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유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유럽은 역사적으로 로마 제국 분열 이후 문화적, 종교적 독자성을 형성하며 발전해왔다. 12세기 이후에는 이슬람 세계와 동로마 제국의 문화를 흡수하며 독자적인 문명을 구축했고, 15세기 이후에는 프로테스탄트와 가톨릭 간의 분열을 겪었다. 냉전 시대에는 서방 진영의 핵심 지역이었으며, 현재는 유엔, CIA, EuroVoc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여러 국가를 포함하는 지역으로 정의된다. 기후는 지중해성 기후부터 고산 기후까지 다양하며, 언어는 로망스어군과 게르만어군을 중심으로 사용된다. 서유럽은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지역 중 하나이며, 독일, 룩셈부르크 등이 경제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유럽 - 서유럽 표준시
    서유럽 표준시(WET)는 협정 세계시(UTC)보다 0시간 빠르며, 영국, 아일랜드, 포르투갈 등에서 사용되지만, 서머타임 시행 시에는 서유럽 서머타임(WEST, UTC+1)을 사용한다.
  • 서유럽 - 서유럽 연합
    서유럽 연합은 1948년 브뤼셀 조약에 의해 설립된 방위 동맹으로, 유럽의 경제 회복과 통합을 목표로 했으며, 유럽 연합으로 안보 기능이 이전되면서 2011년 공식 해체되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서유럽
지도
개요
정의유럽 대륙의 서쪽 부분에 위치한 지역
문화적 의미유럽 문명의 핵심 지역, 서구 문화의 발상지
역사적 의미로마 제국과 서방 기독교 문화권의 중심지
냉전 시대 구분냉전 시대에는 서방 세계로 분류
지리
주요 지역브리튼 제도
프랑스
독일
베네룩스 3국
알프스산맥
접경 지역동쪽으로는 중앙유럽, 남쪽으로는 남유럽과 접경
주요 해안대서양, 북해, 지중해
역사
고대 로마 시대로마 제국의 중심지
중세 시대서방 기독교 문화권의 중심지
르네상스 및 종교 개혁유럽 문명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
근대 시대제국주의 시대에 세계 식민지 확장의 중심지
현대 시대유럽 연합과 나토의 중심 지역
문화
언어게르만어
로망스어
켈트어 등 다양한 언어 사용
종교기독교 (주로 가톨릭교회 및 개신교)
그 외 다양한 종교 및 무종교
주요 문화 유산로마 제국의 유적
중세 시대의 건축물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 작품
근대 시대의 과학 및 기술 유산
경제
특징세계 경제의 중심지 중 하나, 고도로 발달한 산업 구조
주요 산업제조업
금융업
서비스업
경제 협력유럽 연합 (EU)을 통한 경제 통합 활발
정치
정치 체제주로 의회 민주주의 또는 반대통령제
주요 정치 기구유럽 연합 (EU)과 나토 등의 국제 기구
사회
사회 구조높은 교육 수준
사회 복지 제도의 발달
다문화 사회의 특징
기타
관련 정보서유럽은 역사적, 문화적으로 다양한 의미를 지닌 지역

2. 역사적 구분

역사적으로 서유럽은 1054년 동서 분열을 통해 가톨릭교회 중심의 문화권을 형성하고, 16세기 종교 개혁을 거치며 프로테스탄티즘이 등장하는 등 동유럽과는 다른 종교적, 문화적 경로를 걸어왔다.

2. 1. 고대와 중세



고대 로마의 정복 이전, 서유럽의 많은 지역은 새롭게 발전한 라 텐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로마 제국의 영토가 확장되면서, 주로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동부(고도로 도시화된 헬레니즘 문명 형성)와 주로 라틴어를 채택한 서부 사이에 문화적, 언어적 분열이 나타났다. 이러한 분열은 이후 로마 제국이 동과 서로 나뉘면서 더욱 뚜렷해졌다. 3세기부터 5세기까지 서로마 제국과 동로마 제국은 각각 다른 지역을 통치했다.

