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르네오 전역 (1945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르네오 전역 (1945년)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인 1945년, 연합군이 보르네오 섬을 일본 제국으로부터 탈환하기 위해 수행한 일련의 군사 작전을 의미한다. 연합군은 타라칸, 발릭파판, 라부안 등 주요 지역을 목표로 '오보에 작전'을 계획했으며, 호주군을 주축으로 미 해군, 호주 공군 등이 참여했다. 일본군은 1944년부터 보르네오 방어를 준비했지만, 연합군의 공세에 밀려 주요 거점을 상실했다. 주요 전투로는 타라칸 전투, 북보르네오 전투, 발릭파판 전투가 있었으며, 이 작전들을 통해 연합군은 일본군을 격퇴하고 전략적 요충지를 확보했으나, 전쟁 종결로 인해 전략적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르네오 전역 - 북보르네오 전투
    북보르네오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이 보르네오섬을 탈환하기 위해 수행한 작전으로, 호주 육군 제9사단을 중심으로 라부안섬 등 북보르네오 지역에서 일본군과 전투를 벌여 호주군 사상자와 일본군 사상자를 발생시키고 영국 민간 행정부를 수립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인도네시아 - 대동아공영권
    대동아공영권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이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를 지배하에 두기 위해 내세운 슬로건이었으나, 실제로는 일본의 제국주의적 침략을 정당화하고 자원 수탈과 억압을 자행한 계획이었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인도네시아 - 일본의 네덜란드령 동인도 점령
    일본의 네덜란드령 동인도 점령은 1942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 제국이 네덜란드령 동인도를 점령한 사건으로, 경제적 이익과 대동아공영권의 실현을 위해 침공하여 인도네시아를 통치하며 가혹한 처우를 했지만, 결과적으로 인도네시아 독립의 기반을 마련했다.
  • 영국령 보르네오 - 북보르네오
    북보르네오는 1877년 구스타프 오버벡이 브루나이와 술루 술탄국으로부터 토지 양허를 받아 설립된 지역으로, 이후 영국 세력의 진출과 보호령 편입, 회사 행정 체제, 경제 발전, 일본 점령, 그리고 영국의 직할 식민지화 과정을 거쳤다.
  • 영국령 보르네오 - 사라왁 왕령식민지
    사라왁 왕령식민지는 1946년부터 1963년까지 영국 통치를 받으며 정치적 변화와 경제적 발전을 겪은 영국의 왕령 식민지였다.
보르네오 전역 (1945년)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정보
분쟁 명칭보르네오 전역 (1945년)
전체 전쟁태평양 전쟁
보르네오 전역 지도
날짜1945년 5월 1일 ~ 8월 15일
장소보르네오, 타라칸섬, 라부안섬
결과연합군의 승리
교전 세력
연합군오스트레일리아
미국 (1912)
네덜란드
영국
추축군일본 제국
지휘관
연합군 지휘관레슬리 모스헤드
더글라스 맥아더
토마스 킨케이드
일본군 지휘관가마다 미치아키
마사오 바바
병력 규모
연합군 병력35,000명
일본군 병력15,000명
사상자
연합군 사상자전사 약 8,000명
일본군 사상자전사 약 10,000명
기타

2. 배경

보르네오섬은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이전에는 북서쪽의 영국령과 남부에서 동부의 네덜란드령으로 나뉘어 있었으나, 모두 일본군에 의해 점령당한 상태였다. 네덜란드령의 발릭파판산다칸, 그리고 영국령의 미리 등에는 유전이 있어 일본에게는 중요한 자원 지대였다. 그러나 연합군의 필리핀 반격이 진행되면서 해상 교통로가 차단되어 일본 본토로 자원을 수송하는 것은 불가능해졌다. 브루나이만은 중요한 해군 정박지였지만, 이미 일본군에게는 가용할 수 있는 함대가 남아 있지 않았다.

