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벨기에 독일어 공동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기에 독일어 공동체는 벨기에 동부에 위치하며, 독일어 사용 지역이다. 이 지역은 역사적으로 독일 제국에 속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벨기에에 병합되었다. 1960년대 벨기에가 언어 지역으로 분할되면서 독일어 사용 지역으로 지정되었고, 1973년 자치권을 부여받아 독일어 사용 공동체 의회를 설립했다. 현재는 언어 및 문화 문제에서 상당한 자치권을 행사하며, 9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다. 공동체의 상징으로는 깃발, 문장, 색상이 있으며, 매년 11월 15일을 '독일어 공동체의 날'로 기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의 공동체 - 플람스어 공동체
    플람스어 공동체는 벨기에 연방 구성체로서 1980년 설립되어 네덜란드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브뤼셀을 행정 중심지로, 교육, 문화, 언어, 복지, 의료, 국제 협력 등 특정 분야에 대한 법적 권한을 가진다.
  • 벨기에의 공동체 - 벨기에 프랑스어 공동체
    벨기에 프랑스어 공동체는 벨기에의 언어 공동체 중 하나로, 왈롱 지역과 브뤼셀 수도 지역의 프랑스어 사용자를 포함하며 브뤼셀에 행정 중심지를 두고 있다.
  • 독일어권 - 벨기에
    벨기에는 서유럽에 위치하며, 네덜란드, 독일, 룩셈부르크, 프랑스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네덜란드어와 프랑스어를 주로 사용하며, 유럽 연합과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창립 회원국으로서, 브뤼셀은 유럽 연합의 주요 기관들이 위치한 도시이다.
  • 독일어권 - 슬로베니아
    슬로베니아 공화국은 중앙유럽에 위치한 의원내각제 공화국으로, 알프스 산맥과 판노니아 평원이 만나는 지리적 위치에 있으며, 로마 제국, 합스부르크 군주국, 유고슬라비아를 거쳐 1991년 독립을 선포하고 2004년 유럽 연합과 NATO에 가입했으며, 슬로베니아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주요 산업은 제조업과 서비스업, 관광산업이다.
벨기에 독일어 공동체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식 명칭벨기에 독일어 공동체
독일어 명칭Deutschsprachige Gemeinschaft (Belgiens)
프랑스어 명칭Communauté germanophone (de Belgique)
네덜란드어 명칭Duitstalige Gemeenschap (van België)
별칭오스트벨기에(Ostbelgien)
동 벨기에 (Belgique de l'Est, Oost-België)
벨기에 독일어 공동체 깃발
깃발
벨기에 독일어 공동체 문장
문장
벨기에 내 독일어 공동체 위치
벨기에 내 위치
벨기에 및 유럽 내 독일어 공동체 위치
벨기에 및 유럽 내 위치
수도오이펜
공용어독일어 (프랑스어 사용자를 위한 언어 시설 있음)
공동체의 날11월 15일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행정
국가벨기에
지역왈롱
설립1984년
행정부벨기에 독일어 공동체 정부
집권 정당 (2024–2029)ProDG, CSP, PFF
연방 대통령올리버 파슈 (ProDG)
입법부벨기에 독일어 공동체 의회
의장파트리치아 크뢰츠-빌보예 (CSP)
인구
총 인구79,479명 (2024년 1월 1일)
면적854km²
인구 밀도93명/km²

2. 역사

동부 칸톤으로 알려진 지역은 독일어 사용 공동체와 벨기에 프랑스어 공동체에 속하는 말메디 및 바이스메스(와임스) 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지역은 1920년까지 독일 제국프로이센 라인 주에 속해 있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한 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벨기에에 병합되었다.[5]

1920년대 중반 벨기에와 독일 간에 비밀 협상이 진행되어 벨기에의 재정 개선을 위해 이 지역을 독일에 다시 매각하려 했으나, 프랑스 정부의 개입으로 중단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0년 독일이 이 지역을 다시 점령했을 때 주민들은 환영했지만, 1945년 독일 패배 후 다시 벨기에에 병합되면서 지역 주민을 탈독일화하려는 시도가 있었다.[6]

