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베네수엘라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베네수엘라 축구 국가대표팀은 1938년 국제 무대에 데뷔했으며, FIFA 월드컵 예선에 꾸준히 참가했으나, 아직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2011년 코파 아메리카에서 4위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고, 2016년과 2019년 대회에서도 8강에 진출했다. 팀은 '비노틴토'라고 불리며, 살로몬 론돈은 최다 득점자, 토마스 린콘은 최다 출장 선수이다. 현재 페르난도 바티스타가 감독을 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네수엘라의 축구 - 베네수엘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베네수엘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베네수엘라를 대표하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코파 아메리카 페메니나에서 1991년 3위, 중앙아메리카·카리브해 경기 대회에서 2010년 금메달을 획득한 바 있다.
  • 남아메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칠레 축구 국가대표팀
    칠레 축구 국가대표팀은 1895년 창립된 칠레 축구 협회에서 운영하는 남미의 국가대표 축구팀으로, 1962년 자국 월드컵 3위, 2015년과 2016년 코파 아메리카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나 현재는 세대교체를 진행 중이며, 아르헨티나와 페루를 라이벌로 두고 특히 페루와의 경기는 '태평양 더비'로 불린다.
  • 남아메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페루 축구 국가대표팀
    페루 축구 국가대표팀은 1927년 남미 선수권 대회에 첫 출전하고 1930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페루의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1970년대 황금기, 침체기를 거쳐 2010년대 이후 부활하고 있으며, 빨간색 사선 띠 유니폼과 열정적인 팬덤 문화가 특징이다.
베네수엘라 축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베네수엘라 축구 연맹 로고
베네수엘라 축구 연맹 로고
별칭라 비노틴토 (와인-레드)
협회Federación Venezolana de Fútbol (FVF)
대륙CONMEBOL (남아메리카)
감독페르난도 바티스타
주장토마스 링콘
최다 출장 선수토마스 링콘 (138)
최다 득점 선수살로몬 론돈 (45)
홈 경기장에스타디오 모누멘탈
에스타디오 올림피코 데 라 UCV
에스타디오 메트로폴리타노 데 메리다
FIFA 트리그램VEN
FIFA 최고 랭킹25위
FIFA 최고 랭킹 날짜2019년 11월
FIFA 최저 랭킹129위
FIFA 최저 랭킹 날짜1998년 11월
Elo 최고 랭킹18위
Elo 최고 랭킹 날짜2019년 6월
Elo 최저 랭킹127위
Elo 최저 랭킹 날짜1993년, 1995년, 1999년
경기 정보
첫 경기파나마 2–1 베네수엘라
(파나마 시티, 파나마; 1938년 2월 12일)
최대 점수차 승리베네수엘라 7–0 푸에르토리코
(카라카스, 베네수엘라; 1959년 1월 16일)
최대 점수차 패배아르헨티나 11–0 베네수엘라
(로사리오, 아르헨티나; 1975년 8월 10일)
월드컵
월드컵 출전 횟수0
월드컵 첫 출전해당 없음
월드컵 최고 성적해당 없음
코파 아메리카
코파 아메리카 출전 횟수20회
코파 아메리카 첫 출전1967년
코파 아메리카 최고 성적4위 (2011년)

2. 역사

베네수엘라는 남미 축구 연맹(CONMEBOL) 소속 10개국 중 유일하게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이 없는 팀이다. 한때 남미 최약체로 여겨졌지만, 2007 코파 아메리카를 개최하면서 팀 전력이 강화되어 8강에 진출했다. 2011 코파 아메리카에서는 4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22] 2014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에서는 강호 아르헨티나를 상대로 페르난도 아모레비에타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기도 했고, 2019년 11월 19일에는 일본과의 국제 A매치 평가전에서 4-1로 대승을 거두기도 했다.[22]

2016년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와 2019 코파 아메리카, 2024 코파 아메리카에서도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코파 아메리카에서는 에콰도르와 함께 아직 우승을 차지하지 못했다.

