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트남화는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국이 점진적으로 전투 병력을 감축하고 남베트남군(ARVN)의 역량을 강화하여 전쟁의 책임을 이전하려던 외교 정책이다. 닉슨 행정부는 이 정책을 통해 미국의 개입을 축소하고 전쟁을 종결하려 했다. 이 과정에서 캄보디아와 라오스에 대한 군사 작전이 수행되었으며, 국내 정치적 고려와 닉슨 독트린이 영향을 미쳤다. 베트남화 정책은 1973년 파리 평화 협정 체결과 미군 철수로 이어졌으나, 1975년 사이공 함락과 베트남의 통일을 막지 못해 실패로 평가된다.
jaunissement프랑스어는 프랑스어로 '누렇게 변색됨'을 의미하며,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프랑스군이 백인 병력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베트남인을 군에 편입시킨 정책을 가리킨다.[4] 이는 프랑스 극동 원정군(FTEO)의 병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였다. 베트남 병사들은 점차 프랑스군 대대에 통합되었다. 미국의 전쟁 비판론자들은 베트남화를 ''jaunissement''와 비교하기도 했다.[5]
리처드 닉슨 행정부는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의 개입을 줄이고 종결하기 위해 "베트남화" 정책을 추진했다. 이 정책은 "남베트남군을 확장, 장비, 훈련시키고 그들에게 점점 더 많은 전투 임무를 할당하여 미국의 전투 병력을 점진적으로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24]
2. 역사적 배경
린든 B. 존슨 대통령은 국내 문제에 더 집중했으며, 전쟁은 그의 국내 정책 추진에 걸림돌이 되었다. 그는 정치적으로 가능한 선에서 전쟁을 끝내고자 했다. 1967년, 헨리 키신저는 핵군축에 관심 있는 과학자들이 참여하는 퍼그워시 회의에 참석했다. 이 회의에서 세계보건기구 관계자였던 레이몽 오브라크는 호찌민과 친분이 있어, 미국과 북베트남 간의 메시지 전달을 중계하기로 했다.
윌리엄 번디 국무부 차관보와 로버트 맥나마라 국방장관과의 논의 후, 호찌민에게 메시지가 전달되었다. 호찌민은 롤링썬더 작전에 따른 북베트남 폭격이 중단되면 협상에 응하겠다고 밝혔다. 하노이의 파리 외교 대표인 마이 반 보가 연락 담당자로 지정되었고, 키신저가 중재자 역할을 했다. 존슨은 9월 29일 샌안토니오 연설에서 회담 가능성을 언급했지만, 1967년에 다시 제기된 제안은 거부되었다.[1]
린든 B. 존슨 대통령의 퇴임은 전쟁을 종식시키지 못하고 오히려 동남아시아 전역으로 확산시켰다. 테트 공세는 정치적, 언론적 참패였다. 뉴스 진행자 월터 크롱카이트는 테트 공세에 대한 최선의 시나리오로 교착 상태를 보았다고 발표했고, 다른 언론인들도 비용과 지출을 줄이는 축소를 요구했다.[6] 존슨 대통령의 지지율은 급락했고, 그는 3월 31일에 폭격 중단을 선언하며 재선 불출마를 발표했다. 낮은 기대 속에서도 1968년 5월 10일, 존슨은 파리에서 미국과 북베트남 간의 평화 회담을 시작했지만, 전쟁은 계속되었다.
베트콩의 테트 공세 이후 도입된 베트남화 정책은 지상 전투 임무를 중심으로 미군 지상 전투 병력을 감축하는 것을 의미했다. 그러나 미 공군의 공격이나 미국의 대외 군사 원조 정책에 따른 남베트남 지원을 중단하는 것은 아니었다. 테트 공세 이후 미국의 정부 불신은 더욱 심화되었고, 미라이 학살(1968년), 캄보디아 침공(1970년), 펜타곤 문서 유출 사건(1971년) 등으로 더욱 악화되었다.
2. 1.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전쟁과 "황변화"
1950년, 수년간의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이후 프랑스 지휘관들은 백인 사상자를 최소화하기 위해 "황변화"(''jaunissement'')라고 부르는 정책을 채택했다. 당시 이러한 변화는 주로 프랑스군의 극동 지역 부대인 FTEO의 병력 부족 때문이었다. 베트남 병사들이 점진적으로 대대에 통합되었다.[4] 미국 내 전쟁 비판론자들은 베트남화를 ''jaunissement''와 비교했다.[5]
2. 2. 린든 B. 존슨 행정부의 준비
린든 B. 존슨의 주요 관심사는 국내 문제였다. 전쟁은 그의 국내 정책에 방해가 되었고, 그는 정치적으로 가능한 선에서 전쟁을 종식시키기를 원했다. 1967년, 헨리 키신저는 퍼그워시 회의에 참석했다. 이 회의에는 핵군축에 관심 있는 과학자들이 참여했다. 두 명의 참가자가 키신저에게 미국과 공산주의 지도부 사이의 소통 수단을 제공했다. 특히 세계보건기구의 관계자였던 레이몽 오브라크는 호찌민을 알고 있었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동의했다.
