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사이유의 장미 (다카라즈카 가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르사이유의 장미는 이케다 리요코의 만화를 원작으로 하는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1974년 초연 이후 여러 차례 다양한 버전으로 공연되었으며, 오스칼과 앙드레의 사랑, 마리 앙투아네트와 페르젠의 비극적인 로맨스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다카라즈카 가극단은 이 작품을 통해 쇠퇴하던 가극단의 부활을 이끌었으며, 2024년에는 한국에서도 뮤지컬로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뮤지컬 - 소녀☆가극 레뷰 스타라이트
소녀☆가극 레뷰 스타라이트는 부시로드의 2.5차원 프로젝트로, 뮤지컬을 시작으로 애니메이션, 게임, 영화 등 다양한 미디어믹스로 전개되며, '스타라이트' 희곡을 매개로 소녀들의 열정과 성장을 그리고, 모바일 게임을 통해 세계관을 확장하며 지속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 일본의 뮤지컬 - 닌자보이 란타로
니카이도 이사무의 만화 《낙제 닌자 란타로》를 원작으로 한 애니메이션 《닌자보이 란타로》는 닌자 학교를 배경으로 닌자를 꿈꾸는 란타로와 친구들의 유쾌한 이야기를 그린 NHK의 대표적인 어린이 프로그램으로, 30년 넘게 장수하며 다양한 미디어 믹스 작품으로 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고 있다.
베르사이유의 장미 (다카라즈카 가극)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ベルサイユのばら (베르사이유의 장미) |
장르 | 다카라즈카 가극 |
배경 | 18세기의 프랑스 |
제작 정보 | |
극본 | 우에다 신지 |
음악 | 테라다 타키오 이리에 카오루 카와사 츠네오 |
원작 | 베르사이유의 장미 |
공연 정보 | |
초연 | 1974년 8월 29일 |
2. 줄거리
상연 공연별로 줄거리가 달라지기 때문에, 주요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기본적인 내용을 기술한다.
오스칼은 아들이 없던 아버지에 의해 남자로 키워진 남장 여성이다. 앙드레는 어려서 부모를 잃고 오스칼의 유모 마롱 글라세에게 거두어져 쟈르제 가에서 오스칼의 시중을 들게 된다. 이후 앙드레는 오스칼을 여자로 보지만, 평민 신분이었다.
앙드레는 오스칼을 보호하다 눈을 다쳐 시력을 잃어간다. 오스칼은 근위대에서 위병대로 전속되어 대장이 되는데, 처음에는 대원들이 반발했지만 오스칼의 박애 정신과 순결함에 굳게 결속된다. 앙드레는 오스칼과 귀족 장교 제로델의 혼담에 충격을 받고 오스칼을 죽여서라도 자신의 것으로 만들려다 멈추고 마음을 고백한다. 오스칼은 당황하지만, 곧 앙드레를 향한 마음을 깨닫는다.
한편, 오스트리아 공주 마리 앙투아네트는 정략 결혼으로 14세에 프랑스 왕세자(훗날 루이 16세)에게 시집간다. 앙투아네트는 오페라 극장 가면 무도회에서 스웨덴 귀족 페르젠과 만나고, 근위사관 오스칼과도 만난다.
페르젠과의 사랑에 괴로워하던 앙투아네트는 오스칼에게 국모의 의무를 잊지 말라는 간언을 듣고, 군복을 입으면서 여자의 마음을 잊었다며 힐난한다. 오스칼 역시 페르젠을 사랑하고 있었다. 페르젠은 앙투아네트를 사랑했지만, 추문으로 앙투아네트가 파멸될 것을 염려해 스웨덴으로 돌아간다.
프랑스 국내 정세가 악화되고 평민의 불만이 커지자, 오스칼은 위병대 지휘관으로 파리 출동에 앞장선다. 출동 전날 밤, 오스칼은 앙드레에게 마음을 고백하고 둘은 맺어진다. 그러나 앙드레는 센 강변에서 오스칼을 걱정하다 총탄을 맞고 쓰러진다. 다음 날(7월 14일), 오스칼은 바스티유 감옥으로 향하고, 프랑스 혁명이 일어난다. 오스칼은 평민의 방패가 되어 싸우다 총탄을 맞고, 부하 알랭의 "바스티유에 백기가!"라는 말을 들으며 숨을 거둔다. 앙드레가 나타나 오스칼을 맞이하고, 두 사람은 천국으로 떠난다.[131]
혁명군은 베르사유로 몰려들고, 앙투아네트는 파리로 가게 된다. 페르젠은 앙투아네트를 구하기 위해 스웨덴에서 급히 온다. 루이 16세 처형 후, 콩시에르주리 감옥의 앙투아네트를 탈옥시키려 하지만, 앙투아네트는 아이들을 두고 갈 수 없다며 거절한다. 앙투아네트는 페르젠의 절규 속에 단두대로 향한다.[132]
2. 1. 오스칼 편
귀족 출신인 오스칼은 후사를 얻지 못한 아버지에 의해 여자이면서도 남자로 길러졌다. 어릴 적 부모를 잃은 앙드레는 오스칼의 유모인 할머니 마롱 글라세에게 거두어져 쟈르제 가문에서 오스칼의 시중을 들며 그림자처럼 지냈다. 앙드레는 오스칼을 여자로 보게 되었지만, 평민 신분이었다.
앙드레는 오스칼을 감싸다 눈을 다쳐 시력을 잃어간다. 오스칼은 근위대에서 위병대로 전속, 대장이 된다. 처음에는 대원들이 반발했지만, 오스칼의 박애 정신과 순수한 마음에 굳게 단결해 간다. 앙드레는 오스칼과 제로델과의 결혼 이야기에 충격을 받아 오스칼을 죽여서라도 자신의 것으로 만들려 하지만, 자신의 마음을 고백한다. 오스칼은 당황하지만, 앙드레를 향한 자신의 마음을 깨닫는다.
프랑스 국내 정세는 악화되어 평민의 불만이 커져갔다. 오스칼은 위병대 지휘관으로서 파리 출동의 선두에 선다. 출동 전날 밤, 오스칼은 앙드레에게 마음을 토로하고, 두 사람은 맺어진다. 하지만 앙드레는 센 강변 다리 위에서 오스칼을 걱정하다 총탄에 쓰러진다. 다음 날, 오스칼은 바스티유 감옥으로 향한다. 프랑스 혁명이 일어난 날, 오스칼은 평민의 방패가 되어 싸우다 총탄을 맞고 쓰러진다. 오스칼은 부하 알랭의 "바스티유에 백기가!"라는 말을 듣고 숨을 거둔다. 절명의 순간, 앙드레가 나타나 오스칼을 맞이한다. 두 사람은 천국으로 떠난다.[131]
; 라스트신의 원작과의 차이
원작 만화에서는 오스칼이 바스티유 공격 중에 적의 총탄을 맞고 쓰러진 직후, 로잘리가 앙드레에게 오스칼을 데려가지 말아달라고 부탁하는 대사가 나온다.[131] 하지만 다카라즈카 가극에서는 앙드레가 먼저 전사하여 오스칼을 천국에서 맞이하는 것으로 연출된다. 이는 오스칼의 전사로 이야기를 끝내야 하고, 주인공 남녀가 마지막 장면에 반드시 등장해야 한다는 다카라즈카 가극의 관례 때문이다.
; 2013년 츠키구미 (오스칼과 앙드레 편)
일본 표준시를 기준으로 공연되었으며, 톱스타 류 마사키와 준 톱스타 아스미 리오가 오스칼 역과 앙드레 역을 번갈아 연기하였다. 대극장 공연 당시에는 하나구미의 란쥬 토무, 유키구미의 소 카즈호가 앙드레 역으로 특별출연 하였다. 3월 21일 13시 30분 공연으로 1974년 초연 이래 관객수가 450만 명에 도달하였다.[151] 마지막 장면에서 오스칼과 앙드레를 태운 마차를 크레인을 이용하여 공중으로 들어올리는 새로운 연출이 도입되었다.[152]
개연시간 (일본 표준시) | 오스칼 | 앙드레 | 베르나르 | 미셸 | 아르망 | 로셀로와 | 베르 | 샤론 | 제로델 |
---|---|---|---|---|---|---|---|---|---|
1월 1일(화) 13:0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미야 루리카 | 히비키 레오나 | 우즈키 하야테 | 아이즈키 사야 | 호즈키 안 | 호시나 유타카 | 타마키 료 |
1월 2일(수) 11:00/15:00 | |||||||||
1월 3일(목) 11:00/15:00 | |||||||||
1월 5일(토) 대절공연/15:00 | |||||||||
1월 6일(일) 11:00/15:00 | |||||||||
1월 7일(월) 13:00 | 란쥬 토무 | 아스미 리오 | 아이즈키 사야 | 타마키 료 | 호즈키 안 | 히비키 레오나 | 우즈키 하야테 | 미야 루리카 | |
1월 8일(화) 11:00/15:00 | |||||||||
1월 10일(목) 11:00/15:00 | |||||||||
1월 11일(금) 13:00 | 소 카즈호 | ||||||||
1월 12일(토) 11:00/15:00 | |||||||||
1월 13일(일) 11:00/15:00 | |||||||||
1월 14일(월) 대절공연/15:00 | 아스미 리오 | 미야 루리카 | 히비키 레오나 | 우즈키 하야테 | 아이즈키 사야 | 호즈키 안 | 호시나 유타카 | 타마키 료 | |
1월 15일(화) 13:00 | |||||||||
1월 17일(목) 11:00/15:00 | |||||||||
1월 18일(금) 13:0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
1월 19일(토) 11:00/15:0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
1월 20일(일) 11:00/15:0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
1월 21일(월) 13:0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
1월 22일(화) 13:0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
1월 24일(목) 11:00 | |||||||||
1월 25일(금) 15:00 | |||||||||
1월 26일(토) 11:0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
1월 26일(토) 15:0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
1월 27일(일) 11:00/15:00 | |||||||||
1월 28일(월) 13:0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
1월 29일(화) 11:00/15:0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
1월 31일(목) 11:00/15:0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
2월 1일(금) 13:00 | |||||||||
2월 2일(토) 11:00/15:0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
2월 3일(일) 대절공연/15:0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
2월 4일(월) 13:0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
개연시간 (일본 표준시) | 오스칼 | 앙드레 |
---|---|---|
2월 15일(금) 15:3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2월 16일(토) 11:00/15:30 | ||
2월 17일(일) 11:00/15:30 | ||
2월 19일(화) 13:30/18:30 | ||
2월 20일(수) 13:30 | ||
2월 21일(목) 13:3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2월 21일(목) 18:30 | ||
2월 22일(금) 13:30 | ||
2월 23일(토) 11:0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2월 23일(토) 15:30 | ||
2월 24일(일) 대절공연/15:30 | ||
2월 24일(일) 15:3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2월 26일(화) 대절공연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2월 26일(화) 18:3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2월 27일(수) 13:3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2월 28일(목) 13:3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3월 1일(금) 13:3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3월 2일(토) 11:00/15:3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3월 3일(일) 대절공연/15:3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3월 5일(화) 11:00/15:30 | ||
3월 5일(화) 15:3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3월 6일(수) 13:3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3월 7일(목) 13:3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3월 7일(목) 18:3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3월 8일(금) 13:30 | ||
3월 9일(토) 대절공연/15:3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3월 10일(일) 11:00/15:30 | ||
3월 10일(일) 15:3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3월 12일(화) 13:3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3월 12일(화) 18:3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3월 13일(수) 13:30 | ||
3월 14일(목) 대절공연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3월 14일(목) 18:3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3월 15일(금) 13:30 | ||
3월 16일(토) 11:0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3월 16일(토) 15:3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3월 17일(일) 11:00/15:30 | ||
3월 17일(일) 15:3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3월 19일(화) 13:3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3월 20일(수) 11:00/15:30 | ||
3월 20일(수) 15:3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3월 21일(목) 대절공연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3월 21일(목) 18:3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3월 22일(금) 13:3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3월 23일(토) 11:00/대절공연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3월 24일(일) 11:00/15:30 | ||
3월 24일(일) 15:3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 1991년·츠키구미 (오스칼 편)
스즈카제 마요의 톱 데뷔 공연이며, 처음으로 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가 등장하지 않는다. 신곡 "내 이름은 오스칼"이 쓰여졌다. 아마미 유키는 앙드레와 제로델의 2역을 연기했다.
