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8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베트남 전쟁, 사회적 갈등, 그리고 린든 B. 존슨 대통령의 불출마 선언으로 인해 치열한 경쟁이 펼쳐졌다. 공화당의 리처드 닉슨, 민주당의 휴버트 험프리, 그리고 미국 독립당의 조지 월리스가 주요 후보로 나섰다. 닉슨은 근소한 차이로 승리하여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며, 이 선거는 미국 정치의 지형을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험프리는 선거인단 투표에서 35.5%의 득표율을 기록했고, 1969년 맥거번-프레이저 위원회의 개혁을 통해 민주당의 대통령 후보 선출 방식에도 변화가 생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968년 선거 - 1968년 프랑스 총선 1968년 프랑스 총선은 5월 혁명으로 인한 혼란 속에서 드골 대통령이 국회를 해산하고 치러진 선거로, 우파가 "공산주의 위협"에 맞선 "공화국 방어"를 내세워 압승하고 좌파는 참패했으며, 퐁피두 총리 사임과 쿠브 드 뮈르빌 총리 임명으로 프랑스 정치 지형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1968년 선거 - 제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968년에 실시된 제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는 참의원 의석의 절반을 선출하는 선거로, 지역구와 전국구에서 자유민주당이 다수 의석을 획득했으나 야당도 상당수 의석을 확보했다.
1968년 11월 - 1968년 하계 패럴림픽 1968년 하계 패럴림픽은 이스라엘 텔아비브에서 28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개최되었으며, 론볼이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고 휠체어 농구 여자 팀 경기와 육상 남자 100m 휠체어 경기가 추가되었으며, 미국이 메달 순위 1위를 차지했다.
1968년 11월 - 1968년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 사토 에이사쿠 내각 5년차에 치러진 1968년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는 사토 에이사쿠의 3선 도전과 장기 집권에 대한 비판 속에서 진행되었으며, 1차 투표에서 과반수 득표자가 없어 결선 투표까지 간 끝에 사토 에이사쿠가 승리하여 총재직을 연임하였다.
1968년 미국 - 아폴로 8호 아폴로 8호는 1968년 새턴 V 로켓으로 발사된 미국의 유인 우주 비행 임무로, 인류 최초로 달 궤도를 선회하고 귀환했으며 프랭크 보먼, 짐 러벨, 윌리엄 앤더스 세 명의 우주비행사가 탑승하여 어스라이즈 사진 촬영과 창세기 낭송 등 역사적인 순간을 만들었다.
1968년 미국 - 아폴로 7호 아폴로 7호는 아폴로 1호 화재 사고 이후 재개된 아폴로 계획의 첫 유인 비행으로, 사령선과 기계선의 지구 궤도 비행을 통해 우주선의 신뢰성을 확립하고 미국의 우주선으로부터 첫 TV 생중계 방송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196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역대 최고로 압도적인 표차로 승리한 린든 존슨 대통령은 '가난과의 전쟁'과 인권 입법, 우주탐사 등의 업적을 세웠다.[5][6] 그러나 다문화로 인한 신좌파운동의 등장으로 젊은이들의 시위와 인종갈등으로 인한 폭동으로 여름마다 대도시에서는 수천명이 죽어가고 수억달러의 피해를 입혔다. 심지어 선거가 있던 1968년 4월,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가 암살된 이후로 이는 더욱 격해져 워싱턴 D.C. 백악관 근처에서 기관총이 난사되기에 이르렀다.[5][6]
1968년 당시 현직 대통령인 린든 B. 존슨.
베트남 전쟁은 존슨 대통령의 인기가 급락한 주요 원인이었다.[7] 1967년 말까지 50만 명 이상의 미군이 베트남에서 싸우고 있었고 매달 거의 1,000명의 미국인이 사망하고 훨씬 더 많은 부상자가 발생했다.[7] 징집병은 베트남 주둔 군인의 42%를 차지했지만, 사망자의 58%를 차지했다. 성공이 점점 더 요원해짐에 따라 전쟁에 대한 저항이 커졌다. 존슨은 상황의 심각성을 축소하려는 노력을 반복했음에도 불구하고, 전국 언론은 확장의 높은 비용과 모호한 결과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다.
1968년 1월 초, 미국 국방부 장관 로버트 맥나마라는 북베트남군이 싸울 의지를 잃어가고 있다고 주장하며, 전쟁이 종식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 직후, 북베트남군은 테트 공세를 시작했는데, 이 공세에서 그들과 베트콩의 공산군이 남베트남 전역의 모든 정부 거점을 동시에 공격했다. 이 봉기가 미국의 군사적 승리로 끝났지만, 테트 공세의 규모는 많은 미국인들이 전쟁을 "이길" 수 있는지, 또는 미국에 대한 대가가 가치 있는지 의문을 갖게 했다. 또한, 유권자들은 정부의 전쟁 노력에 대한 평가와 보고를 불신하기 시작했다. 국방부는 수십만 명의 군인을 더 베트남에 파병할 것을 요구했고, 존슨의 지지율은 35% 이하로 떨어졌다. 미국 비밀경호국은 대통령이 미국 대학을 방문하는 것을 거부했고, 그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는 이유로 1968년 민주당 전당대회에 그가 시카고에 나타나는 것을 막았다.[8]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로 12개월만 대통령을 수행한 린든 B. 존슨 대통령은 다음 대선에 도전할 수 있었고, 그에 맞설 민주당 후보는 없어 보였다.
그러나 선거가 있던 1968년 1월 로버트 맥나마라 국방장관이 전쟁을 곧 이길 것이라 호언장담했는데, 며칠 지나지 않아 구정 대공세가 시작되면서 정부에 대한 신뢰도는 땅에 떨어졌고 존슨 대통령은 암살 위협에 대중 앞에 서지도 못할 지경에 이르렀다.[18]
당시 반전을 부르짖던 유진 맥카시 상원의원만이 공개적으로 존슨 대통령에 맞서 출마선언을 했는데, 자신의 지역구이자 예비선거 첫 지역인 뉴햄프셔에 모든 자원을 쏟아부은 그는 반전운동을 하는 학생들의 도움으로 3월 12일 예비선거에서 존슨 49%, 맥카시 42%로 현직 대통령을 상대로 놀라운 선전을 보여준다.[20]
이 뉴햄프셔 예비선거는 존슨 대통령의 취약점을 보여주었고, 4일 후엔 존슨 행정부 정책의 비판자였던 로버트 F. 케네디 상원의원이 출마하게 된다.
이후 부진한 지지율을 보이던 존슨 대통령은 3월 31일 평화협상을 위해 북베트남에 대한 폭격을 중지할 것을 발표하며 대통령 선거 불출마를 선언했다.[22] 이에 휴버트 험프리 부통령이 출마를 선언했으나 예비선거에는 불참하며 전당대회만을 준비했다.
