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변경금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변경금구는 1951년 홍콩 총독 알렉산더 그랜섬의 명령에 따라 설립된 지역으로, 초기에는 불법 이민과 무기 밀수를 막기 위해 야간 통행금지령이 시행되었다. 이후 경계 조정과 울타리 강화, 순찰 업무 이관 등의 변화를 겪었으며, 1994년 야간 통행금지가 해제되었다. 2006년에는 면적 축소 계획이 제안되었고, 2012년에는 일부 지역이 변경금구에서 해제되었다. 현재 변경금구는 록마차우, 타쿠렝, 사타우콕 등 여러 구역으로 나뉘어 있으며, 변경 도로와 보존된 자연 환경을 포함하고 있다. 변경금구 출입을 위해서는 홍콩 경찰의 허가가 필요하다.

2. 역사

변경금구는 1951년 변경금구 명령에 의해 설립되었다.[4]

== 초기 설정 (1951년 ~ 1962년) ==

변경금구는 1951년 6월 홍콩 총독 알렉산더 그랜섬이 발표한 변경금구 명령에 의해 설립되었다.[4] 1950년부터 1953년까지 경계에 간단한 사슬 철조망이 설치되었으나, 이는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에서 "조잡하다"고 묘사될 정도로 허술했다.[26][6][8]

한국 전쟁 (1950-1953) 당시 무기 밀수를 막기 위하여, 1952년 구역 내에 야간 통행금지령이 내려졌다.[25][5] 당시 마을 주민들은 경찰로부터 특별 허가를 받지 않은 한 자정부터 새벽 4시까지 외출할 수 없었다. 전쟁 이후에도 불법 이민을 통제하기 위해 통행금지령은 계속 유지되었다.[12]

1959년 변경금구 명령에 의해 경계가 조정되었으며, 이는 1959년 2월 20일에 공표되었다.[27][7] 1962년 당시에는 매일 수천명의 불법 이민자들이 홍콩으로 들어오려고 시도하였다. 이에 대응하여, 윤형 철조망으로 만들어진 더 튼튼한 울타리가 기존의 철조망 바로 뒤에 설치되었다.[28][8][6]

== 강화 및 조정 (1962년 ~ 1992년) ==

1962년 당시에는 매일 수천 명의 불법 이민자들이 홍콩에 들어오려 하였다. 이에 대응하여, 윤형 철조망으로 만들어진 더 튼튼한 울타리가 기존의 철조망 바로 뒤에 설치되었다.[28] 1982년 개정된 변경금구 명령에 따라, 폐쇄 구역은 팍혹차우 인근의 마이포 서부까지 4km 확장되었다.[29] 1984년 변경금구 명령에 의해 다시 조정되었고, 1984년 9월 7일에 공표되었다. 개정안은 만캄토 구간의 위치 변경을 반영, 레이욱 마을을 변경지역에서 제외하였다.[30] 경계 순찰 업무는 1992년 10월 영국 육군에서 현장순찰대로 이전되었다.[31]

== 통행금지 해제 및 순찰 이관 (1992년 ~ 현재) ==

1992년 10월, 변경금구의 경계 순찰 업무가 영국 육군에서 현장순찰대로 이전되었다.[31] 1994년 8월 1일, 변경금구 내 야간 통행금지가 중단되었다.[32] 당시 홍콩 보안국장 알리스테어 아스프리는 이를 "개인의 권리와 불법 이민 방지에 대한 필요의 균형"을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32]

== 축소 계획 및 환경 문제 ==

2006년 9월, 홍콩 정부는 변경금구를 28km²에서 8km²로 축소하는 방안을 제안했다.[19][20] 이는 국경 도로를 따라 2차 울타리를 건설하여 변경금구 내 대부분의 마을이 국경의 완전성을 훼손하지 않고 울타리 밖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가능해졌다. 계획 부서에서 계획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었다. 새로운 울타리의 진행 상황에 따라, 축소는 4단계로 시행될 예정이며 2015년 초에 완료될 예정이었다. 일반 대중은 제외된 지역에 들어가기 위해 더 이상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을 것이었다.

2012년 2월 15일, 사토우콕 주변 지역(마을 자체는 제외)과 마이포가 변경금구에서 해제되어 740ha의 토지가 일반에 공개되었다.[13] 원래 경계선에 있던 섹충아우 검문소는 폐쇄되었으며, 그 기능은 사토우콕 외곽에 있는 새로운 검문소가 이어받았다.

