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벽은 라틴어 'vallum'에서 유래된 단어로, 방어, 경계, 분리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구조물을 의미한다. 고대부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으며, 만리장성, 베를린 장벽, DMZ 철책 등이 대표적이다. 벽은 기능에 따라 내력벽, 비내력벽, 방화벽 등으로 분류되며, 재료에 따라 흙벽, 벽돌, 콘크리트 등으로 구분된다. 현대 건축에서는 커튼월, 프리캐스트 벽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며, 사회문화적으로는 경계, 분단, 소통의 단절 등을 상징하는 비유적 표현으로도 사용된다. 한국 사회에서는 DMZ 철책과 군사분계선이 분단의 상징으로 존재하며, 심리적 장벽, 기록의 벽 등 다양한 비유적 의미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벽 | |
---|---|
기본 정보 | |
![]() | |
정의 | 수직 구조물로, 공간을 정의하거나 보호하는 역할을 함 |
건축 및 구조 | |
재료 | 돌 벽돌 콘크리트 나무 |
유형 | 옹벽 방화벽 커튼월 파라펫 격벽 중벽 테라스벽 |
기능 | 지지 분리 보호 장식 |
역사 및 문화 | |
역사적 중요성 | 만리장성 통곡의 벽 하드리아누스 벽 스톤 성벽 |
상징적 의미 | 장벽 보호 분리 억압 (예: 베를린 장벽) |
추가 정보 | |
관련 개념 | 울타리 담장 문 창문 |
비유적 의미 | 장벽 (예: "마음의 벽") 장애물 |
2. 어원
'벽'이라는 용어는 라틴어 ''vallum''에서 유래되었으며, "흙으로 된 벽 또는 성벽, 말뚝 울타리가 있는 보루, 말뚝의 열 또는 선, 벽, 성벽, 요새"를 의미한다. 한편 라틴어 단어 ''murus''는 방어용 석벽을 의미한다.[1] 영어는 외부 벽과 방의 내부 측면을 모두 같은 단어(wall)로 사용하지만, 모든 언어가 그런 것은 아니다. 많은 언어에서 이 둘을 구분한다. 독일어에서는 ''Wand''와 ''Mauer'', 스페인어에서는 ''pared''와 ''muro''로 이러한 구분이 나타난다.
일본어의 "벽"은 좁은 의미로는 건물을 구성하는 외벽이나 내부를 칸막이하는 내벽만을 가리키지만, 넓은 의미로는 옥외에서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담"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3. 역사
경계 벽에는 사생활 보호 벽, 재산 경계 표시 벽, 마을 벽 등이 있으며, 울타리와 통합되기도 한다. 울타리는 두께가 최소화되고 종종 개방적인 반면, 벽은 일반적으로 명목상의 두께보다 두껍고 완전히 닫혀 있거나 불투명하다는 차이점이 있다. 나무나 철사로 된 외부 구조는 일반적으로 울타리라고 부르지만, 벽돌공사로 된 것은 벽이라고 부른다. 둘 다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는 장벽이며, 부분적으로 벽이고 부분적으로 울타리인 구조에 편리하다. 베를린 장벽이 그 예시이다. 또 다른 종류의 벽-울타리 모호성은 해-해로, 시야를 보호하기 위해 지면 아래에 설치되었지만 장벽 역할을 한다.[1]
대포가 발명되기 전, 유럽과 아시아의 많은 도시와 마을에는 방어벽(또는 마을 벽, 도시 벽)이 있었다. 영어 단어 "wall"은 라틴어 ''vallum''에서 파생되었으며, 이는 일종의 요새 벽이다. 이러한 벽은 더 이상 방어에 적합하지 않아 도시들이 벽 너머로 성장했으며, 많은 요새 벽 또는 그 부분들이 철거되었다. 이탈리아 로마와 중국 베이징이 그 예이다. 훨씬 더 큰 규모의 보호 벽으로는 만리장성과 하드리아누스 장벽이 있다.[1]
일부 벽은 공식적으로 한 인구 집단과 다른 인구 집단 사이의 경계를 표시한다. 국경 장벽은 특정 선이나 국경을 넘어 사람들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건설된다. 이러한 구조물은 국제 경계선 및 지형과 관련하여 배치 방식이 다양하다.[1]
3. 1. 세계의 벽
고대부터 벽은 방어, 경계, 분리 등의 목적으로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다음은 세계의 대표적인 벽들이다.