그리하여 예비선거는 케네디와 맥카시의 대결로 흘러갔고, 케네디가 5승, 맥카시가 6승(맞붙었을 땐 케네디 4승, 맥카시 1승)을 기록한 캘리포니아 예비선거 다음날이었던 6월 5일, 케네디 후보가 암살되었다.[36][37]
당초, 현직 린든 B. 존슨 대통령이 무난히 당 후보 지명을 얻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한편, 유진 매카시 상원 의원이 베트남 즉시 철수를 주장하는 반전 강령을 내걸고 입후보했지만, 미미한 후보로 여겨졌다. 그러나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여론이 높아지고 반전 운동이 고조되는 가운데, 매카시는 풀뿌리 운동을 펼쳐 광범위한 지지를 얻었다. 뉴햄프셔주 예비 선거에서 전혀 예상 밖의 높은 득표율로 2위를 차지하여 존슨을 압박한 매카시는 사실상의 승리자로 언론에 다루어지며 '매카시 선풍'을 일으켰다. 이후 존슨은 당의 지명을 요구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매카시 선풍'에 자극받아 로버트 케네디 상원 의원이 입후보를 결정했다. 케네디는 매카시와 마찬가지로 베트남 즉시 철수를 담은 반전 강령을 내걸고, 매카시를 지지하는 층을 잠식함과 동시에 자신의 인지도와 젊은 층 사이에서의 인기를 활용한 운동을 하여, 매카시와 함께 유력 후보로 부상했다. 하지만, 캘리포니아주 예비 선거에서 승리를 거두고 지명 획득을 확신한 찰나, 캘리포니아주 예비 선거의 승리 연설 현장에서 케네디는 암살되었다 (로버트 케네디 암살 사건 참조). 케네디 암살 후, 당내 유력 인사를 중심으로 휴버트 험프리 부통령이 유력하게 여겨졌지만, 부통령으로서 존슨 행정부의 일원이었던 험프리는, 점차 당의 다수를 차지하게 된 반전파에게는 불만이 남는 선택이 되었다. 8월 26일부터 29일까지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열린 당 대회에는 반전 운동가들이 대거 집결하여 회장을 둘러쌌다. 이윽고 그들은 폭도화되어, 리처드 데일리 시카고 시장이 파견한 경찰과 충돌, 유혈 사태가 벌어졌다. 이렇게 최악의 사태가 벌어진 당 대회에서 험프리는 예비 선거에서의 운동을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매카시나 케네디의 뒤를 이은 조지 맥거번 상원 의원을 꺾고 당 후보로 지명되었다.
3. 1. 민주당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로 12개월만 대통령을 수행한 린든 B. 존슨 대통령은 다음 대선에 도전할 수 있었고, 그에 맞설 민주당 후보는 없어 보였다.
그러나 선거가 있던 1968년 1월 로버트 맥나마라 국방장관이 전쟁을 곧 이길 것이라 호언장담했는데, 며칠 지나지 않아 구정 대공세가 시작되면서 정부에 대한 신뢰도는 땅에 떨어졌고 존슨 대통령은 암살 위협에 대중 앞에 서지도 못할 지경에 이르렀다.[18]
당시 반전을 부르짖던 유진 맥카시 상원의원만이 공개적으로 존슨 대통령에 맞서 출마선언을 했는데, 자신의 지역구이자 예비선거 첫 지역인 뉴햄프셔에 모든 자원을 쏟아부은 그는 반전운동을 하는 학생들의 도움으로 3월 12일 예비선거에서 존슨 49%, 맥카시 42%로 현직 대통령을 상대로 놀라운 선전을 보여준다.[20]
이 뉴햄프셔 예비선거는 존슨 대통령의 취약점을 보여주었고, 4일 후엔 존슨 행정부 정책의 비판자였던 로버트 F. 케네디 상원의원이 출마하게 된다.
이후 부진한 지지율을 보이던 존슨 대통령은 3월 31일 평화협상을 위해 북베트남에 대한 폭격을 중지할 것을 발표하며 대통령 선거 불출마를 선언했다.[22] 이에 휴버트 험프리 부통령이 출마를 선언했으나 예비선거에는 불참하며 전당대회만을 준비했다.
그리하여 예비선거는 케네디와 맥카시의 대결로 흘러갔고, 케네디가 5승, 맥카시가 6승(맞붙었을 땐 케네디 4승, 맥카시 1승)을 기록한 캘리포니아 예비선거 다음날이었던 6월 5일, 케네디 후보가 암살되었다.[36][37]
당초, 현직 린든 B. 존슨 대통령이 무난히 당 후보 지명을 얻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한편, 유진 매카시 상원 의원이 베트남 즉시 철수를 주장하는 반전 강령을 내걸고 입후보했지만, 미미한 후보로 여겨졌다. 그러나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여론이 높아지고 반전 운동이 고조되는 가운데, 매카시는 풀뿌리 운동을 펼쳐 광범위한 지지를 얻었다. 뉴햄프셔주 예비 선거에서 전혀 예상 밖의 높은 득표율로 2위를 차지하여 존슨을 압박한 매카시는 사실상의 승리자로 언론에 다루어지며 '매카시 선풍'을 일으켰다. 이후 존슨은 당의 지명을 요구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매카시 선풍'에 자극받아 로버트 케네디 상원 의원이 입후보를 결정했다. 케네디는 매카시와 마찬가지로 베트남 즉시 철수를 담은 반전 강령을 내걸고, 매카시를 지지하는 층을 잠식함과 동시에 자신의 인지도와 젊은 층 사이에서의 인기를 활용한 운동을 하여, 매카시와 함께 유력 후보로 부상했다. 하지만, 캘리포니아주 예비 선거에서 승리를 거두고 지명 획득을 확신한 찰나, 캘리포니아주 예비 선거의 승리 연설 현장에서 케네디는 암살되었다 (로버트 케네디 암살 사건 참조). 케네디 암살 후, 당내 유력 인사를 중심으로 휴버트 험프리 부통령이 유력하게 여겨졌지만, 부통령으로서 존슨 행정부의 일원이었던 험프리는, 점차 당의 다수를 차지하게 된 반전파에게는 불만이 남는 선택이 되었다. 8월 26일부터 29일까지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열린 당 대회에는 반전 운동가들이 대거 집결하여 회장을 둘러쌌다. 이윽고 그들은 폭도화되어, 리처드 데일리 시카고 시장이 파견한 경찰과 충돌, 유혈 사태가 벌어졌다. 이렇게 최악의 사태가 벌어진 당 대회에서 험프리는 예비 선거에서의 운동을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매카시나 케네디의 뒤를 이은 조지 맥거번 상원 의원을 꺾고 당 후보로 지명되었다.
3. 1. 1. 민주당 전당대회
1968년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연설하는 허버트 험프리 부통령과 에드먼드 머스키 미국 상원의원
로버트 케네디의 암살은 경선 구도를 바꾸었다. 허버트 험프리는 당의 전통적인 지지를 받아 유력 후보가 되었지만, 베트남 전쟁에 대한 린든 B. 존슨 대통령의 정책을 지지했기 때문에 당내 많은 반전 세력에게는 인기가 없었다. 케네디의 대의원들은 험프리의 지명을 막기 위해 단일 후보를 지지하는 데 실패했다. 케네디 지지자 중 일부는 유진 매카시에게 갔지만, 많은 대의원들은 예비 경선에서 매카시와 경쟁했던 것을 기억하며 그에게 투표하는 것을 거부했다. 대신 이 대의원들은 조지 맥거번 상원의원의 늦은 출마를 지지했다.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반전 표가 분산되면서 험프리가 지명을 얻는 데 필요한 대의원을 모으는 것이 더 쉬워졌다.
1968년 민주당 전당대회가 시카고에서 열리자 전국 각지에서 온 수천 명의 젊은 활동가들이 베트남 전쟁에 항의하기 위해 시내에 모였다. 8월 28일 저녁, 생방송으로 중계된 충돌에서 미국인들은 시카고 경찰이 콘래드 힐튼 호텔 앞에서 반전 시위대를 잔혹하게 구타하는 모습을 보고 충격을 받았다. 시위대가 "온 세상이 보고 있다"라고 외치는 동안 경찰은 곤봉과 최루탄을 사용하여 시위대를 진압하거나 체포했고,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피를 흘리고 정신을 잃었다. 최루탄은 수많은 호텔 스위트룸으로 흘러 들어갔고, 그중 하나에서 험프리 부통령은 텔레비전으로 이 상황을 지켜보고 있었다. 경찰은 시위대가 던진 병, 돌, 깨진 유리 조각으로 인해 많은 경찰관들이 부상을 입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행동이 정당하다고 말했다. 또한 시위대는 경찰에게 "돼지" 및 기타 비속어로 모욕적인 말을 외쳤다. 반전 시위와 경찰의 폭동은 민주당의 지지 기반을 분열시켰다. 일부는 시위대를 지지하며 경찰이 과도하게 행동한다고 느꼈지만, 다른 사람들은 폭력을 반대하고 경찰을 지지했다. 한편, 전당대회 자체는 리처드 J. 데일리 시카고 시장의 강압적인 전술로 얼룩졌다 (그는 텔레비전에서 에이브러햄 리비코프 코네티컷 출신 상원의원이 시카고 경찰의 과잉 행동을 비난하는 연설을 하자 화를 내며 욕설을 퍼붓는 모습이 보였다). 결국 지명 자체는 허무하게 끝났고, 험프리 부통령은 첫 번째 투표에서 매카시와 맥거번을 손쉽게 제쳤다.