환경 운동가들과 세계자연보전기금(WWF)[14]는 변경금구 축소 제안이 제외된 지역의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15][16][17]

2. 1. 초기 설정 (1951년 ~ 1962년)

변경금구는 1951년 6월 홍콩 총독 알렉산더 그랜섬이 발표한 변경금구 명령에 의해 설립되었다.[4] 1950년부터 1953년까지 경계에 간단한 사슬 철조망이 설치되었으나, 이는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에서 "조잡하다"고 묘사될 정도로 허술했다.[26][6][8]

한국 전쟁 (1950-1953) 당시 무기 밀수를 막기 위하여, 1952년 구역 내에 야간 통행금지령이 내려졌다.[25][5] 당시 마을 주민들은 경찰로부터 특별 허가를 받지 않은 한 자정부터 새벽 4시까지 외출할 수 없었다. 전쟁 이후에도 불법 이민을 통제하기 위해 통행금지령은 계속 유지되었다.[12]

1959년 변경금구 명령에 의해 경계가 조정되었으며, 이는 1959년 2월 20일에 공표되었다.[27][7] 1962년 당시에는 매일 수천명의 불법 이민자들이 홍콩으로 들어오려고 시도하였다. 이에 대응하여, 윤형 철조망으로 만들어진 더 튼튼한 울타리가 기존의 철조망 바로 뒤에 설치되었다.[28][8][6]

2. 2. 강화 및 조정 (1962년 ~ 1992년)

1962년 당시에는 매일 수천 명의 불법 이민자들이 홍콩에 들어오려 하였다. 이에 대응하여, 윤형 철조망으로 만들어진 더 튼튼한 울타리가 기존의 철조망 바로 뒤에 설치되었다.[28] 1982년 개정된 변경금구 명령에 따라, 폐쇄 구역은 팍혹차우 인근의 마이포 서부까지 4km 확장되었다.[29] 1984년 변경금구 명령에 의해 다시 조정되었고, 1984년 9월 7일에 공표되었다. 개정안은 만캄토 구간의 위치 변경을 반영, 레이욱 마을을 변경지역에서 제외하였다.[30] 경계 순찰 업무는 1992년 10월 영국 육군에서 현장순찰대로 이전되었다.[31]

2. 3. 통행금지 해제 및 순찰 이관 (1992년 ~ 현재)

1992년 10월, 변경금구의 경계 순찰 업무가 영국 육군에서 현장순찰대로 이전되었다.[31] 1994년 8월 1일, 변경금구 내 야간 통행금지가 중단되었다.[32] 당시 홍콩 보안국장 알리스테어 아스프리는 이를 "개인의 권리와 불법 이민 방지에 대한 필요의 균형"을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32]

2. 4. 축소 계획 및 환경 문제

2006년 9월, 홍콩 정부는 변경금구를 28km²에서 8km²로 축소하는 방안을 제안했다.[19][20] 이는 국경 도로를 따라 2차 울타리를 건설하여 변경금구 내 대부분의 마을이 국경의 완전성을 훼손하지 않고 울타리 밖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가능해졌다. 계획 부서에서 계획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었다. 새로운 울타리의 진행 상황에 따라, 축소는 4단계로 시행될 예정이며 2015년 초에 완료될 예정이었다. 일반 대중은 제외된 지역에 들어가기 위해 더 이상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을 것이었다.

2012년 2월 15일, 사토우콕 주변 지역(마을 자체는 제외)과 마이포가 변경금구에서 해제되어 740ha의 토지가 일반에 공개되었다.[13] 원래 경계선에 있던 섹충아우 검문소는 폐쇄되었으며, 그 기능은 사토우콕 외곽에 있는 새로운 검문소가 이어받았다.

환경 운동가들과 세계자연보전기금(WWF)[14]는 변경금구 축소 제안이 제외된 지역의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15][16][17]

3. 변경금구 출입 허가

변경금구 출입 허가는 홍콩 경찰이 변경금구와 연고가 있거나 거주하는 사람들이 변경금구를 출입할 수 있도록 발급하는 문서이다. 마이 포 습지 방문객 또한 어업농업보존부로부터 마이 포 습지 출입 허가를 신청해야 한다.

