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를린 조넨알레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를린 조넨알레역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S반역이다. 1871년 화물선, 1872년 여객 열차 운행을 시작했으며, 1912년 카이저프리드리히슈트라세역으로 개업했다. 제2차 세계 대전과 베를린 장벽 건설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으며, 1997년 재개통되었다. 현재 S41, S42 노선이 운행하며, 인근에 에스트렐 호텔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이쾰른구의 건축물 - 베를린 순환선
    베를린 순환선은 베를린의 주요 철도 노선들을 연결하는 순환선 철도로, 왕립 역 연결 철도 건설로 기틀이 마련되어 완전한 순환선으로 개통, 전철화, 베를린 S반 운행 시작 등의 발전을 거쳐 동서 분단 후 재통일되어 현재 S41, S42 노선으로 운행되고 있다.
  • 노이쾰른구의 건축물 - 헤르만플라츠역
    헤르만플라츠역은 베를린 지하철 7호선과 8호선이 교차하는 환승역으로, 1926년 U7 노선 개통 이후 U8 노선 개통과 함께 베를린 지하철 최초로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었다.
  • 베를린의 철도역 - 베를린 보타니셔 가르텐역
    베를린 보타니셔 가르텐역은 1909년 개업하여 슈테글리츠-젤렌도르프 지역의 주택 건설을 지원하며 지역 교통망의 일부가 된 베를린 S반 철도역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분단 시대를 거쳐 재건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인근 역 및 버스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 베를린의 철도역 - 베를린 그라이프스발더 슈트라세역
    베를린 그라이프스발더 슈트라세역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S반역으로, 1875년 바이센제역으로 개업하여 역명 변경을 거쳐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으며, S반 노선 S41, S42, S8, S85가 운행하고 베를린 노면전차 M4번 및 버스 158번과 환승 가능하다.
  • 1912년 개업한 철도역 - 대야역
    대야역은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에 위치한 장항선의 철도역으로,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2면 3선의 지상역 형태를 갖추고 있고, 과거 화물도 취급했으나 현재는 여객 운송만 담당한다.
  • 1912년 개업한 철도역 - 연천역
    연천역은 1912년 개업한 경원선 철도역으로, 2023년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개통으로 전철 운행이 시작되었으며, 한국전쟁 관련 시설물과 등록문화재 급수탑을 보유하고 있고,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운영 중이다.
베를린 조넨알레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역명베를린 조넨알레역
원어 역명Bahnhof Berlin Sonnenallee (독일어)
위치베를린 노이쾰른구 지크프리트-아우프호이저 광장 12055
좌표52.4729° N, 13.4554° E
운영 주체DB Netz
관리 주체DB Station&Service
역사 (2007년)
역사 (2007년)
승강장
승강장
운영 정보
노선베를린 순환선
역 번호7736
DS100 코드BSO
IBNR 코드8089327
역 등급4
VBB 구역베를린 A/5555
개업일1912년 10월 1일
전철화1928년 11월 6일
폐쇄1945년 4월 말 ~ 1945년 6월 18일
1980년 9월 18일 ~ 1997년 12월 17일
이전 역명1912년-1939년: 카이저-프리드리히-슈트라세 (Kaiser-Friedrich-Straße)
1939년-1945년: 브라우나우어 슈트라세 (Braunauer Straße)
1945년 7월 이후: 조넨알레 (Sonnenallee)
승강장1개 섬식 승강장
선로 수2
열차 운영S-Bahn Berlin
연결 교통M41 171 N70 N79
주소지크프리트-아우프호이저 광장, 12055 베를린
웹사이트www.bahnhof.de
노선 정보
노선베를린 순환선
영업 거리모아비트 기점 16.5 km
이전 역트레프토어 파르크
이전 역 거리2.2 km
다음 역노이쾰른
다음 역 거리1.2 km

2. 역사

1961년 베를린 장벽 건설로 트레프토어 파르크역 방면 선로가 단절되었다. 동베를린 S반 열차는 베를린-괴를리츠선으로 경로가 조정되었고, 바움슐렌베크-노이쾰른 연결선 상의 쾰니셰 하이데역서베를린 순환선 열차만 이용하는 종착역이 되었다. 조넨알레역 북쪽 선로는 인상선으로 변경되었다.