최근에는 정치 개입 등의 영향으로 대표팀 강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18], 2021 코파 아메리카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고, 2022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에서는 최하위로 탈락했다.[18] 2023년, 페르난도 바티스타 감독이 부임하면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2. 1. 초기 역사 (1930년대 ~ 1990년대)

베네수엘라는 1966년 FIFA 월드컵 예선까지 FIFA 월드컵 예선에 참가하지 않았는데, 당시 우루과이페루와 함께 조에 편성되었지만 4경기에서 승점을 얻지 못했다. 1970 예선에서는 승점을 기록했고, 1974 예선에서는 기권한 후 1978 예선에서 다시 승점을 기록했다. 1982 예선에서는 볼리비아를 상대로 첫 승리를 거두었다. 그들은 1994 예선에서 에콰도르를 꺾을 때까지 월드컵 예선에서 다시 승리하지 못했다. 1998 예선의 하이라이트는 골키퍼 라파엘 두다멜이 5-2로 패한 경기에서 아르헨티나를 상대로 득점한 것이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좋지 않은 성적에도 불구하고, 루이스 멘도사와 라파엘 산타나와 같은 뛰어난 선수들이 인정을 받았다. 당시 베네수엘라는 1980년 하계 올림픽에 진출하여 최초로 주요 국제 축구 대회에 참가했다.

2. 2. 리차드 파에스 감독 시대 (2001년 ~ 2007년)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호세 오마르 파스토리자 감독이 사임한 후, 리차드 파에스 감독이 베네수엘라 대표팀을 맡았다. 파에스 감독 체제에서 베네수엘라는 우루과이, 칠레, 페루, 파라과이를 상대로 4연승을 거두었다. 이는 베네수엘라 대표팀이 월드컵 예선 역사상 처음으로 2경기 이상 연승을 거두고, 원정 경기에서 승리했으며, 최하위로 마무리하지 않은 기록이었다.[3]

그러나 베네수엘라는 2002년2006년 월드컵 본선에는 진출하지 못했다. 베네수엘라는 각각 16점과 18점을 획득했다. 이후 베네수엘라에서 열린 2007년 코파 아메리카에서 베네수엘라 대표팀은 사상 처음으로 8강에 진출했다.[3]

2007년 11월, 파에스 감독은 언론과 지지자들과의 불화로 사임했다.[3]

2. 3. 세사르 파리아스 감독 시대 (2007년 ~ 2013년)

세사르 파리아스 감독 부임 이후, 베네수엘라 축구 국가대표팀은 경기력이 향상되었다.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베네수엘라는 에콰도르를 키토 원정에서 꺾고, 라 파스에서 볼리비아를 상대로 승리하며 원정 경기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1] 또한, 브라질을 상대로 첫 승점을 획득했다.[1] 비록 2010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예선에서 승점 22점을 기록하며 8위에 올랐다.[1]

2008년 6월 6일,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친선 경기에서 베네수엘라는 브라질을 2-0으로 꺾고 사상 첫 승리를 거두었다.[2]

2011년 코파 아메리카에서는 4위를 차지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3] 유럽에서 뛰는 선수들을 주축으로 구성된 베네수엘라 대표팀은 2014년 월드컵 예선에서 푸에르토 라 크루스에서 아르헨티나를 1-0으로 꺾는 이변을 연출하기도 했다.[3]

2. 4. 노엘 산비센테 감독 시대 (2014년 ~ 2016년)

갈리시아(흰색)와 베네수엘라(자주색)의 경기.


2014년 9월 4일, 노엘 산비센테가 베네수엘라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으로 임명되었다.[4] 산비센테 감독 체제에서 첫 경기는 2014년 9월 5일 부천에서 열린 대한민국과의 경기였으며, 1-3으로 패했다.[5]

산비센테 감독의 첫 번째 토너먼트는 2015 코파 아메리카였다. 베네수엘라는 C조에 배정되었는데, 첫 경기에서 우승 후보 콜롬비아를 1-0으로 꺾는 이변을 연출했지만, 이후 페루브라질에게 패하며 '''라 비노틴토'''(베네수엘라 대표팀의 별명)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베네수엘라는 월드컵 예선을 홈에서 파라과이에게 0-1로 패하며 시작했다. 리마에서 열린 페루와의 경기에서는 2-2 무승부를 거두며 첫 승점을 획득했는데, 추가 시간 마지막까지 리드하고 있었다. 그러나 칠레와의 경기에서는 1-4로 패하며 실망스러운 결과를 낳았다. 결국 산비센테는 베네수엘라 축구 협회(FVF)와의 상호 합의 하에 일주일 뒤 사임을 발표했다. 그가 떠날 당시, 베네수엘라는 승점 1점으로 예선 순위 최하위에 머물러 있었다.