일본군은 옛 영국령에는 육군을, 옛 네덜란드령에는 해군을 배치하여 주요 담당 지역을 할당하여 방어와 군정을 분담하고 있었다. 바바 마사오 중장의 제37군 소속 독립혼성 제56, 71여단과 제25연대가 배치되어 있었지만, 그중 독립혼성 제71여단은 인원, 장비, 훈련이 부족하여 제대로 된 편성을 갖추지 못했다. 해군 방어의 주력은 카마다 미치아키 중장의 제22특별근처지대였다.

일본 제국 육군(IJA)은 점령된 영국령 북보르네오를 관리했고, 일본 제국 해군(IJN)은 네덜란드령 보르네오를 담당했다. 일본군 점령 기간 동안, 현지 주민들은 가혹한 대우를 받았다. 타라칸에서는 강제 노역, 경제 붕괴, 식량 부족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1943년 10월에는 현지 다약 부족민과 화교들의 제설턴 반란이 일어났으나, 일본군에 의해 진압되어 수백 명이 처형되었다. 이후 일본의 가혹한 정책으로 질병과 기아로 인한 사망자가 증가했다. 일본군은 보르네오 점령 기간 동안 여러 차례 학살을 자행했다.

연합군은 네덜란드령 동인도 탈환을 목표로 하는 〈오보에 작전〉(Operation "OBOE")의 일환으로 보르네오 침공을 계획했다. 여기에는 브루나이 만에 영국 태평양 함대의 정박지를 확보하고 유전을 탈환한다는 전략적 목적이 있었다.

2. 1. 연합군의 계획

연합군의 보르네오 탈환 계획은 〈오보에 작전〉(Operation "OBOE")으로 명명되었으며,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남서태평양 지역 사령부에서 1944년 말부터 1945년 초까지 수립되었다. 이 작전의 주요 목표는 네덜란드령 동인도를 탈환하는 것이었으며, 브루나이 만에 영국 태평양 함대의 정박지를 확보하고 유전을 탈환하는 전략적 목적도 포함되었다.[1]

초기 계획은 6단계로 구성되었다.

작전명목표
오보에 1호 작전타라칸섬 탈환
오보에 2호 작전발릭파판 탈환
오보에 3호 작전반자르마신 공격
오보에 4호 작전수라바야 또는 바타비아(현 자카르타) 공격
오보에 5호 작전네덜란드령 동인도 동부 공격
오보에 6호 작전북보르네오(사바) 공격



그러나 최종적으로 실행된 작전은 타라칸섬 탈환을 목표로 한 〈오보에 1호 작전〉, 발릭파판 탈환을 위한 〈오보에 2호 작전〉, 브루나이 만과 라부안 탈환을 위한 〈오보에 6호 작전〉뿐이었다.[1] 지상전은 레슬리 모스헤드 중장의 오스트레일리아 제1군단 예하 제7사단과 제9사단이 주력으로 투입될 예정이었다.

보르네오 전역의 진행 상황을 보여주는 지도


하지만, 브루나이 만을 기지화하는 것은 전쟁 자원 낭비이며, 일본의 해상 교통로가 이미 차단되었기 때문에 상륙의 전략적 가치가 없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1] 특히 독일 항복 이후에는 발릭파판에 제7사단을 투입하는 것을 중단하는 방안도 검토되었으나, 계획대로 실행되었다.

호주군 사령관 토마스 블레이미 장군은 발릭파판 상륙 작전이 전략적 목적이 없다고 반대했다. 그러나 더글러스 맥아더의 요청과 호주 정부의 결정에 따라 병력 제공이 이루어졌다.

2. 2. 일본군의 방어 계획

일본군은 옛 영국령에는 육군을, 옛 네덜란드령에는 해군을 배치하여 주요 담당 지역을 할당하여 방어와 군정을 분담하고 있었다. 제37군(사령관: 바바 마사오 중장)의 독립혼성 제56여단과 제71독립혼성여단, 독립혼성 제25연대를 배치하고 있었지만, 제71독립혼성여단은 편성 중으로 인원과 장비, 훈련 모두 부족했다.[1] 해군의 수비 주력은 제22특별근거지대(사령관: 카마다 미치아키 중장)였다.[1]

3. 주요 전투

1945년 4월부터 보르네오 지역의 일본군 기지는 필리핀에서 출격한 항공기와 기동 부대의 탑재기에 의해 맹렬한 사전 공습을 받았다. 같은 달 중순, 일본군은 연합군의 상륙이 임박했다고 판단하고 정유 시설을 스스로 파괴했다. 보르네오 전역에서 벌어진 주요 전투는 다음과 같다.

