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벨리카클라두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리카클라두샤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도시로, 1280년에 처음 언급되었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이슬람화가 진행되었고, 187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유고슬라비아 시대에는 대규모 식품 회사인 아그로코메르츠가 이 도시를 경제적으로 부유하게 만들었다. 보스니아 전쟁 중에는 서보스니아 자치주의 주도가 되었으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에 의해 해체되었다. 현재는 보스니아인(무슬림)이 다수를 차지하며, 스포츠 클럽과 다양한 명소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나사나주 - 비하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서부 우나강변에 위치한 비하치는 크로아티아와 국경을 접하며, 13세기 중세 도시에서 기원하여 헝가리 왕에 의해 자유 도시로 선포된 후 오스만 제국 점령, 2차 세계 대전 격전지, 보스니아 전쟁 포위 등의 역사를 거쳐 현재는 교육, 문화, 관광 중심지로 발전하고 있다.
  • 우나사나주 - 부짐
    부짐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서부에 위치한 도시이자 지방 자치체로, 보스니아 전쟁 당시 505 부짐 여단이 활약했으며, 쌍둥이 출생이 많은 특징으로 '쌍둥이 도시' 지정 노력이 진행 중이고, 2013년 기준 지방 자치체 인구는 19,340명이며 대부분이 보스니아인이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도시 - 사라예보
    사라예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수도이자 연방 수도로, 터키어에서 유래한 지명을 가지며 오스만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 원인이 된 사라예보 사건과 보스니아 전쟁의 장기 포위 공격을 겪었으며, 다양한 문화와 종교가 공존하는 다문화 도시이자 1984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이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도시 - 투즐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동부에 위치한 투즐라는 6,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정착지 중 하나로, 소금 매장지로 번성했으나 지반 침하 문제를 겪었고, 여러 제국을 거쳐 보스니아 전쟁의 아픔을 겪었으며, 현재는 산업 및 문화 중심지이자 염호 관광지로 발전하고 있다.
벨리카클라두샤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벨리카 클라두샤
현지 명칭세르비아어:
위치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행정 구역도시 및 지방 자치체
별칭ヴェリカ・クラドゥシャ
벨리카 클라두샤 성
벨리카 클라두샤의 기
벨리카 클라두샤의 문장
지리적 위치좌표:
시장보리스 호르바트 (무소속)
웹사이트벨리카 클라두샤 공식 웹사이트
지리
총 면적331 km²
지역보산스카 크라이나
행정 구역
국가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구성체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칸톤우나-사나 칸톤
인구 통계
지방 자치체 인구 (2013년)40419명
도시 인구 (2013년)4520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시간대
시간대CET
협정 세계시 오프셋+1
하계 시간 (DST)CEST
하계 시간 협정 세계시 오프셋+2
기타 정보
우편 번호77230
지역 번호+387 37

2. 역사

보스니아 전쟁 이전, 벨리카 클라두샤에 본사를 둔 식품 회사 아그로코메르츠(Agrokomerc)는 유고슬라비아 연방에서 최대 규모였다. 피크레트 아브디치 취임 후 1987년에는 13,000명을 고용하는 대기업으로 성장했다.[13] 이전에는 산업이 없어 보스니아에서 가난한 지역이었으나, 아그로코메르츠사로 인해 단숨에 보스니아에서 가장 부유한 도시 중 하나가 되었으며, 1987년 상반기에는 수출로 4400만달러의 이익을 올렸다.[13]

피크레트 아브디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중앙 정계에서도 큰 영향력을 가졌다. 1990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대통령 선거에서 아브디치는 알리야 이제트베고비치를 제치고 무슬림 후보 중 가장 많은 표를 얻었다.[14]

보스니아 전쟁 중 피크레트 아브디치에 의해 서보스니아 자치주가 만들어졌고, 벨리카 클라두샤는 그 수도가 되었다. 서보스니아 자치주는 보스니아 전쟁에서 이탈을 시도했지만, 1995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에 의해 제압되어 해체되었다.[13] 분쟁 종결 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캐나다군 부대가 벨리카 클라두샤에 기지를 두고 1995년부터 2003년까지 평화 유지 활동을 했다.