고대 후기중세를 거치면서 동서 간의 분열은 여러 사건을 통해 더욱 깊어졌다. 서로마 제국의 멸망은 서유럽에서 초기 중세의 시작을 알렸다. 반면, 비잔티움 제국으로 알려진 동로마 제국은 이후 천 년 이상 존속하며 번영했다. 서유럽에서는 게르만족의 대이동으로 로망스어 사용 지역이 여러 게르만족 왕국의 지배 아래 놓이게 되었다.

이러한 게르만 왕국들 중에서 프랑크 왕국로마의 가톨릭교회와 손을 잡고 서유럽의 주도권을 잡았다. 프랑크 왕국은 북아프리카와 이베리아 반도를 점령했던 이슬람 세력인 우마이야 칼리파국의 침입을 막아냈으며, 교황으로부터 서로마 제국의 황제 칭호를 받아 비잔티움 제국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가톨릭 질서를 구축했다. 카롤링거 제국의 등장은 동서 유럽 간의 문화적, 종교적 차이를 더욱 명확히 했다.

1054년 동서 분열은 기독교 세계를 서방 기독교(가톨릭교회)와 동방 기독교(동방 정교회)로 나누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로 인해 서유럽은 주로 가톨릭교회의 영향권 아래, 동유럽은 주로 동방 정교회의 영향권 아래 놓이게 되었다. 5세기 이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중심으로 한 비잔티움 제국은 그리스어를 사용하며 고대 그리스 문명을 계승했지만, 서유럽은 라틴어링구아 프랑카로 사용하는 로망스어군·게르만어파·서슬라브족 문화권(일부 제외)으로 발전했다. 서유럽 세계는 이슬람 세계의 부상으로 고대 그리스고대 로마 문명과의 연결이 약화되면서 독자적인 길을 걷게 되었다.

동슬라브족 지역이 몽골 제국의 지배를 받고, 발칸 반도가 오스만 제국의 오랜 통치 아래 있었던 것과 달리, 서유럽은 외부 세력의 직접적인 지배를 받지 않았다. 12세기 이전까지 서유럽은 세계 문명의 중심에서 벗어나 있었으나, 12세기를 기점으로 동방의 이슬람 황금기 아라비아 문명과 비잔티움 제국으로부터 과학, 철학 등 선진 문물을 받아들여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키기 시작했다. 역사학자 이토 슌타로는 서유럽 세계가 8세기 샤를마뉴 시대에 형성되었지만, 서유럽 문명의 기반은 12세기에 마련되었다고 평가했다.

15세기 비잔티움 제국이 오스만 제국에 의해 정복되고, 카롤링거 제국을 계승한 신성 로마 제국이 점차 분열되면서, 유럽 내에서는 동방 정교회와의 차이보다 가톨릭교회와 새롭게 등장할 프로테스탄티즘 사이의 갈등이 더 중요한 문제로 부상하게 되었다. 이는 종교 개혁으로 이어지며 서유럽이 근대로 나아가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2. 2. 냉전 시대

냉전 시대 유럽의 세력권; 서방에 공식적으로 편입되지 않았으나 비공식적으로 서방 지향적인 중립국(회색 또는 연청색 음영)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갈 무렵, 유럽의 미래는 1945년 얄타 회담에서 연합국 지도자들, 즉 영국 수상 윈스턴 처칠,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그리고 소련 총리 조세프 스탈린 사이의 논의를 통해 윤곽이 잡혔다.

전쟁 후 유럽은 미국의 영향을 받는 서방 진영과 소련의 영향을 받는 동구권이라는 두 개의 주요 세력권으로 나뉘었다. 냉전이 시작되면서 유럽 대륙에는 소위 철의 장막이 드리워졌다. 이 용어는 나치 독일의 선전부 장관 요제프 괴벨스와 루츠 슈베린 폰 크로지크 백작이 사용했지만, 1946년 3월 5일 윈스턴 처칠이 미국 미주리주 풀턴의 웨스트민스터 대학에서 행한 연설에서 사용하며 널리 알려졌다. 처칠은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 발트해슈체친에서 아드리아해트리에스테까지 대륙 전체에 걸쳐 ''철의 장막''이 내려왔습니다. 그 선 뒤에는 중부 및 동유럽의 고대 국가의 모든 수도가 있습니다. 바르샤바, 베를린, 프라하, , 부다페스트, 벨그라드, 부쿠레슈티, 그리고 소피아; 이 모든 유명한 도시들과 그 주변의 주민들은 제가 소련권이라고 부르는 곳에 있으며, 모두 어떤 형태로든 소련의 영향뿐만 아니라 모스크바의 통제를 상당히, 어떤 경우에는 점점 더 많이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분단 속에서 '서유럽'은 일반적으로 철의 장막 서쪽에 위치하며 자본주의 경제 체제와 민주주의 정치 체제를 가진 국가들을 의미하게 되었다. 이들 국가는 주로 NATO를 중심으로 군사적 동맹을 맺었다. 핀란드, 스웨덴, 스위스와 같이 공식적으로 중립국 노선을 표방한 국가들도 있었지만, 정치 및 경제 체제의 성격상 서방 진영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스페인포르투갈은 독재 정치 체제였음에도 불구하고 지리적 위치와 반공 노선 때문에 서유럽에 포함되었다. 지리적으로 유럽 서부가 아닌 그리스나 터키 역시 NATO 회원국이라는 이유로 서유럽으로 간주되기도 했다.