다카라즈카 | 도쿄 | |
---|---|---|
토키 아키라 | 3월 28일-4월 4일 | 7월 2일-7월 6일 |
히나타 카오루 | 4월 5일-4월 9일 | 7월 7일-7월 12일 |
아마미 유키 | 4월 11일-5월 2일 | 7월 13일-7월 31일 |
오우라 미즈키 | 5월 3일-5월 7일 | - |
다카라즈카 | 도쿄 | |
---|---|---|
아마미 유키 | 3월 28일-4월 9일 5월 3일-5월 7일 | 7월 2일-7월 12일 |
아이카와 마키 | 4월 11일-5월 2일[31] | 7월 13일-7월 31일 |
; 2014년 소라구미 (오스칼 편)
6월 27일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공연중에 관객동원수 500만 명을 돌파했다.[154]
2. 2. 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 편
오스트리아의 공주 마리 앙투아네트는 정략 결혼으로 14세에 프랑스의 왕세자, 훗날의 루이 16세에게 시집간다. 그녀는 세상물정을 모르는, 단순히 예쁜 드레스를 좋아하는 어린 소녀였다.[132]앙투아네트는 18세에 파리 오페라 극장의 가면 무도회에서 평생의 연인인 스웨덴의 귀족 페르젠과 만난다.[132]
페르젠과의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에 괴로워하는 앙투아네트는 국모로서의 의무를 잊지 말라고 간하는 오스칼에게 군복을 입으면서 여자의 마음을 잊어버렸다며 힐난했다.[132]
페르젠은 앙투아네트를 깊이 사랑했다. 하지만 두 사람의 사랑이 추문으로 변해 앙투아네트를 파멸시킬 것이라고 느낀 페르젠은 남자답게 물러설 결심을 하고 사랑을 간직한 채 스웨덴으로 돌아갔다.[132]
혁명의 기세에 사기가 오른 군중은 베르사유로 몰려들고 앙투아네트는 베르사유를 떠나 파리로 가게 된다. 그녀의 궁지를 알게 된 페르젠은 그녀를 구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급히 스웨덴에서 프랑스로 왔다.[132]
루이 16세가 처형된 이후, 콩시에르주리 감옥에 갇혀 있던 앙투아네트를 탈옥시키기 위해 페르젠은 그녀를 찾아간다. 따로 붙잡혀 있는 아이들을 두고 갈 수 없다며 탈옥을 거절하는 앙투아네트를 향해 페르젠은 눈물을 흘리며 설득하지만 앙투아네트는 완강히 거절한다. 앙투아네트는 페르젠의 절규가 메아리치는 가운데 프랑스의 왕비답게 자부심 높고 의연하게 단두대로 향한다.[132]
; 라스트신의 원작과의 차이
원작 만화에서는, 콩시에르주리 감옥으로 옮겨진 마리 앙투아네트를 쟈르제 장군이 면회하러 방문해 탈영 계획을 밝히지만, 「아이들을 두고 도망칠 수는 없다」 라고 거부하는 대목은 있다.[132] 그러나 자르제 장군이 아닌 페르젠이 등장하게 된 것은 다카라즈카 가극단 한정 대목으로, "남녀 주역(페르젠과 앙투아네트)은 라스트 신에 반드시 출전해야 한다"는 다카라즈카 가극단 특유의 관습 때문이었다.[132]
2001년, 소라구미와 호시구미가 동쪽과 서쪽에서 동시상연을 하였다.
; 소라구미 (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 편)
: 4월 6일 - 5월 14일(신인공연:4월 24일):다카라즈카 대극장, 6월 29일 - 8월 12일(신인공연:7월 10일):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 제87기생(류 마사키, 사기리 세이나 등)의 초무대 공연.
: 어느 날 다카라즈카 대극장 2회차 공연시, 1회차 공연이 끝난 후 대계단을 연결하는 와이어에 트러블이 발생하여 2회차 공연 시간이 크게 틀어지는 일이 발생하여 제 1막의 노래 가사가 원래는 『보세요, 보세요…』(일본어: 御覧なさい 御覧なさい…)인 부분을 『죄송합니다, 죄송합니다…』(일본어: ごめんなさい ごめんなさい…)[146]로 바꾸는 등의 팬서비스가 이루어졌다. 또한 응급 수리를 위해 업자를 불러 수리되는 것을 기다리는 동안 지배인 두 명이 무대 위로 올라가 사죄하였다고 한다.
: 다카라즈카 공연에 특별출연(전과):조 시로에, 호시 사토미코, 미사 노에루, 에비라 가오루, 아야키 나오
다카라즈카 | 도쿄 | |
---|---|---|
아야키 나오 | 4월 28일-5월 14일 | 6월 29일-7월 23일 |
미즈 나츠키 | 4월 6일-4월 27일 | 7월 24일-8월 12일 |
다카라즈카 | 도쿄 | |
---|---|---|
아야키 나오 | 4월 6일-4월 27일 | 7월 24일-8월 12일 |
미즈 나츠키 | 4월 28일-5월 14일 | 6월 29일-7월 23일 |
; 2006년 호시구미 (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 편)
: 1월 1일 - 2월 6일:다카라즈카 대극장, 2월 17일 - 4월 2일: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 마리 앙투아네트 탄생 250주년을 기념하여 재연.
배우 이름 | 일정 |
---|---|
아사미 히카루 (유키구미) | 1월 1일(일)-1월 3일(화) |
타카시로 케이 (유키구미) | 1월 5일(목)-1월 10일(화) |
키리야 히로무 (츠키구미) | 1월 12일(목)-1월 19일(목) |
미즈 나츠키 (유키구미) | 1월 20일(금)-1월 26일(목) |
오오조라 유우히 (츠키구미) | 1월 27일(금)-2월 6일(월) |
앙드레 | 베르나르 | |
---|---|---|
2월 17일(금)-3월 3일(금) | 타츠키 요우 | 유즈키 레온 |
3월 4일(토)-3월 14일(화) | 유즈키 레온 | 타츠키 요우 |
3월 16일(목)-3월 21일(화) | 타츠키 요우 | 유즈키 레온 |
3월 23일(목)-4월 2일(일) | 유즈키 레온 | 타츠키 요우 |
; 2014년 하나구미 (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 편)
: 6월 12일 - 6월 29일 주니치 극장
: 아스미 리오의 톱 오히로메(첫선) 공연
; 2014년 주조 (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 편)
: 8월 29일 - 9월 21일 전국 투어
: 2번수 남역인 아사카 마나토가 주연을 맡았다.
공연일 | 공연 장소 |
---|---|
8월 29일(금) | 우메다 예술극장 메인 홀 (오사카부) |
8월 30일(토) | |
8월 31일(일) | |
9월 3일(수) | 오버드 홀 (도야마현) |
9월 5일(금) | 후추노모리 예술극장 (도쿄도) |
9월 6일(토) | 사가미 여자대학 그린 홀 (그린 홀 사가미오노) (가나가와현) |
9월 7일(일) | 이치카와시 문화회관 (지바현) |
9월 9일(화) | 사카타 시민회관「희망 홀」 (야마가타현) |
9월 11일(목) | 아키타시 문화회관 (아키타현) |
9월 13일(토) | 이즈미티 21 (미야기현) |
9월 14일(일) | |
9월 15일(월) | |
9월 17일(수) | 링크 스테이션 홀 아오모리 (아오모리현) |
9월 18일(목) | 오다테 시민 문화회관 (아키타현) |
9월 20일(토) | 니토리 문화 홀 (구 홋카이도 후생성 연금회관) (홋카이도) |
9월 21일(일) |
오스트리아의 공주 마리 앙투아네트는 정략 결혼으로 14세에 프랑스의 왕세자, 훗날의 루이 16세에게 시집갔다. 앙투아네트는 18세에 파리 오페라 극장의 가면 무도회에서 스웨덴 귀족 페르젠과 만나고, 오스칼과도 만난다.
; 2005년 호시구미 (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 편)
: 9월 24일 - 10월 21일 전국 투어
: 11월 11일(금) - 11월 13일(일) 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동 1번지)
:: 한일 국교 정상화 40주년 기념 「한일 우정의 해 2005 다카라즈카 가극단 공연」
: 병연은 쇼 『소울 오브 시바!!』.
: ; 전국투어 공연 장소
:* 9월 24-25일 우메다 예술극장
:* 9월 27일 나가노현 현민문화회관
:* 9월 28일 나가노 현 마츠모토 문화회관
:* 9월 30일 사이타마시 문화 센터
:* 10월 1일・2일 이치카와시 문화회관 (지바현)
:* 10월 4일 이세사키시 문화회관 (군마현)
:* 10월 6일 우쓰노미야시 문화회관 (도치기현)
:* 10월 8일・9일 니가타 현민회관
:* 10월 10일 조에쓰 문화회관 (니가타현)
:* 10월 12일 기타카미·사쿠라 홀 (이와테현)
:* 10월 13일 유자와 문화회관 (아키타현)
:* 10월 15일・16일 아키타시 문화회관
:* 10월 18일 후루사토 교류권민 센터(오르텐시아)(아오모리현 고쇼가와라시)
:* 10월 20일・21일 홋카이도 후생연금회관
; 2015년 하나구미 (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 편)
: 7월 10일 - 7월 16일 우메다 예술극장 메인 홀
: 8월 8일(토) - 8월 16일(일) 국가양청원, 국가희극원
: 다카라즈카 가극단 대만 공연 제2탄.
: 병연은 레뷰 로망 『다카라즈카 환상곡』.
3. 주요 등장인물
페르젠과의 사랑에 괴로워하는 앙투아네트는 오스칼에게 힐난을 받지만, 오스칼 역시 페르젠을 향한 마음을 품고 있었다. 페르젠은 앙투아네트를 사랑했지만, 스캔들을 염려해 스웨덴으로 돌아간다.
프랑스 내 불온한 분위기가 고조되고, 오스칼은 위병대로 전속되어 파리 출동 명령을 받는다. 오스칼의 유모의 손자이자 평민인 앙드레는 오스칼을 오랫동안 사랑해왔고, 오스칼도 앙드레의 사랑을 깨닫는다. 오스칼은 앙드레와 결혼하고, 민중과 함께 싸우다 전사한다. 앙드레 역시 오스칼을 걱정하다 전사하고, 민중들은 바스티유 감옥을 습격한다.
혁명의 기세에 군중은 베르사유로 몰려들고, 앙투아네트는 파리로 가게 된다. 페르젠은 앙투아네트를 구하려 콩시에르주리 감옥을 찾지만, 앙투아네트는 탈옥을 거절하고 단두대로 향한다.[132]
이 외에도 알랭, 제로델, 로자리, 베르나르 등의 인물들이 등장한다.
3. 1. 오스칼 프랑소와 드 자르제
귀족 출신인 오스칼은 대를 이을 아들이 태어나지 않은 아버지에 의해 여자이면서도 남자로 키워져 남장 미인이 되었다.
어린 시절 양친을 잃은 앙드레는 오스칼의 유모인 할머니 마론 글라세에게 거두어졌다. 쟈르제 가에 받아들여져 오스칼의 시중을 들게 된 이후, 한시도 떨어지지 않고 그림자처럼 그녀를 지킨다. 앙드레는 언젠가부터 오스칼을 친구가 아닌 여자로 보게 되었지만, 평민 신분이었다.
앙드레는 오스칼을 감싸다 눈을 다쳐 점점 시력을 잃게 된다. 오스칼은 왕궁을 수호하는 근위대에서 국민을 지키는 군대인 위병대로 전속을 자원하여 위병대의 대장이 된다. 처음에는 대원 모두가 "귀족 여자는 따를 수 없다"라며 반발했지만, 오스칼의 박애 정신과 순결한 마음에 점차 굳게 결속되어 간다.
앙드레는 오스칼의 옛 부하인 귀족 장교 제로델과의 혼담에 충격을 받고, 오스칼을 죽여서라도 영원히 자신의 것으로 만들려고 하지만 그 직전에 멈추고 자신의 마음을 전한다. 처음에는 당황하는 오스칼이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앙드레를 향한 자신의 마음을 깨닫는다.
그러던 중 프랑스 국내의 정세는 급속히 나빠졌다. 빈부 격차가 커지고 평민의 불만은 정점에 달해, 언제 귀족과 평민이 피를 흘리며 싸우게 되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 되어가고 있었다. 마침내 오스칼은 위병대의 지휘관으로서 파리 출동의 선두에 서게 되었다.
지금 파리에 가면 살아서 돌아올 수 없을지도 모른다. 파리 출동 전날 밤, 오스칼은 앙드레에게 자신의 마음을 토로하고 두 사람은 맺어진다.
하지만 앙드레는 시력이 나빠 센 강변 다리 위에서 오스칼의 안부를 걱정하다 총탄을 맞고 쓰러진다. 다음 날인 7월 14일, 슬픔을 뒤로하고 굳세게 위병대를 이끌고 바스티유 감옥으로 향하는 오스칼. 훗날 프랑스 혁명이라 불리는, 평민이 절대왕권의 상징이었던 바스티유 감옥을 함락한 날, 오스칼은 약자들의 힘이 되고자 평민의 방패가 되어 귀족 부대와 싸웠다.
격전 중 총탄을 맞고 쓰러진 오스칼은 "바스티유에 백기가!"라고 외치는 부하 알랭의 말을, 여동생과도 같은 로잘리의 품에서 듣는다. 프랑스 혁명이 이루어진 그 순간에 생애의 막을 내린 것이다.