1960년대 초 벨기에는 언어에 따라 지역을 나누었고, 1973년에는 독일어 사용 공동체 의회가 설립되어 독일어 사용 공동체에 자치권이 부여되었다. 현재 독일어 사용 공동체는 언어 및 문화 문제에서 상당한 자치권을 가지지만, 여전히 왈롱 지역의 일부이다. 카를-하인츠 람베르츠를 비롯한 일부는 독일어 사용 공동체의 완전한 자치를 지지하고 있다.[7]

2. 1. 벨기에 병합 이전

동부 칸톤은 1920년까지 독일 제국프로이센 라인 주에 속해 있었으며, (Landkreise)인 오이펜과 말메디였다.[5]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한 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벨기에에 병합되었다.[5]

2. 2. 베르사유 조약과 벨기에 병합 (1920년)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한 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오늘날 동부 칸톤으로 알려진 지역이 독일 제국에서 벨기에로 병합되었다.[5] 이 지역은 cantons rédimés|구원된 칸톤프랑스어으로도 불렸다.

베르사유 조약은 지역 주민들에게 벨기에인이 될 것인지, 아니면 독일인으로 남을 것인지를 묻는 "질의"를 요구했다. 그러나 헤르만 발티아가 이끄는 벨기에 군정은 이 절차를 공정하게 실시하지 않았다. 벨기에 귀속을 원치 않는 주민들은 자신의 이름과 주소를 등록해야 했는데, 많은 이들이 보복이나 추방을 두려워하여 등록을 꺼렸다.

1920년대 중반, 벨기에의 재정 개선을 위해 이 지역을 독일에 2억 금 마르크에 매각하려는 비밀 협상이 벨기에와 독일 사이에 진행되었다.[5] 그러나 프랑스 정부가 전후 질서의 안정을 우려하여 개입하면서 협상은 중단되었다.

2. 3. 독일-벨기에 비밀 협상 (1920년대 중반)

1920년대 중반, 벨기에는 재정 개선을 위해 오이펜-말메디 지역을 독일에 다시 매각하려는 비밀 협상을 진행했다. 이 협상에는 2억 금 마르크가 거론되었다.[5] 그러나 전후 질서 안정을 우려한 프랑스 정부가 개입하면서 벨기에-독일 회담은 중단되었다.[5]

2. 4. 제2차 세계 대전과 독일 재점령 (1940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0년 독일이 이 지역을 다시 점령했을 때, 동부 칸톤 주민 대다수는 자신을 독일인으로 여겼기에 이를 환영했다.[6]

2. 5. 벨기에 재병합과 탈독일화 (1945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한 후, 오이펜-말메디는 다시 벨기에에 병합되었고, 나치 독일과의 협력 혐의로 인해 벨기에 및 왈롱 당국에 의해 지역 주민을 탈독일화하려는 시도가 있었다.[6]

2. 6. 언어 지역 분할과 자치권 확보 (1960년대 ~ 현재)

1960년대 초, 벨기에는 네 개의 언어 지역으로 나뉘었다. 플란데런네덜란드어 사용 지역, 왈롱 지역은 프랑스어 사용 지역, 브뤼셀은 두 언어를 사용하는 수도, 그리고 동부 칸톤은 독일어 사용 지역이었다.[7] 1973년에는 세 개의 공동체와 세 개의 지역이 설립되어 각각 자치권이 부여되었다. 입법 기관인 독일어 사용 공동체 의회( Rat der Deutschsprachigen Gemeinschaft|독일어 사용 공동체 의회de)가 설립되었다.[7]

오늘날 독일어 사용 공동체는 언어 및 문화 문제에서 상당한 자치권을 가지고 있지만, 여전히 주로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왈롱 지역의 일부이다. 지난 몇 년 동안 독일어 사용 공동체가 자체 지역이 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많았으며, 사회 정책, 유적 및 기념물 보존, 환경 보호 정책, 교통, 지방 자치 단체 재정 지원 등에 관한 일부 권한을 왈롱 지역으로부터 영구적으로 이양하는 이전 합의를 통해 진행 중이다.[7]