2. 5. 라파엘 두다멜 감독 시대 (2016년 ~ 2020년)

라파엘 두다멜 감독은 2017 FIFA U-20 월드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베네수엘라 축구 역사상 최초의 황금 세대로 불린 유망한 젊은 선수들을 적극적으로 기용하며 대표팀의 세대교체를 단행했다.[6] 그의 지도 아래, 베네수엘라 대표팀('라 비노틴토')은 빠르게 발전하여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에서 8강에 진출했다. 조별 리그에서 자메이카우루과이를 1-0으로 이겼고, 멕시코와 1-1로 비겼으나, 8강에서 아르헨티나에 4-1로 패했다. 2018년 월드컵 예선 7차전에서 베네수엘라는 바랑키야에서 콜롬비아에 2-0으로 패했는데, 이는 2009년 이후 콜롬비아('로스 카페테로스')를 상대로 첫 패배였다. 이후 11차전에서 베네수엘라는 마투린에서 볼리비아를 상대로 5-0으로 승리하며 예선 첫 승을 거두었고, 호세프 마르티네스의 해트트릭과 야코보 쿠파티와 로물로 오테로의 골이 터졌다.

2020년 1월 2일, 두다멜은 국가대표팀 감독직에서 사임했다.

2. 6. 최근 역사 (2020년 ~ 현재)

2021년 코파 아메리카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고, 2022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에서는 최하위로 탈락하는 등 어려운 시기를 겪었다.[18] 2023년, 페르난도 바티스타 감독이 부임하면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3. 국제 대회 경력

베네수엘라는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경험이 없다. 남미 축구 연맹(CONMEBOL) 회원국 가운데 유일하게 월드컵 본선 기록이 없다.[22] 남미 예선은 매우 경쟁이 치열하여, 베네수엘라는 아르헨티나와 같은 강팀들과의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1966년 FIFA 월드컵 예선에 처음 참가했지만, 우루과이페루에게 패하며 승점을 얻지 못했다. 1970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처음으로 승점을 기록했고, 1982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볼리비아를 상대로 첫 승리를 거두었다.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리차드 파에스 감독의 지휘 아래 우루과이, 칠레, 페루, 파라과이를 상대로 4연승을 거두며 선전했지만, 2002년2006년 월드컵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2014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에서는 5승 5무 6패로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지만,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22]

코파 아메리카에서는 2007년 대회에서 8강에 오르며 사상 첫 메이저 대회 본선 토너먼트 진출을 이뤄냈다.[3] 2011년 대회에서는 4위를 차지하면서 역대 모든 국제 대회를 통틀어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6]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축구 본선에 진출하여 조별 리그에서 1승 2패를 기록하며 12위를 기록했다.[24] 팬아메리칸 게임에는 4번 출전하여 1951년 대회와 1955년 대회에서 4위를 기록했다.

FIFA 월드컵 기록width=1% rowspan=28|예선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득점실점경기득점실점
1930FIFA 미가입국FIFA 미가입국
1934
1938
1950
1954불참참가 거부
1958기권기권
1962불참참가 거부
1966예선 탈락4004415
19706015118
1974기권기권
1978예선 탈락401328
1982410319
19866015515
19904004118
19948107434
1998160313841
20021851121844
20061853102028
2010186482329
2014165561420
20181826101935
20221831141434
2026예선 진행 중122641115
2030미정미정
2034
합계1703032108145363



남미 선수권 대회/코파 아메리카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득점실점
19675위5위5104716
1975조별 리그10위4004126
197910위4022112
198310위4013110
198710위200218
198910위4013411
199110위4004115
199311위3021611
199512위3003410
199712위300305
199912위3003113
200112위300307
200411위301225
20078강6위412156
20114위4위623178
2015조별 리그9위310223
20168강6위421145
20197위412133
2021조별 리그9위402226
20248강5위431072
총계4위18/486710154258177



년도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
1980년조별리그12위3102373
합계1회 진출(1/26)조별리그(1회)3102373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득점실점
1951년4위4위4103514
1955년4위4위6123920
1983년조별 예선7위210133
2007년조별 예선8위300316
총합4위 (2회)-1523101838