작전명전투기간
오보에 1호타라칸 전투1945년 5월 1일 ~ 6월 21일
오보에 6호북보르네오 전투, 라부안 전투1945년 6월 10일 ~ 8월 15일
오보에 2호발릭파판 전투1945년 7월 1일 ~ 7월 21일


3. 1. 타라칸 전투 (1945년 5월 1일 ~ 6월 21일)

5월 1일, 동해안의 타라칸섬에 호주 제9사단 제26여단을 중심으로 11,800명이 상륙했다.[2] 이 상륙 작전은 오보에 1호 작전으로 명명되었으며, 보르네오 전역의 첫 번째 단계였다. 일본군은 독립 보병 제455대대와 해군 제2경비대 총 2,200명이 방어했으며, 6월 중순까지 격렬하게 저항했다. 종전까지 연합군은 소탕전을 계속 펼쳤고, 일본군은 1,500명이 전사하고 250명이 포로가 되었다. 연합군도 오스트레일리아군 225명이 전사하고 700여 명이 부상당했다.[3] 또한 미국 해군의 기동전 소해정 1척이 해안 포대에 격침되었고, 포대나 기뢰 때문에 구축함 등 5척이 손상되었다.[4]

타라칸 상륙 작전은 데이비드 화이트헤드 준장이 지휘하는 제26여단이 담당했다. 제26여단은 3개 보병대대와 2개 공병대대, 코만도 부대, 공병대 등으로 증강되었다. 미군 수륙양용 공병대, 미군 수륙양용 트랙터 대대, 네덜란드 보병 중대 및 민정 부대도 화이트헤드 준장의 지휘하에 있었다. 오스트레일리아군의 공격은 4월 12일에 시작된 대규모 공중 폭격에 앞서 이루어졌으며, 일본 선박을 차단하고, 비행장을 공격하고, 상륙 해변 주변의 장애물을 제거하고, 포병 및 방어 시설을 억제했다.

주 상륙 작전 중에는 오스트레일리아 공병들이 상륙 해변의 장애물을 제거했다. 제2/23대대와 제2/48보병대대의 돌격대는 강력한 해상 포격의 지원을 받으며 상륙했다. 처음에는 북쪽으로 타라칸 시가지로 진격하기 시작하기 전까지는 저항에 직면하지 않았다. 링카스 언덕 주변의 저항은 극복되었고, 첫날이 끝날 무렵 강력한 교두보가 확립되었다.

여단 예비대인 제2/24보병대대는 다음 날 상륙하여 활주로로 진격을 계속했다. 일본군의 저항이 커지면서 공병들이 제거해야 하는 많은 수의 지뢰와 폭발물 때문에 진격이 방해를 받았다. 그러나 마침내 5월 5일 오스트레일리아군이 활주로를 점령했다.

6월까지 작전이 계속되면서 고립된 일본군들이 섬 전역의 터널과 고지대에서 오스트레일리아군에 저항했다. 마지막 주요 목표인 90고지가 6월 20일에 확보되었지만, 그 이후에도 소규모 충돌이 계속되었다. 활주로가 심하게 파손되어 수리하는 데 8주가 걸렸고, 그 무렵 전쟁은 사실상 끝났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타라칸 침공이 연합군이 입은 사상자를 정당화하지 못했다고 평가한다.

