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사가 필립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음사가 필립보는 신약성경에 등장하는 인물로, 그리스어 이름을 가지고 있다. 그는 사도행전에 일곱 집사 중 한 명으로 처음 언급되었으며, 초기 기독교 예루살렘 교회의 현세적인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선택되었다. 스테파노의 순교 이후 사마리아에서 복음을 전파하고 에티오피아 내시에게 세례를 베푸는 등 활발한 선교 활동을 펼쳤다. 이후 가이사랴에 정착하여 복음 전파자로 활동했으며, 네 명의 예언하는 딸을 두었다. 전승에 따르면 사도 필립보와 혼동되기도 하며, 아나톨리아의 트랄레스 교회의 주교가 되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동방 정교회에서는 10월 11일, 서방 교회에서는 6월 6일에 기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지의 성인 - 비느하스
비느하스는 성경에 등장하는 인물로, 페오르 사건 당시 짐리와 코즈비를 죽여 역병을 막고 야훼로부터 세습 제사장직을 약속받았으며, 미디안 전투를 이끌고 제단 건축 오해 사건 해결에 참여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유대교 문화에서 위선자를 가리키는 표현으로 사용되거나 엘리야와 동일시되기도 하며 가톨릭교회와 동방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숭배받는다. - 성지의 성인 - 복음사가 요한
복음사가 요한은 기독교 전통에서 사도 요한으로 여겨지며, 요한 복음서 등을 저술한 것으로 추정되나, 학계에서는 저자 문제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12월 27일에 축일로 기념된다. - 70인 제자 - 마티아
마티아는 신약성경 사도행전에 나오는 인물로, 가룟 유다를 대신하여 열두 사도 중 한 명으로 선택되었으며, 세례자 요한이 예수에게 세례를 베푼 순간부터 예수의 승천까지 함께 한 제자로서 제비뽑기를 통해 선출되었고, 여러 기독교 교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 70인 제자 - 루가
루가는 신약성서의 루가복음서와 사도행전 저자이자 바울의 동료였으며, 예수의 삶과 초기 기독교 공동체 역사를 기록하고 최초로 성모 마리아를 그린 화가로도 전해진다. - 신약성경의 성인 - 사도 바울로
사도 바울로는 1세기 로마 제국에서 활동하며 이방인 선교에 헌신하여 기독교를 보편적인 종교로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한 기독교 선교가이자 신학자이다. - 신약성경의 성인 - 글레오파
글레오파는 누가복음에 나오는 인물로, 엠마오로 가는 길에 부활한 예수를 알아보지 못했던 두 제자 중 한 명으로, 성경 외적으로는 글로바와 동일 인물로 여겨지며, 전승에서는 성 요셉의 형제로도 전해지고, 여러 기독교 교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복음사가 필립보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복음사가 또는 부제 |
기념일 | 10월 11일 |
숭경 |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콥트 정교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에티오피아 정교회 시리아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루터교 성공회 |
출생 | 1세기 |
출생지 | 카이사레아 마리티마 |
성경 관련 정보 | |
관련 성경 구절 | 사도행전 6장 사도행전 8:26-39 사도행전 21:8-9 |
기타 정보 | |
이름 (그리스어) | Φίλιππος |
2. 신약
신약성경, 특히 사도행전에 따르면, 그리스어 이름을 가진 필립보는 예루살렘 교회에서 헬레니즘 시대 유대인 과부들을 돕기 위해 선발된 일곱 집사 중 한 사람이었다.[1] 스테파노의 순교 이후, 그는 사마리아로 가서 복음을 전파하여 시몬 마구스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을 개종시켰다.[1]
이후 성령의 인도로 광야 길에서 에티오피아 여왕의 내시를 만나 이사야서의 말씀을 설명해주고 세례를 베풀었다.[1] 이 사건 후 필립보는 아소토스(아스돗)를 거쳐 여러 도시에서 복음을 전하다가 카이사리아에 정착했다.[1]
수년 뒤, 사도 바울과 그의 일행이 예루살렘으로 가는 길에 카이사리아에 있는 필립보의 집에 머물렀는데, 이때 필립보는 "복음 전파자"로 불렸으며, 예언하는 네 명의 딸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사도행전 21장 8-9절).[1]
후대의 전승에 따르면, 필립보는 소아시아의 트랄레스(터키령 아이딘)의 감독(주교)이 되었거나, 예수가 파견한 70인 제자 중 한 명이었다고도 한다.
