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볼링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링공은 볼링 경기에 사용되는 공으로, 다양한 규격과 기술, 그리고 움직임의 특징을 가진다.

10핀 볼링공은 미국 볼링 협회(USBC)와 국제 볼링 연맹(IBF)에 의해 규격이 정해져 있으며, 무게는 16파운드 이하, 직경은 8.500~8.595인치여야 한다. 볼링공 외피는 사철나무에서 고무,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반응성 수지 등으로 발전해왔으며, 레이아웃과 그립에 따라 볼의 움직임이 달라진다. 볼의 움직임은 스키드, 훅, 롤 세 단계로 나뉘며, 볼러의 릴리스, 볼링공 디자인, 레인 상태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 외에도 덕핀, 파이브 핀, 캔들핀, 나인핀 볼링공 등 다양한 종류의 볼링공이 존재하며, 각기 다른 규격과 특징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볼링 - 퍼펙트 게임 (볼링)
    볼링에서 퍼펙트 게임은 12프레임 모두 스트라이크를 쳐서 300점을 달성하는 것으로, 공식전에서는 링을 수여하고 사적인 경기에서는 기념품을 통해 그 영광을 기리는 매우 영광스러운 기록이다.
  • 볼링 - 스플릿 (볼링)
    스플릿은 볼링에서 첫 투구 후 스트라이크를 치지 못했을 때 핀들이 떨어져 스페어 처리가 어려운 배열을 뜻하며, 7-10 스플릿처럼 어려운 것부터 베이비 스플릿처럼 쉬운 것까지 다양하다.
  • 공 - 럭비공
    럭비공은 럭비 경기에 사용되며, 초기에는 돼지 방광에 가죽을 덧대어 만들었으나, 현재는 타원형 또는 럭비 리그에 사용되는 뾰족한 형태의 인조 가죽 공으로 제작된다.
  • 공 - 구슬
    구슬은 돌, 점토, 유리, 강철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 작은 공 모양의 물체로, 기원전 2500년경부터 사용되었으며, 19세기 유리 구슬 제조 기계 발명 후 대량 생산되어 장난감, 게임 도구, 수집품, 산업용 부품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볼링공
볼링공 정보
볼링공
볼링공
용도볼링 경기
유형도구
재료불명
만든 사람불명
크기불명
무게불명
사용 장소볼링 경기
만들어진 시기불명
만들어진 곳불명
사용 시기불명
사용 기간불명

2. 10핀 볼링공

2. 1. 규격

미국 볼링협회(USBC)와 국제 볼링연맹(IBF)은 볼링공의 규격을 정해두고 있다. USBC 규격에는 물리적 요구 사항과 동적 성능 특성에 대한 요구 사항이 포함된다.[3]

물리적 요구 사항에는 무게 16 파운드 (7.3kg) 이하[3], 직경 8.500인치 (21.59cm) ~ 8.595인치 (21.83cm)[3], 표면 경도 및 거칠기, 구멍의 개수 제한, 공의 균형, 플러그의 제한 및 외부 표시(구조 및 상업용)가 포함된다.[3]

동적 성능 특성에는 회전 반경(RG; 2.46—2.80), RG 차등(0.06이하) 및 마찰 계수(≤0.32)가 포함된다.[3]

USBC는 2020년 8월 1일부터 대회에서 공의 회전 균형을 맞추기 위해 웨이트 홀(밸런스 홀)을 넣는 것을 금지했다.[43][4] 정적 측면 추 3온스(85g)와 상단 추 3온스(85g)까지 허용하며 이 수치는 2020년 8월 1일 규칙 변경 이후 1온스(28g)에서 증가한 것이다.[44][5]

2. 2. 외피 기술

볼링공은 1905년 고무로 만든 공이 도입되기 전까지 사철나무(리그넘 바이티(Lignum Vitie))로 만들어졌다.[6] 1959년에는 폴리에스터로 만든 공이 도입되었는데, 고무공보다 레인에서 회전이 덜함에도 불구하고 1970년대부터 플라스틱 공의 점유율이 높아졌다.[6] 1980년대 초 폴리우레탄 재질의 공이 등장하면서 볼링공 외피 기술 발전이 가속화되었다.[45]