3. 2. 북보르네오 전투 (1945년 6월 10일 ~ 8월 15일)

1945년 6월 10일, 브루나이만라부안오스트레일리아 제9사단 주력이 상륙하면서 북보르네오 전투가 시작되었다. 이 작전은 오보에 6호 작전으로 명명되었으며, 브루나이만라부안 탈환이 목표였다.[1] 상륙에는 경순양함 호바트를 비롯한 순양함 4척, 구축함 23척 등이 투입되어 화력 지원을 하였고, 연합군 병력은 총 29,000명에 달했다.[1]

1945년 6월 10일 라부안에 접근하는 미 해군 상륙정(LCI)에 가득 찬 호주 군인들


이 전투에는 레슬리 모스헤드 중장이 이끄는 호주 제1군단이 주력으로 참전했다. 제1군단은 제7사단과 제9사단 등 2개 보병 사단으로 구성되었다. 이 작전에서 호주 군단은 미 제8군 소속이 아니라 맥아더의 직할 부대로 배치되었다. 토머스 킨케이드 제독이 이끄는 미 제7함대, 호주 제1전술항공대, 미 제13항공군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소수의 네덜란드 병력도 작전에 참가했다. 74,000명이 넘는 연합군이 초기 상륙 작전에 투입되었다. 대부분의 물류 지원은 미국이 제공했으며, 특히 대량의 병력, 물자, 장비 수송에 필요한 선박 제공이 주요 부분을 차지했다.

일본군은 가마다 미치아키 중장이 이끄는 해군 및 육군 부대와 바바 마사오 중장이 이끄는 제37군이 방어를 맡았다. 제37군은 예셀턴(현 코타키나발루)에 본부를 두었으며, 제56 독립 혼성 여단, 제71 독립 혼성 여단, 제25 독립 혼성 연대 등으로 구성되었다. 연합군 정보 당국은 보르네오에 약 32,000명의 일본군이 있으며, 그중 15,000명이 전투 병력이라고 평가했다.

일본군은 해안 방어 대신 내륙으로 후퇴하는 전략을 택했기 때문에, 연합군은 비교적 쉽게 해안 지역을 장악할 수 있었다. 라부안 전투에서 일본군 수비대는 전멸했다. 이후 연합군은 미리 방면으로 추격전을 벌였다. 오스트레일리아군 기록에 따르면, 브루나이 만 일대 전투에서 일본군은 1,200명 이상 전사했고, 오스트레일리아군은 114명이 전사하고 221명이 부상당했다.[5] 상륙에 앞서 6월 8일에는 소해 작업 중이던 미국 해군 소해정 살류트(USS Salute (AM-294))가 기뢰에 의해 침몰하기도 했다.[4]

3. 2. 1. 라부안 전투

6월 10일, 브루나이만라부안에 호주 제9사단 주력이 도착했다. 경순양함 호바트를 필두로 순양함 4척, 구축함 23척 등이 항공 지원을 하였고, 연합군의 참전 병력은 29,000명에 달했다.[1] 일본군은 독립혼성 제56여단을 배치했는데, 브루나이만에는 독립 보병 제366, 제367대대를, 라부안에는 독립 보병 제311대대를 배치했다.[1] 일본군이 해안 배치를 피하고 후퇴했기 때문에 연합군은 일주일 만에 해안을 장악했고, 라부안 수비대는 전멸했다.[1] 이후 연합군은 미리 방면으로 추격전을 벌였다.[1] 오스트레일리아군 기록에 따르면, 브루나이만 일대 전투에서 일본군은 1,200명 이상 전사했고, 오스트레일리아군은 114명이 전사하고 221명이 부상당했다.[1]

3. 2. 2. 게릴라전

영국령 북보르네오에서의 재래식 작전과 병행하여, 특수작전 오스트레일리아(SOA)가 조직한 게릴라전이 수행되었다. 여기에는 영국령 북보르네오에서의 아가스 작전(Operation Agas)과 사라왁에서의 세무트 작전(Operation Semut)이 포함되었다.[1] 이 작전들은 1943년 10월부터 1944년 1월까지 수행되었던 실패한 파이썬 작전을 계승한 것이었다.[2]