독일어 사용 공동체의 완전한 지역 자치를 지지하는 사람 중 한 명은 1999년부터 2014년까지 장관 겸 대통령을 역임한 카를-하인츠 람베르츠이다.[7] 독일어 사용 공동체 정부에 따르면 공간 계획, 도시 건설, 주택 분야에서 지역 자치에 대한 특별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한다.[7][8]

3. 지리

벨기에 독일어 공동체는 벨기에 동부에 있는 9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다. 북쪽으로는 벨기에-독일-네덜란드 국경 삼각점, 동쪽으로는 독일, 남쪽으로는 룩셈부르크와 접하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벨기에 프랑스어 공동체의 영토와 접한다. 오이펜은 독일어 공동체의 정부, 의회 및 행정 중심지이다.[15]

벨기에 독일어 공동체에 속하는 지방 자치체들


벨기에 독일어 공동체에 속하는 9개의 지방 자치체는 다음과 같다.

번호명칭
1오이펜 (Eupen)
2켈미스 (Kelmis)
3론첸 (Lontzen)
4레렌 (Raeren)
5아멜 (Amel)
6뷜링겐 (Büllingen)
7부르크로일란트 (Burg-Reuland)
8뷔트겐바흐 (Bütgenbach)
9장크트피트 (Sankt Vith)



말메디와 베메 (바이스메스)는 프랑스어 공동체에 속하지만, 독일 소수 민족의 권리가 인정된다.[15]

역사적으로 독일어 공동체 지역은 "동부 벨기에" 또는 "동부 칸톤"으로 불렸으며, 이전에는 "오이펜-말메디-성 비트"라고 불리기도 했다. 2017년, 독일어 공동체 정부는 이 지역을 남티롤과의 유사성을 고려하여 "동부 벨기에"로 마케팅하기로 결정했다.

4. 정부

독일어 사용 공동체는 자체 정부를 두고 있으며, 이 정부는 의회에서 5년 임기로 임명된다.[9] 정부는 공동체의 총리 역할을 하는 장관이 이끌며, 독일어 사용 공동체 부처가 이를 보좌한다. 2024–2029 정부는 다음 4명의 장관으로 구성된다:[10]

직책이름정당
총리 겸 지방 정부 장관올리버 파쉬ProDG
문화, 미디어 및 관광 장관그레고르 프레체스PFF
가족, 사회 문제, 주택 및 보건 장관리디아 클린켄베르크ProDG
교육, 훈련 및 고용 장관제롬 프란센CSP



오이펜에 위치한 벨기에 독일어 공동체 행정부 및 의회 청사

5. 지방 자치체



독일어 사용 공동체는 9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다.[11] 9개의 지방 자치체는 오이펜 칸톤 (북부)과 생트 비트 칸톤 (남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베르비에 구에 포함된다. 각 지방 자치체별 인구 및 면적은 2020년 1월 1일 기준은 아래 표와 같다.

지도 #시정촌칸톤인구
(2020)
면적
(km2)
면적
(sq mi)
5아멜생트 비트5,486125.15km2
6뷜링겐생트 비트5,456150.49km2
7부르크로일란트생트 비트3,974108.96km2
8뷔트겐바흐생트 비트5,62997.31km2
1오이펜오이펜19,762103.74km2
2켈미스오이펜11,21218.12km2
3론첸오이펜5,83328.73km2
4라렌오이펜10,81874.21km2
9생트 비트생트 비트9,779146.93km2
합계77,949853.64km2



다음은 독일어 공동체의 기초 자치체 목록이다.[18]

6. 인구

2007년 기준으로 73,675명의 주민(86.3명/km²)이 독일어 공동체 지역에 거주했다. 오이펜(북부)과 생비트(남부) 칸톤의 인구 밀도는 매우 다르다.