1990년대 초, 우레탄 표면에 첨가제를 넣어 "끈적임"을 높이고 미세한 오일 흡수 기공을 만들어 견인력을 향상시킨 반응성 수지("반응성") 볼이 개발되었다.[6][11][8] 1990년대 후반에는 반응성 커버스톡에 미세 입자를 내장하여 오일 레인 코팅을 통과하는 견인력을 더욱 높인 "입자 강화" 볼이 개발되었다.[6][11] 볼 제조업체들은 마찰을 개선하기 위해 유리, 세라믹, 고무 등 분쇄된 재료를 포함한 독점 블렌드를 개발했다.[9]

반응성 수지에는 ''솔리드'' 반응성(가장 많은 미세 기공), ''펄'' 반응성(운모 첨가제로 건조한 레인 표면 반응 향상), ''하이브리드'' 반응성(솔리드의 미드 레인 반응과 펄의 백 엔드 반응 결합), ''입자'' 반응성(미세한 실리카 입자 포함, 많은 양의 오일에 적합) 등이 있다.[6][8][10]

훅 잠재력이 너무 커져, 건조한 레인이나 특정 스페어 샷의 경우 볼러가 의도적으로 플라스틱 또는 우레탄 공을 사용하기도 한다.[6][11]

2. 3. 레이아웃과 그립

볼의 드릴링 레이아웃은 볼의 핀과 질량 편향(MB) 마커와 관련하여 구멍을 뚫는 방법과 위치를 말한다.[8][12] 레이아웃은 각 볼러의 포지티브 액시스 포인트(PAP)를 기준으로 결정된다.[13] "핀 다운" 레이아웃은 핀을 손가락 구멍과 엄지 구멍 사이에 위치시키고, "핀 업" 레이아웃은 핀을 손가락 구멍보다 엄지 구멍에서 더 멀리 위치시킨다.[12][14] 볼링공의 움직임은 핀과 질량 편향(MB)이 PAP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이 거리는 트랙 플레어를 결정한다.[13]

'''볼의 움직임 측면도:''' 볼은 레인의 오일 부분과 처음 접촉한 후 미끄러지지만, 결국 레인의 건조한 부분에서 완전한 트랙션을 얻으면서 롤 단계로 들어간다. 측면 회전과 훅은 그림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구멍은 일반 그립(손가락을 두 번째 마디까지 삽입), 핑거팁 그립(손가락을 첫 번째 마디까지만 삽입하여 더 큰 회전력을 생성), Sarge Easter 그립과 같은 덜 표준적인 그립을 위해 뚫을 수 있다. 투핸드 딜리버리(원핸드 릴리스)를 사용하는 많은 볼러들은 엄지를 삽입하지 않아 더 많은 회전력을 가할 수 있다.

핑거 인서트와 엄지 슬러그는 핑거팁 그립의 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드릴 구멍에 삽입되는 맞춤형 우레탄 튜브이다.[15] 핑거 인서트는 엄지가 볼에서 빠져나간 후 손가락이 제공하는 회전력을 향상시킨다.[15]

2. 4. 볼의 움직임

•볼의 방향과 줄어드는 속도 (갈색 화살표의 방향과 크기)
•증가하는 회전수/RPM (노란색 화살표 머리의 움직임)
•진화하는 축 회전 (노란색 화살표 머리의 방향)
•볼의 전진 (병진) 속도와 회전수/RPM (회전 속도)의 수렴 (하단 차트)]]

다양한 요인의 복잡한 상호 작용이 볼 모션과 득점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16][17][18][22][23] 이러한 요인은 볼러의 릴리스, 볼링공의 디자인, 그리고 레인의 상태로 분류할 수 있다.