3. 1. FIFA 월드컵

베네수엘라는 아직까지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경험이 없다. 남미 축구 연맹(CONMEBOL) 회원국 가운데 유일하게 월드컵 본선 기록이 없다.[22] 남미 예선은 매우 경쟁이 치열하여, 베네수엘라는 아르헨티나와 같은 강팀들과의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1966년 FIFA 월드컵 예선에 처음 참가했지만, 우루과이페루에게 패하며 승점을 얻지 못했다. 1970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처음으로 승점을 기록했고, 1982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볼리비아를 상대로 첫 승리를 거두었다. 1994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에콰도르를 꺾기도 했다.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라파엘 두다멜 골키퍼가 아르헨티나를 상대로 득점하기도 했다.[22]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리차드 파에스 감독의 지휘 아래 우루과이, 칠레, 페루, 파라과이를 상대로 4연승을 거두며 선전했다. 이는 베네수엘라 월드컵 예선 역사상 처음으로 2경기 이상 연승, 원정 경기 승리, 최하위 탈출 등의 기록이었다.

하지만 2002년2006년 월드컵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2014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에서는 5승 5무 6패로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지만,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22] 2022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에서는 최하위로 탈락했다.

FIFA 월드컵 기록width=1% rowspan=28|예선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득점실점경기득점실점
1930FIFA 미가입국FIFA 미가입국
1934
1938
1950
1954불참참가 거부
1958기권기권
1962불참참가 거부
1966예선 탈락4004415
19706015118
1974기권기권
1978예선 탈락401328
1982410319
19866015515
19904004118
19948107434
1998160313841
20021851121844
20061853102028
2010186482329
2014165561420
20181826101935
20221831141434
2026예선 진행 중122641115
2030미정미정
2034
합계1703032108145363


3. 2. 코파 아메리카

베네수엘라는 코파 아메리카에 18번 출전하여, 2007년 대회에서 8강에 오르며 사상 첫 메이저 대회 본선 토너먼트 진출을 이뤄냈다.[3] 2011년 대회에서는 4위를 차지하면서 역대 모든 국제 대회를 통틀어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2016년2019년 대회, 2024년 대회에서도 8강에 진출했다.[6]

2011년 코파 아메리카에서 베네수엘라는 칠레를 2-1로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파라과이와의 준결승전에서 승부차기 끝에 5-3으로 패하며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 이후 페루와의 3위 결정전에서 4-1로 패하며 최종 4위를 기록했지만, 이는 베네수엘라가 코파 아메리카에서 거둔 역대 최고 성적이었다.

2000년대 초반 "아우게 비노틴토"(비노틴토 상승) 시기는 국내 스포츠에 대한 관심을 높였고, 이는 정부 및 민간 기관의 지원 증가로 이어졌다. 이러한 지원은 "비노틴토"의 기량 향상에 크게 기여했다.[18] 2007년 베네수엘라에서 개최된 코파 아메리카에서 페루, 볼리비아, 우루과이를 포함한 조에서 1위를 차지하며 역사상 처음으로 8강에 진출했다.

남미 선수권 대회/코파 아메리카 기록
연도라운드순위
19675위5위5104716
1975조별 리그10위4004126
197910위4022112
198310위4013110
198710위200218
198910위4013411
199110위4004115
199311위3021611
199512위3003410
199712위300305
199912위3003113
200112위300307
200411위301225
20078강6위412156
20114위4위623178
2015조별 리그9위310223
20168강6위421145
20197위412133
2021조별 리그9위402226
20248강5위431072
총계4위18/486710154258177


3. 3. 올림픽

베네수엘라는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축구 본선에 진출하여 조별 리그에서 1승 2패를 기록하며 12위를 기록했다.[24]

년도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
1980년조별리그12위3102373
합계1회 진출(1/26)조별리그(1회)3102373


3. 4. 팬아메리칸 게임

베네수엘라 축구 국가대표팀은 팬아메리칸 게임에 4번 출전했다. 1951년 대회와 1955년 대회에서 4위를 기록한 것이 최고 성적이다.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득점실점
1951년4위4위4103514
1955년4위4위6123920
1983년조별 예선7위210133
2007년조별 예선8위300316
총합4위 (2회)-1523101838


4. 팀 이미지

베네수엘라 축구 국가대표팀은 '레드 와인'을 의미하는 스페인어 '''''La Vinotinto'''''(라 비노틴토)라는 별명으로 불린다.[7] 이는 약 200년 전 베네수엘라 독립 전쟁 당시 베네수엘라군과 베네수엘라 국가 경비대가 군복에 적포도주색을 사용한 데에서 유래한다. 호세 안토니오 안소아테기 장군이 이끌던 부대가 버건디 색 군복을 입고 있었는데, 안소아테기가 이 부대를 'vino tinto'라고 명명한 것이 그 기원이다.[7]