분쟁 후에도 아그로코메르츠는 사업을 계속하고 있지만, 규모는 축소되었다.

2. 1. 초기 역사

벨리카클라두샤는 1280년 10월 30일 (문장상 방패에 표시된 날짜) 헝가리 국왕 라슬로 4세의 통치 하에 '클라도사'(Cladosa)라는 이름으로 처음 언급되었다.[2] 비잔틴 제국 시대에 도시의 인구가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13세기 말부터 1464년까지 벨리카클라두샤는 바보니치, 프랑코판, 슈비치와 투즈 데 라크 등 크로아티아 귀족 가문의 지배를 받았다.[2]

2. 2. 오스만 제국 시대

1464년경 오스만 제국이 이 지역으로 팽창했다. 1558년 이 도시는 약탈당했고, 1633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점령되었다.[2] 오스만 제국의 정복 이후, 이전 기독교 지역의 이슬람화가 시작되었고, 많은 지역 주민들이 이슬람교로 개종했다. 벨리카클라두샤는 나중에 인접한 크로아티아와 유럽 전역으로의 오스만 제국 팽창의 중심지가 되었다.

2. 3.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

벨리카클라두샤는 1280년 10월 30일(문장상 방패에 표시된 날짜) 헝가리 국왕 라슬로 4세의 통치 하에 ''클라로사''(Cladosa)라는 이름으로 처음 언급되었다.[2] 비잔틴 제국 시대에 도시의 인구가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13세기 말부터 1464년까지 벨리카클라두샤는 바보니치, 프랑코판, 슈비치 가문과 투즈 데 라크 등 크로아티아 귀족 가문의 지배를 받았다.[2]

1464년경 오스만 제국이 이 지역으로 팽창했다. 1558년 이 도시는 약탈당했고, 1633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점령되었다. 오스만 제국의 정복 이후, 이전 기독교 지역의 이슬람화가 시작되었고, 많은 지역 주민들이 이슬람교로 개종했다. 벨리카클라두샤는 나중에 인접한 크로아티아와 유럽 전역으로의 오스만 제국의 팽창 중심지가 되었다. 187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점령했을 때, 벨리카클라두샤는 이 지역의 다른 지역들과 함께 가장 큰 저항을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 개교, 토지 대장 도입, 모스크와 가톨릭 교회의 건설을 통해 발전했다.

2. 4. 제2차 세계 대전과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시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벨리카 클라두샤 지역은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편에서 싸웠다. 한때 이 도시는 동맹을 바꿔 나치가 점령하도록 허용했지만, 이는 파르티잔과 계획된 것이었다. 그들은 함께 나치를 공격하여 그들을 놀라게 했다. 이 지역 사람들은 항상 유고슬라비아 대통령 요시프 브로즈 티토와 공산주의를 강력하게 지지했다. 1941년 7월 말, 벨리카 클라두샤와 그 주변 지역은 대전차 참호가 위치한 이충가르 언덕 아래에서 크로아티아의 우스타샤에 의해 약 4,000명의 세르비아 민간인이 학살된 장소가 되었다.[3]

1950년 5월, 벨리카 클라두샤는 무장 반국가 반란인 카진 봉기가 발생하여 대규모 농민 반란이 일어난 장소가 되었다. 이 사건은 당시 공산주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일부였던 인근 카진슬룬에 주로 영향을 미쳤다.[4] 농민들은 유고슬라비아 정부의 강제 집산주의집단 농장에 반대하여 봉기했다. 1949년 가뭄 이후 유고슬라비아의 농민들은 정부가 설정한 비현실적인 할당량을 충족할 수 없었고 처벌을 받았다. 가뭄 이후 발생한 반란은 봉기를 조직한 사람뿐만 아니라 많은 무고한 민간인들을 살해하고 박해하는 결과를 낳았다.[5][6] 이는 냉전 유럽 역사상 유일한 농민 반란이었다.[7]