볼링공의 움직임[18]은 일반적으로 스키드, 훅, 롤의 세 단계로 나뉜다.[19] 볼이 레인 위를 스키드 및 훅 단계를 거치면서 이동할 때, 레인과의 마찰 접촉으로 인해 볼의 전진(''병진'') 속도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지만, 회전 속도(''회전'')는 지속적으로 증가한다. 특히 볼이 레인의 마지막 ≈20피트(근사치)에서 더 큰 마찰을 만나면서 볼의 축 회전(측면 회전)으로 인해 볼이 원래 방향에서 훅된다. 동시에 레인 마찰은 축 회전 각도를 지속적으로 감소시켜 볼의 전진 방향과 정확히 일치하게 만들고, 회전 속도(회전 속도)는 볼의 전진 속도와 정확히 일치할 때까지 증가한다. 완전히 접지되어 볼은 전진 속도가 계속 감소하는 롤 단계에 진입한다.

2. 4. 1. 딜리버리 특성이 볼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릴리스 비율은 릴리스 시 볼의 전진(병진) 속도와 회전율(회전 속도)의 비율을 나타낸다.[20] 이 비율은 볼이 완전히 트랙션을 얻어 롤 단계에 들어갈 때 정확히 1.0이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한다.[20] 너무 "높은" 릴리스 비율은 "속도 우세" 릴리스라고도 하며, 볼이 훅 단계에 있는 동안 핀에 도달하게 하여 얕은 입사각을 유발하여 볼의 편향과 10번 핀의 낙엽을 초래하는 반면, 너무 "낮은" 릴리스 비율은 "회전 우세" 릴리스라고도 하며, 볼이 핀에 도달하기 전에 롤 단계에 들어가 이상적으로 핀에 전달되어야 할 마찰력에 대한 동력을 희생하여 핀 산란을 향상시킨다.[20] 볼 속도와 회전율은 볼이 핀에 충돌하기 직전에 롤 단계에 들어가 핀에 가해지는 동력을 극대화하면서 볼의 편향을 최소화하는 입사각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때 "일치"한다고 한다.[20]

볼 딜리버리의 다양한 특성은 스키드, 훅, 롤 단계에서 볼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친다. 볼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특정 방식, 즉 볼 속도, 축 제어, 회전율 간에 분할되는 에너지의 다양한 비율은 볼의 움직임을 결정한다.[21] 다음 논의에서는 딜리버리 특성을 개별적으로 고려하며, 볼의 움직임은 다양한 요인의 복잡한 상호 작용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이해한다.[22][23]

볼 속도가 빠를수록 볼이 훅을 할 "시간이 줄어들"어 훅이 줄어드는 대신 핀에 더 많은 운동 에너지를 전달한다. 반대로 속도가 느릴수록 훅을 할 시간이 더 많아져 훅이 커지는 대신 운동 에너지가 줄어든다.

회전율이 높을수록 볼은 회전당 더 많은 마찰 레인 접촉을 경험하므로 (축 회전이 0이 아닌 경우) 더 크고 더 일찍 훅이 걸립니다 ( "길이"가 짧아짐 - 반칙선에서 훅이 최대로 걸리는 지점까지의 거리). 반대로, 회전율이 작을수록 마찰 참여가 줄어들고 볼은 훅이 덜 걸리고 늦게 걸립니다 ( "길이"가 더 길어짐).

''축 회전'' (때로는 ''측면 회전''이라고 함)의 영향에 대한 분석은 더 복잡하다. 축 회전의 정도 - 일반적으로 25°에서 35° 사이이며 볼 속도와 회전율에 따라 다름 - 는 훅이 최대화되는 최적의 축 회전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최적의 축 회전은 최소한의 길이도 유발한다. 특히 Freeman & Hatfield (2018)은 최적의 축 회전을 '''arcsin(ωr/v)'''로 보고한다. 여기서 ''ω''는 회전율(라디안/초), ''r''은 볼 반경(m), ''v''는 볼 속도(m/s)이다. 최적의 축 회전보다 작거나 크면 더 긴 길이와 더 적은 훅이 발생하며, 최적보다 큰 축 회전은 더 날카로운 훅을 유발한다. 다른 출처에서는 볼 바로 뒤 릴리스 (0° 축 회전)가 앞뒤 회전을 유발하여 조기에 훅이 걸리는 반면, 측면 회전이 큰 릴리스는 훅이 걸리기 전에 더 긴 길이를 유발한다고 명시한다.[24]