절명의 순간, 오스칼을 "오스칼, 오스칼…"이라고 부르는 익숙한 목소리가 들린다. 그 목소리에 오스칼이 일어서자 앙드레가 나타난다. 먼저 전사한 앙드레가 천국에서 오스칼을 데리러 온 것이다. 앙드레에게 안기는 오스칼. 살아서는 이루어지지 못한 "신분이 다른 사랑"을 성취하고 두 사람은 천국으로 떠난다.
; 마지막 장면의 원작과의 차이
원작 만화에서는 오스칼이 바스티유 공격 중에 적의 총탄을 맞고 쓰러진 직후, 응급처치를 하던 로잘리가 "아… 앙드레, 앙드레 들어줘 부탁이야!! 오스칼님을… 오스칼님을 데려가지 말아줘 데려가지 말아줘 부탁이야!!"라고 말하는 대사나, 오스칼 사후 두 사람의 죽음을 애도하며 침대에서 쉬던 마롱 글라세(앙드레의 할머니, 오스칼의 유모)의 머리 위에 오스칼과 앙드레(의 영혼 같은 것) 두 사람이 함께 있는 모습이 나온다.[131]
하지만 먼저 전사한 앙드레의 영혼이 바스티유 공격에서 전사한 오스칼의 영혼을 천국에서 맞이하러 온 명확한 신을 연기하는 것은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무대 작품 오리지널이다. 차이가 있는 이유는 원작은 오스칼의 죽음 이후에도 이야기가 이어지지만, '다카라즈카 가극 베르사이유의 장미 -오스칼 편- -오스칼과 앙드레 편- -앙드레와 오스칼 편-'에서는 오스칼의 전사로 이야기를 끝내야만 한다. 또 "주역의 남녀 두 사람(오스칼과 앙드레)은 라스트 신에 반드시 등장해야 한다"는 다카라즈카 가극 특유의 관례가 있기 때문이다.
3. 2. 앙드레 그랑디에
오스칼의 유모의 손자이자 오스칼의 시중을 드는 인물이다. 평민 출신이지만, 오스칼을 헌신적으로 사랑하며 그녀를 위해 모든 것을 희생한다.
어린 시절 부모를 잃은 앙드레는 오스칼의 유모인 할머니 마롱 글라세에게 거두어져 쟈르제 가에서 자랐다. 오스칼의 시중을 들며 항상 그녀의 곁을 지켰고, 언젠가부터 오스칼을 친구 이상으로, 여자로 사랑하게 되었다. 하지만 평민이라는 신분 때문에 자신의 마음을 숨기고 있었다.
앙드레는 오스칼을 보호하다 눈을 다쳐 점점 시력을 잃어간다. 오스칼이 근위대에서 위병대로 전속을 지원하고 위병대 대장이 되자, 앙드레는 오스칼과 제로델과의 혼담에 충격을 받는다. 오스칼을 죽여서라도 자신의 것으로 만들려 하지만, 직전에 멈추고 자신의 진심을 고백한다. 처음에는 당황하던 오스칼도 결국 앙드레를 향한 자신의 마음을 깨닫는다.
프랑스 국내 정세가 악화되고, 오스칼이 위병대 지휘관으로 파리 출동을 앞둔 전날 밤, 오스칼은 앙드레에게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고 두 사람은 맺어진다. 하지만 앙드레는 시력을 거의 잃은 상태였고, 센 강변 다리 위에서 오스칼을 걱정하다 총탄을 맞고 쓰러진다.
다음 날인 7월 14일,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고, 앙드레는 바스티유 감옥으로 향하는 오스칼을 지켜보지 못한 채 숨을 거둔다. 이후 천국에서 오스칼을 맞이하러 온 앙드레는 오스칼과 함께 천국으로 떠나며, 마침내 신분을 초월한 사랑을 이루게 된다.[131]
3. 3. 마리 앙투아네트
오스트리아의 공주 마리 앙투아네트는 정략 결혼으로 14세에 프랑스의 왕세자, 훗날의 루이 16세에게 시집갔다. 그녀는 그저 세상물정을 모르는, 단순히 예쁜 드레스를 좋아하는 어린 소녀였다.
앙투아네트는 18세에 파리 오페라 극장의 가면 무도회에서 생애의 연인인 스웨덴의 귀족인 페르젠과 만났다.
페르젠과의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에 괴로워하는 앙투아네트는 국모로서의 의무를 잊지 말라고 간하는 오스칼을 향해, 군복을 입으면서 여자의 마음을 잊어버렸다며 그녀를 힐난했다.
페르젠은 앙투아네트를 깊이 사랑했다. 하지만 두 사람의 사랑이 추문으로 변해 앙투아네트를 파멸시킬 것이라고 느낀 페르젠은 남자답게 물러설 결심을 하고 사랑을 간직한 채 스웨덴으로 돌아갔다.
이후 프랑스 내의 불온한 분위기가 높아졌고 가난한 민중들의 불만은 폭발 직전에 이르렀다.
혁명의 기세에 사기가 오른 군중은 베르사유로 몰려들고 앙투아네트는 베르사유를 떠나 파리로 가게 된다. 그녀의 궁지를 알게 된 페르젠은 그녀를 구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급히 스웨덴에서 프랑스로 왔다.
루이 16세가 처형된 이후, 콩시에르주리 감옥에 갇혀 있던 앙투아네트를 탈옥시키기 위해 페르젠은 그녀를 찾아간다. 따로 붙잡혀 있는 아이들을 두고 갈 수 없다며 탈옥을 거절하는 앙투아네트를 향해 페르젠은 눈물을 흘리며 설득하지만 앙투아네트는 완강히 거절한다. 앙투아네트는 페르젠의 절규가 메아리치는 가운데 프랑스의 왕비답게 자부심 높고 의연하게 단두대로 향한다.
원작 만화에서는, 콩시에르주리 감옥으로 옮겨진 마리 앙투아네트를 쟈르제 장군이 면회하러 방문해 탈영 계획을 밝히지만, 「아이들을 두고 도망칠 수는 없다」 라고 거부하는 대목은 있다[132]. 그러나 자르제 장군이 아닌 페르젠이 등장하게 된 것은 다카라즈카 가극단 한정 대목으로, "남녀 주역(페르젠과 앙투아네트)은 라스트 신에 반드시 출전해야 한다"는 다카라즈카 가극단 특유의 관습 때문이었다.
3. 4. 한스 악셀 폰 페르젠
스웨덴의 귀족으로, 마리 앙투아네트를 향한 순수한 사랑을 간직한 인물이다. 앙투아네트가 프랑스의 왕세자(훗날의 루이 16세)와 정략 결혼으로 14세에 시집을 간 후, 18세가 되던 해 파리 오페라 극장의 가면 무도회에서 앙투아네트와 운명적으로 만난다.[132]
페르젠은 앙투아네트를 깊이 사랑했지만, 이들의 사랑이 스캔들로 번져 앙투아네트를 파멸시킬 것을 염려하여, 사랑을 가슴에 묻고 스웨덴으로 돌아간다.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고 앙투아네트가 궁지에 몰리자, 페르젠은 그녀를 구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프랑스로 돌아온다. 루이 16세가 처형된 후, 콩시에르주리 감옥에 갇힌 앙투아네트를 탈옥시키려 하지만, 앙투아네트는 아이들을 두고 갈 수 없다며 거절한다. 페르젠은 눈물로 설득하지만, 앙투아네트는 프랑스 왕비로서의 자긍심을 지키며 의연하게 단두대로 향한다.[132]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작품에서는 "남녀 주역은 마지막 장면에 반드시 출연해야 한다"는 관습 때문에, 원작과 달리 페르젠이 앙투아네트의 탈옥을 돕는 역할로 등장한다.[132]
3. 5. 알랭 드 소와송
알랭은 프랑스 혁명에 가담하여 평민들을 위해 싸우는 위병대원이다.[16] 오스칼을 존경하며 그녀를 따른다.[16] 오스칼이 위병대 대장으로 부임했을 때 처음에는 반발했지만, 오스칼의 박애 정신과 순수한 마음에 감화되어 굳게 결속하게 된다.[16]
3. 6. 제로델 백작
제로델은 오스칼과의 정략결혼을 추진하려 했던 귀족 장교로, 자신의 야망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냉혹한 인물이다.[132]
3. 7. 로자리 라 모리에르
오스칼을 친자매처럼 따르는 순수한 심성을 가진 아가씨로, 혁명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간다. 격전 중 총탄을 맞고 쓰러진 오스칼은 "바스티유에 백기가!"라고 외치는 부하 알랭의 말을 로자리의 품에서 듣는다.[131]
3. 8. 베르나르 샤틀레
로자리와 함께 민중을 위해 투쟁하며 귀족 타도를 외치는 혁명가이다.
4. 다카라즈카 가극단 공연
다카라즈카 가극단은 1974년 초연 이후 《베르사이유의 장미》를 여러 차례 재공연하며 다카라즈카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만들었다. 초연 당시에는 상연 반대 의견도 있었지만, 대성공을 거두며 사회 현상으로까지 이어졌다.[14]
1970년대 전후, 다카라즈카 가극단은 텔레비전 보급과 오락 다양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으나, 《베르사이유의 장미》의 성공으로 다시 인기를 회복했다.[17] 이 작품은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대명사처럼 여겨지며, 상연할 때마다 흥행을 기대할 수 있는 중요한 작품이 되었다.
초연 연출은 배우 하세가와 카즈오가 맡았으며, 다카라즈카 가극단 전속 각본가 우에다 신지가 각색하여 공동 연출했다. 하세가와는 젊은 시절 가부키에서 여장 수업을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남녀 배우들에게 아름다운 연기를 지도했다.[24] 그의 연출 기법은 이후 공연에도 계승되고 있다.
2005년에는 NHK 프로그램 『프로젝트 X ~도전자들~』에서 초연 과정과 무대 뒤 이야기가 특집으로 다루어졌다.[15] 2022년에는 『어나더 스토리 운명의 분기점』에서 "베르사이유의 장미 오스칼이 되고 싶었던 우리들"이라는 제목으로 특집 방송이 방영되었다.
2008년부터는 원작자 이케다 리요코가 새로 쓴 스토리를 바탕으로 한 『외전 베르사이유의 장미』 시리즈가 상연되고 있다.
각 공연마다 내용이 다르지만, 기본적인 줄거리는 유지되고 있다. 주요 등장인물들의 다양한 관계와 갈등, 그리고 프랑스 혁명이라는 역사적 배경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주요 테마곡
- 사랑이 있다면
- 사랑의 모습
- 사랑의 순례
- 사랑의 두려움
- 맺어지지 않는 사랑
- 달려라 페가수스처럼
- 보십시오 보십시오
- 하얀 장미의 사람
- 내 이름은 오스칼
- 장미 베르사이유
- 푸른 도나우 강가
- 앙 두 트루아
- 마음의 하얀 장미
- 마음의 사람 오스칼
- 장미의 수비니르
- 소녀의 기도
1989년 - 1991년 (헤이세이 베르사이유의 장미)다카라즈카 가극단 창립 75주년과 프랑스 혁명 200주년을 기념하여 재공연되었다.
- 1989년 유키구미 (앙드레와 오스칼 편): 토키 아키라가 앙드레, 이치로 마키가 오스칼을 연기했다. 앙드레가 단독 주역을 맡은 첫 공연이었다. 오스칼이 "남장 미인"이라는 작품 특성상, 주역 커플이 남역 2명이 되었기 때문에, 딸 역 톱 아야 유우키가 로자리 역과 소녀 역을 맡아 이야기의 화자로 출연했다. 앙드레가 시력 쇠퇴를 숨기려 노력하는 장면 등이 추가되었다. 아사카 준(하나구미), 시온 유우, 아사마 사키(호시구미)가 특별 출연하여 페르젠 역을 번갈아 연기했다.
- 1989년 호시구미 (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 편): 뉴욕 공연 참가 인원이 많아 적은 인원으로 공연되었다. 다카라즈카에서는 다이키 유우 외에 안쥬 미라, 스즈카제 마요, 이치로 마키가 오스칼 역을 맡았다. 제로델 역도 역할 교체가 이루어졌으며, 조역을 포함한 총 10명의 대규모 역할 교체가 도입되었다. 도쿄 공연에서는 시온 유우가 오스칼 역을 맡았다.
- 1990년 하나구미 (페르젠 편): 오우라 미즈키와 히비키 미토 콤비의 댄스 장면이 추가되어 "춤추는 페르젠 편"으로 불렸다. 메르시 백작이 페르젠에게 왕비를 위해 물러나 달라고 간청하는 장면, 페르젠이 스웨덴 국왕 구스타프 3세에게 알현하는 장면 등이 추가되었다. 다카라즈카 가극단 76기생의 첫 무대 공연이었다.