2. 5. 보스니아 전쟁과 독립

유고슬라비아 전쟁 동안, 아그로코메르츠는 자그레브, 베오그라드 등지로 향하는 모든 종류의 식품을 생산하며 계속 운영되었다. 보스니아 전쟁(1992–1995) 동안, 이 도시는 자칭 서부 보스니아 자치주의 수도였다. 정부 청사는 스타리 그라드 성에 있었으며, 밤낮으로 방어 병력의 경비를 받았다. 도시 자체는 주요 전투를 대부분 피하면서 큰 피해를 입지 않았다. 보스니아 전쟁 종전 후, 이 도시는 1995년부터 2004년까지 체코 헬리콥터 부대와 캐나다군 NATO 캠프가 IFOR 및 SFOR 평화 유지 임무를 지원하는 곳이었다.[10][11][12]

보스니아 전쟁 중 피크레트 아브디치에 의해 서보스니아 자치주가 만들어졌다. 벨리카 클라두샤는 서보스니아 자치주의 주도가 되었다. 아브디치가 이끄는 서보스니아 자치주는 크로아티아인 및 세르비아인 무장 세력과의 단독 강화 조약을 시도하며 보스니아 전쟁에서의 이탈을 시도했지만,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중앙 정부와의 격렬한 전투 끝에 1995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에 의해 제압되어 자치주는 해체되었다.[13] 분쟁 종결 후 평화 이행 부대 (IFOR), 이어서 평화 안정화 부대 (SFOR)로서 평화 유지 활동을 위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주둔하기 시작한 북대서양 조약 기구 (NATO)의 캐나다군 부대가 벨리카 클라두샤에 기지를 두었다. 캐나다군의 평화 유지 활동은 1995년부터 2003년까지 이어졌다.

3. 인구

2013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벨리카클라두샤 시의 주민은 40,419명이었다. 민족별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보스니아인 32,561명 (80.56%)
  • 보스니아계 4,781명 (11.83%)
  • 무슬림 1,366명 (3.38%)
  • 크로아티아인 636명 (1.57%)
  • 세르비아인 146명 (0.36%)


종교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무슬림 36,643명 (90.66%)
  • 가톨릭 305명 (0.75%)
  • 정교회 160명 (0.40%)
  • 기타 3,491명 (8.64%)


벨리카클라두샤 자치체의 민족별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연도세르비아인%무슬림인%크로아티아인%유고슬라비아인%기타%합계
1961년4,48915.34%23,58580.59%8702.97%2500.85%730.25%29,267
1971년2,8457.88%32,11088.99%7422.05%1910.52%1910.52%36,079
1981년2,4565.39%40,23888.39%7011.53%1,7583.86%3670.80%45,520
1991년2,2664.28%48,30591.29%7401.39%9931.87%6041.14%52,908



2005년에는 거의 모든 주민이 보스니아인(무슬림인)으로 추정된다.

1991년 벨리카클라두샤의 인구는 14,469명이었으며, 민족별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


  • 무슬림(보스니아인) 87%
  • 세르비아인 5%
  • 크로아티아인 4%
  • 유고슬라비아인 2%
  • 기타 2%


4. 정치

분쟁 전부터 분쟁 중까지, 벨리카클라두샤는 피클레트 아브디치의 강한 영향력 아래에 있었다. 아브디치가 세운 서보스니아 공화국이 보스니아 정부군에 제압된 이후 아브디치는 크로아티아로 도주했다. 그 후에도 벨리카클라두샤는 아브디치의 정당인 민주인민공동체(DNZ)의 기반이 되었다. 2006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총선에서는 민주인민공동체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중앙의회에 1석을 확보했다.