국무부 차관보 윌리엄 번디와 국방장관 로버트 맥나마라와 논의한 후 메시지가 전달되었다. 호찌민은 롤링썬더 작전에 따른 북베트남 폭격이 중단되면 협상할 의향이 있다고 말했다. 하노이의 파리 외교 대표인 마이 반 보가 연락 담당자로 지명되었다. 하노이는 폭격 중단 없이는 미국 관리와 소통하지 않을 것이었기 때문에 키신저가 중재자 역할을 했다. 존슨은 9월 29일 샌안토니오에서 연설을 통해 회담 가능성을 제시했다. 비록 1967년에 다시 제기되었지만, 이는 거부되었다.[1]
2. 3. 미국화 정책의 종식
린든 B. 존슨의 퇴임은 전쟁을 종식시키지 못했고, 오히려 동남아시아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테트 공세(1968년)는 정치적, 언론적 참패였다. 뉴스 진행자 월터 크롱카이트는 테트 공세에 대한 최선의 시나리오로 교착 상태를 보았다고 발표했다. 다른 언론인들도 비용과 지출을 줄이는 축소를 촉구했다.[6] 존슨 대통령의 인기는 급락했고, 그는 3월 31일에 폭격 중단을 선언하는 동시에 재선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낮은 기대에도 불구하고, 1968년 5월 10일 존슨은 파리에서 미국과 북베트남 간의 평화 회담을 시작했다. 그러나 전쟁은 계속되었다.
베트콩의 테트 공세를 받아 도입된 베트남화 정책은 특히 지상 전투 임무에 초점을 맞춘 미군 지상 전투 병력의 감축을 의미했지만, 미 공군의 공격이나 미국의 외국 군사 원조 기관의 정책에 따른 남베트남에 대한 지원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었다. 미국의 정부 불신은 테트 공세 이후 특히 고조되었고, 미라이 마을 학살 사건(미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 보도(1968년), 캄보디아 침공(1970년), 펜타곤 문서 유출 사건(1971년) 등의 사건으로 더욱 악화되었다.
3. 닉슨 행정부의 정책 방향
베트콩의 테트 공세 이후 미라이 마을 학살 사건, 캄보디아 침공, 펜타곤 페이퍼스 유출 등의 사건으로 미국의 정부 불신은 더욱 커졌다.
1969년 1월 28일, 미국 국가 안보 회의에서 남베트남 군사 원조 사령부 사령관 클레이튼 에이브럼스의 부관 앤드류 굿파스터는 베트남 공화국군이 강화되고 있어 전쟁을 "비미국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멜빈 레이어드 국방장관은 이에 동의하며 "베트남화"라는 표현을 제안했고, 닉슨 대통령도 이를 채택했다.
닉슨은 베트남화를 "남베트남 군대를 인원, 장비, 지휘력, 전투 기술 면에서 강화하는 것"과 "남베트남의 평화화 프로그램(민간에 대한 군사 원조) 확대"라는 두 가지 요소로 보았다.[26]
베트남화는 닉슨 독트린을 발표한 닉슨 행정부의 광범위한 데탕트 정책의 일환이었다. 미국은 공산주의 봉쇄 대신 협력적인 세계 질서를 추구했으며, 소비에트 연방,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를 남베트남보다 중요하게 여겼다.[25] 닉슨은 헨리 키신저를 통해 소비에트 연방의 아나톨리 도브리닌과 외교 협상을 지시하고, 중화인민공화국과 각료급 접촉을 시작했다.
3. 1. 옵션 분석
닉슨(Richard Nixon) 행정부 시절, 닉슨의 최고 자문관인 헨리 키신저(Henry Kissinger)는 랜드 코퍼레이션(Rand Corporation)에 대니얼 엘즈버그(Daniel Ellsberg)가 작성한 정책 옵션 목록을 제공해 줄 것을 요청했다. 보고서를 받은 키신저와 셸링은 엘즈버그에게 승리 옵션이 없는 이유를 물었고, 엘즈버그는 "베트남에서 승리할 수 있는 옵션은 없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답했다. 엘즈버그는 결국 철수 옵션을 보냈지만, 키신저는 패배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을 배포하지 않았다. 비록 비공식적으로는 미국이 어려운 처지에 놓여 있고 우선순위를 정해야 한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었다.[7][8]
소련 대사 아나톨리 도브리닌(Anatoliy Dobrynin)이 작성한 미국 대사와 키신저 간의 논의 기록에 따르면, 미국의 핵심 입장은 파리 회담에서 여전히 진전이 있어야 하며, 국내 정치적 이유로 닉슨은 "하노이가 새로운 조치를 취하고 더 유연한 입장을 취하기로 결정할 때까지 1년이나 기다릴 수 없다"는 것이었다. 도브리닌은 미국이 파리 평화 회담을 두 부분으로 나누려는 시도를 중단해야 한다는 소련의 입장을 표명했다.