- 1991년 츠키구미 (오스칼 편): 스즈카제 마요의 톱 데뷔 공연이자, 다카라즈카 가극단 77기생의 첫 무대 공연이었다. 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가 등장하지 않는 대담한 각색이 이루어졌다. 신인 공연에서는 스즈카제 앙투아네트, 아마미 유키 페르젠이 1장 깜짝 출연했다. 신곡 "내 이름은 오스칼"이 추가되었다. 아마미 유키는 앙드레와 제로델의 2역을 연기했다. 쿠제 세이카가 연기하는 알랑의 묘사가 늘어났고, 알랑의 여동생 디안느는 아사노 카요가 맡아 오스칼에게 파리의 서민 생활을 보여주는 등 중요한 역할이 되었다. "20세기 마지막 베르사이유의 장미"라는 선전 문구가 붙었다.
마리 앙투아네트 탄생 250주년 기념 재공연 (2001, 2006)
- 2001년 호시구미 (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 편)
- 2001년 소라구미 (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 편): 와오 요카가 페르젠 역을 맡았다. 다카라즈카 가극단 87기생의 첫 무대였다. 대계단을 연결하는 와이어 문제로 공연이 지연되는 해프닝이 있었다.
- 2006년 유키구미 (오스칼 편): 타카시로 케이, 미즈 나츠키는 앙드레 역 외에 타카시로는 제로델, 미즈는 알랭 역으로 출연했다. 2006년 3월 17일에 통산 관객 동원 400만 명을 기록했다.
다카라즈카 가극단 100주년 기념 재공연 (2013, 2014)
- 2013년 츠키구미 (오스칼과 앙드레 편): 주연 오스칼 역을 류 마사키와 아스미 리오가 번갈아 맡는 더블 캐스트 방식이었다. 란쥬 토무, 소 카즈호가 앙드레 역으로 특별 출연했다. 9개의 배역, 11명의 출연자가 기간별로 4가지 배역을 교체하는 대규모 역할 교체가 이루어졌다. 2013년 3월 21일, 1974년 초연 이후 누적 관객 450만 명을 돌파했다. 크레인을 사용하여 마차를 공중에 띄우는 새로운 연출이 도입되었다.
- 2013년 유키구미 (페르젠 편): 소 카즈호와 아이카 아유의 톱 콤비 공개 공연이자, 다카라즈카 가극단 99기생의 첫 무대 공연이었다. 류 마사키, 유즈키 레온, 오우키 카나메가 오스칼 역으로 특별 출연했다.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페르젠을 그리기 위해 대본과 연출이 개정되었다.
- 2014년 소라구미 (오스칼 편): 2014년 6월 27일 도쿄 공연 중 관객 동원 500만 명을 돌파했다.
다카라즈카 가극단 창립 110주년 기념 재공연 (2024)
- 2024년 유키구미 (페르젠 편): 톱스타 아야카제 사키나의 퇴단 공연.
기타
- 1976년 하나구미 (앙드레와 오스칼) 지방 공연
- 1977년 하나구미 판타지 베르사이유의 장미 지방 공연
- 1978년 유키구미 다카라즈카 판타지 베르사이유의 장미 지방 공연
- 1979년 하나구미 (앙드레와 오스칼) 지방 공연
- 1980년 유키구미 (앙드레와 오스칼) 지방 공연
- 1991년 유키구미 (오스칼, 앙드레 편) 지방 공연
- 1991년 하나구미 (페르젠 편) 지방 공연
- 2005년 호시구미 (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 편) 전국 투어 및 한국 공연: 한일 국교 정상화 40주년 기념 "한일 우정의 해 2005 다카라즈카 가극단 한국 공연"
- 2006년 유키구미 (오스칼 편) 전국 투어
- 2014년 유키구미 (오스칼과 앙드레 편) 전국 투어
- 2014년 하나구미 (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 편) 주니치 극장
- 2014년 소라구미 (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 편) 전국 투어
- 2015년 하나구미 (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 편) 우메다 예술 극장 메인 홀, 대만 공연: 다카라즈카 가극단 대만 공연
4. 1. 주요 공연 목록
다음은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베르사이유의 장미》 주요 공연 목록이다.공연 연도 | 조 | 공연명 | 주요 내용 및 특징 | 주연 |
---|---|---|---|---|
1974 | 달 조 | 베르사이유의 장미 | 초연, 원작 만화에 가장 가까운 줄거리.[157][158] | 하루나 유리 |
1975 | 꽃 조 | 베르사이유의 장미: 앙드레와 오스칼 | 오스칼과 앙드레의 관계에 초점.[157][158] | 안나 준 |
1976 | 별 조 | 베르사이유의 장미 III | 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의 관계에 초점. 다른 조의 특별 게스트가 오스칼 역으로 출연.[157][158] | 鳳蘭|오토리 란일본어 |
1976 | 달 조 | 베르사이유의 장미 III (도쿄 버전) | 페르젠에게 더 많은 비중.[157][158] | 鳳蘭|오토리 란일본어 |
1977 | 꽃 조 | 판타지 베르사이유의 장미 | 앙드레와 오스칼 다카라즈카 버전 축약본, 전국 투어[157][158] | 안나 준 |
1978 | 눈 조 | 다카라즈카 판타지 베르사이유의 장미 | 앙드레와 오스칼 축약 및 수정 버전, 전국 투어[157][158] | 미기와 나츠코 |
1979 | 꽃 조 | 베르사이유의 장미: 앙드레와 오스칼 | 전국 투어, 마츠 아키라가 오스칼, 페르젠, 앙드레 3역을 모두 연기.[157][158] | 마츠 아키라 |
1980 | 눈 조 | 베르사이유의 장미: 앙드레와 오스칼 | 전국 투어[157][158] | 미기와 나츠코 |
1989 | 눈 조 | 베르사이유의 장미: 앙드레와 오스칼 | 앙드레 단독 주역 첫 공연.[47] | 모리 케아키 (앙드레), 마키 이치로 (오스칼) |
1989 | 별 조 | 베르사이유의 장미: 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 | 페르젠 주역.[157][158] | 휴가 카오루 |
1990 | 꽃 조 | 베르사이유의 장미: 페르젠 | 페르젠 주역.[157][158] | 오우라 미즈키 |
1991 | 꽃 조 | 베르사이유의 장미: 페르젠 | 우에다, 페르젠 주역.[157][158] | 오우라 미즈키 |
1991 | 눈 조 | 베르사이유의 장미: 오스칼, 앙드레 | 전국 투어[157][158] | 모리 케아키 |
1991 | 달 조 | 베르사이유의 장미: 오스칼 | 오스칼의 사랑과 비극적 결말에 초점.[157][158] | 스즈카제 마요 |
2001 | 별 조 | 베르사이유의 장미: 오스칼과 앙드레 | 오스칼 주역.[157][158] | 미노루 코 |
2001 | 우주 조 | 베르사이유의 장미: 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 | 와오 요카 페르젠 역.[157][158] | 와오 요카 |
2005 | 별 조 | 베르사이유의 장미: 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 (한국 공연) | 대한민국 서울 공연을 위한 특별 각색.[157][158] | 코즈키 와타루 |
2006 | 눈 조 | 베르사이유의 장미: 오스칼 | [157][158] | 아사미 히카루 |
2006 | 눈 조 | 베르사이유의 장미: 오스칼 | 전국 투어[157][158] | 미즈 나츠키 |
2008 | 눈 조 | 외전 - 베르사이유의 장미: 지로델 | 지로델과 소피의 로맨스 중심.[157][158] | 미즈 나츠키 |
2008 | 꽃 조 | 외전 - 베르사이유의 장미: 알랭 | 알랭의 짝사랑과 디안느와의 관계 중심.[157][158] | 마토부 세이 |
2008 | 별 조 | 외전 - 베르사이유의 장미: 베르나르 | 베르나르와 로잘리의 사랑 중심.[157][158] | 아란 케이 |
2009 | 우주 조 | 외전 - 베르사이유의 장미: 앙드레 | 앙드레의 어린 시절과 오스칼을 사랑하기 전 만났던 소녀 중심.[157][158] | 야마토 유가 |
2009 | 꽃 조 | 외전 - 베르사이유의 장미: 앙드레 | [157][158] | 마토부 세이 |
2013 | 달 조 | 베르사이유의 장미: 오스칼과 앙드레 | 오스칼 주역, 류 마사키와 아스미 리오 더블 캐스트.[40] | 류 마사키, 아스미 리오 |
2013 | 눈 조 | 베르사이유의 장미: 페르젠 | 페르젠 주역.[157][158] | 소 카즈호 |
2014 | 우주 조 | 베르사이유의 장미: 오스칼과 앙드레 | 오스칼 주역.[157][158] | 오우키 카나메 |
2014 | 우주 조 | 베르사이유의 장미: 페르젠 | 전국 투어, 페르젠 주역.[157][158] | 아사카 마나토 |
2014 | 꽃 조 | 베르사이유의 장미: 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 | 아스미 리오 톱 데뷔 공연.[157][158] | 아스미 리오 |
2015 | 꽃 조 | 베르사이유의 장미: 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 (대만 공연) | 다카라즈카 가극단 대만 공연.[157][158] | 아스미 리오 |
2024 | 눈 조 | 베르사이유의 장미: 페르젠 | 다카라즈카 가극단 창립 110주년 기념, 아야카제 사키나 퇴단 공연.[41][42] | 아야카제 사키나 |
4. 1. 1. 1974년 초연
1974년 다카라즈카 가극단 달 조에서 초연된 《베르사이유의 장미》는 하루나 유리가 오스칼 역을 맡아 큰 인기를 얻었다. 이 공연은 이케다 리요코의 원작 만화에 가장 가까운 줄거리로 알려져 있다.[157][158]4. 1. 2. 1975년 하나구미 공연
1975년 꽃 조에서는 톱스타 안나 준이 오스칼 역을 맡았으며, 이 공연은 오스칼과 앙드레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157][158]4. 1. 3. 1976년 호시구미 공연
鳳蘭일본어 (오토리 란)이 페르젠 역을 맡아 마리 앙투아네트와의 사랑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157][158] 다카라즈카에서는 당초 5월 11일까지 공연 예정이었으나, 호평으로 인해 12일까지 연장 상연되었다.[142] 하츠카제 준이 월조에서 특별 출연하였다.[142]역할 교대첫날에는 역대 4명의 오스칼 (하루나 유리, 안나 준, 미기 나츠코, 오토리 란)이 모두 출연하여 화려함을 더했다. 도쿄 공연 중 7월 21일과 22일에는 역할 교대 공연이 있었는데, 마리 앙투아네트 역은 시키노 하나에가, 페르젠 역은 미네 사오리가 맡았다. 다카라즈카 공연에서는 앞서 언급한 4명이 기간별로 오스칼 역을 번갈아 연기하는 새로운 기법을 도입하여 흥행에 성공했다.[142]
개정 내용다카라즈카 가극의 베르사이유의 장미 작품 중 유일하게 바렌 사건이 묘사되었다(「제2부·7장 바렌의 숲」).[28] 이 장면에서는 국왕 일가가 타는 마차를 끄는 말로 실제 말을 사용했다.[29] (실제 말은 다카라즈카 공연에서만 사용되었다.) 또한, 페르젠이 신성 로마 제국 황제요제프 2세 (앙투아네트의 오빠)에게 알현을 청하고 앙투아네트 구출을 간청하는 장면 등이 이 공연부터 새롭게 추가되었다.[142]
제62기생 (히나타 카오루, 나츠미 요, 아스카 유 등)의 첫 무대 공연이었다.[142]
공연 정보[142]
- 형식명: 다카라즈카 그랜드 로망
- 2부 30장
4. 1. 4. 1989년 유키구미 공연
1989년 유키구미(雪組) 공연은 앙드레와 오스칼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었으며, 당시 톱스타였던 모리 케아키가 앙드레 역을, 2번째 스타였던 이치로 마키가 오스칼 역을 맡았다. 이는 앙드레가 단독 주역을 맡은 첫 공연이었다.[47]딸 역 톱이었던 아야 유우키는 로자리 역을 맡아 앙드레와 함께 출연하는 장면이 있었고, 소녀 역을 맡아 이야기의 화자가 되는 등 다양한 출연 기회를 얻었다. 앙드레가 시력 쇠퇴를 숨기려 노력하는 장면 등이 새롭게 추가되어 그의 출연 분량이 늘어났다.[47]
또한, 아사카 준(하나구미(花組)), 시온 유우, 아사마 사키(이상 호시구미(星組))가 특별 출연하여 페르젠 역을 번갈아 연기하는 역할 교체 공연이 이루어졌다. 이후 재공연에서도 역할 교체는 주요 볼거리 중 하나가 되었다.
다카라즈카[51] | 도쿄[52] | |
---|---|---|
아사카 준 | 8월 10일-8월 17일 | 11월 3일-11월 9일 |
시온 유우 | 8월 18일-9월 19일 | 11월 10일-11월 19일 |
아사마 사키 | 8월 29일-9월 19일 | 11월 20일-11월 28일 |
4. 1. 5. 2001년 소라구미 공연
2001년 소라구미(우주 조)는 '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 편'을 공연했다. 와오 요카가 페르젠 역을 맡아 열연했으며, 화려한 무대 연출로 호평을 받았다.[157][158]- 공연 기간
- 다카라즈카 대극장: 4월 6일 - 5월 14일 (신인 공연: 4월 24일)[157]
-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6월 29일 - 8월 12일 (신인 공연: 7월 10일)[158]
- 형식명: 미쓰이 스미토모 VISA 시어터 다카라즈카 그랜드 로망
- 2부 36장
이 공연은 다카라즈카 가극단 87기생(류 마사키, 사기리 세이나 등)의 첫 무대였다.
