 생태
범부채는 여러해살이풀로, 0.6m에서 1m까지 자랄 수 있으며, 얕은 땅에 뿌리줄기가 수평으로 뻗어 있다.[3] 줄기당 3~5개의 줄기와 8~14개의 잎이 부채 모양으로 자라며, 여름에 꽃이 피어 가까이에서 오렌지색-붉은색을 띠며 어두운 색소 반점이 흩어져 있다.[3] 씨방은 가을에 열리고, 블랙베리와 유사한 검고 광택이 나는 씨앗 덩어리가 나타나 이 식물에 "블랙베리 릴리"라는 일반적인 이름을 부여했다.[3] 이 식물은 USDA 식물 내한성 구역 5까지 내성이 있으며, 씨앗이나 분열로 번식한다.
야생에서는 초원, 목초지, 숲의 빈터, 목초지, 산악 지역 또는 관목지에서 자란다.[3] 많은 지역에서 재배되었지만, 침입종으로 간주되지는 않는다.[3]
범부채는 산과 들의 풀밭이나 해안에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높이는 60cm에서 120cm 정도이다. 잎은 길게 부채 모양으로 퍼져 있으며, 궁정인이 지닌 히노키 부채를 닮았다고 하여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7][9] '''까마귀 부채'''라고도 불린다.[8]
꽃은 8월경에 피며, 지름은 5cm에서 6cm 정도이다. 꽃덮이 조각은 주황색이며 붉은 반점이 있고, 방사상으로 벌어진다. 오전 중에 피고 저녁에는 시드는 하루살이 꽃이다. 씨앗은 4mm 정도이며 검고 윤기가 있다.
혼슈, 시코쿠, 규슈에 분포한다.
6. 이용
범부채는 관상용으로 심으며 뿌리줄기는 소염·진해·편도·폐렴·해열·각기 등에 약재로 쓰인다.[3] 열매는 9월에 익으며, 검은색 씨앗은 광택이 난다. 꽃은 곤충과 새에게 꿀과 꽃가루를 제공한다.[3] 검은 씨앗은 일본에서 사천옥(ヌバタマ일본어)이라고 불리며, 와카(일본 고유의 정형시)에서 '검정'이나 '밤'을 수식하는 말로 쓰인다.[9] 범부채 열매를 본뜬 화과자 우바타마도 있다.[10][11][12]
6. 1. 관상용
범부채는 개인 정원, 공공 정원, 동물원, 꽃 전시회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관상 식물이다.[3] 꽃이 아름다워 종종 재배되며, 생화점에서도 판매된다. 특히 교토의 기온 마쓰리와 오사카의 텐진 마쓰리에서는 다다미방이나 처마 밑에 장식하는 꽃으로 애호되고 있다.[14]생화는 대부분 도쿠시마현카미야마정산이다.[15] 카미야마정에서는 1955년부터 범부채 생산이 시작되었고,[17] 1976년에 바이러스병으로 전멸 위기를 겪었지만, 품질 향상 기술 개발로[16] 1970년대 전반에는 70호가 재배하여 도쿠시마현의 특산품이 되었다.[17] 그러나 이후 가격 하락과 생산자 고령화로 2016년에는 생산 농가가 10호로 감소했다.[17]
6. 2. 약용
범부채는 관상용으로 심으며, 뿌리줄기는 약재로 쓰인다. 소염, 진해, 편도, 폐렴, 해열, 각기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3] 범부채의 뿌리줄기를 파내어 물로 씻어 햇볕에 말린 것은 야간(사간)이라는 생약이 된다.[18]6. 3. 기타
범부채는 개인 정원, 공공 정원, 동물원, 꽃 전시회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관상 식물이다.[3] 꽃은 곤충과 새에게 꿀과 꽃가루를 제공하며, 전통 의학에도 사용되어 왔다.[3]검은 씨앗은 속칭 사천옥(누바타마・누보타마・무바타마)이라고 불리며, 와카(일본 고유의 정형시)에서는 '검정'이나 '밤'에 걸리는 수식어로도 알려져 있다. 오옥, 오우타마, 야간옥, 야간타마 등으로도 표기한다.[9] 화과자 우바타마는 범부채의 열매를 본뜬 것으로, 둥글게 만든 앙금을 찹쌀떡으로 감싸 설탕을 뿌린 것이나 흑설탕의 고운 앙금에 한천을 뿌린 것 등이 있다.[10][11][12]
꽃이 아름다워 종종 재배되며, 생화점에서도 판매된다. 간사이 지방을 중심으로 나고야에서 히로시마에 걸쳐, 생화의 7월 초 대표적인 꽃 재료이다.[13] 특히 교토의 기온 마쓰리와 오사카의 텐진 마쓰리에서는, 다다미방이나 처마 밑에 장식하는 꽃으로 애호되고 있다.[14]
생화는 대부분 도쿠시마현 카미야마산이다.[15] 카미야마에서는 1955년부터 범부채 생산이 시작되었고,[17] 1976년에 바이러스병으로 인한 전멸의 위기에 휩싸였지만, 품질 향상 기술 개발로,[16] 1970년대 전반에는 70호가 재배하여 성황을 이루었고, 도쿠시마현의 특산품이 되었다.[17] 그 후, 가격 하락이나 생산자의 고령화 등으로, 2016년에는 10호만 생산으로 감소했다.[17]
범부채의 뿌리줄기를 파내어 물로 씻어 햇볕에 말린 것은 야칸(사간)이라고 불리는 생약이 된다.[18]
7. 문화