대의원들이 험프리를 지명한 후, 전당대회는 부통령 후보를 선택하는 것으로 전환되었다. 이 자리를 놓고 경쟁한 주요 후보는 에드워드 M. 케네디 매사추세츠 출신 상원의원, 에드먼드 머스키 메인 출신 상원의원, 프레드 R. 해리스 오클라호마 출신 상원의원, 리처드 J. 휴즈 뉴저지 출신 주지사, 테리 샌포드 노스캐롤라이나 출신 주지사, 조셉 알리토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시장, 사이러스 밴스 전 국방부 차관, 서전트 슈라이버 메릴랜드 출신 대사 등이었다. 또 다른 아이디어는 가장 진보적인 공화당원 중 한 명인 넬슨 록펠러 뉴욕 주지사를 영입하는 것이었다. 테드 케네디는 험프리가 가장 먼저 선택했지만, 상원의원은 이를 거절했다. 머스키 상원의원과 해리스 상원의원으로 압축된 후 험프리 부통령은 온건하고 환경론자인 메인 출신 머스키를 지명했다. 전당대회는 이 요청에 동의하여 머스키 상원의원을 험프리의 러닝 메이트로 지명했다.
반전 폭동으로 인한 홍보 효과는 험프리의 선거 운동을 시작부터 무력하게 만들었고, 이후 완전히 회복되지 못했다. 1968년 이전 시카고는 양당의 정치 전당대회를 자주 개최하는 도시였지만, 1968년 이후에는 두 번의 전국 전당대회가 열렸다. 1996년 민주당 전당대회에서는 빌 클린턴이 두 번째 임기를 위해 지명되었고, 2024년 민주당 전당대회에서는 카멀라 해리스가 지명되었다.[45]
1968년 대선에서 공화당의 대선 주자는 리차드 닉슨 전 부통령이었다. 닉슨은 1966년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의 승리를 이끌었으며, 많은 의원들과 주지사들이 그를 지지했다. 그러나 1960년 미국 대통령 선거와 1962년 캘리포니아 주지사 선거에서의 패배는 공화당 지지자들로 하여금 더 확장성 있는 후보를 원하게 만들었다. 1968년 공화당 경선은 닉슨과 조지 롬니 미시간 주지사, 찰스 퍼시 상원의원, 넬슨 록펠러 뉴욕 주지사, 로널드 레이건 캘리포니아 주지사 등이 참여하고 퇴장하는 과정의 연속이었다.[9]
닉슨의 첫 번째 경쟁자는 조지 W. 로니 미시간 주지사였다. 1967년 중반 갤럽 여론 조사에서 닉슨 39%, 로니 25%를 기록했다. 베트남 방문 후, 로니는 루 고든 디트로이트 토크쇼 진행자에게 군대와 외교단에 의해 베트남 전쟁 지지로 "세뇌"되었다고 말했다. 이 발언은 전국적으로 조롱거리가 되었다. 유진 매카시의 반전 공화당 버전을 내세워 출마할 계획이었던 로니는[10] "세뇌" 발언 이후 지지율 하락으로 1968년 2월 28일 사퇴했다.[11]
찰스 퍼시 상원의원 역시 잠재적 위협이었으나, 대통령 후보 지명을 원하지 않게 되면서, 일리노이 대통령 예비 선거에 이름을 기재하는 것을 거부했다.[12]
닉슨은 3월 12일 뉴햄프셔 예비 선거에서 78%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반전 공화당원들은 넬슨 록펠러 뉴욕 주지사의 이름을 기입했고, 록펠러는 11%를 얻어 닉슨의 새로운 경쟁자가 되었다. 록펠러는 원래 출마 의사가 없었고, 미국 상원의 제이콥 자비츠 상원의원을 대통령 후보 경선을 준비시키거나 러닝메이트로 만들 계획이었다. 록펠러가 출마를 결심하자 자비츠는 상원의원 3선 도전으로 방향을 바꿨다.[13] 록펠러는 4월 30일 매사추세츠 예비 선거에서 닉슨과 존 볼페 주지사를 제치고 승리했지만, 다른 주 예비 선거와 전당 대회에서는 부진했다.
1968년 초, 로널드 레이건 캘리포니아 주지사가 닉슨의 주요 경쟁자가 되었다. 5월 14일 네브래스카 예비 선거에서 닉슨 70%, 레이건 21%, 록펠러 5%를 얻었다. 닉슨은 5월 15일 오리건 예비 선거에서 65%로 승리했고, 6월 4일 캘리포니아 예비 선거를 제외한 모든 예비 선거에서 승리했다. 레이건은 캘리포니아에서 승리했지만, 다른 주 예비 선거에서 부진하여 대의원 확보에서 닉슨에게 뒤쳐졌다.
1968년 8월, 공화당 전당대회는 리차드 닉슨 전 부통령을 대통령 후보로, 스피로 애그뉴메릴랜드주 주지사를 부통령 후보로 선출하였다.[14]
1968년 공화당 전당대회가 8월 5일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비치에서 열렸을 때, AP통신(Associated Press)은 닉슨이 656명의 대의원 표를 확보했다고 추정했는데, 이는 그가 지명받는 데 필요한 표보다 11표 부족한 수치였다. 로날드 레이건과 넬슨 록펠러는 그의 유일한 경쟁자였고, 그들은 "닉슨 저지" 운동으로 세력을 규합할 계획이었다.
배리 골드워터가 딥 사우스에서 선전했기 때문에, 1968년 공화당 전당대회의 대의원들은 과거 전당대회보다 더 많은 남부 보수주의자들을 포함했다. 첫 투표에서 승자가 나오지 않을 경우, 보수주의자인 레이건이 지명될 가능성이 있어 보였다. 닉슨은 1964년에 정당을 바꾼 사우스캐롤라이나 상원의원 스트롬 서먼드의 도움을 받아 첫 투표에서 간신히 지명을 확보했다.[14] 그는 다크 호스인 스피로 애그뉴 메릴랜드 주지사를 러닝 메이트로 선택했는데, 닉슨은 이 선택이 북부 온건파와 민주당에 불만을 품은 남부 사람들에게 모두 어필하여 당을 통합할 것이라고 믿었다.[14]
닉슨의 러닝 메이트에 대한 첫 번째 선택은 오랫동안 친구이자 동맹이었던 당시 캘리포니아 부지사였던 로버트 핀치였다고 한다. 핀치는 그 제안을 거절했지만, 나중에 닉슨 행정부에서 미국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베트남이 핵심 쟁점이었기 때문에, 닉슨은 1960년 러닝 메이트였던 전 미국 상원의원, UN 대사, 두 번이나 남베트남 대사를 지낸 헨리 캐벗 로지 주니어를 강력하게 고려했다.