다카라즈카 대극장 공연 중에는 대계단을 연결하는 와이어에 문제가 생겨 공연이 지연되는 해프닝이 있었다. 이때 1막의 노래 가사가 '보세요, 보세요...'에서 '죄송합니다, 죄송합니다...'로 바뀌는 등 팬 서비스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출연자하나구미, 츠키구미, 호시구미 출연자 외에는 다카라즈카 대극장[157]와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158] 공연이 동일하다.
아스카 유 | 토나미 |
미호 케이코 | 아리사 미호 |
아사미 히카루 | 유나오키 |
키죠 케이 | 미라이 유우키 |
미즈 나츠키 | 아이 요코 |
마이카제 리라 | 아사에 메구루 |
유리카 시호 | 소 카즈호 |
미즈 준카온 | 텐세 이즈루 |
오토즈키 케이 | 아사키 유메미 |
사와네 카즈키 | 나츠오 코마키 |
야마시나 아이 | 마이사키 린 |
카노 하루토 | 모리사키 카구야 |
하나호 안나 | 히이라기 토모에 |
카미 레이카 | 소라키 레이카 |
료카 리사 | 타니 미즈세 |
호즈키 하루나 | 오키 카나메 |
마나미 소라 | 오즈키 토마 |
아사쿠라 모모코 | 하나오카 라라 |
하루카 미도리 | 사오 쿠라마 |
시라호 린 | 마루키 토와 |
하나오 코노미 | 이사키 마오토 |
아야 미즈키 | 미사키 레이 |
사야카 마코 | 유메카 아야리 |
오나기 마오 | 아오이 후부키 |
센 하후리 | 시토 유미레이 |
무라사키 이츠미 | 오고 세시루 |
마아사 히토미 | 유키 센쥬 |
아야카 료 | 준야 치토세 |
하나카 유린 | 사즈키 아이나 |
오츠키 사유 | 아이키 유마 |
오쥬 히라리 | 렌죠 마코토 |
스즈세 미우토 | 카오토 유키 |
아이하라 미카 | 카야 시즈루 |
유즈키 레나 | 아즈사 하루키 |
센카제 카렌 | 아사카제 레이 |
스즈네 아야 | 오카 레노 |
미노 호노카 | 키요카와 료 |
아이카 아유 | 코노하나 이노리 |
사에키 치하야 | 토마 카즈키 |
키요 미라노 | 히나즈키 오토하 |
시카제 스이 | 오가 미츠키 |
시로나기 스즈 | 야시로 코우(전과) |
호시하라 미사오(전과) | 이츠키 치히로(전과) |
하루노 스미레(하나구미、다카라즈카 대극장 한정、2월 20일 - 2월 23일) | 세나 준(츠키구미、다카라즈카 대극장 한정、3월 6일 - 3월 12일) |
코즈키 와타루(호시구미、다카라즈카 대극장 한정、2월 10일 - 2월 12일) | 아란 케이(호시구미、도쿄 한정、4월 25일 - 5월 5일) |
- 조 시로에
- 호시 사토미코
- 미사 노에루
- 에비라 가오루
- 아야키 나오
오스칼 역 (역할 교체)[157]
다카라즈카 대극장 |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 |
---|---|---|
아야키 나오 | 4월 28일 - 5월 14일 | 6월 29일 - 7월 23일 |
미즈 나츠키 | 4월 6일 - 4월 27일 | 7월 24일 - 8월 12일 |
다카라즈카 대극장 |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 |
---|---|---|
아야키 나오 | 4월 6일 - 4월 27일 | 7월 24일 - 8월 12일 |
미즈 나츠키 | 4월 28일 - 5월 14일 | 6월 29일 - 7월 23일 |
4. 1. 6. 2013년 츠키구미 공연
2013년 1월 1일부터 2월 4일까지 다카라즈카 대극장에서, 2월 15일부터 3월 24일까지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에서 공연되었다. 형식명은 '미쓰이 스미토모 VISA 카드 시어터 다카라즈카 그랜드 로망'이며, 2막 32장으로 구성되었다.[40]이 공연은 주연인 오스칼 역을 톱스타 류 마사키와 준 톱스타 아스미 리오가 번갈아 맡는 더블 캐스트 방식으로 진행되어 화제를 모았다. 이는 전 공연인 '로미오와 줄리엣'에 이은 주역 역할 교대 공연의 두 번째 사례였다.
다카라즈카 대극장 공연에서는 하나구미의 란쥬 토무, 유키구미의 소 카즈호가 앙드레 역으로 특별 출연했다. 이를 포함하여 총 9개의 배역, 11명의 출연자가 기간별로 4가지 배역을 교체하며 공연하는, 본작 상연 사상 최대 규모의 역할 교대가 이루어졌다.
도쿄 공연 중 3월 21일 13시 30분 공연에서는 1974년 초연 이후 누적 관객 450만 명을 돌파했다.[36]
연출 면에서도 새로운 기법이 도입되었다. '지상에서는 이루어질 수 없는 신분 차이의 사랑, 천상에서의 성취'를 표현하는 마지막 장면에서, 오스칼과 앙드레가 탄 마차를 크레인을 이용해 실제로 공중에 띄우는 연출이 시도되었다. 이는 기존에 회전 무대 위에 은색 마차를 놓고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마차의 주행을 표현했던 것과는 다른 방식이었다. 빛나는 LED 전등으로 장식된 마차는 크레인에 의해 무대에서 솟아올라 1층 관객의 머리 위를 좌우로 움직이며 2층 관객에게 가까이 다가가는 화려한 볼거리를 제공했다.[37]
"류 마사키 오스칼" 버전은 아스미 리오, 란쥬 토무, 소 카즈호가 연기하는 3명의 앙드레와의 각 공연이 모두 DVD로 발매되었다.[38] "아스미 리오 오스칼" 버전도 스카이 스테이지에서 전편 녹화되어 방영되었다.[39]
개연 시간 (일본 표준시) | 오스칼 | 앙드레 | 베르나르 | 미셸 | 알망 | 로세로와 | 베르 | 샤론 | 제로델 | |
---|---|---|---|---|---|---|---|---|---|---|
1월 1일 (화) ~ 1월 6일 (일) | 13:00 (1일) 11:00/15:00 (2, 3, 6일) 전세 공연 (5일)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미야 루리카 | 히비키 레오나 | 우즈키 사야 | 코우즈키 사야 | 호우즈키 안 | 호시나 유키 | 타마키 료 |
1월 7일 (월) ~ 1월 13일 (일) | 13:00 (7, 11일) 11:00/15:00 (8, 10, 12, 13일) | 란쥬 토무 (7~10일) 소 치호 (11~13일) | 아스미 리오 | 코우즈키 사야 | 타마키 료 | 호우즈키 안 | 히비키 레오나 | 우즈키 사야 | 미야 루리카 | |
1월 14일 (월) ~ 1월 17일 (목) | 전세 공연/15:00 (14일) 13:00 (15일) 11:00/15:00 (17일) | 아스미 리오 | 미야 루리카 | 히비키 레오나 | 우즈키 사야 | 코우즈키 사야 | 호우즈키 안 | 호시나 유키 | 타마키 료 | |
1월 18일 (금) | 13:00 | 류 마사키 | ||||||||
1월 19일 (토) ~ 1월 21일 (월) | 11:00/15:00 (19, 20일) 13:00 (21일) | 류 마사키 (19, 21일) 아스미 리오 (20일) | 아스미 리오 (19, 21일) 류 마사키 (20일) | |||||||
1월 22일 (화) ~ 1월 25일 (금) | 13:00 (22일) 11:00 (24일) 15:00 (25일) | 류 마사키 | ||||||||
1월 26일 (토) ~ 2월 4일 (월) | 11:00/15:00 (26, 27, 29, 31, 2일) 13:00 (28, 1일, 4일) 전세 공연/15:00 (3일) | 류 마사키 (26, 28, 29, 31, 2, 4일) 아스미 리오 (27, 1, 3일) | 아스미 리오 (26, 28, 29, 31, 2, 4일) 류 마사키 (27, 1, 3일) | |||||||
개연 시간 (일본 표준시) | 오스칼 | 앙드레 | |
---|---|---|---|
2월 15일 (금) ~ 2월 20일 (수) | 15:30 (15일) 11:00/15:30 (16, 17일) 13:30/18:30 (19일) 13:30 (20일)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2월 21일 (목) ~ 2월 22일 (금) | 13:30/18:30 (21일) 13:30 (22일)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2월 23일 (토) ~ 2월 24일 (일) | 11:00/15:30 (23일) 전세 공연/15:30 (24일) | 류 마사키 (23일, 24일 전세 공연) 아스미 리오 (24일 15:30) | 아스미 리오 (23일, 24일 전세 공연) 류 마사키 (24일 15:30) |
2월 26일 (화) ~ 2월 28일 (목) | 전세 공연/18:30 (26일) 13:30 (27, 28일) | 류 마사키 (26일 전세 공연, 27일) 아스미 리오 (26일 18:30, 28일) | 아스미 리오 (26일 전세 공연, 27일) 류 마사키 (26일 18:30, 28일) |
3월 1일 (금) ~ 3월 10일 (일) | 13:30 (1, 6, 8일) 11:00/15:30 (2, 3, 5, 7, 10일) 전세 공연/15:30 (9일) | 류 마사키 (1, 2, 3, 5, 6, 7, 8, 10일) 아스미 리오 (2, 3, 5, 7, 9일) | 아스미 리오 (1, 2, 3, 5, 6, 7, 8, 10일) 류 마사키 (2, 3, 5, 7, 9일) |
3월 12일 (화) ~ 3월 17일 (일) | 13:30/18:30 (12, 14일) 13:30 (13, 15일) 11:00/15:30 (16, 17일) | 아스미 리오 (12, 14, 16일) 류 마사키 (12, 13, 14, 15, 16, 17일) | 류 마사키 (12, 14, 16일) 아스미 리오 (12, 13, 14, 15, 16, 17일) |
3월 19일 (화) ~ 3월 24일 (일) | 13:30 (19, 22일) 11:00/15:30 (20, 23, 24일) 전세 공연/18:30 (21일) | 류 마사키 (19, 20, 21, 22, 24일) 아스미 리오 (20, 21, 23일) | 아스미 리오 (19, 20, 21, 22, 24일) 류 마사키 (20, 21, 23일) |
4. 1. 7. 외전 시리즈
2008년에는 원작의 조연 캐릭터인 지로델, 알랭, 베르나르, 앙드레를 주인공으로 한 외전 시리즈가 상연되었다.[157][158]- '''외전 - 베르사이유의 장미: 지로델''' - 페르젠의 여동생 소피와의 로맨스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 2008년, 눈 조, 톱: 미즈 나츠키
- '''외전 - 베르사이유의 장미: 알랭''' - 오스칼에 대한 알랭의 짝사랑과 여동생 디안느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 2008년, 꽃 조, 톱: 마토부 세이
- '''외전 - 베르사이유의 장미: 베르나르''' - 베르나르와 로잘리의 사랑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 2008년, 별 조, 톱: 아란 케이
- '''외전 - 베르사이유의 장미: 앙드레''' - 앙드레의 어린 시절과 오스칼을 사랑하기 전에 만났던 소녀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 2009년, 우주 조, 톱: 야마토 유가
- 2009년, 꽃 조, 톱: 마토부 세이
4. 2. 역대 출연자
이름 | 역할 |
---|---|
에이마 나오키 | |
만리 유미 | |
니시키 아이 | |
시노부 시 | |
코즈키 와타루 | |
아사미네 히카리 | |
아란 케이 | |
타카오 리오 | |
시란 마스미 | |
미키 치구사 | |
타츠키 하루카 | |
모모카 사리 | |
아야 히카루 | |
료 시오 | |
마리노 유이 | |
료노 카츠키 | |
호시카제 에레나 | |
아오조라 야히로 | |
코토 마리에 | |
유호 사토루 | |
시라하 유리 | |
오마사 미란 | |
미시로 렌 | |
료마 토모 | |
키카 레이 | |
유즈키 레온 | |
난카이 마리 | |
아마기리 마요 | |
우메조노 사치 | |
마시로 후아리 | |
긴가 아미 | |
코사키 히요리 | |
요즈키 하나 | |
아야미 하야 | |
하나아이 미즈호 | |
카미 유우카 | |
아마오 케이카 | |
하츠세 유카 | |
잇키 신 | |
오토하나 유리 | |
츠루미 마유 | |
유메노 세이카 | |
미나미 호 사리 | |
스미하나 마리이 | |
아사히로 슌 | |