냉전 시대의 이러한 서유럽과 동유럽 구분은 당시의 정치적 현실을 반영했지만, 많은 역사가와 사회과학자들은 이 정의가 지나치게 단순화되었거나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평가하기도 한다.[8][9][10]

서유럽 연합(1995–2011) 회원국


한편, 서유럽 국가들은 안보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1948년 벨기에, 프랑스,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영국 간에 브뤼셀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은 1954년 파리 회담을 통해 개정되어 서유럽 연합(WEU)이 창설되는 기반이 되었다. 서유럽 연합은 냉전 시기 유럽의 방위 협력체로서 기능했으나, 유럽 연합의 공동 외교 안보 정책이 발전하면서 점차 역할이 축소되었고, 리스본 조약 발효 이후 2011년에 최종적으로 해체되었다. 해체 당시 서유럽 연합에는 10개의 정회원국, 6개의 준회원국, 7개의 협력 동반국, 5개의 옵서버 국가가 있었다.

1989년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철의 장막이 걷히면서 냉전 시대는 종식되었다. 서독독일 통일을 통해 동독을 흡수했고, 코메콘과 바르샤바 조약은 해체되었다. 1991년에는 소련이 해체되면서 여러 구성 공화국들이 독립을 되찾았다. 이러한 변화는 서유럽과 동유럽의 구분 자체를 재고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냉전 시대에 서유럽으로 분류되었던 주요 국가들은 다음과 같다.

구분국가
NATO 가입국벨기에, 덴마크, 프랑스, 아이슬란드,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노르웨이, 포르투갈, 영국, 서독 (1955년 가입), 스페인 (1982년 가입)
기타 서유럽 국가
(NATO 비가입 중립국 또는 소국)
안도라, 핀란드, 아일랜드, 몰타, 모나코, 산마리노, 스웨덴, 스위스, 바티칸 시국


2. 3. 냉전 이후

넓은 의미의 서유럽(진한 노란색 부분은 좁은 의미의 서유럽)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 시대에는 소련의 영향력 밖에 있던 국가들을 서유럽으로 구분하는 경향이 강했다. 이는 NATO 회원국 여부와도 관련이 있었으나, 핀란드, 스웨덴, 스위스처럼 NATO 회원국이 아니면서도 서유럽으로 분류되는 국가도 있었다.

냉전이 종식되고 동유럽 국가들이 EU에 가입하면서 이러한 구분은 점차 의미를 잃었다. 2004년 유럽 연합의 확장 이전까지는 서유럽이라는 개념이 유럽 연합과 관련지어 생각되기도 했지만 (물론 EU 회원국이 아닌 스위스노르웨이는 여전히 서유럽으로 간주되었다), 오늘날에는 NATO나 유럽 연합과 서유럽 개념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약해지고 역사적인 의미가 커지고 있다.

현대의 서유럽은 많은 선진국이 집중되어 있으며, 북미, 동아시아와 함께 세계 경제의 주요 축을 이루는 지역이다. 특히 넓은 의미의 서유럽에 포함되는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는 유럽의 4대 강국인 "빅4"로 불리며, 이들 국가는 모두 G7G20 회원국이자 세계 GDP 순위 10위 안에 드는 강대국으로 평가받는다.