당의 유력 인사들은 많은 문제를 안고 있었다. 리차드 닉슨 전 부통령은 공화당원들 사이에서 기대가 컸지만, 1962년 캘리포니아주 주지사 선거에서의 패배로 정치 생명이 끝났다고 여겨졌다. 넬슨 록펠러뉴욕주 주지사는 자신의 이혼으로 인기를 잃었다. 또한 지난 후보, 배리 골드워터 상원 의원은 지난 선거에서의 참패로 다시 후보로 거론되지 않았다. 이러한 가운데, 조지 로무니 미시간주 주지사가, 기업계에서의 성공과 주지사로서의 높은 평가를 바탕으로 유력 후보가 되었다. 그러나 베트남 전쟁을 둘러싼 그의 발언이 부적절하여 지지를 잃고 철수를 할 수 밖에 없었다. 일리노이주 출신의 찰스 퍼시 상원 의원, 존 린지 뉴욕 시장 등의 이름도 거론되었지만, 출마를 표명하지 않았다. 로무니가 철수한 후, 출마를 표명했던 닉슨, 레이건 두 후보와 급히 출마를 표명한 록펠러의 세 유력 후보가 경쟁했지만, 시종일관 닉슨이 리드했다. 8월 5일부터 8일까지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비치에서 열린 당 대회에서 닉슨은 1차 투표에서 후보로 지명되어 부활을 이뤘다.
부통령 후보로는 로무니나 지명을 다퉜던 록펠러, 레이건이 거론되었고, 제럴드 포드 하원 원내총무는 린지를 공식 추천했다. 그러나 닉슨은 이들 거물 후보가 아닌, 전국적으로 무명인 스피로 애그뉴메릴랜드주 주지사를 부통령 후보로 선택했다.
2020년 대통령 선거 기준으로, 1968년은 두 형제(넬슨과 윈throp 록펠러)가 대통령 예비 선거에서 서로 경쟁한 마지막 해였다.
3. 3. 미국독립당
1967년 빌과 에일린 시어러 부부에 의해 창당된 미국독립당은 인종차별에 대한 연방정부의 간섭을 반대하며, 민주당 출신의 조지 월리스 전 앨라배마 주지사를 대통령 후보로 추대했다.[52][53] 월리스는 1968년 대선 후보 중 젊은 남성들과 북부 및 중서부의 블루칼라 노동자들에게 인기가 높았다.
94x94px
조지 월리스
커티스 르메이
200x200px
월리스의 전략은 승리가 아니라 선거인단을 확보해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하는 것이었다. 그는 딥 사우스의 여러 주에서 선거인단을 확보했지만, 사우스 이외의 주에서는 승리하지 못했다. 월리스는 자신의 선거인단에게 반드시 자신을 지지할 필요는 없지만, 그가 지지하도록 지시하는 사람에게 투표할 것을 약속하도록 했다. 그의 목표는 선거를 미국 하원으로 가져가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었다.
월리스의 러닝메이트는 퇴역한 4성 장군 커티스 르메이였다. 르메이를 결정하기 전에 월리스는 켄터키 출신 A. B. 해피 챈들러를 러닝메이트로 고려했으나, 인종 문제에 대한 입장 차이로 인해 무산되었다.[54][55] 월리스는 베트남 전쟁에 대해 "90일 이내에 승리할 수 없다면" 철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57] 르메이가 전쟁을 이기기 위해 핵무기를 사용할 것이라는 암시로 인해 그의 입장은 가려졌다.
4. 선거 과정
8월 말 민주당 전당대회 이후, 험프리는 대부분의 여론 조사에서 닉슨에게 두 자릿수 격차로 뒤쳐져 그의 승산은 절망적으로 보였다.[92] ''타임'' 지에 따르면, "오래된 민주당 연합이 붕괴되고 있었고, 엄청난 수의 블루칼라 노동자들이 윌리스의 감언이설에 반응했으며, 흑인들은 선거 불참을 위협했고, 자유주의자들은 베트남 전쟁에 불만을 품었으며, 남부 지역은 잃었다. 선거 자금은 거의 바닥났고, 린든 존슨에 의해 방치된 당의 기계 장치는 고장난 상태로 삐걱거렸다."[92] 그러나 "기쁨의 정치"를 외치며, 여전히 강력한 노동조합을 기반으로 삼은 험프리는 반격에 나섰다.[92] 존슨과의 거리를 두기 위해, 그리고 유권자 등록에서 민주당의 다수성을 활용하기 위해 험프리는 광고에서 "부통령 휴버트 험프리"라는 표기를 중단하고 대신 "민주당 후보 휴버트 험프리"라고 표기했다.[92]
험프리는 윌리스를 미국인들의 어두운 충동에 호소하는 인종차별주의자로 공격했다. 윌리스는 반체제적 수사법과 "집중된 부"에 대한 공격을 사용하여 남부의 아성 밖의 청중에게 메시지를 맞춤으로써 여론 조사에서 상승세를 보였고, 윌리스의 지지율은 9월 말과 10월 초에 전국적으로 21%로 최고조에 달했다. 그러나 윌리스는 커티스 르메이를 러닝메이트로 선택한 후 상승세가 꺾였다. 커티스 르메이가 베트남에서 전술 핵무기 사용을 제안한 것은 1964년 골드워터 선거의 최악의 기억을 떠올리게 했다. 노동조합은 윌리스를 지지하는 조합원들을 다시 끌어들이기 위해 대규모 노력을 기울였고,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1968년 여름에 윌리스가 조합원의 거의 절반을 얻고 있다는 여론 조사 결과는 선거 운동이 가을로 접어들고 11월 초 선거일까지 급격한 하락세를 보였다.[92] 선거일이 다가오고 윌리스의 북부, 중서부, 서부 지역 지지가 약해지면서 험프리는 마침내 여론 조사에서 상승하기 시작했다.
10월, 윌리스의 지지율 하락으로 여론 조사에서 급격히 상승하던 험프리는 베트남 전쟁에 대해 존슨 행정부와 공개적으로 거리를 두기 시작했고, 폭격 중단을 촉구했다. 험프리 선거 운동의 결정적인 전환점은 존슨 대통령이 선거 직전 주말에 공식적으로 폭격 중단과 심지어 평화 협상 가능성을 발표하면서 찾아왔다. 이른바 "할로윈 평화"는 험프리 선거 운동에 절실히 필요한 활력을 불어넣었다. 또한, 유진 매카시 상원의원은 이전에 거부했던 험프리 지지를 10월 말에 마침내 표명했고, 선거 당일 여론 조사에서는 팽팽한 접전이 벌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93]
4. 1. 험프리의 상승과 10월의 이변
8월 말 민주당 전당대회 이후, 험프리는 대부분의 여론 조사에서 닉슨에게 두 자릿수 격차로 뒤쳐져 그의 승산은 절망적으로 보였다.[92] ''타임'' 지에 따르면, "오래된 민주당 연합이 붕괴되고 있었고, 엄청난 수의 블루칼라 노동자들이 윌리스의 감언이설에 반응했으며, 흑인들은 선거 불참을 위협했고, 자유주의자들은 베트남 전쟁에 불만을 품었으며, 남부 지역은 잃었다. 선거 자금은 거의 바닥났고, 린든 존슨에 의해 방치된 당의 기계 장치는 고장난 상태로 삐걱거렸다."[92] 그러나 "기쁨의 정치"를 외치며, 여전히 강력한 노동조합을 기반으로 삼은 험프리는 반격에 나섰다.[92] 존슨과의 거리를 두기 위해, 그리고 유권자 등록에서 민주당의 다수성을 활용하기 위해 험프리는 광고에서 "부통령 휴버트 험프리"라는 표기를 중단하고 대신 "민주당 후보 휴버트 험프리"라고 표기했다.[92]
험프리는 윌리스를 미국인들의 어두운 충동에 호소하는 인종차별주의자로 공격했다. 윌리스는 반체제적 수사법과 "집중된 부"에 대한 공격을 사용하여 남부의 아성 밖의 청중에게 메시지를 맞춤으로써 여론 조사에서 상승세를 보였고, 윌리스의 지지율은 9월 말과 10월 초에 전국적으로 21%로 최고조에 달했다. 그러나 윌리스는 커티스 르메이를 러닝메이트로 선택한 후 상승세가 꺾였다. 커티스 르메이가 베트남에서 전술 핵무기 사용을 제안한 것은 1964년 골드워터 선거의 최악의 기억을 떠올리게 했다. 노동조합은 윌리스를 지지하는 조합원들을 다시 끌어들이기 위해 대규모 노력을 기울였고,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1968년 여름에 윌리스가 조합원의 거의 절반을 얻고 있다는 여론 조사 결과는 선거 운동이 가을로 접어들고 11월 초 선거일까지 급격한 하락세를 보였다.[92] 선거일이 다가오고 윌리스의 북부, 중서부, 서부 지역 지지가 약해지면서 험프리는 마침내 여론 조사에서 상승하기 시작했다.
