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국제 방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를린 국제 방송(RBI)은 1959년 서독의 도이체 벨레에 대항하기 위해 설립된 동독의 국제 방송국이다.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념을 전파하고 사회주의 국가에서의 삶에 대한 견해를 제공하며 동독의 국제적 인정을 목표로 했다. 1976년에는 17개 언어로 매주 338시간 분량의 콘텐츠를 제작했다. 라이프치히, 쾨니히스 부스터하우젠, 나우엔 송신소 등에서 방송을 송출했으며, 1990년 독일 재통일 전날 폐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라디오 네트워크 - 도이체 벨레
도이체 벨레는 1953년 단파 방송으로 시작된 독일의 국제 공영 방송으로, 다양한 언어로 전 세계에 라디오, 텔레비전, 온라인 뉴스를 제공하며, 미디어 개발 및 언론인 훈련을 지원하는 DW 아카데미도 운영하지만, 일부 국가에서 검열을 받거나 반유대주의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 독일의 라디오 네트워크 - 도이칠란트푼크
도이칠란트푼크는 독일 분단 시기 동독 지역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설립되어 동유럽 독일어 소수 민족에게 방송되었으며, 재통일 후 도이칠란트라디오에 통합되어 뉴스, 시사, 다큐멘터리, 음악 등을 방송하는 전국 공영 라디오 방송국이다. - 1959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기독교부산방송
기독교부산방송은 1959년 부산에서 개국하여 기독교 방송을 시작했으며, FM 방송을 개시하고 보도 및 광고 방송을 회복하여 현재 FM 102.9MHz와 FM 102.1MHz를 통해 방송을 송출한다. - 1959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미주복음방송
미주복음방송은 1991년 미국에서 개국한 기독교 라디오 방송국으로, 현재 KGBN 콜사인과 1190 AM 주파수를 사용하며 다양한 언어, 특히 한국어 기독교 방송을 제공한다.
베를린 국제 방송 |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동독 |
방송 형태 | 국제 라디오 방송 |
사용 가능 지역 | 국제 |
개국 | 1959년 5월 |
폐국 | 1990년 10월 2일 |
이전 명칭 | (정보 없음) |
대체 | 도이체 벨레 |
2. 연혁
서독의 국제 방송인 도이체 벨레(Deutsche Welle) 출범에 대응하여 1959년 5월 동독에서 설립되었다.[1] 주요 목적은 동독에 대한 선전 뉴스 보도와 정보를 전 세계에 알리고, 사회주의 국가에서의 삶과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념을 홍보하며 동독의 국제적 인정을 얻는 것이었다.[2] 이를 위해 영어, 프랑스어, 아랍어 등 다양한 언어로 방송했고, 국제 정세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프로그램을 편성했다.[2][3]
방송 초기에는 50kW급 송신기를 사용했으나, 1964년 나우엔에 200kW급 송신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1971년에서 1981년 사이에는 500kW급 안테나로 시설을 더욱 강화했다.[4][5] 스튜디오는 동베를린 날레파슈트라세에 위치했다.[5]
1989년 11월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에도 방송을 계속했으나, 독일 재통일 하루 전인 1990년 10월 2일 마지막 방송을 끝으로 폐국했다.[1][6] 폐국 과정에서 일부 직원들은 도이체 벨레로의 통합을 일방적인 '인수'로 받아들이며 반감을 나타내기도 했다.[6]
2. 1. 설립 배경
서독의 국제 방송인 도이체 벨레(Deutsche Welle)가 새롭게 출범하자, 이에 대응하기 위해 1959년 5월 베를린 국제 방송(RBI)이 설립되었다.[1] RBI의 주된 역할은 동독에 대한 선전 뉴스 보도와 정보를 제공하는 데 집중되었다.[1] 전 세계 청취자들에게 사회주의 국가에서의 삶에 대한 동독 정부가 후원하는 견해를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2]RBI는 두 가지 주요 임무를 수행했다. 첫째는 국가의 지침에 따라 마르크스-레닌주의 사상을 전 세계에 전파하는 것이었다. 둘째는 동독에서의 생활상을 긍정적이고 다채롭게 묘사한 전문적인 홍보물을 배포하여, 동독이 국제 사회에서 합법적인 국가로 인정받도록 노력하는 것이었다.[2] 이러한 국제적 지향성 때문에 RBI의 프로그램 편성은 유연했으며, 사회주의 선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국제 정세나 사건의 변화에 따라 자주 조정되었다.[2] 방송 내용은 (다른 동유럽 국가의 방송국과 비교하여) 비교적 전문적이었으며, 청취자들에게는 동독 생활에 관한 다양한 홍보 자료가 제공되었다.