그러나 도브리닌은 미국이 지상군을 투입하지 않는 군사력을 사용할 의향이 있는 정도를 오해했고, 이는 결국 라인배커 II 작전(Operation Linebacker II)으로 이어졌다.[2]
1968년 파리 평화 회담이 시작되었지만, 결론을 내리지는 못했다. 1969년 1월 28일 열린 국가 안보 회의에서 남베트남 군사 원조 사령부 사령관 클레이튼 에이브럼스(클레이튼 에이브럼스) 대장의 부관 앤드류 굿파스터(앤드류 굿파스터) 대장은 베트남 공화국군이 꾸준히 강화되고 있으며, 전쟁을 "비미국화"할 수 있는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고 말했다. 멜빈 레이어드(멜빈 레이어드) 국방장관은 동의했지만, 표현에는 동의하지 않고 "필요한 것은 '''''베트남화'''''라는 표현으로, 올바른 문제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1969년 취임한 리처드 닉슨(리처드 닉슨대통령)은 곧 레이어드의 말을 마음에 들어 했다.
베트남화 정책은 "닉슨 독트린"을 발표한 닉슨 행정부의 광범위한 데탕트 정책의 일환이었으며, 미국은 더 이상 공산주의 봉쇄를 기본 전략으로 보지 않고, 닉슨과 그의 주요 고문 헨리 키신저(헨리 키신저)에 의해 광범위한 사회 구조와 세계 열강에 초점을 맞춘 협력적인 세계 질서를 목표로 했다.[25] 닉슨은 키신저에게 소비에트 연방의 정치가 아나톨리 도브리닌(아나톨리 도브리닌)과의 외교 협상을 지시했다. 또한, 닉슨은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각료급 접촉을 시작했다.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는 남베트남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로 여겨졌다.
닉슨은 베트남화에는 두 가지 요소가 있다고 했다. 첫째는 "남베트남 군대를 인원, 장비, 지휘력, 전투 기술 면에서 강화하는 것", 둘째는 "남베트남의 평화화 프로그램(즉, 민간에 대한 군사 원조)의 확대"이다. 첫 번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미국의 헬리콥터가 지원 비행을 하게 되었지만, 헬리콥터 작전은 지상 작전의 일부이기 때문에 미국군의 인원을 끌어들일 수 없었다. 따라서 베트남 공화국군(ARVN)의 선발 인원이 미국의 헬리콥터 훈련학교에 입교하여 작전을 이어받는 훈련을 받았다. 데이브 파머(데이브 파머) 중장에 따르면, ARVN의 선발 인원이 미국의 헬리콥터 훈련학교에서 자격을 얻으려면, 먼저 영어를 배워야 하며, 수개월에 걸친 훈련과 현장 실습을 거쳐 ARVN의 실전 능력을 유지하려면 최소 2년이 걸린다고 했다.[26] 파머는 "시간과 자원이 있다면 첫 번째 요소가 달성 가능하다는 의견에는 이견이 없지만, 두 번째 요소인 평화화는 본질적인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그것은 정부가 항상 적극적이고 관대한 행동을 해야 했던 지역에서 정부의 관대한 행동이 필요하며, 특히 베트남화 정책이 기능하려면 그 두 가지가 모두 필요했다"라고 말했다.
3. 2. 국내 정치적 측면
베트남화 과정은 닉슨의 국내 정치적 입지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닉슨은 43.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고, 멀빈 레어드 국방장관은 국내 지지율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실제로 그는 전쟁에 대한 미국 국민의 불만을 감지할 수 있었다.[8] 닉슨 자신도 미군 사상자 수의 증가가 전쟁 지지율을 낮춘다고 믿었다. 그의 행정부 인사들은 아시아 강국을 상대로 한 소모전은 서구 강국에 비해 더 많은 사상자를 감수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가 없다고 생각했다.[10]
좌파에서는 풀브라이트 상원의원(상원 외교 위원장)이 베트남화가 사상자 수를 줄이기에 충분하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 현재 정책은 미국을 베트남에 계속 발목 잡아둘 것이며, 살상과 비용은 무기한으로 계속될 것입니다.[11]
1969년 1월 28일, 국가 안보 회의에서 클레이튼 에이브럼스 남베트남 군사 원조 사령부 사령관의 부관 앤드류 굿파스터 대장은 베트남 공화국군(ARVN)이 꾸준히 강화되고 있으며, 전쟁을 "비미국화"할 수 있는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고 말했다. 레이어드 국방장관은 이에 동의했지만, 표현에는 동의하지 않고 "필요한 것은 ''''베트남화''''(ベトナミゼーション)라는 표현으로, 올바른 문제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1969년에 취임한 닉슨 대통령은 곧 레이어드의 말을 마음에 들어 했다.