10월, 윌리스의 지지율 하락으로 여론 조사에서 급격히 상승하던 험프리는 베트남 전쟁에 대해 존슨 행정부와 공개적으로 거리를 두기 시작했고, 폭격 중단을 촉구했다. 험프리 선거 운동의 결정적인 전환점은 존슨 대통령이 선거 직전 주말에 공식적으로 폭격 중단과 심지어 평화 협상 가능성을 발표하면서 찾아왔다. 이른바 "할로윈 평화"는 험프리 선거 운동에 절실히 필요한 활력을 불어넣었다. 또한, 유진 매카시 상원의원은 이전에 거부했던 험프리 지지를 10월 말에 마침내 표명했고, 선거 당일 여론 조사에서는 팽팽한 접전이 벌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93]
5. 선거 결과
wikitext
1968년 11월 5일에 치러진 1968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매우 치열했으며, 다음 날 아침이 되어서야 텔레비전 뉴스 네트워크가 리차드 닉슨의 승리를 선언할 수 있었다.[127] 주요 주들은 캘리포니아, 오하이오, 일리노이였으며, 닉슨은 이 세 주 모두에서 3%포인트 미만의 차이로 승리했다. 만약 휴버트 험프리가 이 세 주 모두를 가져갔다면, 그는 선거에서 승리했을 것이다. 만약 그가 이 중 두 주 또는 캘리포니아만 가져갔다면, 조지 월리스는 어떤 후보도 선거인단 과반수를 확보하지 못하게 하려는 자신의 목표를 달성했을 것이고, 결정은 당시 민주당이 장악하고 있던 미국 하원으로 넘어갔을 것이다. 닉슨은 51만 2천 표의 다수 득표를 얻어 대략 1%포인트의 승리 격차로 일반 투표에서 승리했다. 선거인단 투표에서 닉슨의 승리는 더 컸으며, 그는 301명의 선거인단이 있는 32개 주를 확보했고, 험프리는 13개 주와 191명의 선거인단을, 월리스는 5개 주와 46명의 선거인단을 확보했다.
리차드 닉슨은 선거인단 투표에서 승리하여, 미국 서부, 미국 중서부, 고지대 남부, 그리고 미국 북동부의 일부 지역을 장악했으며, 민주당 후보 휴버트 험프리를 상대로 비교적 적은 51만 1,944표 차이로 일반 투표에서 승리했다. 민주당 후보 휴버트 험프리는 미국 북동부와 상부 중서부에서 비교적 선전했다. 조지 월리스는 딥 사우스에서 5개 주를 얻어 최하위를 기록했다. 그는 어떤 주에서도 승리한 가장 최근의 제3 정당 후보이다. 이는 1896년 이후 공화당의 일반 투표 차이가 5%포인트 미만으로 떨어진 첫 번째 사례이다.
닉슨이 1960년에 가져갔던 모든 주들 중에서 메인과 워싱턴은 1968년에 닉슨에게 다시 투표하지 않은 유일한 두 주였지만, 닉슨은 4년 후인 1972년 재선 캠페인에서 이 두 주를 모두 가져갔다. 그는 또한 1960년에 존 F. 케네디에게 투표했던 8개 주, 즉 일리노이, 뉴저지, 미주리, 노스캐롤라이나, 사우스캐롤라이나, 뉴멕시코, 네바다, 델라웨어를 가져갔다. 이는 1988년까지 워싱턴 주가 민주당에 투표하고, 1992년까지 코네티컷, 메인, 미시간 주가 일반 선거에서 민주당에 투표한 마지막 사례였다. 닉슨은 또한 앨라배마, 아칸소, 루이지애나, 미시시피, 텍사스를 확보하지 않고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 마지막 공화당 후보였다. 이는 공화당 후보가 미시간, 미네소타, 메인, 펜실베이니아를 확보하지 않고 백악관을 차지한 첫 번째 사례이다. 그는 2020년 기준으로 미네소타를 가져간 마지막 공화당 후보가 될 것이다(4년 후인 1972년). 이는 또한 1916년 이후 미네소타가 결국 승리하지 못한 후보에게 투표한 첫 번째 사례이다.
놀랍게도 닉슨은 4년 전 공화당의 배리 골드워터가 승리했던 6개 주 중 단 2개 주(애리조나와 사우스캐롤라이나)만 가져갔음에도 불구하고 선거에서 승리했다. 그는 자신의 당의 주를 그렇게 적게 방어하고도 승리한 유일한 대통령 후보로 남아있다. 배리 골드워터가 가져갔던 나머지 4개 주는 모두 1968년에 조지 월리스가 가져갔다. 그 주들은 1972년에 닉슨이 승리하게 된다. 조지 월리스가 승리한 5개 주 중 4개 주는 배리 골드워터에게 투표했었다.
개표가 완료된 3,130개의 카운티/구역/독립 시 중 닉슨은 1,859개(59.39%)에서 승리했고 험프리는 693개(22.14%)에서 승리했다. 월리스는 578개 카운티(18.47%)에서 승리했으며, 이 중 모든 카운티(미주리주 페미스콧 카운티 한 곳 제외)는 미국 남부에 위치해 있었다.
닉슨은 험프리가 그에게 축하하는 호의적인 메시지를 남겼으며, "그가 정확히 어떤 기분이었을지 압니다. 접전에서 지는 기분이 어떤지 압니다."라고 말했다.
[[파일:https://cdn.onul.works/wiki/source/195043b0039_895c30a9.gif|thumb|right|400px|카운티별 선거 결과.
]]
의회 선거구별 결과.
닉슨의 승리는 종종 미국 정치에서 재편 선거로 여겨진다. 1932년부터 1964년까지 민주당은 의심할 여지 없이 다수당이었으며, 9번의 대통령 선거에서 7번을 승리했고, 그들의 의제는 공화당 아이젠하워 행정부가 수행한 정책에 영향을 미쳤다. 1968년 선거는 상황을 완전히 뒤집었다. 1968년부터 2004년까지 공화당은 10번의 대통령 선거에서 7번을 승리했으며, 그 정책은 민주당 클린턴 행정부가 제3의 길을 통해 제정한 정책에 뚜렷한 영향을 미쳤다.[116][112]
이 선거는 특히 남부에서 민주당 지지세의 장기적인 재편에서 지각 변동을 일으키는 사건이었다.[117] 전국적으로, 시민권, 신좌파, 베트남 전쟁 및 기타 "문화 전쟁"에 대한 격렬한 분열은 쉽게 해결되지 않았다. 민주당은 더 이상 백인 남부의 대통령 지지를 기대할 수 없게 되었고, 공화당은 교외 지역과 북부 이주자가 많은 지역에서 주요 이득을 얻었다.[118] 남부의 농촌 민주당 "법원 파벌"은 권력을 잃었다. 민주당이 남부의 지방 및 주 정치를 장악했지만, 공화당이 대개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했다. 일부 추정에 따르면 험프리는 옛 남부 연합에서 백인 투표의 10% 미만을 얻었고,[119] 다른 자료에서는 이 수치를 20%에 가깝게 제시했다.[120][121] 그럼에도 불구하고, 험프리의 옛 남부 연합 지지자 대다수가 이제 적극적으로 투표하는 흑인 유권자에서 나왔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거의 없다.
