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괴를리츠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를린 괴를리츠역은 1865년부터 1867년까지 이탈리아 르네상스 양식으로 건설된 철도역으로, 베를린과 코트부스, 괴를리츠를 연결하는 노선의 일부였다. 개통 후 많은 이용객을 기록하며 주변 지역 발전에 기여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폭격으로 피해를 입고, 냉전 시기 동독에 의해 여객 운행이 중단되었다. 이후 역 건물은 철거되고, 부지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다 현재는 괴를리츠 공원으로 조성되었다. 역의 흔적은 창고, 사무실 건물, 철도 교량 등 일부 잔해와 지명으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베를린 괴를리츠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베를린 괴를리츠역 |
원어 이름 | 독일어: Berlin Görlitzer Bahnhof |
위치 정보 | |
위치 | 프리드리히샤인-크로이츠베르크, 베를린, 베를린 |
국가 | 독일 |
상세 정보 | |
역사 | |
건축가 | 아우구스트 오르트 |
개업 | 1866년 |
폐쇄 | 1951년 |
기타 정보 | |
![]() |
2. 역사의 흥망성쇠
베를린 괴를리츠역은 19세기 중반 프로이센 왕국의 철도 확장 정책의 일환으로 건설되었다. 건축가 아우구스트 오르트가 설계하여 1865년부터 1867년까지 이탈리아 르네상스 양식으로 지어졌다. 개통 직후 베를린-괴를리츠 철도의 중심역으로서 큰 인기를 끌었으며, 여객 수송뿐만 아니라 라우지츠 지역과 베를린을 잇는 중요한 물류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번성했다.
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중 공습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고, 전후 독일 분단이라는 정치적 상황과 교통 시스템의 변화 속에서 점차 쇠퇴의 길을 걸었다. 결국 1951년 여객 운행이 공식적으로 중단되었으며, 1961년 베를린 장벽 건설은 역의 재건 가능성을 완전히 없앴다. 이후 역 건물은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 걸쳐 단계적으로 철거되었는데, 이는 당시 서베를린의 도시 미관 개선 정책과 맞물려 역사적 가치를 지닌 건축물이 사라지는 결과를 낳았다.[3]
2. 1. 건설 배경 및 초기 역사 (1865-1882)
이 역은 건축가 아우구스트 오르트가 설계했다. 그는 나중에 인근 라우지처 광장의 엠마누엘교회도 설계했다. 역사는 1865년에서 1867년 사이에 이탈리아 르네상스 양식의 팔라초 스타일로 지어졌다. 역 건설은 베를린-코트부스-괴를리츠를 잇고, 더 나아가 당시 프로이센 왕국 영토였던 자간Żagań|자가니pl과 브로츠와프Wrocław|브로츠와프pl(현재 폴란드 영토), 그리고 오스트리아의 빈까지 연결하는 대규모 철도 확장 계획의 일환이었다.역이 완공되기도 전인 1866년 6월 13일에는 오스트리아-프로이센 전쟁에 투입될 군용 열차가 이곳에서 처음 출발했다. 이는 군대가 역 인근 랑겔슈트라세(Langelstraße|랑겔슈트라세de)에 병영을 두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같은 해 9월 13일부터는 베를린과 코트부스 사이에 정기 여객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베를린-괴를리츠 철도 전 구간은 1867년 말 완공되어, 슈프레발트와 로어루사티아 지역 및 쾨니히스부스터하우젠, 뤼벤, 뤼베나우 등의 도시를 통과하는 노선이 1867년 12월 31일 공식 개통되었다. 이 철도는 처음에는 '철도의 왕'으로 불리던 산업가 베텔 헨리 스트로우스베르크가 소유한 사기업에 의해 건설되었으나, 1882년 3월 28일 프로이센 정부에 의해 국유화되었다.
새 노선은 개통 직후 큰 인기를 끌었다. 개통 몇 달 만에 하루 이용객이 7만 명에 달했고, 1880년 한 해 동안에는 약 150만 명이 괴를리츠역을 이용했다. 역의 성공은 주변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여, 인근 거리에 상점과 카페가 들어서면서 베를린에서 가장 활기찬 지역 중 하나로 발전했다.