베트남화 정책은 닉슨 독트린을 발표한 닉슨 행정부의 광범위한 데탕트 정책의 일환이었다. 미국은 더 이상 공산주의 봉쇄를 기본 전략으로 보지 않고, 닉슨과 그의 주요 고문 헨리 키신저는 협력적인 세계 질서를 목표로 했다.[25] 닉슨은 키신저에게 소비에트 연방의 정치가 아나톨리 도브리닌과의 외교 협상을 지시했다. 또한, 닉슨은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각료급 접촉을 시작했다.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는 남베트남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로 여겨졌다.
3. 3. 닉슨 독트린과 데탕트
베트남 전쟁 당시 리처드 닉슨 행정부가 추진한 "베트남화" 정책은 닉슨 독트린을 발표한 닉슨 행정부의 광범위한 데탕트 정책의 일환이었다. 미국은 더 이상 공산주의 봉쇄를 기본 전략으로 보지 않고, 닉슨과 그의 주요 고문 헨리 키신저는 광범위한 사회 구조와 세계 열강에 초점을 맞춘 협력적인 세계 질서를 목표로 했다.[25]
닉슨은 헨리 키신저에게 소비에트 연방의 정치가 아나톨리 도브리닌과의 외교 협상을 지시했다. 또한, 닉슨은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각료급 접촉을 시작했다.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는 남베트남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로 여겨졌다.
4. 베트남화 정책의 전개
리처드 닉슨 행정부는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의 개입을 종결시키기 위해 "남베트남군을 확장, 장비, 훈련시키고 그들에게 점점 더 많은 전투 임무를 할당하여 미국의 전투 병력을 점진적으로 감축하는" 베트남화 정책을 추진했다.[24]
베트콩의 테트 공세 이후, 미라이 마을 학살 사건, 캄보디아 침공, 펜타곤 문서 유출 등의 사건으로 미국의 정부 불신은 더욱 커졌다.
1969년 1월, 국가 안보 회의에서 멜빈 레이어드 미국 국방장관은 "베트남화"라는 표현을 제안했고, 닉슨 대통령은 이를 채택했다. 베트남화는 닉슨 독트린으로 대표되는 데탕트 정책의 일환으로, 미국은 소비에트 연방,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를 남베트남보다 중요하게 여겼다.[25]
닉슨은 베트남화를 "남베트남 군대 강화"와 "평화화 프로그램(민간에 대한 군사 원조) 확대"라는 두 가지 요소로 설명했다.[26] 그러나 데이브 파머 중장은 평화화 프로그램의 성공을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이고 관대한 행동이 필요하며, 이는 쉽지 않은 과제라고 지적했다.[26]
1970년과 1971년, 미국은 캄보디아와 라오스로 군사 작전을 확대했다.[25][26] 1973년 파리협정 체결 후 미군이 철수했지만, 북베트남은 협정을 무시하고 남침,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호찌민시(사이공)가 함락되었고, 1976년 베트남은 통일되었다.
베트남화 정책은 사이공 함락과 베트남 통일을 막지 못해 실패로 평가된다.