명칭 | 설명 |
---|---|
만리장성 | 북방 유목 민족 세력으로부터 중국 제국을 분리했던 일련의 벽이다.[1] |
하드리아누스 장벽 | 잉글랜드에 있는 방벽이다.[1] |
베를린 장벽 | 서베를린 월경지를 둘러싸고 냉전 시대 대부분 동안 동독과 분리했던 장벽이다.[1] |
미국-멕시코 장벽 | 미국과 멕시코를 분리하는 국경 장벽이다.[1] |
팔레스타인 분리 장벽 | |
안토니누스 장벽 | 스코틀랜드[1] |
대서양 방벽 | 프랑스 (1942년-1944년)[1] |
연맹 병사들의 벽 | 프랑스 파리 페르 라셰즈 묘지[1] |
민주주의의 벽 | 베이징 (1978년-1979년)[1] |
예리코 성벽 | 구약성서[1] |
크렘린 | 러시아 모스크바[1] |
레논 벽 | 프라하[1] |
런던 월 | 잉글랜드[1] |
모래 장벽 | 서사하라 및 모로코[1] |
베트남 전쟁 전몰자 위령비 | 더 월(The Wall)이라고도 불린다.[1] |
통곡의 벽 | 예루살렘[1] |
평화의 벽 | 북아일랜드 벨파스트[1] |
그레이트 그린 월 | [1] |
3. 2. 한국의 벽
한국의 전통 가옥은 주로 나무로 뼈대를 만들고, 기둥과 기둥 사이는 흙, 회반죽, 나무판 등을 사용하여 벽을 만들었다. 이러한 벽은 건물의 무게를 지탱하지 않는 비내력벽이었다. 특히, 조선시대 사고의 외벽에는 화재와 외부 침입을 막기 위해 회격이라는 특별한 벽이 사용되기도 했다.개항 이후, 서양식 건축 기술이 들어오면서 벽돌과 콘크리트 같은 새로운 재료들이 벽을 만드는 데 사용되기 시작했다. 현대에는 석고보드, 유리, 금속 패널 등 더욱 다양한 재료와 기술을 활용하여 벽을 만들고 있다.
한편, 남북 분단이라는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DMZ 철책, 군사분계선과 같이 군사적인 목적의 벽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4. 종류
'벽'이라는 단어는 원래 방어벽과 성벽을 가리켰다. 건물 벽의 목적은 지붕, 바닥, 천장을 지지하고, 건물의 형태를 갖추기 위해 지붕과 함께 건물 외피의 일부로서 공간을 둘러싸며, 보호와 안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벽은 전기 배선이나 배관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설비를 수용할 수 있다. 벽 구조는 크게 ''프레임 벽''과 ''매스 벽'' 두 가지로 나뉜다. 프레임 벽은 하중이 기둥, 열 또는 스터드를 통해 기초로 전달되며, 구조 요소, 단열, 마감 요소 또는 표면의 세 가지 이상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 매스 벽은 벽돌, 콘크리트를 포함한 고체 재료로 만들어지며, 통나무 건물, 장작 벽 구조, 어도비, 다짐 흙, 코브, 흙 부대 구조 등이 포함된다. 벽은 하중을 견딜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며, 지역 건축 및/또는 소방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벽이 물 침투를 제어하는 세 가지 기본 방법은 수분 저장, 배수 클래딩, 표면 밀폐 클래딩이다.[2] 수분 저장은 돌과 벽돌 ''매스 벽'' 건물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며, 수분은 구조물 자체의 벽에 흡수되고 방출된다. ''배수 클래딩''은 ''스크린 벽''이라고도 하며,[3] 수분이 클래딩을 관통할 것임을 인정하고, 하우스랩 또는 펠트지와 같은 ''방습층''이 두 번째 방어선을 제공하며, 때로는 ''배수 평면'' 또는 ''공기 간격''이 수분이 아래로 흘러 벽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 ''표면 밀폐''는 ''방벽 벽'' 또는 ''완벽한 방벽''이라고도 하며,[3] 클래딩의 누수 없는 표면을 유지하는 데 의존한다.
건물 벽은 외부와 내부 모두에서 예술 작품이 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모자이크 작업을 하거나 벽에 벽화를 그리는 경우, 또는 질감이나 페인트 마감을 전시하여 디자인 초점이 되는 경우이다.
건축 및 토목 공학에서 커튼월은 하중을 지지하지 않지만 장식, 마감, 전면, 외관 또는 역사적 보존을 제공하는 건물 정면을 말한다.