초기 (반칙선에서) 축 틸트의 정도가 클수록 볼은 더 작은 둘레의 "트랙"(각 회전 시 레인에 접촉하는 볼의 링)으로 회전하여 마찰 접촉의 양을 줄여 더 긴 길이와 더 적은 훅을 제공한다. 반대로, 축 틸트의 정도가 작을수록 회전당 마찰 접촉이 더 많은 더 큰 둘레의 트랙이 관련되어 더 짧은 길이와 더 큰 훅을 제공한다.

로프트 - 볼이 처음 레인에 접촉하는 반칙선 이후의 거리는 볼이 경험하는 레인의 "유효" 길이를 결정한다. 로프트 거리가 클수록 레인이 효과적으로 짧아지고 더 긴 길이가 제공되는 반면, 로프트 거리가 작을수록 레인에 더 일찍 관여하여 조기에 훅이 걸린다.

2. 4. 2. 커버스톡, 코어, 레이아웃이 볼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볼 코어 구조와 커버스톡 구성의 다양한 특성은 볼의 미끄러짐, 훅, 롤 단계 전체에 걸쳐 볼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친다.[8][25] 이러한 움직임은 주로 (약 75%)[26][27] 레인의 볼과의 마찰 상호 작용에 의해 제어되며, 이는 ''화학적'' 마찰 특성과 ''물리적'' 마찰 특성을 모두 나타낸다.[8] 또한, 볼의 내부 구조, 특히 볼의 회전축에 대한 코어( "웨이트 블록"이라고도 함)의 밀도, 모양(대칭 vs. 비대칭) 및 방향이 볼의 움직임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친다.[8]

"무딘"(거친) 볼 표면은 스파이크와 기공을 가지고 있어[8] 오일로 덮인 레인 앞부분에서 더 큰 마찰을 제공하지만 레인 뒷부분 건조 부분에서는 마찰 접촉이 줄어들어 더 이른 훅을 가능하게 한다.[8] 반대로 "광택"(매끄러운) 볼 표면은 앞부분에서 오일 위를 미끄러지는 경향이 있지만, 건조한 뒷부분에서 ''더 큰'' 마찰 접촉을 설정하여, "스키드/플립" 볼 경로와 같이, 다운레인에서 더 날카로운 훅을 촉진한다.[8] 따라서, 서로 다른 레인 상태와 볼러 스타일이 서로 다른 훅 프로파일을 선호하기 때문에, 단 하나의 "최고의" 표면은 존재하지 않는다.[8]

2005-2008년 USBC 볼 모션 연구에 따르면 볼의 움직임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볼 디자인 요소는 볼 표면의 미세한 "스파이크"와 기공(화학적 마찰 특성의 일부로 간주), 레인의 오일 처리된 부분과 건조한 부분 간의 각 마찰 계수, 그리고 볼의 오일 흡수율이며, 그 다음으로 볼 코어의 특정 특성(주로 회전 반경 및 총 차동)이 중요했다.[25] Freeman과 Hatfield(2018)은 대부분의 상황에서 볼의 움직임을 주로 결정하는 것은 제조업체의 독점적인 커버스톡 제형에 의해 제어되는 화학적 마찰—"끈적임"을 제어한다—이라고 설명한다.[8] 또한, 사포, 광택제 등으로 수정 가능한 표면 마감 또한 중요한 요소이다.[8]

볼링공의 움직임은 볼 디자인의 영향을 받는다.