1938년 파나마에서 개최된 중앙아메리카·카리브해 경기 대회에 참가했을 때, 베네수엘라 선수들은 국제 경기 경험이 없어 유니폼이 없었다. 이에 국가 경비대가 적포도주색 군복을 기반으로 한 스포츠웨어를 빌려주었고, 이것이 현재 베네수엘라 대표팀 유니폼 색상의 기원이 되었다.[7]

1938년 베네수엘라 대표팀

4. 1. 유니폼

베네수엘라는 1938년 파나마에서 열린 중앙아메리카·카리브해 경기 대회에서 국제 데뷔전을 치렀으며, '비노틴토'(버건디) 색상을 착용했다. 버건디 색상은 베네수엘라 국가 방위군 유니폼에서 유래했다.[7]

1993년에는 국기의 색상으로 된 세로 띠가 유니폼 왼쪽에 추가되었고, 유니폼 색상은 더 전통적인 붉은색으로 바뀌었다. 이 스타일은 1996년까지 지속되었으며, 이후 베네수엘라는 다시 ''비노틴토'' 색상으로 돌아갔다.[9]

1998년, 베네수엘라는 멕시코 제조사인 "ABA Sports"에 의해 국기 색상과 유사한 노란색/파란색/빨간색 배색을 채택했다.[9] 국가대표팀은 2000년에 전통적인 색상으로 돌아갔다. 현재까지 (몇 가지 변화를 제외하고)[10] 주 유니폼으로 남아 있다.

아디다스(Adidas) 2014년 월드컵 예선에서 착용된 유니폼


제조사기간
아디다스(Adidas)1981–1991
포르테(Forte)1992–1995
폴머(Polmer)1996–1997
아바 스포츠(Aba Sport)1998–1999
아틀레티카(Atlética)2000–2004
아디다스(Adidas)2005–2018
지보바(Givova)2019–2023
아디다스(Adidas)2024–현재



베네수엘라 축구 국가대표팀은 때때로 '''''La Vinotinto'''''라고 불린다. 이는 스페인어로 레드 와인을 의미한다. 약 200년 전 베네수엘라 독립 전쟁 당시 베네수엘라군과 베네수엘라 국가 경비대가 군복에 적포도주색을 사용한 데에서 유래한다. 베네수엘라의 영웅이자 현재는 안소아테기 주의 이름이기도 한 장교 호세 안토니오 안소아테기가 당시 버건디 색 군복을 입은 자국 부대를 'vino tinto'라고 명명했기 때문이다.

1938년 파나마에서 개최된 중앙아메리카·카리브해 경기 대회에 참가할 때, 국제 경기를 경험하지 못한 베네수엘라 선수들은 대회에 출전하기 위한 유니폼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이에 국가 경비대는 대표팀이 경기를 할 수 있도록 스포츠웨어를 빌려주겠다고 제안했다. 이때 대여된 의류가 적포도주색 군복을 기반으로 한 것이었기에, 현재까지 베네수엘라 대표팀의 유니폼은 적포도주색을 기반으로 하며, 애칭도 '''''La Vinotinto'''''라고 불리게 되었다.

4. 2. 홈 경기장

베네수엘라는 3개의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경기장위치수용 인원
에스타디오 폴리데포르티보 데 푸에블로 누에보산크리스토발38,755명
에스타디오 호세 안토니오 안소아테기바르셀로나37,485명
폴리데포르티보 카차마이시우다드과야나41,600명


