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즈로즈데니야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즈로즈데니야섬은 한때 아랄해에 위치했던 섬이었으나, 소련의 관개 사업으로 아랄해가 줄어들면서 육지와 연결되었다. 1948년에는 소련의 비밀 생물무기 연구소가 설립되어 탄저, 천연두 등 다양한 병원체를 실험했으며, 1971년에는 천연두가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폐쇄되었고, 2002년에는 미국의 지원으로 탄저균 매몰지 제염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 섬은 소설, 비디오 게임 등 대중문화에도 등장한다.

2. 지리

2001년 중반 본토와 연결된 보즈로즈데니야섬


보즈로즈데니야섬의 성장과 소멸 연표


보즈로즈데니야섬은 원래 작은 섬으로, 19세기에는 그 면적이 200km2에 불과했다.[2][18] 그러나 1960년대 소련농업용수 확보를 목적으로 아랄해로 유입되는 강들의 흐름을 바꾸면서 아랄해가 마르기 시작했고, 섬의 면적은 점차 확장되었다.[3][19] 아랄해의 축소는 시간이 지나면서 더욱 빨라졌고, 물이 줄어들면서 한때 보즈로즈데니야섬의 면적은 2300km2까지 늘어나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호수 섬이 되기도 했다.[4][20]

2001년 중반, 남쪽 아랄해가 충분히 마르면서 섬은 결국 육지와 연결되어 반도가 되었다.[5][21][22] 이후 2008년에는 동남쪽 아랄해마저 소멸하면서 보즈로즈데니야섬은 주변 육지의 일부로 완전히 편입되었고, 2014년경에는 광활한 아랄쿰 사막 내의 지형으로 변모하였다.

3. 역사

1848년부터 1849년까지 러시아 제국의 해군 장교 A. I. 부타코프가 이끄는 해상 원정대가 아랄해를 탐험하면서 보즈로즈데니야섬을 포함한 여러 섬을 발견했다. 당시 탐험대에는 우크라이나 출신 시인인 타라스 셰우첸코가 예술가로 참여하기도 했다. 이때 발견된 섬 중 하나인 니콜라이 1세섬이 소련 시대에 보즈로즈데니야섬으로 이름이 바뀌었다.[23][24][6][7]

1920년대 소련붉은 군대 지도부는 생물 무기 연구 및 실험을 위한 군사 단지 건설을 계획했고, 여러 후보지를 검토한 끝에 아랄해 한가운데에 위치하여 외부와 격리된 보즈로즈데니야섬을 최적의 장소로 선택했다.[18][2]

1948년, 섬에는 '아랄스크-7'(Aralsk-7)이라는 최고 기밀 생물 무기 연구소가 설립되었다.[25][10] 1954년 시설이 확장된 이곳에서는 탄저병, 천연두, 페스트, 브루셀라증, 야토병 등 다양한 병원체를 이용한 연구와 실험이 진행되었다.[18][2] 1971년에는 실험 중이던 무기화된 천연두 바이러스가 유출되어 10명이 감염되고 그중 3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26][11]

소련의 붕괴 직전인 1991년 11월, 아랄스크-7은 폐쇄되었고 섬에 거주하던 연구원과 군인, 주민들은 모두 섬을 떠났다.[18][2][13] 섬의 주요 도시였던 칸투베크는 버려져 유령 도시가 되었다.[18][2] 폐쇄 이후 제대로 관리되지 않은 시설과 방치된 생물학 작용제의 위험성이 제기되었고, 특히 2001년 9.11 테러 이후 탄저병 균의 유출 가능성에 대한 국제적인 우려가 커졌다. 이에 2002년 미국우즈베키스탄 정부의 협력으로 섬에 매몰된 탄저균을 제거하는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27][14]