4. 변경금구 내 구역 (2016년 기준)

록마차우 구역 (록마차우 검문소, 록마차우 스퍼 라인 검문소, 록마차우 보상 습지의 일부, 마이포 자연 보호구역의 일부, 팍혹차우의 일부 포함)

타쿠렝 구역 (로우 검문소, 로우 마을의 작은 부분, 응통강 하구, 위엔렝차이, 만캄토 검문소, 남항강 하구 포함)

사타우콕 구역 (사타우콕 타운, 사타우콕 검문소, 산추이의 일부, 위엔툰산, 콩하 마을, 산콰이틴 마을, 팍쿵아우, 모로라우의 일부 포함)

중잉가 구역

전체 스타링 만

5. 기타

5. 1. 변경 도로 (Border Road)

'''변경 도로'''(邊界道路)는 선전강 남쪽 강둑을 따라 있는 도로로, 홍콩 최북단에 위치한 도로이다. 2016년 1월부터, 이 도로는 샤토콕 일부 지역 주변 및 내부 지역과 함께 변경금구(Frontier Closed Area) 내에 남아있는 몇 안 되는 장소 중 하나이다. 현재는 순찰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일반인의 출입은 금지되어 있다. 이 도로는 위엔롱의 마이포 자연 보호 구역에서 시작하여 린마항 로드를 따라 끝난다.

5. 2. 보존된 자연 환경

참조

[1] PDF http://www.legco.gov[...] 2022-03-01
[2] 웹사이트 Frontier Closed Area Order (Cap. 245, section 36) 7 September 1984 - elegislation.gov.hk https://www.elegisla[...]
[3] 웹사이트 Closed Area Permit - police.gov.hk https://www.police.g[...]
[4] 뉴스 Frontier Closed Area, Background brief prepared by the Legislative Council Secretariat for the meeting on 19 February 2008 [CB(2)1060/07-08(03)] https://www.legco.go[...] 2008-02-19
[5] 뉴스 Curfew set to go despite rise in IIs 1994-07-08
[6] 뉴스 BORDER BARRICADE STRENGTHENED: Deterrent Against Unabated Flow Of Refugees 1962-05-18
[7] 뉴스 Frontier Closed Area Order 1959-02-21
[8] 뉴스 H.K.-China Frontier 'Most Peaceful In World' 1965-11-08
[9] 뉴스 Frontier area extended 1982-06-25
[10] 뉴스 Frontier line adjusted 1984-09-08
[11] 뉴스 Beware the bushes – they may arrest you 1994-11-11
[12] 뉴스 Villagers free of 40-year curfew 1994-06-24
[13] 웹사이트 邊境禁區範圍縮減首階段生效 http://www.news.gov.[...]
[14] 웹사이트 WWF憂蠔殼圍禁區開放後生態受影響 http://hk.apple.next[...] 2019-05-07
[15] 웹사이트 Government proposes to reduce Frontier Closed Area https://www.info.gov[...] 2019-05-07
[16] 웹사이트 LEGCO Review of the Frontier Closed Area - Result of Public Consultation http://www.legco.gov[...]
[17] 웹사이트 關注香港邊境禁區以及河套大學城的發展 {{!}} 張離 https://www.inmediah[...] 2019-05-07
[18] PDF http://www.legco.gov[...] 2022-03-01
[19] 뉴스 Government proposes to reduce Frontier Closed Area http://www.info.gov.[...] 香港政府 2006-09-07
[20] 뉴스 香港、辺境禁区の範囲を大幅減少 http://www.hellonavi[...] CafeChinaニュース 2006-09-15
[21] 웹사이트 LEGCO Review of the Frontier Closed Area - Result of Public Consultation http://www.legco.gov[...]
[22] 웹사이트 對公眾人士作出的通告-最新邊境禁區界線 https://www.police.g[...]
[23] 웹사이트 禁區警崗解密 世盃國家名作代號 http://orientaldaily[...]
[24] 웹사이트 施政報告2021|「北部都會區」的前身——13年前「一河兩岸」的構想 https://web.archive.[...]
[25] 뉴스 Curfew set to go despite rise in IIs South China Morning Post 1994-07-08
[26] 뉴스 BORDER BARRICADE STRENGTHENED: Deterrent Against Unabated Flow Of Refugees South China Morning Post 1962-05-18
[27] 뉴스 Frontier Closed Area Order South China Morning Post 1959-02-21
[28] 뉴스 H.K.-China Frontier 'Most Peaceful In World' South China Morning Post 1965-11-08
[29] 뉴스 Frontier area extended South China Morning Post 1982-06-25
[30] 뉴스 Frontier line adjusted South China Morning Post 1984-09-08
[31] 뉴스 Beware the bushes – they may arrest you South China Morning Post 1994-11-11
[32] 뉴스 Villagers free of 40-year curfew South China Morning Post 1994-06-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