1968년부터 2004년까지, 조지아주 출신인 지미 카터와 아칸소주 출신인 빌 클린턴 단 두 명의 민주당원만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며, 둘 다 이 지역의 여러 주에서 승리했다. 1968년 이후 다른 민주당 대통령 후보들은 옛 남부 연합 주에서 매우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 카터와 클린턴 모두 두 번 패배했지만 2008년 이후 민주당이 매번 승리한 버지니아를 제외하고, 1968년 이후 다른 모든 민주당 대통령 후보들은 플로리다 두 번, 노스캐롤라이나와 조지아에서 한 번만 승리했다. 버락 오바마와 조 바이든이 이 주에서 승리한 선거는 또한 1968년 이후 민주당이 대통령직을 차지한 유일한 시기이다.[112][122]
이 선거의 또 다른 중요한 결과는 민주당이 대통령 후보를 선택하는 방식에 여러 개혁을 가져왔다는 것이다. 1969년, 맥거번-프레이저 위원회는 주에서 전당대회 대의원을 선출하는 데 따라야 할 일련의 규칙을 채택했다. 이 규칙은 지명 과정에서 정당 지도자의 영향력을 줄이고 소수, 여성 및 청소년에게 더 많은 대표성을 제공했다. 개혁으로 인해 대부분의 주에서는 정당 지도자 대신 예비 선거를 통해 대의원을 선택하도록 하는 법률을 채택했다.[123]
1968년 이후, 정당의 대통령 후보 지명을 받는 유일한 방법은 예비 선거 과정을 거치는 것이 되었다. 험프리는 2024년에 카멀라 해리스가 나타나기 전까지, 예비 선거에 직접 참여하지 않고 정당의 지명을 받은 마지막 주요 정당 후보가 되었다. 이것은 2024년까지 현직 대통령이 자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통령 임기에 지명되지 않은 가장 최근의 대통령 선거로 남아 있다. 또한 월리스가 5개 주를 획득하면서, 제3 정당 후보가 한 주의 선거인단을 모두 획득한 마지막 선거이기도 하다.[112] 이것은 1800년 이후, 전 부통령과 현 부통령이 주요 정당 후보가 된 미국의 두 번의 사례 중 하나이다. 2024년 현재, 이것은 50개 주와 컬럼비아 특별구 모두가 승자 독식 시스템으로 투표한 마지막 선거이다. 메인 주는 1972년에 의회 선거구별로 선거인단을 할당하기 시작했고, 네브래스카 주는 1992년에 같은 방식을 시작했다.
이 선거는 1992년까지 민주당 후보가 코네티컷, 메인, 미시간에서 승리한 마지막 선거였고, 1988년까지 워싱턴이 민주당에 투표한 마지막 선거였으며, 앨라배마, 아칸소, 루이지애나, 미시시피, 텍사스를 제외하고 공화당이 대통령으로 승리한 마지막 선거였다.[112] 또한 벨웨더 뉴햄프셔주 쿠스 카운티가 승리 후보를 지지하지 않은 것은 1888년 이후 처음이었다.[124] 닉슨은 미네소타, 미시간, 펜실베이니아, 메인을 제외하고 승리한 최초의 공화당원이 되었다. 미네소타는 1916년 이후 패배한 후보를 지지하지 않았다.
이 선거는 1928년 이후 노스캐롤라이나가 공화당에 투표한 첫 번째 사례였고, 1912년 이후 (1852년 이후 두 번째이자 마지막) 메인과 버몬트가 같은 정당을 지지하지 않은 선거였다. 마찬가지로, 오리건과 워싱턴이 1920년 이후 같은 정당을 지지하지 않은 두 번의 선거 중 두 번째 선거였다(다른 하나는 1948년). 뉴욕을 잃으면서 닉슨은 자신의 주에서 패배한 세 번째 승리 후보가 되었으며, 이는 1844년, 1916년 및 2016년에도 발생했다. 이 선거와 1916년은 대통령과 부통령 후보가 각자 자신의 주에서 패배한 유일한 선거이다.
일반 투표에서 근소한 차이(0.7%)에도 불구하고, 험프리는 선거인단 투표에서 35.5%만 얻었다. 이러한 불일치로 인해 의회에서 베이-셀러 수정안이 도입되었으며, 이는 선거인단을 대통령 직접 선거로 대체할 것이었다. 이 노력은 성공하지 못했고 선거인단은 여전히 유효하다.[125]
닉슨의 승리는 미국 정치에서 재편 선거로 평가받는다.[116][112] 1932년부터 1964년까지 민주당은 9번의 대통령 선거 중 7번을 승리하며 다수당의 지위를 누렸으나, 1968년 선거를 기점으로 상황이 역전되었다. 1968년부터 2004년까지 공화당은 10번의 대통령 선거 중 7번을 승리하였으며, 민주당 빌 클린턴 행정부의 정책에도 제3의 길을 통해 영향을 미쳤다.[116][112]
[[파일:https://cdn.onul.works/wiki/source/195043b0039_895c30a9.gif|thumb|right|400px|카운티별 선거 결과.
]]
1968년 선거는 특히 남부에서 민주당 지지세의 장기적인 재편을 가져온 사건이었다.[117] 시민권, 신좌파, 베트남 전쟁 등 "문화 전쟁"으로 인한 분열은 쉽게 해결되지 않았다. 민주당은 백인 남부의 지지를 잃었고, 공화당은 교외 지역과 북부 이주자가 많은 지역에서 주요 이득을 얻었다.[118] 남부의 농촌 민주당 "법원 파벌"은 권력을 잃었다. 민주당이 남부의 지방 및 주 정치를 장악했지만, 공화당이 대개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했다. 험프리는 옛 남부 연합에서 백인 투표의 10% 미만을 얻었다는 평가를 받는다.[119] 다만, 다른 자료에서는 이 수치를 20%에 가깝게 제시하기도 한다.[120][121] 험프리의 옛 남부 연합 지지자 대다수는 흑인 유권자였다는 데는 이견이 거의 없다.
1968년부터 2004년까지 지미 카터와 빌 클린턴만이 민주당 소속으로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며, 이들 모두 남부 여러 주에서 승리했다. 1968년 이후 다른 민주당 대통령 후보들은 옛 남부 연합 주에서 매우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 버락 오바마와 조 바이든이 플로리다, 노스캐롤라이나, 조지아에서 승리한 것을 제외하면, 1968년 이후 민주당은 버지니아를 제외한 남부 주에서 승리하지 못했다.[112][122]
1968년 선거는 민주당의 대통령 후보 선출 방식에 여러 개혁을 가져왔다. 1969년 맥거번-프레이저 위원회는 주에서 전당대회 대의원을 선출하는 규칙을 채택하여 정당 지도자의 영향력을 줄이고 소수, 여성, 청소년에게 더 많은 대표성을 제공했다. 대부분의 주에서는 예비 선거를 통해 대의원을 선출하도록 하는 법률을 채택했다.[123] 1968년 이후, 정당의 대통령 후보 지명을 받는 유일한 방법은 예비 선거 과정을 거치는 것이 되었다.