범부채의 검은 씨앗은 사천옥(누바타마)이라고 불리며, 와카(일본 고유의 정형시)에서는 '검정'이나 '밤'에 걸리는 수식어로도 알려져 있다. 오옥, 오우타마, 야간옥, 야간타마 등으로도 표기한다[9]。 화과자 우바타마는 범부채의 열매를 본뜬 것으로, 둥글게 만든 앙금을 찹쌀떡으로 감싸 설탕을 뿌린 것이나 흑설탕의 고운 앙금에 한천을 뿌린 것 등이 있다[10][11][12]。
범부채의 뿌리줄기를 파내어 물로 씻어 햇볕에 말린 것은 야칸(사간)이라고 불리는 생약이 된다[18]。
7. 1. 일본
꽃이 아름다워 종종 재배되며, 생화점에서도 판매된다. 관서 지방을 중심으로 나고야에서 히로시마에 걸쳐, 7월 초의 대표적인 생화 재료이다[13]。 특히 교토의 기온 마쓰리와 오사카의 텐진 마쓰리에서는, 다다미방이나 처마 밑에 장식하는 꽃으로 애호되고 있다[14]。생화는 대부분 도쿠시마현카미야마정산이다[15]。 카미야마에서는 1955년부터 범부채 생산이 시작되었고[17], 1976년에 바이러스병으로 인한 전멸 위기에 휩싸였지만, 품질 향상 기술 개발로[16] 1970년대 전반에는 70호가 재배하여 성황을 이루었고, 도쿠시마현의 특산품이 되었다[17]。 그 후, 가격 하락이나 생산자의 고령화 등으로, 2016년에는 10호만 생산으로 감소했다[17]。
8. 재배 및 관리
햇빛을 충분히 받게 하는 한편, 물은 조금씩 주어 건조하게 기른다. 증식은 씨뿌리기도 가능하지만, 꽃이 지고 난 다음 포기나누기를 하는 것이 가장 쉬운 방법이다.[20]
참조
[1]
웹사이트
Iris domestica (L.) Goldblatt & Mabb. is an accepted name
http://www.theplantl[...]
theplantlist.org (The Plant List)
2012-03-23
[2]
서적
English Names for Korean Native Plants
http://www.forest.go[...]
Korea National Arboretum
[3]
웹사이트
"Iris domestica'' (blackberry lily)"
https://www.cabi.org[...]
CABI
2019-11-22
[4]
논문
"Belamcanda'' Included in ''Iris'', and the New Combination ''I. domestica'' (Iridaceae: Irideae). Novon: A Journal for Botanical Nomenclature: Vol. 15, No. 1 pp. 128–132"
[5]
웹사이트
"Iris domestica''"
https://powo.science[...]
Plants of the World Online, Kew Royal Botanic Gardens
2017
[6]
논문
"Belamcanda'' Included in ''Iris'', and the New Combination ''I. domestica'' (Iridaceae: Irideae). Novon: A Journal for Botanical Nomenclature: Vol. 15, No. 1 pp. 128–132"
[7]
간행물
檜扇
隆文館図書
[8]
웹사이트
烏扇
2021-08-26
[9]
서적
ぬばたま
https://books.google[...]
広文庫
[10]
웹사이트
烏羽玉
2021-08-26
[11]
웹사이트
京都老舗の銘品
http://souda-kyoto.j[...]
[12]
웹사이트
烏羽玉(うば玉)のご紹介
http://tamaya-shirak[...]
[13]
웹사이트
宝の島・徳島 わくわくトーク 第17回 意見交換の様子
http://www.pref.toku[...]
徳島県経営戦略部秘書課
2013-03-12
[14]
뉴스
祇園祭の軒先にヒオウギ再び 風習復活へ山鉾町の半数展示
https://archive.fo/M[...]
京都新聞
2015-07-11
[15]
웹사이트
日扇
http://www.town.kami[...]
[16]
간행물
八十年史ページ一覧(PDF)第2編 研究業績 第6章 花きに関する研究
http://www.pref.toku[...]
徳島県立農林水産総合技術支援センター
[17]
뉴스
生産日本一のヒオウギ知って 神山町とJA、児童に特別授業
https://www.topics.o[...]
徳島新聞
2016-07-12
[18]
웹사이트
富山県薬剤師会広報誌 富薬 第37巻第7号
https://www.tomiyaku[...]
公益社団法人富山県薬剤師会
2024-10-06
[19]
논문
"Belamcanda'' Included in ''Iris'', and the New Combination ''I. domestica'' (Iridaceae: Irideae). Novon: A Journal for Botanical Nomenclature: Vol. 15, No. 1 pp. 128–132"
[20]
서적
세밀화로보는한국의야생화
김영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