1945년 3월부터 7월 사이에 5개의 SOA 부대가 북보르네오에 투입되었다. 아가스 1, 2 부대는 북서 보르네오에 정보원과 게릴라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아가스 4, 5 부대는 보르네오 동해안에 상륙했지만 거의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아가스 3 부대는 제1군단의 요청으로 라나우 지역을 조사했다. 아가스 작전의 결과는 엇갈렸는데, 부대들은 작전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하고 질이 다양한 정보를 제공했으며, 100명 미만의 일본군을 사살했다.[1]

세무트 작전의 일환으로 100명이 넘는 연합군 인원이 4개 부대로 나뉘어 1945년 3월부터 사라왁에 공수되었다. 이들 대부분은 호주인이었다. 세무트 부대는 정보 수집과 게릴라 부대 편성 임무를 맡았다. 다야크족으로 알려진 사라왁 내륙 주민들은 게릴라 부대에 열렬히 참여했고, SOA 인원들은 소규모 민간 군사 조직을 이끌었다.[1] 호주 공군 제200비행대와 호주 왕립 해군의 스네이크급 정크선은 SOA 인원과 물자를 투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

1945년 6월 브루나이에서 일본 소총으로 무장한 다야크족 남성들. 내륙 마을로 돌아가기 전


게릴라 부대는 사라왁 내륙 장악을 위한 공격을 펼친 반면, 제9사단은 북보르네오의 해안 지역, 유전, 농장 및 항구에 집중했다.[1] 게릴라들은 발라이, 리단, 마루디 주변의 순찰 기지와 산악 지대, 판다루안 강과 림방 강을 포함한 여러 주요 수로, 그리고 보포트와 테놈 사이를 운행하는 철도를 따라 작전을 수행했다. 이들은 일본군의 이동 자유를 방해하고 주요 전투 지역에서 철수하는 부대를 저지하려고 했다.[4] 호주 공군은 경무장 게릴라를 지원하기 위해 공습을 실시했고, 때로는 게릴라들은 더 잘 무장한 일본군 부대를 피해야 했다.[1] 이 작전은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게릴라 활동을 통해 북보르네오에서 1,800명이 넘는 일본군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된다.[4][1]

3. 3. 발릭파판 전투 (1945년 7월 1일 ~ 7월 21일)

1945년 6월 15일부터 발릭파판 부근에서 미국 해군이 소해 작업을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기동 소해정 4척이 기뢰에 의해 침몰했고, 포격 등으로 구축함 이하 함정 몇 척이 손상되었다.[4]

7월 1일, 순양함 5척 등의 함포 사격 후, 오스트레일리아 제7사단이 발릭파판에 상륙했다. 연합군 참가 병력은 33,500명으로,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마지막 대규모 상륙전으로 평가되기도 한다.[6] 상륙 첫날에만 3만 발에 달하는 맹렬한 함포 사격이 지원되었고, 3일 아침까지 17,000명의 연합군 병력이 상륙했다. 일본군은 해군 제22특별근거지대를 중심으로 11,000명의 병력을 보유, 2개의 비행장 주변 등에 방어 태세를 갖추고 있었다.[7] 일본군은 유전 방공용 대공포를 전용한 것을 포함, 상당히 강력한 포대를 보유하여 오스트레일리아군 전차 3량을 연달아 격파하기도 했다.[8] 그러나 일본군은 전문 지상전투원이 부족하여 점차 거점을 잃었고, 9일까지 비행장은 점령되었다.

7월 하순까지 추격전이 벌어졌으며, 이후에도 종전까지 산발적인 전투가 계속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군 기록에 따르면 일본군 1,800명 이상이 전사했고, 오스트레일리아군은 전사 229명, 부상 664명의 피해를 입었다.[9] 제7함대에서는 침몰 및 손상된 소해정에서 7명의 전사자가 발생했다.[10]