여객 수송 외에도 이 노선은 수도 베를린과 괴를리츠 산업 지대의 직물, 벽돌, 유리 공장을 연결하는 중요한 물류 경로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라우지츠 지역은 슈프레발트 특산물인 오이 피클(Spreewaldgurken|슈프레발트구르켄de)뿐만 아니라, 당시 산업에 필수적이었던 석탄의 주요 공급원이었다.
2. 2. 쇠퇴와 폐쇄 (1945-1951)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5년 2월 3일, 연합군의 공중 폭격으로 역이 위치한 크로이츠베르크 지구가 큰 피해를 입었다. 이 폭격으로 3,255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되었고, 119,000명 이상이 집을 잃었으며, 역 시설 역시 심각하게 파괴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를린 항복 한 달 뒤인 1945년 6월에는 임시로 역 운영이 재개되었다.[2]하지만 역의 운영 재개는 오래가지 못했다. 1946년 9월 25일부터 모든 장거리 열차는 중앙 슈타트반의 동역(1950년 개명)으로 노선이 변경되었다. 또한, 이후 몇 년간 전기 S반 시스템이 계속 확장되면서 지역 교통망에서의 괴를리츠역의 역할은 점차 줄어들었다. 결정적으로 동서 간의 정치적 긴장이 고조되면서 동쪽으로 향하는 노선을 운영하는 서베를린의 역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기 어렵게 되었다. 결국 1951년 4월 29일, 동독 정부는 괴를리츠역의 여객 열차 운행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1954년 베를린 시 지도에는 괴를리츠역의 철도 노선이 완전히 표시되지 않아 역이 철거된 것으로 추정되기도 했으나, 실제로는 폐쇄 후 약 10년 동안 폭격으로 파괴된 상태로 방치되었다. 1961년 베를린 장벽이 건설되면서 역을 재건하려는 희망은 완전히 사라졌다.
이후 10여 년에 걸쳐 역 건물은 단계적으로 철거되었다. 1962년에는 대형 플랫폼 홀이, 1967년에는 주요 접수 구역이 철거되었다. 두 개의 타워와 여러 대기실, 레스토랑을 포함한 나머지 공공 건물들은 1975년에 철거되었다. 이는 1970년대 서베를린 전역에서 진행된 역사적 건축물 철거 작업의 일부였다. 당시 철거 이유는 빈 건물이 실용적인 목적 없이 방치되어 "반사회적" 요소들이 점거할 우려가 있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폐허"를 제거하는 것이 서베를린의 이미지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이 작용했다.[3] 1976년까지 역 부지는 대부분 비워진 상태가 되었다.
3. 폐쇄 이후의 활용
베를린 괴를리츠역은 1951년 여객 운송 기능이 폐쇄된 이후에도 완전히 버려지지 않고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를 겪었다. 수십 년 동안 역 부지와 건물은 석탄 저장소나 고물상 등 임시적인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일부 화물 운송 기능은 동독과 서독의 분단 상황 속에서도 한동안 유지되었다. 1980년대에는 부지 일부에 지역 주민을 위한 수영장이 건설되었고, 베를린 장벽 붕괴 직전에는 예술가들이 점거하여 활동하는 공간이 되기도 했다. 결국 1990년대 초, 역 부지는 대대적인 정비를 거쳐 오늘날의 괴를리처 공원으로 탈바꿈하였다.
3. 1. 다양한 용도로의 전환 (1951-1990)
역은 1951년 폐쇄된 후 30년 넘게 특별한 개발 없이 방치되었다. 하지만 이 기간 동안에도 부지와 건물은 석탄 저장소, 고물상, 자동차 정비소 및 기타 소규모 사업장으로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역 부지의 북쪽 화물 구역은 도이치 레히스반에 의해 서베를린과 동베를린 간의 화물 운송을 위해 계속 사용되었으며, 이 때문에 란트베어 운하 위의 다리에는 국경 검문소가 있었다. 이러한 화물 운송은 1985년 6월 30일에 영구적으로 중단되었다.[1]1984년과 1987년 사이에는 크리스토프 랑호프 건축가(Christoph Langhof architects)가 설계한 지역 수영장 슈프레발트 바트가 옛 역 부지에 건설되었다. 이는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구조물로 여겨졌다.