제조업체의 문헌에서 종종 RG 차이에 의해 야기되는 "나비 넥타이" 패턴의 연속적인 오일 트랙에 의해 나타나는 ''트랙 플레어''를 명시하지만, USBC 볼 모션 연구에서는 플레어가 연속적인 볼 회전을 위해 "건조한"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최소한의 플레어 임계값이 존재한다고 가정할 때 플레어의 영향이 작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5] 마찬가지로, 제조업체의 문헌에서 종종 특정 코어 모양을 설명하지만, 서로 다른 모양의 코어는 동일한 전체 RG 특성을 가지면 볼 모션에 정확히 동일한 기여를 할 수 있다.[9]

"약한" 레이아웃("핀 다운": 핀이 손가락과 엄지 구멍 사이에 있음)은 더 빨리 훅을 걸지만 뒷부분 반응이 약하고, "강한" 레이아웃("핀 업": 핀이 손가락 구멍보다 엄지 구멍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음)은 더 긴 스키드 길이와 더 각진 뒷부분 반응을 가능하게 한다.[12][14]

제조업체는 일반적으로 볼링공 코어와 관련된 사양을 언급하며, 여기에는 ''회전 반경''(RG), ''RG의 차이''(일반적으로 ''차이''로 약칭), ''중간 차이''( "질량 바이어스"라고도 함)가 포함된다.[30][8]

분석적으로, 미국 볼링 의회는 RG를 "전체 질량이 집중될 수 있는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로, 관성 모멘트를 변경하지 않고" 정의한다.[29] 실제로, 더 높은 RG는 볼의 질량이 커버 쪽에 더 많이 분포되어 있음을 나타내며—볼을 "커버 헤비"하게 만들어—볼이 롤 단계를 늦게(레인 아래로 더 멀리) 시작하는 경향이 있다.[30] 반대로, 더 낮은 RG는 볼의 질량이 중심 쪽으로 더 많이 분포되어 있음을 나타내며—볼을 "센터 헤비"하게 만들어—볼이 롤 단계를 더 빨리 시작하는 경향이 있다.[30]

RG의 차이는 서로 다른 축을 기준으로 측정된 최대 및 최소 RG 간의 차이이다.[30] 차이는 볼의 트랙 ''플레어 잠재력''을 나타내며, 볼이 얼마나 날카롭게 훅을 걸 수 있는지에 기여한다.[30] 더 높은 차이는 더 큰 트랙 플레어 잠재력—브레이크 포인트에서 포켓까지 더 각진 움직임—을 나타내고, 더 낮은 차이는 더 낮은 플레어 잠재력과 훅에 대한 더 부드러운 아크를 나타낸다.[30]

덜 사용되는 ''중간 차이'' 등급(때로는 ''질량 바이어스'' 등급이라고도 함)은 볼링공 코어가 ''대칭''인지 ''비대칭''인 정도를 정량화한다.[30] 분석적으로, ID는 USBC에 의해 "Y(높은 RG) 축과 Z(중간 RG) 축 사이의 회전 반경 차이"로 정의된다.[29] 실제로, 더 높은 ID는 더 큰 비대칭성을 나타내며, 이는 볼이 대칭 볼보다 마찰에 더 빨리 반응하도록 브레이크 포인트에서 더 많은 면적을 생성한다.[30]

볼 표면의 질감—사용된 연마재의 "거칠기"로 측정—은 볼 경로(스키드 거리 및 훅 강도)에 영향을 미친다.