4. 1. 군사적 측면
해병대 재배치는 1969년 중반에 시작되었고, 그해 말까지 3해병사단 전체가 철수했다.[12] 해병대 사령관 레너드 F. 채프먼 주니어 장군은 "나는, 그리고 대부분의 해병대원들도 그렇게 생각했지만, 베트남에서 철수할 때가 왔다고 생각했다"고 회상했다.[12]테트 공세 이후, 월남군 부대는 베트콩이 장악했던 지역을 장악할 수 있었다. 남부 베트콩 부대의 쩐반자 장군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우리는 특히 여러 계층의 간부들에 대해 인력과 물자 측면에서 큰 희생과 손실을 입었고, 이는 우리를 분명히 약화시켰다. 그 후 우리는 얻었던 이득을 유지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1969년과 1970년에 수많은 어려움을 극복해야 했다.[13]
일부 월남군 부대, 특히 미국군과 긴밀히 협력하거나 미국 시설을 사용했던 부대는 해당 지역에서 신속하게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었다. 다른 월남군 부대는 더 큰 어려움에 직면했다. 예를 들어, 월남군 제5사단은 기존 기지인 푸꾸옹(Phu Cuong)에서 미국 제1보병사단의 라이케(Lai Khê) 기지로 이동하라는 지시를 받았고, 미국 사단은 동남쪽 디안(Dĩ An)으로 이동했다. 월남군 부대는 이전의 작전 책임을 유지해야 했지만, 표준적인 미국 사단보다 헬리콥터가 훨씬 더 잘 갖춰진 사단을 대체해야 했다.[14]
1968년 파리 평화 회담이 시작되었지만, 결론을 내리지는 못했다. 1969년 1월 28일 열린 국가 안보 회의에서 남베트남 군사 원조 사령부 사령관 클레이튼 에이브럼스(클레이튼 에이브럼스) 대장의 부관 앤드류 굿파스터(앤드류 굿파스터) 대장은 베트남 공화국군(ARVN)이 꾸준히 강화되고 있으며, 전쟁을 "비미국화"할 수 있는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고 말했다. 멜빈 레이어드 미국 국방장관은 동의했지만, 표현에는 동의하지 않고 "필요한 것은 ''''베트남화''''(ベトナミゼーション)라는 표현으로, 올바른 문제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1969년 취임한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곧 레이어드의 말을 마음에 들어 했다.
베트남화 정책은 "닉슨 독트린"을 발표한 닉슨 행정부의 광범위한 데탕트 정책의 일환이었다. 닉슨은 베트남화에는 "남베트남 군대를 인원, 장비, 지휘력, 전투 기술 면에서 강화하는 것"과 "남베트남의 평화화 프로그램(즉, 민간에 대한 군사 원조)의 확대"라는 두 가지 요소가 있다고 했다. 첫 번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미국의 헬리콥터가 지원 비행을 하게 되었지만, 헬리콥터 작전은 지상 작전의 일부이기 때문에 미국군의 인원을 끌어들일 수 없었다. 따라서 ARVN의 선발 인원이 미국의 헬리콥터 훈련학교에 입교하여 작전을 이어받는 훈련을 받았다. 데이브 파머(데이브 파머) 중장에 따르면, ARVN의 선발 인원이 미국의 헬리콥터 훈련학교에서 자격을 얻으려면 먼저 영어를 배워야 했으며, 수개월에 걸친 훈련과 현장 실습을 거쳐 ARVN의 실전 능력을 유지하려면 최소 2년이 걸린다고 했다.[26]
1970년부터 그 이듬해까지 미국은 캄보디아와 라오스에도 군사 침공하여 전황을 더욱 악화시켰다. 1973년 미-월 사이에 파리협정이 조인되고, 3월 29일에 철수가 완료되어 미국의 베트남 전쟁은 종료되었다. 그 후에는 휴전 협정을 무시하고 북베트남이 남쪽으로의 침공을 가속화하여,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닉슨 대통령이 사임하는 와중에,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호찌민시(사이공)가 함락되었고, 이듬해인 1976년 7월 2일에 베트남은 재통일되었다.
베트남화 정책은 순조롭게 실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최종적으로는 강화된 ARVN군과 축소된 미국군 및 동맹국 세력으로는 사이공 함락과 그 후의 남북 베트남 통일로 인한 베트남(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의 창설을 막을 수 없었다는 점에서 실패였다고 평가되었다.
4. 2. 캄보디아 및 라오스 군사 작전
1969년, 닉슨은 북베트남군이 안전지대로 사용해 온 캄보디아의 베트남 인민군(PAVN) 기지와 보급로를 공격하기 위해 B-52 폭격을 명령했다. 캄보디아 폭격 명령은 기밀이었으며, 미국 언론과 의회로부터 비밀로 유지되었다. 한 번의 폭격 작전에서 각 B-52 폭격기는 보통 약 19050.86kg의 폭탄을 투하했고, 각 작전에는 3대 또는 6대의 폭격기가 참여했다.[15]북베트남군의 많은 침투가 캄보디아를 통해 이루어졌다. 닉슨은 미군 지상군이 남베트남에 주둔하는 동안 캄보디아에 대한 비밀 폭격을 승인했다. 1970년 3월 론 놀(Lon Nol) 장군은 노로돔 시하누크(Norodom Sihanouk) 왕자를 축출했는데, 시하누크 왕자는 북베트남 인민군(PAVN)의 자국 이용을 알면서도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16]
1970년 4월 30일, 캄보디아를 장악하려는 공산주의자들의 시도에 대응하여 닉슨 대통령은 베트남 공화국군(ARVN)과 미군의 대규모 캄보디아 침공을 발표했다. 이는 인민군(PAVN) 사령부와 탄약고를 직접 타격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해당 지역은 ARVN 제3군단 작전 지역과 인접해 있었다.[17][18]
작전은 5월 1일에 시작되었다. 미군 슈메이커 특수부대(제1기병사단 소속)는 캄보디아 피시훅 지역에서 B-52 폭격을 실시했다. 슈메이커 특수부대는 ARVN 공수여단과 함께 작전을 수행했다. 별도로 ARVN은 파롯의 부리 지역에서 작전을 수행했다. 제3군단 작전 지역 사령관이자 가장 눈에 띄는 ARVN 지휘관인 도 카오 트리는 ARVN의 가장 깊숙한 진격을 독려했다.