3. 현대적 구분

서유럽이라는 개념은 단순히 지리적 위치뿐만 아니라 역사, 문화, 정치적 맥락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된다. 역사적으로 서유럽 개념은 민주주의 발전과 밀접한 관련을 맺어왔다. 영국에서는 마그나 카르타를 통해 의회가 설립되었고, 프랑스에서는 삼부회가 개최되는 등 민주주의적 전통이 서유럽을 규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또한 서유럽 국가들은 미국, 캐나다와 문화, 경제 체제, 정치적 전통에서 많은 공통점을 공유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서유럽이 주로 프랑스, 영국, 베네룩스 3국을 지칭하는 좁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 시대에 들어서면서 그 의미는 크게 확장되었다. 당시 서유럽은 소련의 영향력 아래 공산주의화되지 않고 철의 장막 서쪽에 위치한 국가들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이는 동유럽계획 경제와 대비되는 시장 경제 체제를 강조하는 이데올로기적 의미를 내포했다. 이 때문에 지리적으로 서유럽에 속하지 않거나 정치체제가 달랐던 국가들도 서유럽 범주에 포함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NATO 회원국이었던 그리스튀르키예, NATO 회원국은 아니었지만 민주주의 국가였던 핀란드, 스웨덴, 스위스, 그리고 당시 독재 국가였던 스페인포르투갈까지 서유럽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있었다.

2004년 유럽 연합이 확장되기 전까지는 서유럽이라는 개념이 유럽 연합 회원국과 유사하게 여겨지기도 했으나, 비회원국인 스위스노르웨이 등 명백히 서유럽으로 인식되는 국가들이 있어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았다. 오늘날에는 NATO나 유럽 연합과의 연관성보다는 역사적, 문화적, 경제적 맥락에서 서유럽을 이해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현대 서유럽 지역에는 다수의 선진국이 집중되어 있으며, 북아메리카, 동아시아와 더불어 세계 경제의 주요 축을 이루고 있다. 특히 넓은 의미의 서유럽에 포함되는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는 유럽의 4대 강국인 "빅4"로 불리며, 이들 국가는 모두 G7G20 회원국이자 세계 GDP 순위 10위 안에 드는 강대국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다양한 국제기구에서는 통계적 또는 정치적 목적에 따라 서유럽을 서로 다르게 분류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국제연합(UN), 중앙정보국(CIA), 유럽 연합의 EuroVoc 등은 각기 다른 기준에 따라 서유럽 국가 목록을 정의한다.

3. 1. 유엔(UN) 지리적 구분

유엔 지리 체계에 따른 유럽의 하위 지역.
분홍색: 동유럽, 파란색: 북유럽, 초록색: 남유럽, 하늘색: 서유럽


유엔 지리 체계는 국제연합 통계국(UNSD)이 고안한 시스템으로, UN M49 부호 분류를 기반으로 세계 각국의 국가들을 지역 및 하위 지역 그룹으로 나눈다. 이 구분은 통계적 편의를 위한 것이며, 국가 또는 영토의 정치적 또는 기타 소속에 대한 어떠한 가정도 의미하지 않는다.[11]

유엔 지리 체계에서 다음 국가들은 서유럽으로 분류된다.[11][24]

또한, 다음 2개 지역도 서유럽에 포함된다.[24]

3. 2. CIA 분류

《CIA 세계 Factbook》에 따른 유럽 지역 구분


CIA는 7개국을 "서유럽"으로 분류한다.[12]

CIA는 또한 3개국을 "서남 유럽"으로 분류한다.

3. 3. EuroVoc 분류

EuroVoc에 따른 유럽 하위 지역


EuroVoc은 유럽 연합 출판부(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에서 관리하는 다국어 용어집이다.[13] 이 용어집에서 유럽 국가들은 하위 지역으로 그룹화된다. 서유럽 하위 그룹에는 다음 국가들이 포함된다.[14]

3. 4. 유엔 지역 그룹: 서유럽 및 기타 그룹(WEOG)

서유럽 및 기타 그룹 회원국 및 옵서버 국가


서유럽 및 기타 그룹(WEOG)은 여러 비공식적인 유엔 지역 그룹 중 하나로, 투표 연합 및 협상 포럼 역할을 한다. 지역 투표 연합은 1961년에 다양한 유엔 기구에 대한 각 지역 그룹의 투표를 장려하기 위해 결성되었다.[15]

이 그룹의 유럽 회원국은 다음과 같다.