비공식적으로, 낮은 차동 볼은 코어가 구형 물체(높이와 너비가 같은)인 볼과 유사하며, 높은 차동 볼은 키가 큰 음료수 잔(높이와 너비가 다른)과 유사하며, 높은 질량 바이어스 볼은 옆에 손잡이가 있는 키가 큰 음료수 머그(방향에 따라 너비가 다름)와 유사하다.[33]

마찰이 높은 표면(낮은 거칠기 수)은 볼이 더 빨리 훅을 걸도록 하고, 마찰이 낮은 표면(높은 거칠기 수)은 볼이 반응하기 전에 더 오래 미끄러지도록(훅)한다.[34]

반응성 커버스톡 마감에는 ''무광'' (공격적인 반응), ''광택'' (무광 마감보다 긴 스키드 거리), ''펄'' (반응성 커버스톡 중에서 가장 긴 스키드 거리) 및 ''하이브리드'' (스키드 거리와 백엔드 반응의 조합)가 포함된다.[34]

2. 4. 3. 레인 특성이 볼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레인 전환'' 현상은 공이 지나가면서 레인에서 오일을 제거하고, 원래 건조했던 레인 부분에 일부 오일을 증착할 때 발생한다.[36] 일반적으로 ''분해''라고 불리는 오일 제거 과정은 건조한 경로를 형성하며, 이로 인해 공은 마찰이 증가하고 더 빨리 훅을 걸게 된다.[36] 반대로, 일반적으로 ''캐리 다운''이라고 불리는 오일 증착 과정은 공이 이전에 건조했던 영역에 오일 트랙을 형성할 때 발생하며, 이 트랙은 공이 마찰을 덜 경험하고 훅이 늦게 걸리게 된다.[36] 공은 분해에 반응하여 "롤 아웃"(더 빨리 훅이 걸리지만 덜 훅이 걸림)되는 경향이 있으며, 반대로 캐리 다운에 반응하여 더 오래 미끄러지는 경향이 있다(그리고 더 늦게 훅이 걸림) — 둘 다 가벼운 히트를 초래한다. 분해는 이전에 굴러간 공의 오일 흡수 특성과 회전율에 영향을 받으며, 캐리 다운은 상당한 트랙 플레어를 가진 현대 볼에 의해 완화된다.

나무와 같이 표면이 더 부드러운 레인 재료는 공과 더 많은 마찰을 일으키므로 더 많은 훅 잠재력을 제공하는 반면, 합성 구성과 같은 더 단단한 표면은 마찰을 덜 일으키므로 훅 잠재력이 덜하다.

더 높은 점도 레인 오일(더 두꺼운 농도)은 공과 더 많은 마찰을 일으키므로 속도가 느려지고 길이가 짧아지지만 훅 잠재력이 더 크고 레인 전환이 감소한다. 반대로, 낮은 점도(더 얇은 농도)의 레인 오일은 더 미끄러워서 속도와 길이를 더 잘 지원하지만 훅 잠재력이 적고 더 빠른 레인 전환을 허용한다. 다양한 요인이 오일의 고유 점도에 영향을 미치며, 온도(온도가 높을수록 오일이 얇아짐)와 습도(변동으로 인해 레인 표면이 융기 및 오목해질 수 있음)가 포함된다. 또한, 높은 습도는 미끄러지는 거리를 줄이는 마찰을 증가시켜 공이 더 빨리 훅을 거는 경향이 있다.[37]

레인의 물리적 지형 — 이상적인 평면 표면에서 벗어나는 언덕과 계곡 — 은 레인이 허용 오차 내에 있더라도 공의 움직임에 상당하고 예측할 수 없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 5. 제조업체

미국볼링협회(USBC)는 매주 업데이트되는 약 100개의 볼링공 제조업체와 승인된 볼링공 목록을 유지 관리한다.[38]

3. 기타 볼링공

3. 1. 덕핀 볼링공

성인 손에 들린 덕핀 볼


덕핀 볼링 공은 지름 12.1-12.7 cm로 규정되어 있으며, 무게는 1.53-1.70 kg 사이여야 한다.[39] 손가락 구멍이 없다.[39] 덕핀 볼은 캔들핀 볼보다 약간 크지만, 덕핀의 작은 크기에 맞춰 텐핀 볼의 지름보다 60% 미만이다.[39] 덕핀 볼은 때때로 아케이드 게임 및 기타 오락 시설에 설치된 축소된 텐핀 볼링 레인에 사용된다.