이 침공은 폴 포트와 그의 크메르 루주에 의한 캄보디아의 즉각적인 장악을 막았고, 시아누크빌 항구에서 인민군의 보급로를 차단했다. 크메르 루주는 북베트남 후원자들과 결별하고 중국과 연합했다. 이로 인해 미국의 개입이 미국 국민에게 가시적으로 드러나면서 켄트 주립대학교 총격 사건을 포함한 강렬한 시위가 발생했다.
1970년부터 그 이듬해까지 미국은 캄보디아(캄보디아)와 라오스(라오스)에도 군사 침공하여 전황을 더욱 악화시켰다.[25][26]
4. 3. 정보 및 보안 문제
닉슨 행정부 시절, 헨리 키신저는 랜드 코퍼레이션에 정책 옵션 목록을 요청했고, 대니얼 엘즈버그는 베트남에서 승리할 수 있는 옵션은 없다고 답했다.[7][8] 소련 대사 아나톨리 도브리닌과 미국 대사 및 키신저 간의 논의 기록에 따르면, 미국의 핵심 입장은 파리 회담에서 진전이 있어야 하며, 닉슨은 국내 정치적 이유로 1년을 기다릴 수 없다는 것이었다. 도브리닌은 미국이 파리 평화 회담을 군사 문제와 정치 문제로 나누려는 시도를 중단해야 한다는 소련의 입장을 표명했다.[9]미국 정보 수집 시스템의 상당 부분은 남베트남군과 공유되지 않았다. 1969년 12월, 베트콩 신호정보 센터와 문서가 발각되면서, 그들이 미국의 허술한 통신 보안을 이용하여 많은 정보를 얻고 있었음이 밝혀졌다.[19] 이는 미 육군 보병이 발견했고, 이 문제는 통신 전문가들에 대해 에이브람스 장군을 격분시켰다. 미 국가안보국(NSA)의 분석은 공산주의자들이 정보를 얻는 방법에 대한 것이었으며, 방첩과 작전 보안에 큰 영향을 미쳤다.
터치다운 작전 자료는 북베트남 정보 시스템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했다. 미 국방정보본부(DIA)에 해당하는 북베트남군(NVA) 기관은 하노이의 중앙 연구국(CRD)이었다. 코스번(COSVN) 정보부는 전술적으로 유용한 자료를 배포했다. 그들의 스파이 활동은 군사 정보국(MIS)의 통제하에 있었고, 이는 CRD의 전략 정보국(SIS)이 지휘했다.
4. 4. 북베트남과의 직접 협상
린든 B. 존슨 대통령은 국내 문제에 더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베트남 전쟁은 그의 국내 정책 추진에 걸림돌이 되었다. 그는 정치적으로 গ্রহণযোগ্য한 방식으로 전쟁을 끝내기를 원했다.1967년, 헨리 키신저는 퍼그워시 회의에 참석했다. 이 회의에는 핵군축에 관심 있는 과학자들이 참여했다. 회의 참가자 중 두 명이 키신저에게 미국과 공산주의 지도부 사이의 비밀스러운 소통 창구를 제안했다. 특히 세계보건기구 관계자였던 레이몽 오브라크는 호찌민과 친분이 있었고, 메시지 전달에 동의했다.