2. 1. 예루살렘 교회
필립보는 그리스어 이름을 가지고 있다. 그는 사도행전 6장 5절에서 일곱 집사 중 한 명으로 처음 언급되는데, 예루살렘 교회의 특정한 현세적인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선택되었으며, 이는 헬레니즘 시대의 헬라파 유대인들이 히브리인들을 상대로 불평한 결과였다. 필립보는 스테파노, 프로코로, 니카노르, 티몬, 파르메나, 니골라오와 함께 선택되어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유대인들을 돌보는 일을 맡았다.2. 2. 사마리아 선교
스테파노가 순교한 이후 (대략 35년~36년경), 일곱 집사 중 한 사람이었던 필립보는 사마리아의 한 도시로 갔다.[1] 그는 그곳에서 큰 성공을 거두며 복음을 전파했고(사도행전 8장), 마술사 시몬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그의 가르침을 받아들였다.[1]2. 3. 에티오피아 내시
사마리아에서의 활동 이후, 필립보는 주의 천사로부터 예루살렘과 가자 사이의 길로 가라는 지시를 받았다.[1] 그 길에서 그는 에티오피아 여왕의 내시를 만났는데, 당시 내시는 이사야서를 읽고 있었다.[1]필립보는 내시에게 다가가 이사야서의 내용을 예수의 가르침과 연결하여 설명해주었고, 이에 감화된 내시는 세례 받기를 청했다.[1] 필립보는 그에게 세례를 베풀었다.[1] 사도행전에 따르면, 이 에티오피아 내시는 기독교 역사상 세례를 받은 최초의 비유대인(이방인)으로 기록된다.
세례를 준 직후, 필립보는 성령에 의해 다른 곳으로 이끌려 아소토스(아스돗)에서 발견되었다.[1] 그는 아소토스를 시작으로 여러 도시를 거치며 복음을 전파하다가 카이사리아에 이르렀다(사도행전 8).[1]
2. 4. 가이사랴
에티오피아 내시에게 세례를 준 후, 필립보는 성령에 이끌려 아소토(아스돗)에서 발견되었고, 여러 성읍을 거치며 복음을 전파했으며 최종적으로 가이사랴에 도착했다(사도행전 8장).[1]그 후 필립보는 가이사랴에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 수년이 지나 사도행전 21장 8-9절에 따르면, 그는 "복음 전파자"(εὐαγγελιστής|에우앙겔리스테스grc)라는 칭호로 불렸으며 (이 용어는 신약성경에서 에베소서 4장 11절과 디모데후서 4장 5절에서만 다시 등장한다), 가이사랴에서 살고 있었다.[1] 당시 그에게는 예언을 하는 네 명의 처녀 딸이 있었다.[1]
52년경으로 추정되는 시기에, 예루살렘으로 향하던 사도 바울과 그의 일행이 가이사랴에 있는 필립보의 집에 머물렀다(사도행전 21장 8절).[1]
후대의 전승에 따르면, 필립보는 소아시아의 항구 도시 트랄레스(터키령 아이딘)의 감독(주교)이 되었다고도 전해진다.
3. 전승
초대 교회 시기부터 복음사가 필립보에 관한 여러 전승이 내려온다. 주요 전승으로는 사도 필립보와의 혼동[2], 소아시아 트랄레스의 주교였다는 이야기 등이 있다.[1]
3. 1. 사도 필립보와의 혼동
매우 초기부터 복음사가 필립보는 사도 필립보와 혼동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혼동은 복음사가 필립보가 사도단의 존경받는 일원이었고, 최초의 12 사도를 넘어선 더 넓은 의미에서 사도로 쉽게 묘사될 수 있었기 때문에 더욱 쉽게 일어났다.[2] 후대의 전승에 따르면, 그는 아나톨리아의 트랄레스에 정착하여 그 교회의 주교가 되었다고 한다.[1]3. 2. 트랄레스의 주교
후대의 전승에 따르면, 필립보는 소아시아(아나톨리아)의 항구 도시 트랄레스(현재 터키령 아이딘)에 정착하여 그곳 교회의 주교(감독)가 되었다고 한다.[1]3. 3. 70인의 제자
다른 전승에서는 필립보가 예수가 파견한 70인 또는 72인 중 한 명이었다고 전한다.4. 기념
성인 개념을 가진 여러 교파에서 성인으로 숭배받고 있다. 대표적으로 동방 정교회와 서방 교회에서 그를 기념한다.
4. 1. 동방 정교회
동방 정교회에서는 10월 11일에 "성 필립보 부제"를 기념한다. 또한 필립보를 70인의 사도 중 한 명이자 수석 부제로 여기며, 1월 4일의 축일과 70인의 사도 회중 축제에서 기념한다.4. 2. 서방 교회
서방 교회에서는 필립보를 성인으로 여기며 6월 6일에 기념한다. 로마 전례,[3] 미주리 시노드 루터교회,[4] 및 성공회[5] 등에서 그를 기린다. 성공회의 경우, 미국 성공회의 성인 달력과 남아프리카 성공회의 성인 달력에서도 필립보를 기념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5]참조
[1]
EB1911
Philip "the Evangelist"
[2]
서적
A historical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the books of the New Testament
https://archive.org/[...]
1894
[3]
서적
Martyrologium Romanum
Typis Vaticanis
2004
[4]
서적
Lutheranism 101
https://books.google[...]
Concordia Publishing House
[5]
서적
Lesser Feasts and Fasts 2018
https://books.google[...]
Church Publishing, Inc.
2019-12-17
[6]
문서
ギリシア語: διακονος, diakonos. 口語訳聖書での訳語「執事」を新共同訳聖書では「奉仕者」としている(例:『フィリピの信徒への手紙』1:1)。
[7]
문서
『使徒行伝』21:8(文語訳聖書、聖書 口語訳|口語訳聖書、新改訳聖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