3. 1. 소련의 생물무기 개발

소련1930년대부터 보즈로즈데니야섬에서 생물 무기 연구 및 실험을 진행했다.[9] 1920년대 붉은 군대 지도부는 생물 무기 개발 및 실험을 위한 최적의 장소를 물색했는데, 해안에서 5km에서 10km 정도 떨어진 비교적 큰 섬이 이상적인 조건으로 여겨졌다.[18][2] 초기에는 바이칼호 등 여러 곳이 검토되었으나, 최종적으로는 백해솔로베츠키 제도, 셀리게르호의 고로돔랴섬과 함께 아랄해에 위치한 보즈로즈데니야섬이 후보지로 좁혀졌다.[18][2] 러시아 내전 이후 겪었던 여러 어려움과 실패를 통해 소련은 다른 나라와의 국경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연구 시설을 건설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했고, 소련 국경 안쪽 아랄해 한가운데에 위치한 보즈로즈데니야섬은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는 장소였다.[18][2]

1936년 여름, 이반 미하일로비치 벨리카노프가 이끄는 붉은 군대 탐험대가 보즈로즈데니야섬에서 처음으로 생물 무기 관련 실험을 수행했다.[9] 그러나 벨리카노프는 1937년 체포되어 처형되었고, 같은 해 여름 야토병(툴라레미아) 전문가인 레오니트 모이세비치 카타네버가 두 번째 탐험을 이끌며 야토병균 확산 실험 등을 진행했다.[9]

1948년, 섬에는 최고 기밀 수준의 소련 생물 무기 연구소가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25][10] 1954년에는 부지가 확장되어 "아랄스크-7"(Aralsk-7)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으며, 소련의 생물학전 그룹의 주요 연구 및 실험 장소 중 하나로 기능했다.[18][2] 이곳에서는 다양한 병원체를 이용한 실험이 이루어졌는데, 주요 실험 대상은 다음과 같다.

병원체비고
탄저병포자 형태 무기화, 저장[12], 2002년 일부 매립지 제염[27][14]
천연두1971년 우발적 유출 사고 발생 (10명 감염, 3명 사망)[26][11]
페스트가래톳페스트(선페스트) 간균 무기화, 저장[12]
브루셀라증실험 대상[25][10]
야토병초기 실험 대상 (1937년)[9], 이후 지속 실험[25][10]
기타보툴리누스균, 베네수엘라 말 뇌염 등 약 40종 이상의 병원체 실험



1971년에는 실험 중이던 천연두 바이러스가 우발적으로 유출되어 10명이 감염되고 그중 3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26][11] 섬의 위험성은 1990년대 들어 옛 소련 생물 무기 프로그램 책임자였던 켄 알리베크와 같은 망명자들의 증언을 통해 외부 세계에 알려지기 시작했다.[12] 공개된 정보에 따르면 아랄스크-7에서는 탄저병 포자와 페스트 간균을 무기화하여 단지 내에 보관하고 있었다.[12]

연구소 직원과 그 가족들이 거주했던 주요 도시는 칸투베크(Kantubek)로, 한때 약 1,500명의 주민이 살았으나 현재는 유령 도시로 남아 있다.[18][2] 칸투베크의 공식 명칭 역시 연구소와 같은 "아랄스크-7"이었으며, 소셜 클럽, 경기장, 학교, 상점 등 기본적인 사회 기반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18][2] 인근에는 "바르한"(Barkhan)이라는 독특한 비행장이 있었는데, 별 모양으로 교차하는 4개의 활주로를 가진 소련 내 유일한 비행장이었다. 이는 섬의 변덕스러운 날씨와 풍향에 맞춰 항공기가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었다.[18][2]