윌리엄 번디 국무부 차관보와 로버트 맥나마라 국방장관과의 논의 후, 메시지가 전달되었다. 호찌민은 롤링썬더 작전에 따른 북베트남 폭격이 중단되면 협상에 응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하노이의 파리 외교 대표인 마이 반 보가 연락 담당자로 지정되었다. 하노이는 폭격 중단 없이는 미국 관리와 대화하지 않겠다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키신저가 중재자 역할을 수행했다. 존슨 대통령은 1967년 9월 29일 샌안토니오 연설에서 회담 가능성을 제안했으나, 이는 거부되었다.[20]
4. 5. 람선 719 작전의 실패 (1971)
람선 719 작전은 남베트남군(ARVN) 지상군, 미군 공군 및 포병 지원, 그리고 미군 고문 및 물류 지원에 의존해야 했다. 이 작전은 남베트남이 스스로 전쟁을 수행하고 승리할 수 있도록 무기, 훈련 및 자금을 제공하는 베트남화 정책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17]황선람 장군은 군사적 재능보다는 응우옌반티우에 대한 충성심으로 더 잘 알려져 있었으며, 작전을 지휘했다. 남베트남군은 북베트남군 정규군을 물리칠 수 없었고, 대규모 작전 수행 경험 부족, 병력 과소평가, 유능함보다는 충성심을 중시하는 환경 등의 문제가 있었다. 티우는 쿠데타를 우려하여 유능한 지휘관을 중용하지 않았고, 이는 작전 실패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17]
티우는 제1군단 작전구역 사령관인 황선람을 ARVN에서 가장 존경받는 전투 사령관인 도까오찌로 교체했지만, 도까오찌는 작전 투입 직후 헬리콥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 이 추락 사고는 저고도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기계 고장 또는 적의 공격으로 추락했다는 주장이 있다.[17]
미국 계획자들이 필요 병력의 절반으로 간주했던 2만 5천 명의 ARVN 병력은 25%의 사상자를 냈는데, 일부 추산에 따르면 50%에 달했다.[21]
5. 베트남화 정책의 결과 및 평가
베트남화 정책은 순조롭게 진행되는 듯 보였으나, 결국 강화된 베트남 공화국군(남베트남군)과 축소된 미군 및 동맹국 세력으로는 사이공 함락과 이후 남북 베트남 통일을 막지 못했다. 1972년 초, 40만 명이 넘는 미군 병력이 철수했으며, 북베트남은 이스터 공세를 감행했다. 미국은 라인배커 1 작전과 라인배커 2 작전을 통해 북베트남을 협상 테이블로 돌아오게 만들었다.[1] 1973년에는 파리 평화 협정이 체결되고 미군 철수가 완료되었으나,[25] 베트남 공화국군은 지휘, 통제, 통신 및 근접 항공 지원 능력에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22] 결국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이 탄생하면서 베트남화 정책은 실패로 평가받았다.
5. 1. 1972년 이스터 공세와 라인배커 작전
1972년 초까지 40만 명이 넘는 미군 병력이 철수했는데, 대부분 전투병이었다. 이는 닉슨이 중국 및 소련과 협상하는 과정에서 현장의 미군을 위태롭게 한다는 인상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었다.[1]북베트남은 남베트남에 대규모 재래식 공격인 이스터 공세를 감행했고, 미국은 라인배커 1 작전에 따라 주요 공군 지원을 제공하여 남베트남군(ARVN)이 상당한 지배권을 회복할 수 있었다. 그 해 말 북베트남이 협상 테이블을 떠나자 닉슨은 파괴적인 라인배커 2 작전을 승인했고, 이는 북베트남을 협상 테이블로 돌아오게 만들었다.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고 모든 미군 전투병이 철수했다.
5. 2. 1973년 파리 평화 협정과 미군 철수
베트남 공화국군은 우수한 지상 전투 부대를 보유하고 있었지만, 사단급 이상의 지휘, 통제 및 통신에 있어 매우 심각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22] 많은 부대가 미군의 공중 지원에 과도하게 의존했고, 베트남 공화국 공군은 대규모 차단 능력을 개발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근접 항공 지원에 대한 질적 수준 또한 제각각이었다.[22]1968년 파리 평화 회담이 시작되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1969년 1월 28일 열린 국가 안보 회의에서 클레이튼 에이브럼스 대장의 부관 앤드류 굿파스터 대장은 베트남 공화국군(ARVN)이 꾸준히 강화되고 있으며, 전쟁을 "비미국화"할 수 있는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고 말했다. 멜빈 레이어드 미국 국방장관은 동의했지만, 표현에는 동의하지 않고 "필요한 것은 '''''베트남화'''''라는 표현으로, 올바른 문제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1969년 취임한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곧 레이어드의 말을 마음에 들어 했다.
닉슨 독트린을 발표한 닉슨 행정부의 광범위한 데탕트 정책의 일환으로 베트남화 정책이 추진되었다. 미국은 더 이상 공산주의 봉쇄를 기본 전략으로 보지 않고, 닉슨과 그의 주요 고문 헨리 키신저는 협력적인 세계 질서를 목표로 했다.[25]
닉슨은 베트남화에는 두 가지 요소가 있다고 했다. 첫째는 "남베트남 군대를 인원, 장비, 지휘력, 전투 기술 면에서 강화하는 것", 둘째는 "남베트남의 평화화 프로그램(즉, 민간에 대한 군사 원조)의 확대"이다.