3. 2. 파이브 핀 볼링공

파이브 핀 볼링공은 덕핀 볼링공과 기본 사양이 같다. 지름은 약 12.1cm에서 12.7cm 사이이며, 무게는 약 1.53kg에서 1.70kg 사이이다.[40] 파이브 핀 볼링공에는 손가락 구멍이 없다.[40]

3. 3. 캔들핀 볼링공

캔들핀 볼링공의 무게는 1.0–1.1 kg 사이이며, 지름은 11 cm로, 텐핀 볼링의 22 cm 공보다 훨씬 작고, 덕핀 볼링의 13 cm 공보다도 작다.[41][42] 캔들핀 볼은 충돌 시 상당히 튕겨 나가며, 1.1 kg인 캔들핀 자체보다도 가볍다.[41]

3. 4. 나인핀 볼링공

나인핀 볼링에 사용되는 공은 방식에 따라 다르다. 아메리카식 나인핀 볼링은 텐핀 볼링과 같은 공을 사용한다. 유럽식 나인핀 볼링 공은 텐핀 공과 덕핀 공 사이의 크기이며 구멍이 없다. 유럽식 나인핀 볼링공은 지름 16cm, 무게 약 2.85kg이다. 초보자를 위한 공은 지름 14cm, 무게 1.9kg이며, 두 개의 손가락 구멍이 있기도 하다.