프리캐스트 벽은 공장에서 제조된 후 설치 준비가 된 상태로 필요한 장소로 운송되는 벽이다. 벽돌 및 기타 벽에 비해 설치 속도가 빠르며 다른 유형의 벽에 비해 비용이 저렴할 수 있다.
멀리언 벽은 주변의 조립식 패널에 바닥 슬래브의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 시스템이다.
칸막이벽은 일반적으로 얇은 벽으로, 주로 기존 방을 분리하거나 나누는 데 사용된다. 내력벽이 아니며, 강철 패널, 벽돌, 천, 플라스틱, 석고보드, 목재, 점토 블록, 테라코타, 콘크리트 블록, 유리 등 다양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칸막이 벽은 판유리로 만들어진다. 유리 칸막이 벽은 나무 또는 금속 프레임에 장착된 일련의 개별 강화 유리 패널이다. 목재 칸막이는 바닥 또는 측벽에 지지되는 목재 프레임워크로 구성된다. 금속 래스와 석고를 적절하게 배치하면 강화 칸막이 벽을 형성한다. 섬유 시멘트 백커 보드로 구성된 칸막이 벽은 주방이나 욕실과 같은 습한 지역에서 타일의 기초로 인기가 있다. 금속 프레임 파티션도 사용할 수 있다. 사무실 칸막이로도 알려진 내부 벽 칸막이는 일반적으로 석고보드 또는 다양한 종류의 유리로 만들어진다. 벽 칸막이는 천장에 매달거나 바닥에 고정된 비드와 트랙을 사용하여 구성되며,[6] 패널은 트랙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동식 칸막이는 두 개 이상의 방을 하나의 넓은 면적으로 열어 연결하는 벽이다. 여기에는 슬라이딩, 슬라이딩 및 접이식 문, 접이식 칸막이 벽, 스크린, 파이프 앤 드레이프 등이 포함된다.
실내와 외부의 경계에 있는 벽을 '''외벽'''이라 하고,[13] 건물 내부의 각 실 또는 방과 복도 등의 사이를 구분하는 벽은 '''내벽''' 또는 '''칸막이벽'''이라고 한다.[13]
일본어의 "벽"은 좁은 의미로는 건물을 구성하는 외벽이나 내부를 칸막이하는 내벽만을 가리키지만, 넓은 의미로는 옥외에서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담"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침식으로 단단한 지반만 잔존하는 등의 이유로, 천연의 거의 수직인 암벽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벽에는 건물을 지지하는 구조체가 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다. 전자는 "내력벽", 후자는 "커튼월" 또는 "비내력벽"이라고 불린다.
서양 건축에서는 전통적으로 외벽이 석벽·벽돌벽 등으로 되어 있어 벽이 건축물의 기본 구조체가 되어 지붕을 지지했다. 그러나 철골조 건축의 출현 이후에는 서양에서도 비내력벽 구조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고층 건축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본의 목조 주택(민가)에서는 기둥이나 보가 건물의 기본 구조체가 되어 있으며, 벽은 기둥 사이에 끼워져 있을 뿐 지붕을 지지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13] 일본 건축에서는 비내력벽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외벽의 기능·역할에는 실내를 외부로부터 지키는 것이 있으며, 단열성·차음성·수밀성·기밀성·방화성·내충격성·내후성 등이 요구된다.[13] 내벽의 기능·역할로서는 차음성·방수성·방오성에 더해,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것, 만졌을 때의 감촉도 좋은 것 등, 감각적인 성질도 중요하다.[13]
다양한 기능을 가진 벽이 있으며, "방음벽", "흡음벽", "방화벽", "방사선 차폐벽", "수납벽" 등이 있다. 그 외에도 안벽은 선박이 접안하는 장소를 확보하기 위해, 수직의 벽으로 육지의 토사를 지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옹벽은 절개지나 성토의 법면의 붕괴를 막기 위해 설치된다. 성 주변에 방어 기능을 가진 성벽이 건설되어 왔으며, 두 개의 지역을 격리하여 국경선 관리 및 특정 사람·문화의 격리를 목적으로 건설된 분리벽도 있다.
4. 1. 기능에 따른 분류
건축 및 토목 공학에서 벽은 그 기능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내력벽''': 건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벽으로, 주로 콘크리트나 벽돌로 만들어진다. 서양 건축에서는 전통적으로 외벽이 석벽이나 벽돌벽 등으로 건축물의 기본 구조체가 되어 지붕을 지지하는 "내력벽" 역할을 했다.
- '''비내력벽 (커튼월)''': 건물의 하중을 지지하지 않고 공간을 구획하는 벽으로,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철골 구조 건축의 발달로 고층 건축물에 많이 사용된다.