4. 결과

2011년 라부안 전쟁 묘지


작전 이후, 오스트레일리아군은 1945년 말까지 보르네오에 남아 민정 복구, 재건 감독, 일본군 항복 감시, 보르네오 전역의 수용소에 수감되었던 연합군 포로 석방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1] 보푸르트 근처에서 오스트레일리아군이 산다칸 사망 행진에 대한 복수로 항복한 일본군을 학살하도록 현지 전투원들을 부추겼다는 주장이 있다. 약 6,000명의 일본군이 사망했다고 한다. 그러나 역사가 오이 키앗 긴(Ooi Keat Gin)은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문서적 증거는 없다고 말한다.[2]

역사가 유스테이스 키오에 따르면, 보르네오 작전 전반에 걸쳐 오스트레일리아군이 수행한 상륙 작전은 작전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었으며, 오스트레일리아가 전쟁 중 수행한 가장 큰 상륙 작전이었다. 이 작전에는 여러 국가의 해군 및 공군의 광범위한 지원뿐만 아니라 복잡한 계획 및 공군, 육군, 해군 간의 협력이 필요했다. 배치된 부대 훈련에는 상당한 시간과 자원이 투입되었다.[3] 역사가 피터 데니스는 이 작전들이 "전략적으로 의문스러운 가치가 있었지만...숙련되게 수행되었다"고 평가했다.[4]

이 작전에서 연합군 측 사상자는 약 2,100명이었고,[5] 일본군은 약 4,700명의 사상자를 냈다.[6] 상당수의 민간인이 사망하거나 부상을 당했다. 예를 들어, 타라칸의 전쟁 전 폭격으로 최소 100명의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했다.[7]

연합군의 상륙 작전이 성공했음에도 불구하고, 전략적 상황 때문에 보르네오 작전은 당시와 그 이후 수년 동안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무의미하거나 병사들의 희생을 낭비한 것으로 비판을 받았다.[8] 특히 타라칸에서의 첫 번째 작전 이후로 그러한 비판이 거셌다.[9] 맥스 해스팅스(Max Hastings)와 같은 역사가들은 이미 일본과 단절된 이들 부대를 공격하는 것은 자원 낭비였다고 평가한다. 해스팅스에 따르면, "어떤 합리적인 전략적 판단이라도 그들을 소규모 연합군에 의해 차폐된 상태로 내버려 두고, 그들의 국가가 패배하여 항복을 강요할 때까지 그대로 두었을 것이다."[10] 그러나 이 작전은 네덜란드령 동인도 제도의 주요 부분을 점령한 상당수의 일본군을 고립시키고, 주요 석유 공급을 확보하고, 산다칸 수용소와 바투 린탕 수용소에서 점점 더 열악한 조건에서 구금되고 있던 연합군 포로들을 석방하는 등 여러 목표를 달성했다는 주장도 있다.

연합군은 상륙 지점을 점령했지만, 곧 종전을 맞이했기에 전략적으로 큰 영향은 없었다. 일본군은 4,700명 이상이 전사 또는 전몰했다. 연합군은 호주군 569명이 전사하고 약 1,400명이 부상당했다.

이 전투의 일본군 지휘관인 마바 정로(육군 중장)와 가마다 미치아키(해군 중장)는 종전 후 BC급 전범으로 지정되어 사형당했다.

참조

[1] 문서 残りのオーボエ3号-5号作戦はボルネオ島南部のバンジャルマシンやジャワ島などに対するもので、終戦までに実行されなかった。
[2] 서적 豪軍公刊戦史
[3] 서적 豪軍公刊戦史
[4] 웹사이트 The Offiicial Chronology of the US Navy in World War II http://www.ibiblio.o[...]
[5] 서적 豪軍公刊戦史
[6] 서적 豪軍公刊戦史
[7] 문서 ただし兵力11000人のうち、防空部隊や石油技術者などが多く、地上戦闘訓練を受けていたのは独立歩兵第454大隊1500人のほか、22特根の陸戦隊のうち1個大隊1800人程度であった。小火器も不足し、槍を装備した日本兵もいたとオーストラリア軍は記録している。
[8] 서적 豪軍公刊戦史
[9] 서적 豪軍公刊戦史
[10] 서적 ニミッツの太平洋海戦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