이 선거는 또한 몇 가지 주목할 만한 기록을 남겼다. 2024년 카멀라 해리스 이전까지, 험프리는 예비 선거에 참여하지 않고 정당의 지명을 받은 마지막 주요 정당 후보였다. 월리스가 5개 주를 획득하면서, 제3 정당 후보가 한 주의 선거인단을 모두 획득한 마지막 선거이기도 하다.[112] 50개 주와 컬럼비아 특별구가 모두 승자 독식 시스템으로 투표한 마지막 선거이며, 메인 주는 1972년부터, 네브래스카 주는 1992년부터 의회 선거구별로 선거인단을 할당하기 시작했다.
1992년까지 민주당 후보가 코네티컷, 메인, 미시간에서 승리한 마지막 선거였고, 1988년까지 워싱턴이 민주당에 투표한 마지막 선거였으며, 앨라배마, 아칸소, 루이지애나, 미시시피, 텍사스를 제외하고 공화당이 대통령으로 승리한 마지막 선거였다.[112] 벨웨더 뉴햄프셔주 쿠스 카운티가 승리 후보를 지지하지 않은 것은 1888년 이후 처음이었다.[124] 닉슨은 미네소타, 미시간, 펜실베이니아, 메인을 제외하고 승리한 최초의 공화당원이 되었다.
일반 투표에서 근소한 차이(0.7%)에도 불구하고, 험프리는 선거인단 투표에서 35.5%만 얻었다. 이러한 불일치로 인해 의회에서 베이-셀러 수정안이 도입되었으나, 성공하지 못했고 선거인단 제도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125]
7. 각주
참조
[1]
웹사이트
National General Election VEP Turnout Rates, 1789-Present
http://www.electproj[...]
CQ Press
2023-02-21
[2]
웹사이트
Voting Rights Act of 1965
https://www.history.[...]
2019-02-01
[3]
뉴스
Biden Had To Fight For The Presidential Nomination. But Most VPs Have To.
https://fivethirtyei[...]
2021-01-26
[4]
뉴스
Why these three states are the most consistent tipping point in American politics
https://www.cnn.com/[...]
CNN
2024-09-16
[5]
서적
Race relations in the United States, 1960–1980
[6]
웹사이트
A Timeline of 1968: The Year That Shattered America
https://www.smithson[...]
2019-02-01
[7]
서적
Fighting in Vietnam: The Experience of the US Soldier
https://books.google[...]
Stackpole Books
2015-11-20
[8]
서적
Fighting Words: A Tale of How Liberals Created Neo-Conservatism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15-11-20
[9]
뉴스
Another Race To the Finish
https://web.archive.[...]
2008-11-24
[10]
뉴스
The New York Times
1968-02-18
[11]
뉴스
The New York Times
1968-02-29
[12]
뉴스
PERCY SHUNNING ACTIVE '68 ROLE – Wants to Stay Off Ballot in Presidential Primaries
https://www.nytimes.[...]
2015-08-25
[13]
뉴스
Javits Says Favorite-Son Choice For '68 Is Still an Open Matter
https://www.nytimes.[...]
2015-08-25
[14]
웹사이트
1968 Year In Review
http://www.upi.com/A[...]
UPI
2010-06-17
[15]
웹사이트
1968 | Presidential Campaigns & Elections Reference
https://presidential[...]
Presidentialcampaignselectionsreference.wordpress.com
2014-11-27
[16]
뉴스
Johnson Can Seek Two Full Terms
1963-11-24
[17]
잡지
Man Of The Year: Lyndon B. Johnson, The Paradox of Power
https://web.archive.[...]
2013-06-22
[18]
웹사이트
Jan 30, 1968: Tet Offensive shakes Cold War confidence
http://www.history.c[...]
History.com:This Day In History
2013-06-22
[19]
Youtube
LBJ and Richard Daley, 1/27/68, 10.58A.
https://www.youtube.[...]
2013-09-06
[20]
웹사이트
Sam Brown discussing his involvement in the "Clean for Gene" campaign
https://archive.toda[...]
2010-07-20
[21]
웹사이트
Remembering 1968: LBJ Surprises Nation With Announcement He Won't Seek Re-Election
https://www.npr.org/[...]
2023-04-15
[22]
잡지
Could Trump Lose the Republican Nomination? Here's the History of Primary Challenges to Incumbent Presidents
https://time.com/568[...]
2019-11-12
[23]
서적
Mutual Contempt: Lyndon Johnson, Robert Kennedy, and the Feud that Defined a Decade
https://books.google[...]
W W Norton
2015-11-20
[24]
서적
1968: The Election That Changed America
https://books.google[...]
Government Institutes
[25]
서적
LBJ: architect of American ambition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5-11-20
[26]
서적
Flawed Giant:Lyndon Johnson and His Times, 1961–1973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7]
서적
The Race for the White House from Reagan to Clinton: Reforming Old Systems, Building New Coalitions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8]
뉴스
Legendary CBS anchor Walter Cronkite dies at 92
https://web.archive.[...]
GMA News
2013-06-22
[29]
뉴스
Broadcast News
https://www.nytimes.[...]
2013-06-22
[30]
뉴스
Chris Matthews invokes the 'if I've lost Cronkite' myth in NYT review
http://mediamythaler[...]
2013-06-22
[31]
서적
A Reporter's Life
Ballantine Books
[32]
서적
This Just In: What I Couldn't Tell You on TV
https://books.google[...]
Putnam Pub Group
2013-06-08
[33]
서적
[34]
논문
Paris peace negotiations: a two level game?
[35]
서적
Nixon and Kissinger
[36]
서적
United States Presidential Primary Elections 1968–1996: A Handbook of Election Statistics
CQ Press
[37]
서적
Encyclopedia of the Sixties: A Decade of Culture and Counterculture
https://books.google[...]
ABC-CLIO
2015-11-20
[38]
웹사이트
Sirhan Sirhan His Own Words
http://www.phillyimc[...]
News.gather.com
2011-11-28
[39]
서적
Robert Kennedy and His Times
1978
[40]
인터뷰
Fresh Air
https://www.npr.org/[...]
WHYY
1998-06-04
[41]
뉴스
In The Nation; Go Slow, Mike Mansfield
1968-06-16
[42]
뉴스
Opinion: Let's Have Conventions With Cliffhangers
https://www.nytimes.[...]
1996-08-11
[43]
서적
No Final Victories: A Life in Politics - from John F. Kennedy to Watergate
Doubleday
1974
[44]
서적
Guide to U.S. Elections
CQ Press
[45]
서적
Guide to U.S. Elections
CQ Press
[46]
뉴스
AllPolitics – 1996 GOP NRC – All The Votes...Really
http://www.cnn.com/A[...]
Cnn.com
[47]
뉴스
Ribicoff Urges Unity With McGovern Vote
https://www.newspape[...]
1968-08-25
[48]
뉴스
McGovern Wins RFK Backers
https://www.newspape[...]
1968-08-11
[49]
뉴스
Bobby Talks Polish, Sings at Dyngus Day
https://www.newspape[...]
1968-04-16
[50]
서적
Robert Kennedy and His Times
[51]
웹사이트
BobbyDarin.net/BobbyDarin.com – Bobby Darin & Bobby Kennedy
http://www.bobbydari[...]
Bobbydarin.net
1968-05-10
[52]
서적
How We Got Here: The '70s
https://archive.org/[...]
Basic Books
[53]
서적
Party Polarization in America: The War Over Two Social Contrac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4]
학술지
A. B. "Happy" Chandler, George C. Wallace, and the Presidential Election of 1968
2002-12-16
[55]
백과사전
Happy Chandler | biography – American politician and baseball commissioner
https://www.britanni[...]