- '''방화벽''': 화재 확산을 막기 위해 내화 재료로 만들어진 벽이다. 구조물 내부 또는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화재 확산을 늦추고, 거주자의 대피 시간과 소방관의 화재 진압 시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 '''방음벽''': 소음을 차단하거나 줄이기 위해 설치되는 벽으로, 도로변이나 공사장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 '''옹벽''': 흙, 돌, 물의 이동에 저항하는 벽으로, 절개지나 성토의 법면의 붕괴를 막기 위해, 또는 제방등에 설치된다. 건물의 일부일 수도 있고 외부에 있을 수도 있다.
- '''칸막이벽''': 실내 공간을 나누는 벽으로, 이동식 칸막이벽도 있다. 일반적으로 얇은 벽으로, 방을 분리하거나 나누는 데 사용된다. 내력벽이 아니며, 다양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 '''공동벽''': 건물 또는 건물 내 유닛을 분리하는 벽으로, 내화성과 방음이 중요하다. 건축 법규에 따라 필요한 최소 내화성 및 방음성이 결정된다.
4. 2. 재료에 따른 분류
흙벽은 흙을 주재료로 하여 만든 벽으로, 한국 전통 가옥에서 많이 사용되었다.[13] 회반죽은 석회, 모래, 여물 등을 섞어 만든 벽으로, 흙벽 위에 덧발라 마감하는 경우가 많다.[13]벽돌을 쌓아 만든 벽은 내구성이 좋고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만든 벽은 강도가 높고 내화성이 뛰어나다. 석고 보드를 이용하여 만든 벽은 시공이 간편하고 경제적이다.
유리를 사용하여 만든 벽은 개방감과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금속 패널을 사용하여 만든 벽은 현대적인 외관을 연출할 수 있다.

메이지, 다이쇼 시대에는 흙벽, 회반죽, 판자, 돌 외에 벽돌이 사용되었다.[1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흙벽, 회반죽, 판자, 돌, 벽돌 외에 콘크리트, 석고 보드 등이 사용되고 있다.[13]
서양식 건축의 보급에 따라 단열재 등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13] 방음 목적으로 글라스울 (최근에는 단열도 겸하여 피복된 것)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5. 현대 건축에서의 활용
현대 건축에서는 다양한 재료와 공법을 사용하여 벽의 기능성과 심미성을 높이고 있다.
- '''커튼월''': 고층 건물의 외벽에 많이 사용되는 커튼월은 건물의 하중을 지지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현대 독일 마천루의 유리 커튼월이 그 예시이다.
- '''프리캐스트 벽''':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벽체를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시공 기간을 단축하고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벽돌 및 기타 벽에 비해 설치 속도가 빠르며 비용이 저렴할 수 있다.
- '''이동식 칸막이''': 필요에 따라 공간을 분리하거나 통합할 수 있는 이동식 칸막이는 사무실, 학교, 컨벤션 센터 등에서 활용된다.
6. 사회문화적 의미
벽은 물리적인 경계를 넘어 사회문화적으로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 분단과 장벽: 베를린 장벽, 미국-멕시코 장벽 등은 정치적, 사회적 분단을 상징한다.[11] 이러한 벽들은 사람들의 이동을 제한하고, 때로는 억압과 고립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소통과 단절: 벽은 소통을 가로막는 장애물로 인식되기도 하지만,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고 안전을 제공하는 역할도 한다.
- 예술의 표현: 벽은 예술 작품의 캔버스가 되기도 한다. 벽화, 그래피티 등은 벽을 통해 다양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도시 경관을 변화시킨다.
- 대중문화:
- 핑크 플로이드의 1979년 앨범 ''The Wall''에서 벽은 주인공의 고립감을 나타내는 은유로 사용되었다.
- 로버트 프로스트의 시 "담 고치기(Mending Wall)"에서는 문화에 얽매인 사람들의 근시안적인 태도를 비유하는 데 사용되었다.
- 어슐러 K. 르 귄의 소설 ''빼앗긴 자들''에서는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상징이다.
- 조지 R. R. 마틴의 ''얼음과 불의 노래''와 드라마 ''왕좌의 게임''에서는 거대한 요새이자 문화적 장벽 등 여러 중요한 역할을 한다.[8][9][10]
-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에서 "벽"은 친구들의 낙서를 기록하는 공간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7. 비유적 표현
벽은 종종 극복하기 어려운 장애물이나 한계를 비유하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 '''심리적 장벽''': '마음의 벽', '남녀의 벽' 등은 심리적인 거리감이나 소통의 어려움을 나타낸다.