소련의 붕괴가 임박했던 1991년 11월, 소련 국방부는 아랄스크-7의 운영 중단을 결정했고, 1992년 4월 말까지 모든 군 병력이 철수했다.[13] 섬에 거주하던 모든 주민들은 몇 주 안에 섬을 떠났고, 민간 및 군사 시설은 그대로 버려졌다.[18][2] 이후 연구 시설은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고 방치되었으며, 일부 시설은 금전적 가치가 있는 물품을 노린 약탈로 인해 훼손되기도 했다. 특히 생물학 작용제를 보관하던 용기 중 상당수가 제대로 밀봉되지 않거나 파괴되어 내용물이 유출되었을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2001년 9.11 테러 이후, 대량으로 남아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탄저병 균의 위험성이 국제적인 문제로 부각되었다. 이에 미국 정부는 우즈베키스탄 정부와 협력하여 섬에 남아있는 생물 무기 처리 작업에 착수했다. 2002년 봄부터 여름까지 약 3개월간, 미국 국방부 국방 위협 감소국(DTRA) 소속 생화학 기술자 브라이언 헤이즈가 이끄는 113명의 처리팀이 파견되어 10곳의 탄저균 매몰지를 찾아내 약 100~200톤 가량의 탄저균을 중화 처리했다.[27][14] 이 작업에는 약 500만달러의 비용이 투입되었다. 그러나 탄저균 외에 다른 병원체 시료나 관련 물질들은 여전히 처리되지 않은 채 섬에 남아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2. 아랄해 참사와 생물무기



보즈로즈데니야섬은 본래 작은 섬으로, 19세기에는 면적이 200km2에 불과했다.[2] 그러나 1960년대 소련농업 프로젝트를 위해 아랄해로 유입되는 강물을 막으면서 아랄해가 마르기 시작했고, 섬의 면적은 점차 커지기 시작했다.[3] 아랄해의 수위 감소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속화되었고, 물이 줄어들면서 보즈로즈데니야섬의 면적은 한때 2km2까지 확장되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호수 섬이 되기도 했다.[4]

하지만 아랄해의 축소는 계속되어, 2001년 중반에는 남 아랄해가 충분히 마르면서 섬은 더 이상 고립된 형태가 아닌 육지와 연결된 반도가 되었다.[5][22] 이후 2008년에는 동남 아랄해가 완전히 사라지면서 보즈로즈데니야섬은 주변 육지의 일부로 편입되었고, 2014년경에는 광활한 아랄쿰 사막 내의 지형 일부가 되었다.

3. 3. 국제사회의 노력과 한국의 입장

미국 9.11 테러 이후, 섬에 대량으로 남아 있는 탄저병 균이 대테러 관점에서 국제적인 문제로 부각되었다. 미국 정부는 우즈베키스탄 정부와 협력하여 섬의 생물 무기 처리에 관한 협정을 맺었다. 이에 따라 미국 국방부 국방 위협 감소국(DTRA) 소속 생화학 기술자인 브라이언 헤이즈(Brian Hayeseng)가 지휘하는 113명의 처리팀이 파견되어,[27] 2002년 봄부터 여름까지 3개월 동안 10곳의 탄저균 매몰지를 제염하고 100톤에서 200톤가량의 탄저균을 중화 처리했다.[27] 이 작업에는 약 500만달러의 비용이 투입되었다.

미국 처리팀은 탄저균 중화 작업을 마친 후 섬을 떠났지만, 그 외의 다른 병원체 시료나 무기화된 병원균이 여전히 처리되지 않은 채 남아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4. 대중 문화에서의 등장

보즈로즈데니야섬에 있던 유적과 과거 생물무기 실험실은 여러 소설과 비디오 게임의 배경으로 등장한다.
비디오 게임


  • 비디오 게임 《커맨드 앤 컨커: 제너럴》에서는 이 섬이 미국의 점령 하에 있었지만, 가상의 세계 해방군에게 점령되는 것으로 나온다.[15]
  • 비디오 게임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의 "리버스" 미션은 이 지역의 옛 생물무기 기지와 실험실을 배경으로 한다. 해당 미션에서는 주인공 알렉스 메이슨이 프리드리히 슈타이너를 추적하며, 제이슨 허드슨과 그리고리 위버가 슈타이너를 구출하려는 내용이 포함된다.[15]
  • 콜 오브 듀티: 워존》에서는 이 섬의 화학 무기 개발 역사와 알카트라즈 감옥을 모티브로 한 '리버스 아일랜드' 맵과 리버스 부활 모드를 제공한다.[15]