참조

[1] 간행물 Bowling http://www.hucosyste[...] American Sports Publishing Company 1892-12
[2] 웹사이트 USBC Modifies Rule on Bowling Ball Gripping holes https://www.bowl.com[...] 2014-05-07
[3] 웹사이트 USBC Equipment Specifications and Certifications Manual https://bowl.com/upl[...] 2012-02
[4] 웹사이트 Bowling Technology Study Conclusion / Research Summary and Specification Updates https://www.bowl.com[...] United States Bowling Congress (USBC) 2018-04-24
[5] 웹사이트 2020 USBC Rule Changes On Bowling Ball Weight Holes By MDM Bowling Coaching https://www.bowlersm[...] 2020-03-19
[6] 웹사이트 Bowling Ball Evolution https://www.bowlingb[...] BowlingBall.com (Bowlversity educational section) 2012-06
[7]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Bowling Balls https://www.bowlingb[...] BowlingBall.com (Bowlversity educational section) 2011-05-12
[8] 간행물 Bowling Balls: An In-Depth Overview https://www.bowlingt[...] 2017-03-31
[9] 뉴스 Perfection Made Easy; Bowling a 300 Game Just Isn't the Feat It Used to Be https://www.nytimes.[...] 2000-04-21
[10] 웹사이트 Reactive Bowling Balls https://www.bowlingb[...] BowlingBall.com (Bowlversity educational section) 2013-01-01
[11] 웹사이트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and cover stock https://www.bowlingd[...] 2007-04-23
[12] 웹사이트 How Should My Bowling Ball Be Drilled? https://www.bowlingb[...] BowlingBall.com (Bowlversity educational section) 2015-01
[13] 웹사이트 Your Bowling Ball Positive Axis Point https://www.bowlingb[...] BowlingBall.com (Bowlversity educational section) 2012-11
[14] 웹사이트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Pin up and Pin down Drilling on a Bowling Ball? https://ctdbowling.c[...] 2017-04-11
[15] 웹사이트 Finger Inserts For New Bowlers https://www.bowlingb[...] BowlingBall.com (Bowlversity educational section) 2013
[16] 웹사이트 Understanding Bowling Ball Motion https://www.bowlingb[...] BowlingBall.com (Bowlversity educational section) 2011-10-02
[17] 웹사이트 What Are The Boiled Down Factors Affecting Bowling Ball Motion? https://www.bowlingb[...] BowlingBall.com (Bowlversity educational section) 2015-04-13
[18] 웹사이트 The Simple Keys Of Bowling Ball Motion https://www.bowlingb[...] BowlingBall.com (Bowlversity educational section) 2013-02-05
[19] 웹사이트 Bowling Ball Reaction Keys https://www.bowlingb[...] BowlingBall.com (Bowlversity educational section) 2016-07-28
[20] 웹사이트 Adjusting Entry Angle https://www.bowl.com[...] 2015
[21] 간행물 Improving Your Release / Tools, techniques, and practice drills for developing a more effective release https://www.bowlingt[...] 2019
[22] 웹사이트 Your Bowling Ball Motion https://www.bowlingb[...] BowlingBall.com (Bowlversity educational section) 2016-12-29
[23] 웹사이트 Variables You Encounter When Bowling https://www.bowlingb[...] BowlingBall.com (Bowlversity educational section) 2016-04-18
[24] 웹사이트 Being Able To Adjust Your Axis Rotation Is A Tool Worth Having https://www.bowlingb[...] BowlingBall.com (Bowlversity educational section) 2011-12-22
[25] 웹사이트 Picking a New Bowling Ball for the Average Bowler https://www.national[...] National Bowling Academy 2024-05-13
[26] 웹사이트 A Guide to Bowling Ball Cores, RG, Differential, and Coverstock https://www.national[...] 2022-08
[27] 웹사이트 A Guide to Bowling Ball Cores, RG, Differential, and Coverstock https://www.national[...] National Bowling Academy 2022
[28] 웹사이트 How To Find A Skid-Flip Bowling Ball https://www.bowlingb[...] BowlingBall.com (Bowlversity educational section) 2010-09-07
[29] 웹사이트 Technical Terms https://www.bowl.com[...] United States Bowling Congress 2018-09-25
[30] 웹사이트 Bowling Ball RG And Differential Range Ratings https://www.bowlingb[...] BowlingBall.com (Bowlversity educational section) 2014
[31] 웹사이트 Bowling Ball Surface Grit Pads https://www.bowlingb[...] BowlingBall.com (Bowlversity educational section) 2013-02-04
[32] 웹사이트 'BowlVersity Q & A Part 2 / Q. Which are the most effective ranges of grit pads to use when altering bowling ball surfaces?' https://www.bowlingb[...] BowlingBall.com (Bowlversity educational section) 2012
[33] 웹사이트 Ball Dynamics and Hook Potential https://www.bowlingb[...] BowlingBall.com (Bowlversity educational section) 2005
[34] 웹사이트 Understand Your Bowling Ball Reaction https://www.bowlingb[...] BowlingBall.com (Bowlversity educational section) 2016-05-22
[35] 웹사이트 Bowling Catalog E http://www.gutenberg[...] Narragansett Machine Company 1895
[36] 웹사이트 Changing Lane Oil Conditions https://www.bowlingb[...] BowlingBall.com (Bowlversity educational section) 2015
[37] 웹사이트 Bowling Lane Adjusting From Pair To Pair https://www.bowlingb[...] BowlingBall.com (Bowlversity educational section) 2016-06-28
[38] 웹사이트 Approved Ball List https://www.bowl.com[...]
[39] 웹사이트 Duckpin Bowling https://www.paramoun[...] 2017
[40] 웹사이트 Accessories and Equipment / Accessoires et équipements (2015-2016 Season) http://www.phippsbow[...] 2016
[41] 웹사이트 Candlepin Bowling Rules / Pin specifications and ~ / Ball specifications http://www.bowlnh.co[...] 2013
[42] 뉴스 Basics of candlepin vs. tenpin bowling https://www.bostongl[...] 2014-05-04
[43] 웹인용 Bowling Technology Study Conclusion / Research Summary and Specification Updates https://www.bowl.com[...] United States Bowling Congress (USBC) 2018-04-24
[44] 웹인용 2020 USBC Rule Changes On Bowling Ball Weight Holes By MDM Bowling Coaching https://www.bowlersm[...] 2020-03-19
[45] 웹인용 Bowling Ball Evolution https://www.bowlingb[...] 201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