나나카제 우미 | |
미즈키 료 | |
하나노 노미 | |
키사키 세아라 | |
카엔 미유 | |
야시오 유미 | |
쿠레나이 유즈루 | |
나리카 마린 | |
이치죠 아즈사 | |
미야 루리카 | |
헤키미 리마 | |
하사기 츠바사 | |
하오 시즈쿠 | |
하루나 히토미 | |
마이야 리리 | |
키사라기 렌 | |
시라묘 나츠 | |
아오노 유키 | |
미나미카제 리나 | |
아사토 마오 | |
나오키 쥰 | |
우미 하야토 | |
시오즈키 슈 | |
텐주 코키 | |
유 카오리코 | |
다이키 마코토 | |
키토리 마리야 | |
오토나미 미노리 | |
아이미즈 세레나 | |
센쥬 하루 | |
코토시로 마나카 | |
마부키 미노리 | |
마츠키 사키 | |
나토리 레이 (전과) | |
쿠니 나츠키 (전과) | |
미사노 에루 (전과) | |
이즈모 아야 (전과) | |
오조라 유히 (월조, 다카라즈카 한정, 1월 27일 - 2월 6일) | |
키리야 히로무 (월조, 다카라즈카 한정, 1월 12일 - 1월 19일) | |
아사카이 히카루 (설조, 다카라즈카 한정, 1월 1일 - 1월 3일) | |
타카시로 케이 (설조, 다카라즈카 한정, 1월 5일 - 1월 10일) | |
미즈 나츠키 (설조, 다카라즈카 한정, 1월 20일 - 1월 26일) | |
아스카 유 | |
토나 미 | |
미호 케이코 | |
아리사 미호 | |
아사카 히카루 | |
유 나오키 | |
타카시로 케이 | |
미라이 유키 | |
미즈 나츠키 | |
아이 요코 | |
마이카제 리라 | |
아사아이 메구루 | |
유리카 시호 | |
소우 이치호 | |
미즈스미 카논 | |
아마세 이즈루 | |
오토즈키 케이 | |
아사키 유메미 | |
사와네 카즈키 | |
나츠오 코마키 | |
야마시나 아이 | |
마이사키 린 | |
카노 하루토 | |
모리사키 카구야 | |
하나호 안나 | |
히이라기 토모에 | |
칸 레이카 | |
소라테 레이카 | |
료우카 리사 | |
타니 미즈세 | |
호즈키 하루나 | |
오우키 카나메 | |
마나미 소라 | |
오즈키 토마 | |
아사쿠라 모모코 | |
하나오카 라라 | |
세이카 미도리 | |
사오 쿠라마 | |
시라호 린 | |
마리키 토와 | |
하나오 코노미 | |
이사키 마온 | |
아야 미즈키 | |
미사키 레이 | |
하야하나 마코 | |
유메카 아야리 | |
오나기 마오 | |
아오이 후부키 | |
치하 후리 | |
시유 미레이 | |
시즈미 | |
오코 세시루 | |
마사 히토미 | |
유키 치토세 | |
아야카 료 | |
쥰야 치토세 | |
하나나 유린 | |
사즈키 아이나 | |
오즈키 사유 | |
아이테루 유마 | |
사쿠라 히라리 | |
렌죠 마코토 | |
료세 미우토 | |
카오리 유키 | |
아이하라 미카 | |
카오리 시즈루 | |
유즈키 레나 | |
아즈사 하루키 | |
치카제 카렌 | |
아사카 레이 | |
스즈네 아야 | |
오우카 레노 | |
미노 호노카 | |
세이카 료 | |
아이카 아유 | |
고노 하나노리 | |
사에키 치하야 | |
토마 카즈키 | |
키요 미라노 | |
히나즈키 오토하 | |
시카제 스이 | |
오우가 코우키 | |
시라나기 스즈 | |
야시로 코 (전과) | |
호시하라 미사오 (전과) | |
이치키 치히로 (전과) | |
하루노 스미레 (하나구미, 다카라즈카 한정, 2월 20일 - 2월 23일) | |
세나 쥰 (츠키구미, 다카라즈카 한정, 3월 6일 - 3월 12일) | |
코즈키 와타루 (호시구미, 다카라즈카 한정, 2월 10일 - 2월 12일) | |
아란 케이 (호시구미, 도쿄 한정, 4월 25일 - 5월 5일) | |
아스카 유[47] | |
미호 케이코[47] | |
유 나오키[47] | |
미즈 나츠키[47] | |
아이 요코[47] | |
마이카제 리라[47] | |
유리카 시호[47] | |
소우 이치호[47] | |
야마시나 아이[47] | |
카나데노 하루토[47] | |
히이라기 토모에[47] | |
스즈카 리사[47] | |
타니 미즈세[47] | |
호즈키 하루나[47] | |
오즈키 토오마[47] | |
세이카 미도리[47] | |
사오 쿠라마[47] | |
마리키 토와[47] | |
아야 미즈키[47] | |
미사키 레이[47] | |
하야하나 마코[47] | |
센 후후리[47] | |
시유 미레이[47] | |
하나카 유린[47] | |
렌죠 마코토[47] | |
카논 유키[47] | |
오우쥬 히라리[47] | |
스즈세 미우토[47] | |
센카제 카렌[47] | |
미노 호노카[47] | |
히나즈키 오토하[47] | |
키요 미라노[47] | |
야시로 코우(전과)[47] | |
호시하라 미사오(전과)[47] | |
이치키 치히로(전과)[47] | |
코시노 류 | |
하나세 미즈카 | |
세이죠 카이토 | |
아코 하나유리노 | |
키호 코코로 | |
류 마사키 | |
모에하나 유리아 | |
아야즈키 세리 | |
미츠키 루우 | |
나츠키 미야코 | |
카오 아미리 | |
아스미 리오 | |
미야 루리카 | |
미쇼 카즈키 | |
히비키 레오나 | |
우즈키 하야테 | |
코토네 카즈하 | |
레이미 쿠레아 | |
미즈하 카나토 | |
시몬 유리야 | |
시라유키 사치카 | |
타카치 미도리 | |
아리세 소우 | |
사키 아카네 | |
센미 카란 | |
코우즈키 소야 | |
호우즈키 안 | |
타카스미 하야토 | |
마나이 료카 | |
카제린 스이카 | |
하나요 미라 | |
키라키 미츠루 | |
호시키 츠바사 | |
사나 유즈하 | |
호시나 유키 | |
츠키모토 미아 | |
쇼가 츠바키 | |
아이카제 유메 | |
하야미 세이 | |
아마카케 리이라 | |
타마키 료 | |
카사키 란 | |
키라미 루이세 | |
미이즈미 레이 | |
유메하 미유 | |
시노카 리아 | |
하루네 아키 | |
아이키 레이카 | |
키즈키 유마 | |
아사미 준 | |
카에데 유키 | |
하야모모 사츠키 | |
미사토 유메노 | |
유 히카루 | |
하루미 유우 | |
유메나 루네 | |
사키히 미유 | |
카노하 토키 | |
아카네 코나츠 | |
사쿠라나 아이 | |
소야 토모키 | |
사키 유쇼 | |
렌 츠카사 | |
우미노 미즈키 | |
히메노 레이 | |
소우세 유우키 | |
아사기리 마코토 | |
카죠 아오이 | |
히메사키 미레이 | |
나토리 레이 (전과) | |
란쥬 토무 (하나구미, 다카라즈카 한정, 1월 7일-1월 10일)[50] | |
소우 이치호 (유키구미, 다카라즈카 한정, 1월 11일-1월 13일)[50] | |
리카 마스미 | |
소 이치호 | |
아사키 유메미 | |
미스즈 아키 | |
마이사키 린 | |
카노 하루토 | |
사기리 세이나 | |
유메노 세이카 | |
하야하나 마코 | |
호쇼 다이 | |
오코 세시루 | |
사즈키 아이나 | |
하스시로 마코토 | |
카오리 유키 | |
카오리 시즈루 | |
아사카제 레이 | |
센푸 카렌 | |
아이카 아유 | |
고노하나 이노리 | |
토마 카즈키 | |
히나즈키 오토하 | |
시라나미 스즈 | |
오가 미츠키 | |
토미즈 사라사 | |
아야나기 쇼 | |
오스미 레이 | |
모모카 히나 | |
마나 하루토 | |
쇼노 치사쿠라 | |
아야카제 사키나 | |
호카제 나루미 | |
마이조노 루리 | |
아세이 쥬 | |
쿠죠 아스 | |
키라하 레오 | |
텐마오토 사라 | |
안노 코노미 | |
유우토 이리야 | |
코토부키 하루카 | |
다이키 료 | |
메카 라라 | |
아이 스미레 | |
츠키시로 카나토 | |
하나에 치호 | |
호시노 안리 | |
아마츠키 츠바사 | |
사쿠라지 카오루 | |
시라미네 유리 | |
키사키 호노리 | |
와죠 루나 | |
유메카 아미 | |
타치바나 코우 | |
키히나 유키노 | |
마치 유카 | |
아오이 미키 | |
카렌 에미리 | |
오우 이부키 | |
아야츠키 츠쿠시 | |
토와키 세아 | |
사라 안나 | |
카나에 유리 | |
미즈키 마키 | |
미즈사 루루 | |
마조 마카라 | |
호시나미 노조미 | |
아리사 히토미 | |
오토리 하루나 | |
유메노하나 마이 | |
아야나미 케이토 | |
카노미 세나 | |
세나미 하야 | |
나토리 레이 (전과) | |
이소노 치히로 (전과) | |
에비라 카오루 (전과) | |
류 마사키 (월조, 다카라즈카 한정, 5월 24일-5월 26일)[53] | |
유즈키 레온 (호시구미, 다카라즈카 한정, 4월 23일-4월 30일)[53] | |
오우키 카나메 (호시구미, 다카라즈카 한정, 4월 23일-4월 30일)[53] | |
미소노 사쿠라 | |
스미카제 나기 | |
아야 미치루 | |
마이히나 카논 | |
와카쇼 리츠 | |
히나타 하루키 | |
린노 시즈카 | |
아마노 키요라 | |
하야부사 레오 | |
만나즈키 코우 | |
리카 마스미 | |
아사키 유메미 | |
마이사키 린 | |
카노 하루토 | |
사기리 세이나 | |
유메노 세이카 | |
사바나 마코 | |
호쇼 다이 | |
사츠키 아이나 | |
렌죠 마코토 | |
치카제 카렌 | |
코노하나 이노리 | |
히나즈키 오토하 | |
시라나기 스즈 | |
아야나기 쇼 | |
마나 하루토 | |
쇼노 치사 | |
아야카제 사키나 | |
코하네 레오 | |
유토 이리야 | |
코토부키 하루카 | |
호시노 안리 | |
사쿠라지 카오루 | |
아마츠키 츠바사 | |
하나에 치호 | |
시라미네 유리 | |
카즈시로 루나 | |
사키히 미유 | |
타치바나 코우 | |
아야츠키 츠쿠시 | |
미즈사 루루 | |
호우카 하루나 | |
히나타 하루키 | |
스와 사키 | |
나츠미 요 (전과) |
5. 한국 뮤지컬
2024년 한국에서 이케다 리요코의 원작 만화를 바탕으로 뮤지컬 《베르사이유의 장미》가 초연되었다.
5. 1. 제작 배경
2022년 12월, 한국에서 뮤지컬 제작이 발표되었다.[2] 뮤지컬 제작사 EMK는 과거 뮤지컬 마리 앙투아네트의 개정판을 제작하여 로코코 스타일의 무대를 만든 경험이 있다.[3] 2023년 12월 2일부터 3일까지 갈라 콘서트 형식의 프리뷰 공연을 처음 선보였으며,[4] 2024년 7월 충무아트센터 대극장에서 초연되었다.[5][6] 2024년, 베르사이유의 장미의 원작자인 이케다 리요코가 뮤지컬 초연을 앞두고 한국을 방문했다.[7]5. 2. 평가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베르사이유의 장미》는 배우들의 연기, 무대 디자인, 음악 등에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8] 특히, 2022년 한국 초연에서는 과거 뮤지컬 마리 앙투아네트의 개정판을 제작하며 로코코 스타일 무대를 만든 경험이 있는 뮤지컬 제작사 EMK가 제작을 맡아 시각적인 연출 면에서 호평을 받았다.[3]하지만, 10권 분량의 방대한 원작 만화 내용을 2시간 30분이라는 짧은 뮤지컬에 담아내면서 스토리 축약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었다.[9]
5. 3. 배역
배역 | 배우 |
---|---|
오스칼 프랑소와 드 자르제 | 옥주현, 김지우, 정유지[10] |
앙드레 그랑디에 | 이혜준,[11] 김성식, 고은성[10] |
베르나르 샤틀레 | 박민성, 서영택, 노윤[10] |
플로리안 빅토르 클레망 드 제로델 | 송재림, 성연 |
로자리 라 모르리에르 | 유소리, 장혜린 |
폴리냑 부인 | 서지영, 리사, 박혜미 |
자르제 장군 | 이우승 |
앙리 살바토르 드 기메네 | 서승원 |
유모 | 임은영, 김명희 |
샤를로트 드 폴리냑 | 유승연, 남서은 |
루이 16세 | 정원식 |
마리 앙투아네트 | 박유진 → 박소은 |
한스 악셀 폰 페르젠 | 신동우 |
앙상블 | 공민섭, 정원일, 이은주, 제병진, 전선진, 김강헌, 장여진, 이슬기, 이건민, 김리안, 전기수, 안준혁, 정원식, 현성호, 박성진, 백찬혁, 성유승, 박준병, 정세훈, 최윤재, 장준우, 박소은, 신동우, 조유진, 박유진 |
[5][12]
대규모 대한민국 뮤지컬의 경우, 대부분의 배역에 대해 두 명 또는 세 명의 배우가 캐스팅된다. 배우들은 배역을 동등하게 공유하며, 8주간의 공연 기간 동안 번갈아 가며 출연한다.