또한,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이스라엘, 뉴질랜드가 이 그룹의 회원국이며, 미국은 옵서버로 참여하고 있다.

4. 인구

CIA 분류를 엄격하게 적용하면 서유럽 인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모든 수치는 국제연합 경제사회부 인구국의 2018년 추계를 기반으로 한다.[16]

순위국가 또는 지역인구
(최근 추정치)
언어수도
1영국66,040,229영어런던
2프랑스 (본토)65,058,000프랑스어파리
3네덜란드17,889,600네덜란드어, 프리슬란트어암스테르담 1
4벨기에11,420,163네덜란드어, 프랑스어독일어브뤼셀
5아일랜드5,123,536영어, 아일랜드어더블린
6룩셈부르크602,005프랑스어, 룩셈부르크어독일어룩셈부르크 시
7모나코38,300프랑스어모나코 (도시 국가)
합계165,265,329



CIA 분류를 조금 더 자유롭게 적용하여 "남서유럽"을 포함하면 서유럽 인구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16]

순위국가 또는 지역인구
(최근 추정치)
언어수도
1영국66,040,229영어런던
2프랑스 (본토)65,058,000프랑스어파리
3스페인46,700,000스페인어마드리드
4네덜란드17,889,600네덜란드어, 프리슬란트어암스테르담1
5벨기에11,420,163네덜란드어, 프랑스어독일어브뤼셀
6포르투갈10,291,027포르투갈어리스본
7아일랜드5,123,536영어, 아일랜드어더블린
8룩셈부르크602,005프랑스어, 룩셈부르크어독일어룩셈부르크 시
9안도라78,264카탈루냐어안도라라벨라
10모나코38,300프랑스어모나코 (도시 국가)
합계222,293,922

1 헤이그는 정부 소재지이다.[17]

5. 기후

유럽의 기후 분포. 서유럽은 남부의 지중해성 기후부터 알프스 산맥 등의 고산 기후까지 다양한 기후를 보인다. (쾨펜의 기후 구분)


서유럽의 기후는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남부의 이탈리아, 포르투갈, 스페인 해안 지역은 건조하고 따뜻한 지중해성 기후의 특징을 보인다. 반면 서부와 북서부 지역은 북대서양 해류의 영향을 받아 대체로 온화하고 습윤한 기후를 나타낸다. 피레네 산맥과 알프스 산맥 같은 고산 지대에서는 고산 기후가 나타난다.

최근 서유럽은 폭염 (또는 열파) 발생에 취약한 지역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는 북반구 중위도의 다른 지역보다 3~4배 빠른 기온 상승 추세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18][25]

6. 언어

서유럽의 언어는 대부분 인도유럽어족의 두 주요 어파에 속한다. 하나는 로마 제국라틴어에서 유래한 로망스어족이고, 다른 하나는 남부 스칸디나비아에서 유래한 게르만 원어를 조상으로 두는 게르만어족이다.[19][26] 로망스어는 주로 서유럽의 남부와 중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이탈리아어 등이 대표적이다. 반면, 게르만어는 북부(영국 제도와 저지대 국가) 및 북유럽, 중유럽의 상당 부분에서 사용되며, 영어, 독일어, 네덜란드어 등이 이에 속한다.[19][26]

이 외에도 서유럽에는 켈트어족 언어들(예: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맨섬어, 웨일스어, 콘월어, 브르타뉴어)[19][26]과 유럽에서 유일하게 현존하는 고립어바스크어가 사용된다.[20][27]

현대 서유럽에서는 다언어 사용과 지역 및 소수 언어의 보호가 중요한 정치적 목표로 인식되고 있다. 유럽 평의회의 국가 소수민족 보호를 위한 기본 협약과 지역 또는 소수 언어에 관한 유럽 헌장은 유럽 내 언어권 보호를 위한 법적 기반을 제공한다.[21]