2. 2. 운영 및 활동
베를린 국제 방송(RBI)은 서독의 국제 방송인 도이체 벨레에 대응하기 위해 1959년 5월 설립되었다.[1] RBI는 전 세계 국가에 사회주의 국가에서의 삶에 대한 동독 정부의 공식적인 관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삼았다. 또한,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념을 전 세계에 전파하고, 동독의 생활상을 다채롭고 전문적으로 제작된 홍보물을 통해 알려 동독이 국제 사회에서 합법적인 국가로 인정받도록 하는 두 가지 주요 임무를 수행했다.[2] RBI는 국제 정세 변화에 맞춰 방송 내용을 유연하게 조정했으며, 사회주의 선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세계적 사건 발생 시 이에 초점을 맞추어 프로그램을 편성했다.[2]국제적 다국어 방송이라는 특성상, RBI 직원들은 상사들이 스와힐리어나 아랍어와 같은 외국어를 거의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방송 금지된 내용에 대해 비교적 자유롭게 논의할 수 있었다.[3] 1955년부터 1975년까지 RBI는 17개 언어로 방송했으며, 그중 영어, 프랑스어, 아랍어 방송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1976년 기준으로 RBI는 매주 총 338시간 분량의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전 세계 청취자들에게 송출했다. 지역별 방송 시간 배분은 서유럽 및 동유럽 175시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79시간, 북아프리카 및 중동 53시간, 라틴 아메리카 46시간, 북아메리카 및 동아시아가 각각 26시간이었다.[2]
방송 송출을 위해 RBI는 초기에 라이프치히, 쾨니히스 부스터하우젠, 나우엔에 위치한 50kW급 송신기를 사용했다. 1964년에는 국영 기업 VEB Funkwerk Berlin Köpenick과 VEB Industrieprojekte가 나우엔에 원격 제어가 가능하며 회전 및 기울기가 가능한 200kW 출력의 안테나 시스템을 건설했다. 이를 통해 RBI는 소련 블록 내에서 두 번째로 강력한 단파 방송 서비스 역량을 갖추게 되었다.[4] 1971년부터 1981년 사이에는 스위스 기업 브라운, 보베리 & 치에(Brown, Boveri & Cie)로부터 수입한 500kW급 안테나로 나우엔 송신소의 시설이 더욱 강화되었다. 방송 스튜디오는 동베를린 날레파슈트라세에 위치한, 슈프레 강변의 옛 가구 공장 건물을 개조하여 사용했다.[5]
RBI는 1989년 11월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에도 운영을 지속했으며, 독일 재통일이 이루어지기 하루 전인 1990년 10월 2일 마지막 방송을 끝으로 폐국했다.[1][6] 이 마지막 방송은 도이체 벨레에 의한 통합을 "인수"로 여기며 반감을 가졌던 일부 직원들의 복잡한 심경 속에서 진행되었다.[6]
2. 3.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RBI는 1989년 11월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에도 운영을 계속했으며, 독일 재통일이 이루어지기 직전까지 방송을 이어갔다.[1] 이 과도기 동안 RBI의 편집자와 직원들은 이전과는 달리 동독 체제에 대해 비교적 자유롭게 비판적인 목소리를 낼 수 있었다. 이는 과거 동독 정부의 엄격한 통제에서 벗어난 상황을 반영한다.RBI의 마지막 방송은 동독이 독일 연방 공화국에 공식적으로 편입되기 하루 전인 1990년 10월 2일에 송출되었다. 마지막 방송 당시 RBI 직원들 사이에서는 복잡한 감정이 교차했으며, 일부는 서독의 도이체 벨레에 의한 일방적인 '인수'에 가까운 통합 방식에 반감을 표현하기도 했다. 마지막 영어 방송은 로버트 미첼의 "Take care and good luck|테이크 케어 앤드 굿 럭eng"라는 끝인사말로 마무리되었고, 이어서 더 도어즈(The Doors)의 노래 'The End'가 흘러나왔다.[6]
2. 4. 폐국
1989년 11월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에도 베를린 국제 방송(RBI)은 계속 운영되었으며, 1990년 10월 3일 독일 재통일 이전까지 방송을 이어갔다.[1] 이 과도기 동안 RBI의 편집자와 직원들은 이전과는 달리, 비록 동독의 관점을 유지하면서도 소멸을 앞둔 동독 체제에 대해 자유롭게 비판적인 목소리를 낼 수 있었다.RBI는 독일 재통일로 동독이 독일 연방 공화국에 공식적으로 합병되기 하루 전인 1990년 10월 2일 마지막 방송을 송출하며 폐국했다. 마지막 방송은 RBI 직원들 사이에서 씁쓸한 감정 속에서 진행되었는데, 일부 직원들은 서독의 국제 방송인 도이체 벨레와의 통합을 단순한 '통일'이 아닌 일방적인 '인수' 또는 '강탈'로 받아들이며 반감을 표현했다. 마지막 영어 방송(참조의 36:48 지점)에서는 로버트 미첼(Robert Mitchell)이 "Take care and good luckeng"라는 끝인사를 남겼고, 이어서 더 도어즈(The Doors)의 노래 "[The End (The Doors song)|The End]"가 흘러나왔다.[6]
한편, RBI는 1970년부터 1974년까지 매일 03:00부터 06:00까지 Radio North Sea International의 프로그램을 재방송하기도 했다.
3. 방송 언어
영어, 프랑스어, 덴마크어 등 수많은 언어로 방송되었다. 각 언어 방송은 해당 국가의 공산당에서 파견된 아나운서들이 담당했다.
참조
[1]
서적
Broadcasting On The Short Waves, 1945 To Today
https://books.google[...]
McFarland
[2]
서적
External Cultural and Information Activities of East Germany (GDR) in Non-communist Countries
https://books.google[...]
U.S. Information Agency, Office of Research
1978
[3]
간행물
Tracing Radio Berlin International
http://bdxc.org.uk/r[...]
2016-06-01
[4]
서적
History of International Broadcasting, Volume 2
https://books.google[...]
IET
[5]
웹사이트
Discovering the Multicultural Life within Communist East Germany
https://www.bbc.co.u[...]
2020-11-09
[6]
웹사이트
Radio Berlin International October 2 1990
https://archive.org/[...]
1990-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