1980년 서베를린 S반 파업으로 운행이 중단되었고, 1989년 순환선 재건설 공사가 시작되어 대합실 건물 개보수에 이 투입되었다.[8] 동서독 국경 개방 이후 순환선 재건설 계획이 변경되어 순환선-쾰니셰 하이데역-괴를리츠선 연결 대신 순환선 본선 건설이 우선시되었다.[9] 아우토반 100호선 연장으로 노이쾰른-트레프토어 파르크 구간 건설도 지연되었다.[6][10][11] 1997년 3.4km 구간이 복원되어 영업을 시작했고, 버스 환승 개선을 위한 출입구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6] 1인 승무를 위한 ZAT-FM이 도입되었다.[12]

2. 1. 초기 역사 (1871년 ~ 1945년)

1871년 7월 베를린 순환선의 화물선이, 1872년 초에는 여객 열차선이 영업을 시작했다. 1896년 4월부터는 근교선 열차가 별도의 선로로 분리되었다. 1907년 7월에는 당시의 릭스도르프에서 현재의 S반역 근처에 역사 건설을 의뢰했다.[5]

1912년 10월 1일 노이쾰른의 세 번째 역으로 프리드리히 3세의 이름을 딴 카이저프리드리히슈트라세(Kaiser-Friedrich-Straße)역으로 개업했다.[6] 대합실 건물은 라인홀트 킬(Reinhold Kiehl)이 설계했다.[4] 역 건설 시기에 조성 중이었던 쾰니셰 하이데(Köllnische Heide)에 철도 교통을 보급하기 위한 목적이었다.[7] 1928년 11월 6일부터 베를린 S반의 대전철화로 전동차가 운행하기 시작했다.

1938년 5월 11일 카이저프리드리히슈트라세(북쪽)-조넨알레(남쪽) 구간 약 5 km의 도로가 아돌프 히틀러의 고향인 브라우나우암인의 이름을 따서 개명되었고, 1939년 10월 1일에는 이에 따라서 역명이 브라우나우어 슈트라세(Braunauer Straße)역으로 개칭되었다.[6][8] 1945년 4월 베를린 전투 당시 운행이 중단되었고 같은 해 6월 18일에 운행이 재개되었다.[6] 독일국영철도에서는 조넨알레역으로 다시 개칭했고, 1947년 7월 31일에 도로의 이름도 복구되었다.[6]

2. 2. 분단과 재통일 (1945년 ~ 현재)

1945년 베를린 전투로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같은 해 6월 18일에 재개되었다.[6] 독일국영철도는 조넨알레역으로 다시 개칭했고, 1947년 7월 31일에 도로 이름도 복구되었다.[6]

1988년 방치된 승강장


1961년 8월 13일 베를린 장벽 건설로 트레프토어 파르크역 방면 선로가 단절되었다. 동베를린 S반 열차는 베를린-괴를리츠선으로 경로가 조정되었으며, 바움슐렌베크-노이쾰른 연결선 상의 쾰니셰 하이데역서베를린 순환선 열차만의 종착역이 되었다. 조넨알레역 북쪽 선로는 인상선으로 변경되었다.

1980년 서베를린 S반 파업 이후 1980년 9월 18일부터 운행이 중단되었다. 1989년 순환선 재건설 공사가 시작되었고, 대합실 건물 개보수에 이 투입되었다.[8] 동서독 국경이 개방되면서 순환선 재건설 계획이 변경되어 순환선-쾰니셰 하이데역-괴를리츠선 연결 대신 순환선 본선 건설이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게 되었다.[9] 아우토반 100호선 연장 과정에서 노이쾰른-트레프토어 파르크 구간 건설도 지연되었다.[6][10][11] 1997년 12월 18일 조넨알레역 일대 3.4km 구간이 복원되어 영업을 시작했다. 버스 환승 개선을 위한 추가 출입구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6]

1인 승무를 위한 ZAT-FM이 도입되었다.[12]

3. 인접 지역

에스트렐 호텔

4. 인접 철도역

노선종별이전 역다음 역전방면후방면
베를린 S반--트레프토어 파르크노이쾰른반시계방향 순환시계방향 순환


참조

[1] 서적 Eisenbahnatlas Deutschland (German railway atlas) Schweers + Wall
[2] 문서 DBCatsURL
[3] 웹사이트 Der VBB-Tarif: Aufteilung des Verbundgebietes in Tarifwaben und Tarifbereiche https://web.archive.[...] Verkehrsverbund Berlin-Brandenburg 2019-11-26
[4] 문서 LDLBerlin
[5] 서적 Berlins S-Bahnhöfe. Ein dreiviertel Jahrhundert https://archive.org/[...] Be.bra
[6] 웹인용 Sonnenallee https://www.stadtsch[...] 2009-03-15
[7] 문서 "S-Bahn Berlin. Geschichte(n) für unterwegs"
[8] 문서 "Strecke ohne Ende. Die Berliner Ringbahn" Berliner S-Bahn-Museum (Hrsg.)
[9] 문서 "S-Bahn Berlin. Geschichte(n) für unterwegs"
[10] 문서 "Strecke ohne Ende. Die Berliner Ringbahn" Berliner S-Bahn-Museum (Hrsg.)
[11] 문서 "S-Bahn Berlin. Geschichte(n) für unterwegs"
[12] 간행물 Kurzmeldungen – S-Bahn 2014-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