5. 선수

지난 12개월 동안 베네수엘라 축구 국가대표팀에 소집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포지션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팀비고
GK호세 콘트레라스1994년 10월 20일es60아귈라스 도라다스2024년 10월 15일 파라과이전 이후 제외[1]
GK호엘 그라테롤1997년 2월 13일es120아메리카 데 칼리2024년 10월 10일 아르헨티나전 부상[2]
DF알렉산더 곤살레스1992년 11월 13일es722에멜렉2024년 11월 19일 칠레전 출장 정지[3]
DF요르단 오소리오1994년 5월 10일es360파르마2024년 11월 14일 브라질전 부상[4]
DF델빈 알폰소2003년 3월 21일es00밀요나리오스
DF루이스 발보2006년 3월 28일es00피오렌티나 U20
DF빅터 펑2007년 8월 13일es00인터 마이애미 II
DF알레산드로 밀라니2005년 6월 14일es00라치오 U20
DF이안드로 라프2006년 7월 25일es00용 PSV
DF테오 킨테로1999년 3월 2일es00스파르타 로테르담2024년 10월 10일 아르헨티나전 부상[5]
DF존 챈슬러1992년 1월 2일es373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2024년 9월 5일 볼리비아전 부상[6]
DF로베르토 로살레스1988년 11월 20일es951데포르티보 타치라2024년 코파 아메리카 예비 소집[7]
DF디에고 루나2004년 4월 4일es00발티카 칼리닌그라드2024년 코파 아메리카 예비 소집[8]
MF크리스티안 카세레스2000년 1월 20일es350툴루즈2024년 11월 19일 칠레전 출장 정지[9]
MF에드손 카스티요1994년 5월 18일es91카이저 치프스
MF다니엘 페레이라2000년 7월 14일es50오스틴 FC
MF니콜라 프로페타2006년 2월 27일es00산투스 U20
MF다니엘레 키에토2005년 10월 22일es00인테르 밀란 U20
MF야이르 라모스2005년 10월 13일es00FC 신시내티 2
MF지오바니 세케라2006년 2월 14일es00필라델피아 유니온
MF다비드 마르티네스2006년 2월 7일es10로스앤젤레스 FC2024년 10월 15일 파라과이전 이후 제외[10]
MF마티아스 라카바2002년 10월 24일es10아틀레치쿠 고이아니엔시
MF예수스 부에노1999년 4월 15일es00필라델피아 유니온
MF로물로 오테로1992년 11월 9일es516산투스2024년 코파 아메리카 예비 소집[11]
MF후니오르 모레노1993년 7월 20일es411휴스턴 다이너모2024년 코파 아메리카 예비 소집[12]
MF엔리케 페냐 자우너2000년 3월 4일es00로다 JC2024년 코파 아메리카 예비 소집[13]
FW예수스 라미레스1998년 5월 4일es10비토리아 기마랑이스
FW로렌초 다고스티니2005년 9월 21일es00라치오 U20
FW알레한드로 고메스2008년 3월 11일es00리옹 U192024년 9월 5일 볼리비아전 이후 제외[14]
FW호세프 마르티네스1993년 5월 19일es6614CF 몬트리올2024년 코파 아메리카 예비 소집[15]
FW세르히오 코르도바1997년 8월 9일es180알라니아스포르2024년 코파 아메리카 예비 소집[16]
FW알레한드로 마르케스2000년 4월 8일es30에스토릴2024년 코파 아메리카 예비 소집[17]
FW프레디 바르가스1999년 4월 1일es20마카비 네타냐2024년 코파 아메리카 예비 소집[18]
FW조바니 볼리바르2001년 12월 16일es00콜로스 코발리우카2024년 코파 아메리카 예비 소집[19]
FW얀 우르타도2000년 3월 5일es100아틀레치쿠 고이아니엔시


  • INJ: 부상으로 불참
  • PRE: 예비 소집
  • SUS: 출장 정지
  • WD: 팀에서 제외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루이스 멘도사와 라파엘 산타나와 같은 뛰어난 선수들이 있었다. 라파엘 두다멜은 선수 시절 골키퍼로 활약했으며, 2017 FIFA U-20 월드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던 베네수엘라 U-20 대표팀 감독을 역임하기도 했다.

그 외에도 페르난도 아모레비에타, 로베르토 로살레스, 마리오 론돈, 얀헬 에레라 등 많은 선수들이 베네수엘라 대표팀을 거쳐갔다.

5. 1. 현재 선수 명단

다음은 2024년 11월 14일과 19일에 열린 2026년 FIFA 월드컵 예선 브라질칠레와의 경기에 소집된 선수 명단이다.[12][13][14][15][16]

  • 출장 및 골 기록은 2024년 11월 19일 칠레와의 경기 이후 기준이다.
  • FIFA가 인정하지 않는 친선 경기는 포함되지 않는다.