5. 경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대에 벨리카클라두샤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서 가장 큰 식품 회사 중 하나인 아그로코메르츠의 본사가 있던 곳이었다. 아그로코메르츠는 단일 식품 생산 농장으로 시작했지만, 피크레트 아브디치가 최고 책임자가 된 후 사업을 확장하여 1987년에는 13,000명을 고용하는 대기업으로 성장했다.[8][13] 아그로코메르츠 덕분에 벨리카클라두샤와 주변 지역은 유고슬라비아에서 가장 부유한 지역 중 하나가 되었다.[9] 1987년 상반기에 아그로코메르츠는 수출로 4400만달러의 이익을 올렸는데, 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체 수출 총액의 75%에 달하는 금액이었다.[13]

보스니아 전쟁 이후 아그로코메르츠는 사업을 계속하고 있지만, 전쟁 전보다는 규모가 축소되었다.

6. 행정 구역

벨리카클라두샤의 행정 구역
보산스카 보이나브르다
부코블레츠르바레바츠
차글리차첼리냐
돌로비돈야 슬라프니차
돈야 비도브스카엘레조비치
글라비차글리니차
골루보비치고르냐 슬라프니차
고르냐 비도브스카그라보바츠
그라디나그라호보
요호비차클루페
쿠디치쿠마리차
말라 클라두샤마르야노바츠
밀코비치므르첼리
네페케오르체바 루카
포드즈비즈드폴랴나
폴리에포니크베
라즈노바츠스타반자
샤비치셰스타노바츠
실코바차슈레코바츠
슈마타츠토도로보
토도로브스카 슬라프니차트른
트르노비베이나츠
벨리카 클라두샤브르노그라치
브르노그라츠카 슬라프니차자그라드
즈보리슈테


7. 스포츠

지역 축구 클럽인 크라지슈니크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축구 리그 2부 리그에서 몇 시즌을 보냈다.

8. 주요 명소


  • 벨리카클라두샤 성
  • 바자르
  • 크라유니크 경기장
  • 무요 흐르니차 공원
  • 말라 클라두샤 수영장

9.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Velika Kladuša https://www.enciklop[...]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21
[2] 웹사이트 Tuz de Lak https://www.enciklop[...]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21
[3] 웹사이트 Massacres in Dismembered Yugoslavia, 1941-1945 https://www.sciences[...] Mass Violence and Resistance Research Network 2010-06-07
[4] 웹사이트 CAZINSKA BUNA 1950: Danas se navršavaju 62 godine od ustanka u Krajini https://web.archive.[...] Cazin 2012-05-06
[5] 웹사이트 Klanjana kolektivna dženaza žrtvama Cazinske bune iz 1950. godine https://web.archive.[...] Haber 2012-05-11
[6] 웹사이트 Vera Kržišnik Bukić i Cazinska buna https://web.archive.[...] Radio Sarajevo 2012-05-04
[7] 서적 Rock and Hard Places: Travels to Backstages, Frontlines and Assorted Sideshows https://books.google[...]
[8] 서적 The Destruction of Yugoslavia: Tracking the Break-up 1980-92 https://books.google[...] Verso Books 1993
[9] 웹사이트 Founder of Agrokomerc, sentenced to 10 years for war crimes, Fikret Abdić, the new mayor of his hometown Velika Kladuša, visited Sarajevo after 23 years to officialize his new position https://www.balcanic[...] 2016-11-08
[10] 뉴스 Czech the News: Newsletter of the Embassy of the Czech Republic 1995
[11] 서적 Warriors in Peacekeeping: Points of Tension in Complex Cultural Encounters ;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Experiences in Bosnia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2004
[12] 서적 Out of Darkness-Light: A History of Canadian Military Intelligence https://books.google[...] 2005
[13] 서적 보스니아내전 글로벌리제이션과 카오스의 민족화 有志舎 2008-03-20
[14] 서적 引き裂かれた国家―旧ユーゴ地域の民主化と民族問題 有信堂高文社 2003-1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