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보렐-카라테오도리 정리는 복소변수 함수에 대한 해석학 정리로, 함수 f(z)의 절댓값에 대한 상한을 함수의 실수부와 함수값 f(0)을 이용하여 나타낸다. 이 정리는 슈바르츠 보조정리를 활용하여 증명되며, 아다마르 인수분해 정리의 증명 등에서 미분 계수의 로그 값을 제한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리우빌 정리의 강화된 형태를 유도하고, 전해석 함수의 차수를 제한하는 데에도 응용된다.
2. 공식화
복소 변수 함수 f(z)가 |z|≤R에서 해석적이라 하고 A(r)|A(r)영어 = 라 하면, 0부등식이 성립한다.[3]
:
함수 가 반지름이 ''R''이고 원점을 중심으로 하는 닫힌 원판에서 해석적이라고 하자. ''r'' < ''R''이라고 가정하면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
:
여기서 좌변의 노름은 닫힌 원판에서 ''f''의 최댓값을 나타낸다.
:
4. 따름정리
(제공된 원본 소스가 없으므로, 따름정리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지침에 따라 위키텍스트를 작성하겠습니다.)
5. 응용
보렐-카라테오도리 정리는 아다마르 인수분해 정리의 증명 등에서 미분 계수의 로그 값을 제한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1]
다음은 리우빌 정리를 강화한 형태이다.
'''개선된 리우빌 정리'''
만약 f가 전해석 함수이고, \max_{z \in \partial B(0, r_k)} \Re(f(z)) = o(r_k^{n+1})를 만족하는 수열 r_k \nearrow \infty가 존재한다면, f는 차수가 최대 n인 다항식이다.
'''증명'''
보렐-카라테오도리 보조정리에 의해, 모든 0 < r< r_k에 대해,
\max_{z\in \partial B(0, r)}| f^{(n+1)}(z)| \leq \frac{4n!}{(r_k-r)^{n+2}} r_k M
여기서 M = \max_{z\in \partial B(0, r_k)} \Re(f(z)) = o(r_k^{n+1})이다.
r \leq \frac{r_k}{2}로 놓고, k \nearrow \infty 극한을 취하면:
\max_{z\in \partial B(0, r)}| f^{(n+1)}(z)| = o(1) \to 0
따라서 리우빌 정리에 의해, f^{(n+1)}은 상수 함수이고, 0으로 수렴하므로 0이다. 따라서 f는 차수가 최대 n인 다항식이다.[1]
'''따름정리'''
만약 전해석 함수 f가 근이 없고, 유한한 차수 \rho를 가진다면, f(z) = e^{p(z)}이고, p는 deg(p) \leq \rho인 어떤 다항식이다.
'''증명'''
개선된 리우빌 정리를 g = \log(f)에 적용한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