소설

  • 소설 《홈 팀: 무기 등급》(The Home Team: Weapons Grade)에서는 악당들이 테러 음모에 사용하기 위해 보즈로즈데니야섬에서 11km 떨어진 임시 폐기장에서 2ton 규모의 "탄저균 836호"(Anthrax 836)를 발견하는 내용이 나온다.[28][15]
  • 웹 소설 『테크노마기카(Technomagica)』에서는 이 섬과 생물학 무기 연구소가 주인공 블라디슬라프 케렌스키의 전 직장으로 묘사된다.[16]

참조

[1] 간행물 "Epidemiology of Biowarfare and Bioterrorism" http://www.bordenins[...] The Borden Institute 2007
[2] 웹사이트 Аральск-7 — закрытый город-призрак, где испытывали биологическое оружие http://bigpicture.ru[...] 2015-12-13
[3] 뉴스 Grand Soviet Scheme for Sharing Water in Central Asia Is Foundering https://www.nytimes.[...] 2002-12-09
[4] 웹사이트 Islands of the World: Largest Lake Islands http://worldatlas.co[...] World Atlas 2019-06-03
[5] 웹사이트 “Rebirth” Island Joins the Mainland http://visibleearth.[...] NASA Visible Earth
[6] 문서 The Aral Sea Encyclopedia
[7] 논문 The Aral Sea and the Dead Sea: Disparate lakes with similar histories: Aral Sea - Dead Sea comparisons 2010
[8] 웹사이트 Аральск-7 — закрытый город-призрак, где испытывали биологическое оружие http://bigpicture.ru[...] 2014-02-20
[9] 서적 Stalin's Secret Weapon: The Origins of Soviet Biological Warfa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11-15
[10] 서적 Plague Wars: The Terrifying Reality of Biological Warfare https://books.google[...] Macmillan
[11] 웹사이트 OP#09: The 1971 Smallpox Epidemic in Aralsk, Kazakhstan, and the Soviet Biological Warfare Program https://nonprolifera[...] 2021-05-18
[12] 서적 The Dead Hand: The Untold Story of the Cold War Arms Race and Its Dangerous Legacy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13] 서적 "Conversion of BW Facilities in Kazakstan" in Geissler, E. (Ed.), Conversion of Former BTW Facilities Kluwer Academic Publishers
[14] 뉴스 Are We Safe Yet? For all the warnings, there hasn't been another attack. But the hard work of enhancing homeland security has only just begun. Here's what we need to do https://money.cnn.co[...] 2002-09-16
[15] 서적 The Home Team: Weapons Grade Avon Books
[16] 웹사이트 Technomagica [Progression Fantasy Litrpg] https://www.royalroa[...] 2023-09-15
[17] 간행물 "Epidemiology of Biowarfare and Bioterrorism" http://www.bordenins[...] The Borden Institute 2007
[18] 웹인용 Аральск-7 — закрытый город-призрак, где испытывали биологическое оружие http://bigpicture.ru[...] 2015-12-13
[19] 뉴스 Grand Soviet Scheme for Sharing Water in Central Asia Is Foundering https://www.nytimes.[...] 뉴욕 타임스 (The New York Times) 2002-12-09
[20] 웹인용 Islands of the World: Largest Lake Islands http://worldatlas.co[...] World Atlas 2019-06-03
[21] 웹인용 “Rebirth” Island Joins the Mainland http://visibleearth.[...] NASA Visible Earth
[22] 웹인용 Aral Sea http://visibleearth.[...] NASA Visible Earth
[23] 문서 The Aral Sea Encyclopedia
[24] URL https://www.research[...]
[25] 서적 Plague Wars: The Terrifying Reality of Biological Warfare https://books.google[...] Macmillan
[26] 서적 The Dead Hand: The Untold Story of the Cold War Arms Race and Its Dangerous Legacy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7] 뉴스 Are We Safe Yet? For all the warnings, there hasn't been another attack. But the hard work of enhancing homeland security has only just begun. Here's what we need to do https://money.cnn.co[...] CNN 2002-09-16
[28] 서적 The Home Team: Weapons Grade Avon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