- '''기록의 벽''': 스포츠에서 특정 기록을 넘어서기 어려운 상황을 '기록의 벽'이라고 표현한다.
- '''소리의 벽''': 항공기 속도가 음속에 접근할 때 발생하는 충격파로 인한 저항을 의미한다.
이 외에도, 벽은 다음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 핑크 플로이드의 1979년 앨범 ''The Wall''에서는 주인공이 느끼는 고립감을 나타내는 은유적인 벽이 등장한다.
- 로버트 프로스트의 1914년 시 "담 고치기(Mending Wall)"에서는 무의미한 돌담이 문화에 얽매인 사람들의 근시안적인 태도를 비유하는 데 사용되었다.
- 어슐러 K. 르 귄의 1974년 소설 ''빼앗긴 자들''에서는 벽이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상징이다.
- 조지 R. R. 마틴의 ''얼음과 불의 노래'' 시리즈와 이를 각색한 드라마 ''왕좌의 게임''에서 장벽은 거대한 요새, 문화적 장벽 등 여러 가지 중요한 역할을 한다.[8][9][10]
- 소련이 건설한 베를린 장벽은 억압과 고립의 세계적인 상징이 되었다.[11]
- 페이스북은 "타임라인" 기능으로 대체되기 전까지 친구들의 낙서를 기록하기 위해 전자 "벽"을 사용했다.
8. 한국 사회와 관련된 특수한 벽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국 사회와 관련된 특수한 벽에 대한 내용이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섹션에서는 일반적인 벽의 개념을 한국 사회의 맥락과 연결하여 설명한다.
한국 사회에서 '벽'은 물리적인 장벽뿐만 아니라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분열을 상징하는 표현으로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세대 간의 소통 단절, 이념 갈등, 지역 감정 등은 눈에 보이지 않는 '벽'으로 비유될 수 있다. 이러한 '벽'은 사회 통합을 저해하고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8. 1. 군사적 목적의 벽
- Antonine Wall|안토니누스 장벽영어 (스코틀랜드)
- Atlantic Wall|대서양 방벽영어 (프랑스 1942년-1944년)
- Berliner Mauer|베를린 장벽de (독일)
- Mur des Fédérés|연맹 병사들의 벽프랑스어 (프랑스 파리 페르 라셰즈 묘지)
- Democracy Wall|민주주의의 벽영어 (베이징 1978년-1979년)
- 만리장성 (중국)
- Hadrian's Wall|하드리아누스 장벽영어 (잉글랜드)
- 예리코 성벽 (구약성서)
- 크렘린 (러시아 모스크바)
- Lennon Wall|레논 벽영어 (프라하)
- London Wall|런던 월영어 (잉글랜드)
- Moroccan Wall|모래 장벽영어 (서사하라 및 모로코)
- 베트남 전쟁 전몰자 위령비 (더 월(The Wall)이라고도 불림)
- 통곡의 벽 (예루살렘)
- Peace lines|평화의 벽영어 (북아일랜드 벨파스트)
- 팔레스타인 분리 장벽
- 그레이트 그린 월
참조
[1]
서적
The Century dictionary and cyclopedia
Century Co.
1901
[2]
간행물
Damp indoor spaces and health
National Academies Press
2004
[3]
논문
Driving Rain and Masonry Veneer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ASTM)
1998
[4]
웹사이트
Széll Kálmán square, Budapest, Hungary « Landscape Architecture Works
http://www.landezine[...]
2016-10-00
[5]
웹사이트
PARTITION WALL
http://niceduniya.bl[...]
Principles of Design
2013-07-17
[6]
웹사이트
Partition Walls
http://www.ceilingsp[...]
Excellence in craftsmanship
2013-07-17
[7]
서적
NFPA 221 Standard for high Challenge Fire Walls, Fire Walls, and Fire Barrier Walls
[8]
뉴스
Game of Thrones: Everything to Know About the Wall
https://www.vulture.[...]
2017-08-27
[9]
뉴스
Game of Thrones Wall: How the Wall was built, and what its destruction means
https://www.telegrap[...]
2019-04-15
[10]
뉴스
'Game of Thrones' Season 8: How Was The Wall Built?
https://www.newsweek[...]
2019-04-07
[11]
논문
The Wall You Will Never Know
https://www.academia[...]
MIT Press
2005
[12]
사전
広辞苑
[13]
백과사전
ブリタニカ百科事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