골키퍼
번호포지션이름출장득점소속팀비고
1GK우일케르 파리녜스400카라카스
12GK알랭 바호자140아르웨이즈 레디
22GK라파엘 로모300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
수비수
번호포지션이름출장득점소속팀비고
2DF나우엘 페라레시331상파울루
3DF윌케르 앙헬412크리시우마
4DF존 아람부루121레알 소시에다드
5DF크리스티안 마쿤120레프스키 소피아
14DF루벤 라미레스31쿠스코
15DF미겔 나바로190타예레스
21DF카를로스 비바스10데포르티보 타치라
DF레네 리바스00알타아운
DF비안네이데르 타마요00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
미드필더
번호포지션이름출장득점소속팀비고
6MF브라이언트 오르테가00알 이티하드
7MF제페르손 사바리노464보타포구
8MF토마스 린콘1391산투스
11MF마우리시오 코바00데포르티보 타치라
13MF호세 마르티네스370코린치안스
16MF텔라스코 세고비아81카사 피아
20MF에두아르드 벨로214바르셀로나
MF얀헬 에레라413지로나
MF리안한 로메로00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
공격수
번호포지션이름출장득점소속팀비고
9FW존더 카디스161레온
10FW예페르손 소텔도474그레미우
17FW케르빈 안드라데30포르탈레자
18FW존 무리요464아틀라스
19FW에릭 라미레스112티그레
23FW살로몬 론돈11445파추카
FW다윈 마키스5111바야돌리드


5. 2. 역대 주요 선수

[17]

'''굵은''' 글씨로 표시된 선수는 현재 베네수엘라 대표팀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최다 출장 선수인 후안 아랑고


순위선수출장득점기간
1후안 아랑고127231999-2015
2토마스 링콘12612008-
3호세 마누엘 레이110101997-2011
4살로몬 론돈96392008-
5로베르토 로사레스9412007-
6호르헤 알베르토 로하스8731999-2009
7미겔 메아 비탈리8411999-2012
8오스왈도 비스카론도8072004-2016
9루이스 바예니야7601996-2007
10가브리엘 우르다네타7491996-2005



최다 득점자인 살로몬 론돈


순위선수득점출장기간
1살로몬 론돈39962008-
2후안 아랑고231271999-2015
3잔카를로 말도나도22652003-2011
4루벨스 모란16631996-2007
5요세프 마르티네스14632011-
6미쿠11512006-2015
7호세 마누엘 레이101101997-2011
다니엘 아리스멘디10302006-2011
9다윈 마치스9382011-
가브리엘 우르다네타9771996-2005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루이스 멘도사와 라파엘 산타나와 같은 뛰어난 선수들이 있었다.

라파엘 두다멜은 선수 시절 골키퍼로 활약했으며, 2017 FIFA U-20 월드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던 베네수엘라 U-20 대표팀 감독을 역임하기도 했다.

그 외에도 페르난도 아모레비에타, 로베르토 로살레스, 마리오 론돈, 얀헬 에레라 등 많은 선수들이 베네수엘라 대표팀을 거쳐갔다.

6. 감독

임시 감독은 ''이탤릭체''로 표시한다.

미드필더 토마스 린콘은 139경기로 최다 출장 선수이다.


순위선수출장경력
1토마스 린콘13912008–현재
2후안 아랑고129231999–2015
3호세 마누엘 레이115101997–2011
4살로몬 론돈114452008–현재
5로베르토 로살레스9512007–현재
6호르헤 알베르토 로하스8731999–2009
7미겔 메아 비탈리8411999–2012
8오스왈도 비스카론도8072004–2016
9가브리엘 우르다네타7791996–2005
10루이스 바예닐라7601996–2007


6. 1. 역대 감독

다음은 베네수엘라 축구 국가대표팀의 역대 감독 목록이다.

  • 비토리오 고디냐 (1938)
  • 시스토 솔레르 (1944–1946)
  • 알바로 카르테아 (1947–1948)
  • 올란도 판토니 (1951, 1955–1959)
  • 미겔 앙헬 글레리아 (1951)
  • 라파엘 프랑코 (1961–1967)
  • 그레고리오 고메스 (1967–1969)
  • 라파엘 곤잘레스 (1970-1972)
  • 호세 훌리안 에르난데스 (1972)
  • 댄 게오르기아디스 (1972–1977)
  • 루이스 멘도사 (1981, 1989)
  • 월터 로크 (1981–1985)
  • 라파엘 산타나 (1985–1986, 1996)
  • 카를로스 오라시오 모레노 (1989)
  • 빅토르 피그나넬리 (1990–1992)
  • 라토미르 두이코비치 (1992–1995)
  • 에두아르도 보레로 (1997–1998)
  • 호세 오마르 파스토리자 (1998–2000)
  • 리차드 파에스 (2001–2007)[3]
  • 세사르 파리아스 (2007–2013)
  • ''마누엘 플라센시아'' (2014)
  • 노엘 산비센테 (2014–2016)
  • 라파엘 두다멜 (2016–2020)[6]
  • 조제 페세이루 (2020–2021)
  • ''레오나르도 곤잘레스'' (2021)
  • 호세 페케르만 (2021–2023)
  • 페르난도 바티스타 (2023–현재)