7. 경제

서유럽은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지역 중 하나이다. 독일은 유럽에서 가장 높은 국내총생산을 기록하고 있으며, 어떤 국가보다도 가장 큰 재정 흑자와 가장 높은 순 국가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22] 룩셈부르크는 세계에서 1인당 GDP가 가장 높으며,[22] PPP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평균 임금을 기록한다. 스위스는 명목상 평균 임금이 세계에서 가장 높다.[23] 노르웨이는 사회 진보 지수에서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23]

서유럽에는 많은 선진국이 집중되어 있으며, 북미, 동아시아와 함께 경제 규모가 크다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넓은 의미의 서유럽에 포함되는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는 유럽의 4대 강국 "빅4"로 불린다. 이들 국가는 모두 G7G20 회원국이며, 세계 GDP 순위에서도 상위권을 차지하는 등 강대국으로서 세계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Inventing Europe Idea, Identity, Reality
[2] 학술지 What Is Eastern Europe? A Philosophical Approach https://philpapers.o[...] Routledge
[3] 웹사이트 Key factors in the start of the Cold War upto 1955 - Reasons for the Cold War - Higher History Revision https://www.bbc.co.u[...] 2024-02-23
[4] 웹사이트 Atlas of the Historical Geography of the Holy Land https://web.archive.[...] Rbedrosian.com 2013-02-23
[5] 웹사이트 home.comcast.net https://web.archive.[...] 2013-02-23
[6] 서적 On Friendship: One Hundred Maxims for a Chinese Prince Columbia University Press
[7] 간행물 Being Christian in Western Europe http://www.pewforum.[...] Pew Research Center 2018-05-29
[8] 웹사이트 One very common, but now outdated, definition of Eastern Europe was the Soviet-dominated communist countries of Europe.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Too much writing on the region has –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 clung to an outdated image of 'Eastern Europe', desperately trying to patch together political and social developments from Budapest to Bukhara or Tallinn to Tashkent without acknowledging that this Cold War frame of reference is coming apart at the seams. https://web.archive.[...]
[10] 서적 The handbook of political change in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2011-10-05
[11] 웹사이트 Methodology https://unstats.un.o[...] 2019-06-17
[12] 웹사이트 Field listing: Location https://web.archive.[...] CIA World Factbook 2017-07-30
[13] 웹사이트 EuroVoc: 7206 Europe https://op.europa.eu[...] 2021-02-09
[14] 웹사이트 EuroVoc: Western Europe https://op.europa.eu[...] 2021-02-09
[15] 간행물 UNAIDS, The Governance Handbook https://web.archive.[...] 2010-01
[16]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18 https://web.archive.[...] 2018-10-14
[17] 웹사이트 Europe :: Netherlands —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20-10-06
[18] 학술지 Accelerated western European heatwave trends linked to more-persistent double jets over Eurasia 2022-07-04
[19] 백과사전 Europe http://www.britannic[...] 2008-06-10
[20] 웹사이트 Basque language https://www.britanni[...] 2020-06-16
[21] 웹사이트 A Word from the Chair of the Committee of Experts https://www.coe.int/[...] Council of Europe 2023-11-10
[22] 웹사이트 GDP (current US$) - European Union Data https://data.worldba[...] 2021-03-12
[23] 웹사이트 2020 Social Progress Index https://www.socialpr[...] The Social Progress Imperative 2020-12-29
[24] 웹사이트 Geographical region and composition http://unstats.un.or[...]
[25] 학술지 Accelerated western European heatwave trends linked to more-persistent double jets over Eurasia https://www.nature.c[...] 2022-07-04
[26] 백과사전 Europe http://www.britannic[...] 2008-06-10
[27] 웹사이트 Basque language https://www.britanni[...] 2020-06-16
[28] 웹사이트 GDP (current US$) - European Union Data https://data.worldba[...] 2021-03-12
[29] 웹사이트 2020 Social Progress Index https://www.socialpr[...] The Social Progress Imperative 2020-12-29
[30] 웹사이트 일부는 아프리카에 포함된다.
[31] 웹사이트 유엔총회 옵서버 국가
[32] 웹사이트 서아시아로 분류될 수도 있다.
[33] 웹사이트 국토 면적의 대부분은 중앙아시아에 속한다.
[34] 웹사이트 국토 면적의 대부분은 북아시아에 속한다.
[35] 웹사이트 유엔 비회원국만이 국가 승인을 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