6. 베르사이유의 장미 붐
1974년 초연 당시 베르사이유의 장미는 사회적인 반향을 일으키며,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인기를 되살리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원작 만화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공연은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는 하세가와 카즈오의 연출과 우에다 신지의 각본 등 뛰어난 제작진의 노력 덕분이었다.[124]
우에다는 일본이나 동양을 무대로 한 작품에 전념해왔지만, 서양풍 작품 진출이 허용될 때를 대비하여 소재를 선택해 왔다. 가극단이 로코코 시대의 무대 미술에 관해 일본에서도 유수의 노하우를 축적해 왔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에, "로코코의 여왕"으로 알려진 마리 앙투아네트를 중심으로 한 작품이라면 높은 퀄리티의 무대 미술을 통해 뒷받침되는 공연이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베르사이유의 장미를 알기 전부터 앙투아네트를 자작으로 다룰 복안은 있었으며, 본작의 무대화는 그 소망의 결실이기도 했다.[124]
1975년 하나구미 판에서 우에다는 최종적으로 안나 준을 오스칼 역으로 밀었다. 하지만 안나는 초역으로 관객 동원력이 미지수였던 반면, 함께 톱스타를 맡은 하루나 유리는 츠키구미 초연에서 평판을 얻은 오스칼 역 경험자였다. 하루나가 하나구미 판에서 오스칼을 재연하게 된다면 초연 관객을 다시 불러올 수 있어 흥행 면에서 유리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도쿄 타카라즈카 극장을 관리하는 도호 담당자도 흥행적 관점에서 "하루나 오스칼"을 당연시했고, 우에다의 "안나 오스칼" 의향을 듣자 우에다를 불러 "장사를 전혀 모른다"며 배역 변경을 강요했다. 이에 우에다는 "그렇다면, 도쿄 공연은 없어도 괜찮습니다"라고 쏘아붙이고 돌아갔다고 한다.[17]
우에다는 하루나와 단둘이 대화하여 "이번에도 오스칼을 연기하면, (너는) 오스칼의 이미지가 빠져나오지 못하게 될 것이다. 앙드레 그랑디에 역을 맡아 연기의 폭을 넓혀 주길 바란다"라고 말하며 설득했다. 우에다는 당시를 회상하며 "하루나도 유감스러웠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납득해 주었다"라며 하루나에게 감사를 표하고 있다.[17]
7. 각주
[206][207][208][209][210][211][212][213][214][215][216][217][218][219][220][221][222][223][224][225][226][227][228][229][230][231][232][233][234][190][191][192][193][235][236]
8. 외부 링크
섹션 제목이 '외부 링크'이므로, 주어진 소스에는 관련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 텍스트를 출력합니다.
참조
[1]
웹사이트
Takarazuka mines 'Versailles' gold
https://web.archive.[...]
2008-06-12
[2]
뉴스
Musical industry made dramatic comeback in 2022
https://www.koreaher[...]
The Korea Herald
2023-01-03
[3]
뉴스
EMK, '베르사유의 장미' 오디션 개최... 12월 공연 확정 [공식입장]
https://entertain.na[...]
Xports News
2023-03-06
[4]
뉴스
[REVIEW]Preview gala sets stage for grand premiere of 'La Rose de Versailles' musical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23-12-04
[5]
뉴스
https://www.newdaily[...]
Newdaily
2023-11-10
[6]
뉴스
Two musicals based on popular manga set to hit the stage this summer
https://atlantachosu[...]
Atlanta Chosun
2024-07-16
[7]
뉴스
Interview: 'The Rose of Versailles' author visits S. Korea for musical premiere
https://www.chosun.c[...]
The Chosun Daily
2024-07-16
[8]
뉴스
The highly anticipated 2024 musical 'Rose of Versailles'
https://www.mk.co.kr[...]
Maeil Business Newspaper
2023-07-19
[9]
뉴스
Review> Was 150 minutes insufficient for the immortal classic of 'Rose of Versailles'
https://www.mk.co.kr[...]
Maeil Business Newspaper
2023-08-21
[10]
뉴스
'The Rose of Versailles' ditches romance for focus on struggle for justice
https://koreajoongan[...]
Korea JoongAng Daily
2024-07-25
[11]
뉴스
INTERVIEW |Lee Hae-jun expands acting scope in musical 'La Rose de Versailles'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24-08-13
[12]
뉴스
https://www.joynews2[...]
Joy News 24
2023-11-10
[13]
뉴스
ベルばら」観客500万人=初演から40年—宝塚歌劇団
http://jp.wsj.com/ne[...]
時事通信社
2014-06-27
[14]
웹사이트
DVD-BOX ベルサイユのばらGRAND HISTORY
http://www.tca-pictu[...]
[15]
웹사이트
DVD-BOX ベルサイユのばらGRAND HISTORY Special Disc詳細内容
https://web.archive.[...]
[16]
문서
池田理代子原作 ベルサイユのばら 第9章 神にめされて
[17]
뉴스
植田紳爾の回想/日本経済新聞「私の履歴書」2014年10月。
[18]
문서
[19]
서적
宝塚・百年を越えて
国書刊行会
[20]
서적
宝塚・百年を越えて
国書刊行会
[21]
서적
宝塚タカラジェンヌ100
平凡社
1994-01-01
[22]
방송
プロジェクトX・挑戦者たち
NHK
2005-12-06
[23]
서적
宝塚の卒業生たち・昭和のベルサイユのばら
日本テレビ放送網
[24]
방송
プロジェクトX・挑戦者たち
NHK
2005-12-06
[25]
서적
宝塚・百年を越えて
国書刊行会
[26]
간행물
週刊現代1月22日号私の地図安奈淳
[27]
문서
[28]
웹사이트
TCA発売 ベルサイユのばら大全(DVDソフト)
http://shop.tca-pict[...]
[29]
방송
ベルサイユのばらCheck it Out!#5「他では見られないレアものシーン」
SKY STAGE(CS有料放送)
2013-04-08
[30]
서적
『ベルばら』の変遷〈初演〉」「同・変遷〈リバイバル〉
大阪書籍
1991-06-01
[31]
프로그램북
1991年・宝塚大劇場公演 프로그램
[32]
웹사이트
2006年・星組 宝塚公演案内
https://archive.kage[...]
2016-04-25
[33]
웹사이트
2006年・星組 東京公演案内
https://archive.kage[...]
2016-04-25
[34]
웹사이트
2006年・雪組 宝塚公演案内
https://archive.kage[...]
2016-04-25
[35]
웹사이트
2006年・雪組 東京公演案内
https://archive.kage[...]
2016-04-25
[36]
웹사이트
宝塚歌劇『ベルサイユのばら』ご来場者450万人達成
http://kageki.hankyu[...]
宝塚歌劇公式ページ
2013-03-21
[37]
웹사이트
宝塚歌劇公式ページ『ベルサイユのばら』-オスカルとアンドレ編-を上演するにあたり
http://kageki.hankyu[...]
[38]
문서
各DVDの発売時期は若干異なり「明日海アンドレ」同年3月発売、「蘭寿アンドレ」と「壮アンドレ」は同年5月に同時発売されている。
[39]
문서
「明日海オスカル」のソフト版発売はなされていない。
[40]
웹사이트
2013年・月組(特設サイト) キャストスケジュール
http://kageki.hankyu[...]
2016-04-25
[41]
웹사이트
宝塚歌劇110周年“前半”のラインナップ発表、記念式典や大運動会も
https://natalie.mu/s[...]
ステージナタリー
2024-05-23
[42]
웹사이트
来年10月退団の宝塚歌劇雪組トップ・彩風咲奈が会見「どんな状況でも感謝、愛…これだけは真実」
https://hochi.news/a[...]
スポーツ報知
2024-05-23
[43]
웹사이트
2006年・星組 宝塚出演者
https://archive.kage[...]
2016-04-11
[44]
웹사이트
2006年・星組 東京出演者
https://archive.kage[...]
2016-04-11
[45]
웹사이트
2006年・雪組 宝塚出演者
https://archive.kage[...]
2016-04-13
[46]
웹사이트
2006年・雪組 東京出演者
https://archive.kage[...]
2016-04-13
[47]
웹사이트
2006年・雪組 全国ツアー出演者
https://archive.kage[...]
2016-04-18
[48]
웹사이트
2013年・月組 宝塚出演者
https://archive.kage[...]
2016-04-18
[49]
웹사이트
2013年・月組 東京出演者
https://archive.kage[...]
2016-04-18
[50]
웹사이트
2013年・月組 宝塚配役
https://archive.kage[...]
2016-04-18
[51]
웹사이트
2013年・雪組 宝塚出演者
https://archive.kage[...]
2016-04-18
[52]
웹사이트
2013年・雪組 東京出演者
https://archive.kage[...]
2016-04-18
[53]
웹사이트
2013年・雪組 宝塚配役
https://archive.kage[...]
2016-04-18
[54]
웹사이트
2014年・雪組 全国ツアー出演者
http://kageki.hankyu[...]
2016-04-18
[55]
웹사이트
2014年・花組 中日出演者
http://kageki.hankyu[...]
2016-04-25
[56]
웹사이트
2014年・宙組 宝塚・東京出演者
http://kageki.hankyu[...]
2016-04-25
[57]
웹사이트
2014年・宙組 全国ツアー出演者
http://kageki.hankyu[...]
2016-04-25
[58]
웹사이트
キャストほか 雪組公演|ベルサイユのばら|宝塚歌劇公式ホームページ
https://kageki.hanky[...]
宝塚歌劇団
2024-05-23
[59]
문서
順以外は宝塚のみ
[60]
문서
麻月は宝塚のみ
[61]
문서
四季乃が宝塚、奈緒が東京のみ
[62]
문서
大路は宝塚のみ
[63]
문서
奈緒は宝塚、月城は東京のみ
[64]
문서
瑞穂は宝塚、茜は東京のみ
[65]
문서
紫苑は東京のみで、それ以外は宝塚のみ
[66]
문서
大浦は宝塚のみ
[67]
문서
北斗、真矢は宝塚のみで、千珠は東京のみ
[68]
문서
綾瀬は宝塚のみで、洲は東京のみ
[69]
문서
東京のみ
[70]
문서
鞠村は東京のみ
[71]
문서
いつきが宝塚、汐風が東京
[72]
웹사이트
2006年・星組 宝塚配役
https://archive.kage[...]
2016-04-25
[73]
웹사이트
2006年・星組 東京配役
https://archive.kage[...]
2016-04-25
[74]
웹사이트
2006年・雪組 宝塚配役
https://archive.kage[...]
2016-05-19
[75]
웹사이트
2006年・星組 東京配役
https://archive.kage[...]
2016-05-19
[76]
문서
香寿以外は東京のみ
[77]
문서
汝鳥は東京、星原と未沙は宝塚のみ
[78]
문서
東京のみ登場
[79]
문서
映美は東京のみ、華美は宝塚のみ
[80]
문서
映美は東京のみ、南海は宝塚のみ
[81]
문서
凰稀は宝塚のみ
[82]
문서
蘭寿、壮は宝塚のみ
[83]
문서
柚希、龍は宝塚のみ
[84]
문서
美弥るりかは宝塚のみ
[85]
문서
彩凪翔は宝塚のみ
[86]
문서
明日海りおは宝塚のみ
[87]
문서
早霧せいなは宝塚のみ
[88]
문서
祐樹は宝塚のみ、寿は東京のみ
[89]
문서
瑞穂は宝塚のみ、城月は東京のみ
[90]
문서
寿は宝塚のみ、なかは東京のみ
[91]
문서
宝は宝塚、欧は東京のみ
[92]
문서
美野が宝塚、星が東京
[93]
문서
麻路が宝塚、五條が東京
[94]
문서
星は宝塚、星美は東京のみ
[95]
문서
里美は宝塚、桂は東京のみ
[96]
문서
風見は宝塚、立は東京のみ
[97]
문서
絵麻緒は宝塚、大輝は東京
[98]
문서
真織は宝塚の1部と2部と東京の2部、汐風は東京の1部のみ
[99]
문서
大海は宝塚の1部と2部と東京の2部、彩輝は東京の1部のみ
[100]
문서
天地は宝塚、英は東京
[101]
문서
東京のみ
[102]
문서
千秋は宝塚、稔は東京
[103]
문서
羽衣は宝塚、麻丘は東京
[104]
문서
麗は宝塚、出雲は東京
[105]
문서
出雲は宝塚、万里は東京
[106]
문서
萩尾は宝塚、乙原は東京のみ
[107]
문서
東京のみ
[108]
문서
越は宝塚、登羽は東京のみ
[109]
문서
筑紫野は宝塚、地矢は東京のみ
[110]
문서
東京のみ
[111]
문서
東京のみ
[112]
문서
東京のみ
[113]
문서
東京のみ
[114]
문서
彩輝は宝塚、日比谷は東京のみ
[115]
문서
東京のみ
[116]
문서
東京のみ
[117]
문서
映美は東京、華美は宝塚
[118]
문서
東京のみ登場
[119]
웹사이트
2005年・星組 全国配役
https://archive.kage[...]