1991-06-15
[56]
잡지
The Campaign: George's General
https://content.time[...]
1968-10-11
[57]
웹사이트
When the Left Was Right
http://www.amconmag.[...]
The American Conservative
2008-05-19
[58]
서적
Nixonland: The Rise of a President and the Fracturing of America
[59]
뉴스
Humphrey Gains In A Harris Poll
https://timesmachine[...]
1968-11-02
[60]
서적
The 1935-1971 Gallup Poll Public Opinion, Volume III
1983
[61]
서적
The 1935-1971 Gallup Poll Public Opinion, Volume III
1983
[62]
뉴스
Humphrey Gains In A Harris Poll
https://timesmachine[...]
1968-10-19
[63]
서적
The 1935-1971 Gallup Poll Public Opinion, Volume III
1983
[64]
뉴스
New Harris Poll Puts Nixon On Top
https://timesmachine[...]
1968-09-24
[65]
서적
The 1935-1971 Gallup Poll Public Opinion, Volume III
1983
[66]
뉴스
New Harris Poll Puts Nixon On Top
https://timesmachine[...]
1968-08-28
[67]
서적
The 1935-1971 Gallup Poll Public Opinion, Volume III
1983
[68]
뉴스
Harris Poll Gives Rockefeller A Lift
https://timesmachine[...]
1968-08-01
[69]
뉴스
Comparison of 4 Polls
https://timesmachine[...]
1968-08-02
[70]
뉴스
Crossley Findings
https://timesmachine[...]
1968-08-01
[71]
서적
The 1935-1971 Gallup Poll Public Opinion, Volume III
1983
[72]
뉴스
McCarthy, Buoyed by 2 Polls, Sees 'Even Chance
https://timesmachine[...]
2020-12-09
[73]
서적
The 1935-1971 Gallup Poll Public Opinion, Volume III
1983
[74]
뉴스
Pollster Says Democrats Far Ahead
https://www.newspape[...]
1968-06-24
[75]
서적
The 1935-1971 Gallup Poll Public Opinion, Volume III
1983
[76]
서적
The 1935-1971 Gallup Poll Public Opinion, Volume III
1983
[77]
뉴스
Harris Poll Finds Gain By Humphrey
https://timesmachine[...]
2020-12-09
[78]
뉴스
Kennedy's Lead Fades in 2 Polls
https://timesmachine[...]
2020-12-09
[79]
서적
The 1935-1971 Gallup Poll Public Opinion, Volume III
1983
[80]
서적
The 1935-1971 Gallup Poll Public Opinion, Volume III
1983
[81]
뉴스
Harris Poll Shows Kennedy, McCarthy In Front of Nixon
https://timesmachine[...]
2020-12-09
[82]
서적
The southern strategy revisited: Republican top-down advancement in the South
2015
[83]
서적
A Companion to Harry S. Truma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9-07-03
[84]
뉴스
Civil Rights: Let 'Em Wiretap!
http://hnn.us/articl[...]
History News Network
2008-12-29
[85]
서적
How We Got Here: The '70s
https://archive.org/[...]
Basic Books
[86]
서적
2007
[87]
잡지
Supremely Contentious: The Transformation of "Advice and Consent"
https://www.neh.gov/[...]
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2022-02-22
[88]
서적
Abe Forta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2008-10-20
[89]
웹사이트
The All-Volunteer Army After Twenty Years: Recruiting in the Modern Era
https://web.archive.[...]
Sam Houston State University
2007-12-31
[90]
서적
Nixon: A Life
Regnery Publishing
[91]
서적
Nixon, Volume Two: The Triumph of a Politician 1962–1972
Simon & Schuster
[92]
잡지
Time
1968-11-15
[93]
서적
The Making of the President, 1968
1970
[94]
뉴스
Nixon Tried to Spoil Johnson's Peace Talks in '68, Notes Show
https://www.nytimes.[...]
2017-09-18
[95]
뉴스
In tapes, LBJ accuses Nixon of treason
http://www.statesman[...]
2008-12-05
[96]
뉴스
Did Nixon Commit Treason in 1968? What The New LBJ Tapes Reveal
http://hnn.us/articl[...]
2009-01-26
[97]
서적
Counsel to the President: A Memoir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1991-05-21
[98]
서적
Nixon and Kissinger: Partners in Power
HarperCollins
[99]
웹사이트
November 1–12, 1968: South Vietnamese Abstention From the Expanded Peace Conference; the Anna Chennault Affair
https://history.stat[...]
2024-01-15
[100]
서적
In the Jaws of History
Indiana University Press
1999-04-01
[101]
웹사이트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64–1968, Volume VII, Vietnam, September 1968–January 1969
https://history.stat[...]
2024-01-15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The Man who Kept the Secrets: Richard Helms & the CIA
Alfred A. Knopf
[105]
서적
[106]
뉴스
Did Nixon Commit Treason in 1968? What the New LBJ Tapes Reveal
http://hnn.us/articl[...]
2009-01-26
[107]
뉴스
The Lyndon Johnson tapes: Richard Nixon's 'treason'
https://www.bbc.co.u[...]
2013-03-15
[108]
서적
The Making of an Ink-Stained Wretch: Half a Century Pounding the Political Beat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109]
뉴스
In Tapes, Johnson Accused Nixon's Associates of Treason
https://www.nytimes.[...]
2008-12-04
[110]
서적
The Year That Broke Politics: Collusion and Chaos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of 1968
Yale University Press
2023
[111]
웹사이트
1968 Presidential General Election Results
https://uselectionat[...] [112]
웹사이트
Historical U.S. Presidential Elections 1789-2016
https://www.270towin[...] [113]
웹사이트
Presidential Election of 1916
https://www.270towin[...] [114]
서적
Political Parties In American History, Volume 3, 1890-present
G. P. Putnam's Sons
1974
[115]
웹사이트
1968 Year In Review
http://www.upi.com/A[...]
UPI
[116]
웹사이트
A Realigning Election?
http://www.realclear[...] [117]
웹사이트
Misunderstanding the Southern Realignment
http://www.realclear[...]
RealClearPolitics.com
[118]
서적
The Silent Majority: Suburban Politics in the Sunbel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9]
문서
Gould (1993) p 165; White (1969) p 401
[120]
서적
Perspectives on the American South: An Annual Review of Society, Politics, and Culture
Routledge
[121]
서적
The Emerging Republican Majority
Arlington House
[122]
서적
American Maelstrom: The 1968 Election and the Politics of Division
2016
[123]
웹사이트
McGovern-Fraser Commission
https://poliscinews.[...] [124]
웹사이트
Coös County Votes for President
http://politicalgrav[...] [125]
웹사이트
The First (And Last) Serious Challenge to the Electoral College System
http://mentalfloss.c[...]
2014-12-06
[126]
웹사이트
Electoral Votes for President and Vice President
http://frwebgate.acc[...]
Government Printing Office
[127]
웹사이트
1968 Presidential General Election Data – National
http://uselectionatl[...] [128]
뉴스
Alabamians Must Sort Out Most Confusing Ballot in State History
https://www.newspape[...]
1968-11-03
[129]
웹사이트
1968 Presidential General Election Results – North Carolina
http://uselectionatl[...]
Uselectionatlas.org
[130]
웹사이트
Election Polls -- Vote by Groups, 1968-1972
http://www.gallup.co[...]
2010-07-21
[131]
웹사이트
ESTIMATES OF THE POPULATION VOTING AGE, FOR STATES: NOVEMBER 1, 1968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32]
웹사이트
Dave Leip's Atlas of U.S. Presidential Elections
http://uselectionatl[...] [133]
웹사이트
1968 Presidential General Election Data - National
http://uselectionatl[...] [134]
뉴스
타임 1968년 11월 15일
타임
1968-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