1990년대 초, 스칼리처 슈트라세(Skalitzer Straße)에서 괴를리처 우퍼(Görlitzer Ufer)에 이르는 나머지 지역이 괴를리처 공원으로 개발되기 전까지는[4] 일부가 대중에게 개방된 쓰레기 처리장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이러한 공백 상태에서 1989년 여름, 런던의 아나키스트 예술 공동체인 무토이드 웨이스트 컴퍼니가 이 부지를 점거했다. 이들은 베를린 장벽과 가깝다는 점 때문에 이곳을 활동 장소로 선택했다. 특히 기억할 만한 활동으로는 고철 예술가들이 철로를 따라 다리의 국경 지점까지 이동하여, 공중에 높이 매달린 새 모양의 "평화의 새" 장치를 설치한 것이 있다. 이를 통해 동독 주민들에게 평화의 상징을 보여주고자 했다.[5]
괴를리처 터널은 1990년대 초까지 계속 사용되었지만, 새로운 공원이 조성되어 부지에 대한 대중의 접근이 용이해지면서 그 필요성이 사라졌다. 공원 중앙에 자연적인 형태의 경기장을 만드는 과정에서 터널은 대부분 파괴되었으나, 그 잔해는 공원 설계의 일부로 통합되어 보존되었다.
4. 현재 남아있는 흔적
역 부지에는 현재 창고 두 동, 오래된 사무실 건물, 철도 교량, 그리고 공원 중앙의 구덩이에서 볼 수 있는 지하 통로의 잔해 등 일부 물리적인 흔적만이 남아 있다. 하지만 공원을 출발하여 란트베어 운하를 건너고 트레프토 지역의 Elsenstraße|엘젠슈트라세deu를 지나 S-반 순환선과 만나는 지점까지 이어지는 옛 철도 노선의 일부 구간은 여전히 따라 걸을 수 있다.
4. 1. 명칭의 유지
역사적인 건물 자체는 기존의 지역 이름으로 남아 있다. 1926년, 지역 U-반 역 오라니엔슈트라세는 인접한 간선 철도 종착역을 나타내기 위해 괴를리츠역으로 개명되었다. 이후 간선 철도역이 쇠퇴했음에도 불구하고, U-반 정류장은 유사하게 쇠퇴한 안할터역과 마찬가지로 역사적인 이름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괴를리츠 공원의 서쪽을 따라 뻗어 있는 도로는 1873년에 Wiener Straßedeu로 개명되었는데, 이는 베를린과 오스트리아 수도 빈을 연결하는 첫 번째 열차가 괴를리츠역에서 출발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인접한 광장인 슈프레발트 광장과 라우지처 광장은 한때 플랫폼에서 접근할 수 있었던 시골 지역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5. 영화 촬영지
1966년 영화 《베를린의 장례식》은 당시에도 건재했던 역 건물의 정면을 가상의 동베를린 "마르크스-엥겔스 광장 59번지" 촬영 장소로 사용했다.[6]
참조
[1]
웹사이트
Berliner-unterwelten.de
http://berliner-unte[...]
2009-07-06
[2]
웹사이트
History of Görlitzer Bahnhof
http://www.goerlitze[...]
2010-08-19
[3]
웹사이트
Kreuzberger-chronik.de
http://www.kreuzberg[...]
[4]
뉴스
Morgenpost.de
http://www.morgenpos[...]
Berliner Morgenpost
2007-04-29
[5]
웹사이트
Mutoid Waste Company im Sommer 1989 in West Berlin
http://www.tip-berli[...]
Tip
2009-12-01
[6]
웹사이트
Harry Palmer (Michael Cane) Movie Site: Funeral in Berlin locations
https://keesstam.tri[...]
2023-03-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