2016-04-18
[120]
문서
当時は、雪組の二番手男役
[121]
문서
ロベスピエール役と2役
[122]
웹사이트
2013年・月組(特設サイト) スタッフ
http://kageki.hankyu[...]
2016-04-20
[123]
웹사이트
2013年・雪組(特設サイト) スタッフ
http://kageki.hankyu[...]
2016-04-20
[124]
뉴스
植田紳爾の回想/日本経済新聞「私の履歴書」2014年10月
[125]
Youtube
当時のCM(Youtube)
https://www.youtube.[...]
[126]
웹사이트
俳優祭
https://www.actors.o[...]
日本俳優協会
2017-06-17
[127]
Youtube
【vol.2】元タカラジェンヌ 苦難の末…辿り着いた夢舞台|日本ダービー2022 ~HEROになるために~|2022年5月21日OA(テレビ東京)
https://www.youtube.[...]
[128]
뉴스
「베르바라」 관객 500만인=초연부터 40년—다카라즈카 가극단
http://jp.wsj.com/ne[...]
시사 통신사
2014-06-27
[129]
웹사이트
DVD-BOX 베르사이유의 장미 GRAND HISTOY
http://www.tca-pictu[...]
[130]
웹사이트
DVD-BOX 베르사이유의 장미 GRAND HISTOY Special Disc 상세내용
http://www.tca-pictu[...]
[131]
문서
이케다 리요코 작 베르사이유의 장미 제 9장 신에게 불려가다
[132]
문서
이케다 리요코 원작 베르사유의 장미 제 9장 신의 부름을 받고
[133]
뉴스
우에다 신지의 회상/일본경제신문 「나의 이력서」 2014년 10월
[134]
문서
다카라즈카 가극단 공연은 원칙적으로 가극단 전속 연출가(대체로 각본도 본인이 쓴다)가 연출한다. 가극단에서는 필요에 의해서만 조연출을 채용, 조수들은 선배 연출가 밑에서 각본 작법을 배우고 수년간의 연수를 거쳐 연출가로서의 데뷔 작품을 맡아 전속 연출가가 되어가는 내부의 전속 연출가 양성제도가 정비되어 있다. 연출가들은 가극단 연출부에 소속된 정년제이지만 연출활동에 의한 공로가 인정되면 가극단 이사(기업을 예로들면 중역)으로의 승진도 가능하여, 이사직에 취임하게 되면 정년은 적용되지 않는다.
[135]
문서
전쟁 이전부터 가극단에서 활약한 고참 연출가들의 고령화에 따라 체력저하 등을 이유로 가극단의 수익 문제가 생기기 이전인 1950년대부터 가극단 외부에서 연출가 초빙 자체는 이루어지고 있었다/우에다, 가와사키 겐고 저서 「다카라즈카, 백년을 넘어서」 국서간행회.
[136]
서적
우에다・카와사키 켄코 저「宝塚・百年を越えて」
국서 간행회
[137]
서적
우사미 쇼 감수・해설「宝塚タカラジェンヌ100」헤본샤 (1994년 1월 초판) 124p「ベルサイユのばら・昭和から平成へ」
[138]
간행물
선술・NHK「プロジェクトX・挑戦者たち」(2005년 12월 6일 방송)
[139]
간행물
초연에서 오스칼을 연기한 하루나 유리의 회상.「宝塚の卒業生たち・昭和のベルサイユのばら」닛테레 방송・간행
[140]
문서
일본의 연호. 1926년 12월 25일부터 1989년 1월 7일까지가 쇼와시대에 해당된다
[141]
문서
다카라즈카 공연에서는 본공연 이후에 쇼를 병연하는 경우와 본공연 하나만 하는 경우가 있다
[142]
웹사이트
TCA발매 베르사이유의 장미 대전(DVD소프트)
http://shop.tca-pict[...]
2014-08-11
[143]
방송
2013년 4월 8일 AM02:15 방송SKY STAGE(CS유료방송) 베르사이유의 장미 Check it Out!#5 「다른 작품에서는 볼 수 없는 레어한 신」
[144]
문서
일본의 연호. 1989년 1월 8일부터 현재까지
[145]
문서
1991년 다카라즈카 대극장 공연 프로그램
[146]
문서
御覧なさい(고란나사이 : 여기 좀 보세요)와 ごめんなさい(고멘나사이 : 죄송합니다)가 발음이 비슷한것을 이용한 일종의 언어유희이다.
[147]
웹사이트
2006년 호시구미 다카라즈카 공연 안내
http://archive.kagek[...]
2016-04-25
[148]
웹사이트
2006년 호시구미 도쿄 공연 안내
http://archive.kagek[...]
2016-04-25
[149]
웹사이트
2006년 유키구미 다카라즈카 공연 안내
http://archive.kagek[...]
2016-04-25
[150]
웹사이트
2006년 유키구미 도쿄 공연 안내
http://archive.kagek[...]
2016-04-25
[151]
웹사이트
다카라즈카 가극 『베르사이유의 장미』 관객 450만명 달성
http://kageki.hankyu[...]
다카라즈카 가극단 공식 홈페이지
2013-03-21
[152]
웹사이트
다카라즈카 공식 홈페이지 『베르사이유의 장미』-오스칼과 앙드레 편-을 연출하며
http://kageki.hankyu[...]
[153]
웹사이트
2013년 츠키구미(특설사이트)캐스팅 스케줄
http://kageki.hankyu[...]
2016-04-25
[154]
뉴스
「베르바라」 관객 500만명=초연으로부터 40년—다카라즈카 가극단
http://jp.wsj.com/ne[...]
시사 통신사
2014-06-27
[155]
웹사이트
2006년・호시구미 다카라즈카 출연자
http://archive.kagek[...]
2016-04-11
[156]
웹사이트
2006년・호시구미 도쿄 출연자
http://archive.kagek[...]
2016-04-11
[157]
웹사이트
2006年・雪組 宝塚出演者
http://archive.kagek[...]
2016-04-13
[158]
웹사이트
2006年・雪組 東京出演者
http://archive.kagek[...]
2016-04-13
[159]
웹사이트
2006年・雪組 全国ツアー出演者
http://archive.kagek[...]
2016-04-18
[160]
웹사이트
2013년 츠키구미 다카라즈카 출연자
http://archive.kagek[...]
2016-04-18
[161]
웹사이트
2013년 츠키구미 도쿄 출연자
http://archive.kagek[...]
2016-04-18
[162]
웹사이트
2013년 츠키구미 다카라즈카 배역
http://archive.kagek[...]
2016-04-18
[163]
웹사이트
2013년 유키구미 다카라즈카 출연자
http://archive.kagek[...]
2016-04-18
[164]
웹사이트
2013년 유키구미 도쿄 출연자
http://archive.kagek[...]
2016-04-18
[165]
웹사이트
2013년 유키구미 다카라즈카 배역
http://archive.kagek[...]
2016-04-18
[166]
웹사이트
2014年・雪組 全国ツアー出演者
http://kageki.hankyu[...]
2016-04-18
[167]
웹사이트
2014年・花組 中日出演者
http://kageki.hankyu[...]
2016-04-25
[168]
웹사이트
2014年・宙組 宝塚・東京出演者
http://kageki.hankyu[...]
2016-04-25
[169]
웹사이트
2014年・宙組 全国ツアー出演者
http://kageki.hankyu[...]
2016-04-25
[170]
웹사이트
2006年・星組 宝塚公演案内
http://archive.kagek[...]
2016-04-25
[171]
웹사이트
2006年・星組 東京公演案内
http://archive.kagek[...]
2016-04-25
[172]
웹사이트
2006年・雪組 宝塚公演案内
http://archive.kagek[...]
2016-04-25
[173]
웹사이트
2006年・雪組 東京公演案内
http://archive.kagek[...]
2016-04-25
[174]
웹사이트
宝塚歌劇『ベルサイユのばら』ご来場者450万人達成
http://kageki.hankyu[...]
宝塚歌劇公式ページ
2013-03-21
[175]
웹사이트
宝塚歌劇公式ページ『ベルサイユのばら』-オスカルとアンドレ編-を上演するにあたり
http://kageki.hankyu[...]
[176]
뉴스
「ベルばら」観客500万人=初演から40年—宝塚歌劇団
http://jp.wsj.com/ne[...]
時事通信社
2014-06-27
[177]
문서
준 이외는 다카라즈카에서만
[178]
문서
아사즈키는 다카라즈카만 함
[179]
문서
四季乃が宝塚、奈緒が東京のみ
[180]
문서
大路は宝塚のみ
[181]
문서
奈緒は宝塚、月城は東京のみ
[182]
문서
瑞穂は宝塚、茜は東京のみ
[183]
문서
紫苑は東京のみで、それ以外は宝塚のみ
[184]
문서
大浦は宝塚のみ
[185]
문서
北斗、真矢は宝塚のみで、千珠は東京のみ
[186]
문서
綾瀬は宝塚のみで、洲は東京のみ
[187]
문서
東京のみ
[188]
문서
鞠村は東京のみ
[189]
문서
いつきが宝塚、汐風が東京
[190]
웹사이트
2006年・星組 宝塚配役
http://archive.kagek[...]
2016-04-25
[191]
웹사이트
2006年・星組 東京配役
http://archive.kagek[...]
2016-04-25
[192]
웹사이트
2006年・雪組 宝塚配役
http://archive.kagek[...]
2016-05-19
[193]
웹사이트
2006年・星組 東京配役
http://archive.kagek[...]
2016-05-19
[194]
문서
香寿以外は東京のみ
[195]
문서
汝鳥は東京、星原と未沙は宝塚のみ
[196]
문서
東京のみ登場
[197]
문서
映美は東京のみ、華美は宝塚のみ
[198]
문서
映美は東京のみ、南海は宝塚のみ
[199]
문서
凰稀は宝塚のみ
[200]
문서
蘭寿、壮は宝塚のみ
[201]
문서
柚希、龍は宝塚のみ
[202]
문서
美弥るりかは宝塚のみ
[203]
문서
彩凪翔は宝塚のみ
[204]
문서
明日海りおは宝塚のみ
[205]
문서
早霧せいなは宝塚のみ
[206]
문서
유우키는 다카라즈카만, 코토부키는 도쿄만
[207]
문서
미즈호는 다카라즈카만, 키즈키는 도쿄만
[208]
문서
코토부키는 다카라즈카만, 나카는 도쿄만
[209]
문서
타카라는 다카라즈카만, 오우는 도쿄만
[210]
문서
美野が宝塚、星が東京
[211]
기타
麻路が宝塚、五條が東京
[212]
기타
星は宝塚、星美は東京のみ
[213]
기타
里美は宝塚、桂は東京のみ
[214]
기타
風見は宝塚、立は東京のみ
[215]
기타
絵麻緒は宝塚、大輝は東京
[216]
기타
真織は宝塚の1部と2部と東京の2部、汐風は東京の1部のみ
[217]
기타
大海は宝塚の1部と2部と東京の2部、彩輝は東京の1部のみ
[218]
기타
天地は宝塚、英は東京
[219]
기타
東京のみ
[220]
기타
千秋は宝塚、稔は東京
[221]
기타
羽衣は宝塚、麻丘は東京
[222]
기타
麗は宝塚、出雲は東京
[223]
기타
出雲は宝塚、万里は東京
[224]
기타
萩尾は宝塚、乙原は東京のみ
[225]
기타
東京のみ
[226]
기타
越は宝塚、登羽は東京のみ
[227]
기타
筑紫野は宝塚、地矢は東京のみ
[228]
기타
東京のみ
[229]
기타
東京のみ
[230]
기타
東京のみ
[231]
기타
東京のみ
[232]
기타
彩輝は宝塚、日比谷は東京のみ
[233]
기타
東京のみ
[234]
기타
東京のみ
[235]
기타
映美は東京、華美は宝塚
[236]
기타
東京のみ登場
[237]
웹사이트
2005年・星組 全国配役
http://archive.kagek[...]
2016-04-18
[238]
기타
当時は、雪組の二番手男役
[239]
기타
ロベスピエール役と2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