참조

[1] 웹사이트 Venezuela: ¿Por qué la 'vinotinto'? http://culturizando.[...] Culturizando.com 2016-03-26
[2] 웹사이트 The FIFA/Coca-Cola World Ranking https://www.fifa.com[...] FIFA 2018-11-28
[3] 웹사이트 Venezuela se quedó sin DT: renunció Richard Páez {{!}} Emol.com https://www.emol.com[...] 2020-01-07
[4] 웹사이트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FIFA) – FIFA.com https://web.archive.[...] 2017-01-04
[5] 웹사이트 Korea Republic 3 – 1 Venezuela Match report – 9/5/14 Friendlies – Goal.com http://www.goal.com/[...] 2017-01-04
[6] 웹사이트 Jóvenes - Where Are Venezuela's Golden U20 Generation Now? https://www.football[...] 2020-03-20
[7] 뉴스 ¿Por qué le dicen la Vinotinto a la Selección venezolana? {{!}} Goal.com https://www.goal.com[...] 2021-06-18
[8] 웹사이트 Vinotinto aurinegra http://www.aguantenc[...] 2013-01-18
[9] 웹사이트 La evolución de la camisa vinotinto desde 1938 https://web.archive.[...] 2019-09-02
[10] 웹사이트 La Vinotinto estrenará uniforme http://www.lapatilla[...]
[11] 웹사이트 Las marcas que han vestido a la Vinotinto http://www.meridiano[...]
[12] Instagram 📋 Estos serán los dirigidos por el seleccionador nacional Fernando Batista (@bochabatista) para enfrentar a Brasil y Chile en las jornadas 11 y 12 de las Eliminatorias @CONMEBOL a la Copa Mundial de la FIFA 2026. 2024-11-04
[13] 트윗 Novedad en la convocatoria de La Vinotinto: 𝗬𝗼𝗿𝗱𝗮𝗻 𝗢𝘀𝗼𝗿𝗶𝗼 2024-11-10
[14] 트윗 Novedad en la convocatoria de La Vinotinto: 𝗪𝗶𝗹𝗸𝗲𝗿 𝗔́𝗻𝗴𝗲𝗹 2024-11-10
[15] 트윗 Novedades en la convocatoria de La Vinotinto: 𝗟𝗲𝗲𝗻𝗵𝗮𝗻 𝗥𝗼𝗺𝗲𝗿𝗼 y 𝗕𝗶𝗮𝗻𝗻𝗲𝗶𝗱𝗲𝗿 𝗧𝗮𝗺𝗮𝘆𝗼 2024-11-14
[16] 트윗 Novedades en la convocatoria de La Vinotinto: 𝗠𝗮𝘂𝗿𝗶𝗰𝗲 𝗖𝗼𝘃𝗮 2024-11-16
[17] 웹사이트 Venezuela - Record International Players https://www.rsssf.or[...] 2023-02-02
[18] 웹사이트 名将・サンパオリもオファー拒否…政治介入で監督辞任のベネズエラ代表が苦境 https://web.ultra-so[...] 2020-02-04
[19] 웹사이트 Venezuela: ¿Por qué la 'vinotinto'? http://culturizando.[...] Culturizando.com 2016-03-26
[20] 뉴스 ¿Por qué le dicen la Vinotinto a la Selección venezolana? {{!}} Goal.com https://www.goal.com[...] 2021-06-18
[21] 웹사이트 Venezuela - Record International Players http://www.rsssf.com[...] 2023-06-23
[22] 뉴스 '전반에만 4골 허용' 일본, 베네수엘라에 1-4 '완패' https://news.mt.co.k[...]
[23] 문서 베네수엘라 축구협회 창립 이전
[24]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