구분인구인구 밀도
오이펜 구44,159명196.4명/km²
생비트 구29,516명46.9명/km²



북-남 인구 격차는 공동체의 북부와 남부를 비교할 때 특히 두드러진다.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자치구는 켈미스(577.9명/km²)이며, 가장 낮은 자치구는 뷜링겐(36.2명/km²)이다. 참고로 벨기에 전체 인구 밀도는 346.7명/km², 왈롱 지방은 204.0명/km², 플랑드르는 452.4명/km²이다. 2007년 기준 남성은 49.72%, 여성은 50.28%이다. 2020년 기준으로 공동체 인구의 21% 이상이 외국 출생이며, 이 중 독일인이 압도적 다수를 차지한다.

7. 상징

1989년, 공동체의 깃발과 문장을 제정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문장은 공동체의 두 지역이 과거에 속했던 림부르크 공국과 룩셈부르크 공국의 문장을 조합한 디자인으로 결정되었다.

1990년 10월 1일 문장, 깃발, 색상을 정하는 법령이 채택되었고, 같은 해 11월 15일에 시행되었다. 11월 15일은 독일어 공동체의 날로 지정되어 매년 공동체의 휴일로 기념하고 있다.[19]

깃발은 흰색 바탕에 붉은 사자와 파란색 오이풀 9개가 그려져 있으며, 독일어 공동체의 색상은 흰색과 빨간색을 수평으로 배치한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België telde 11.763.650 inwoners op 1 januari 2024 https://statbel.fgov[...] 2024-06-04
[2] 뉴스 Separatism fears grow in Belgium as German speakers assert themselves https://www.theguard[...] 2017-05-02
[3] 웹사이트 The German-speaking Community http://www.dglive.be[...] Dglive.be 2014-06-11
[4] 웹사이트 gfbv.it http://www.gfbv.it/3[...] Society for Threatened Peoples
[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German-speaking Community http://www.dglive.be[...] Dglive.be 2014-06-11
[6] 간행물 An Insiders' Outside Perspective on the Flemish-Walloon Conflict: The Role of Identification and Disidentification for the German-Speaking Minority 2017-11-21
[7] 뉴스 De triangelspeler van België: Duitstalig België http://www.groene.nl[...] De Groene Amsterdammer 2008-08-15
[8] 뉴스 Duitstalige Gemeenschap wil extra bevoegdheden http://www.demorgen.[...] 2009-09-15
[9] 웹사이트 German-speaking Community: The jurisdiction of the Government http://www.dglive.be[...] Dglive.be 2014-06-11
[10] 웹사이트 Die aktuelle Regierung der Deutschsprachigen Gemeinschaft Belgiens https://ostbelgienli[...] 2024-08-17
[11] 웹사이트 Bevölkerungsstruktur http://www.dgstat.be[...]
[12] 웹사이트 Bevölkerungsstruktur http://www.ostbelgie[...] Ministerium der Deutschsprachigen Gemeinschaft Belgiens 2020-07-01
[13] 문서 ベルギー憲法第2条
[14] 웹사이트 Über die Lage der Sprachminderheiten in der EU. Ein Überblick der GfbV-Südtirol http://www.gfbv.it/3[...] Gesellschaft für bedrohte Völker 2000-11-08
[15] 웹사이트 Zur Geschichte der Deutschsprachigen Gemeinschaft http://www.dglive.be[...] Parlament der Deutschsprachigen Gemeinschaft
[16] 웹사이트 De triangelspeler van België http://www.groene.nl[...] De Groene Amsterdammer 2008-08-15
[17] 웹사이트 Duitstalige Gemeenschap wil extra bevoegdheden http://www.demorgen.[...] De Morgen 2009-09-15
[18] 웹사이트 Städte & Gemeinden http://www.dglive.be[...] Deutschsprachigen Gemeinschaft
[19] 웹사이트 Wappen & Fahne http://www.dglive.be[...] Deutschsprachigen Gemeinschaf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