1973년 미국과 베트남 사이에 파리협정이 체결되고, 3월 29일에 미군 철수가 완료되어 미국에게 베트남 전쟁은 종료되었다.
5. 3. 사이공 함락과 베트남 통일 (1975-1976)
1973년 파리협정이 체결되고, 3월 29일에 미군 철수가 완료되면서 미국의 베트남 전쟁은 끝났다. 그러나 북베트남은 휴전 협정을 무시하고 남쪽으로 침공을 계속했다.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리처드 닉슨 대통령이 사임하는 상황 속에서, 1975년 사이공이 함락되었다.[25] 이듬해인 1976년 7월 2일, 베트남은 재통일되었다.베트남화 정책은 순조롭게 진행되었지만, 결국 강화된 남베트남군과 축소된 미군 및 동맹국 세력으로는 사이공 함락과 이후 남북 베트남 통일을 막지 못했다. 이는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의 탄생으로 이어졌고, 베트남화 정책은 실패로 평가받았다.
참조
[1]
웹사이트
Secretaries of Defense
http://www.defenseli[...]
[2]
간행물
Kissinger conspired with Soviet Ambassador to keep Secretary of State in the Dark
http://www.gwu.edu/~[...]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2007-11-02
[3]
서적
Summons of the Trumpet
https://archive.org/[...]
Presidio Press
[4]
학술지
Le jaunissement de la Légion en Indochine, 1950-1954
https://www.cairn.in[...]
2010
[5]
뉴스
The Failure of Vietnamization by Any Nam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9-08-24
[6]
웹사이트
President Lyndon B. Johnson's Address to the Nation Announcing Steps To Limit the War in Vietnam and Reporting His Decision Not To Seek Reelection
http://www.lbjlib.ut[...]
1968-03-31
[7]
서적
The Perfect War: Technowar in Vietnam
Atlantic Monthly Press
[8]
학술지
Beginning of the End: ARVN and Vietnamisation (1969-72)
https://www.tandfonl[...]
2006
[9]
간행물
Kissinger conspired with Soviet Ambassador to keep Secretary of State in the Dark
http://www.gwu.edu/~[...]
2007-11-02
[10]
학술지
Differing Evaluations of Vietnamization
https://www.jstor.or[...]
1998
[11]
뉴스
Senators doubt Vietnamisation
https://www.proquest[...]
2023-05-09
[12]
웹사이트
1996 Vietnam Symposium: "After the Cold War: Reassessing Vietnam" 18–20 April 1996
http://www.vietnam.t[...]
Vietnam Center and Archive at Texas Tech University
[13]
간행물
Vietnam: History of the Bulwark B2 Theater
http://usacac.army.m[...]
Joint Publications Research Service, Foreign Broadcast Information Service
1983-02-02
[14]
웹사이트
Why Did Vietnamization of The Vietnam War Fail?
http://www.archive.v[...]
2010-04-07
[15]
학술지
The Presidential Decision on the Cambodian Operation: A Case Study in Crisis Management
http://www.airpower.[...]
1971-09-01
[16]
웹사이트
Address to the Nation on the Situation in Southeast Asia
http://www.mekong.ne[...]
1970-04-30
[17]
잡지
The Death of a Fighting General
https://content.time[...]
1971-03-08
[18]
웹사이트
Two Fighting Generals: Generals Do Cao Tri and Nguyen Viet Thanh
http://www.generalhi[...]
Boston Publishing Company
2010-04-07
[19]
학술지
Project touchdown: how we paid the price for lack of communications security in Vietnam - A costly lesson
http://findarticles.[...]
2003
[20]
서적
America at War Since 1945: Politics and Diplomacy in Korea, Vietnam, and the Gulf War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1]
잡지
The Invasion Ends
http://www.time.com/[...]
1971-04-05
[22]
문서
End of Tour Report
http://www.vietnam.t[...]
2021-04-01
[23]
서적
The Fall of South Vietnam: Statements by Vietnamese military and civilian leaders
https://www.rand.org[...]
RAND Corporation
[24]
웹사이트
Secretaries of Defense
http://www.defenseli[...]
[25]
간행물
Kissinger conspired with Soviet Ambassador to keep Secretary of State in the Dark
http://www.gwu.edu/~[...]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2007-11-02
[26]
서적
Summons of the Trumpet
https://archive.org/[...]
Presidio Press
[27]
웹사이트
Secretaries of Defense
http://www.defenseli[...]
[28]
간행물
Kissinger conspired with Soviet Ambassador to keep Secretary of State in the Dark
http://www.gwu.edu/~[...]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2007-11-02
[29]
서적
Summons of the Trumpet
https://archive.org/[...]
Presidio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