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봉쇄 돌파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봉쇄 돌파선은 해상 봉쇄를 뚫고 자원, 물자, 또는 사람을 운송하는 선박을 의미한다. 고대 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전쟁과 갈등 상황에서 군사적, 경제적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미국 독립 전쟁, 미국 남북 전쟁, 제1, 2차 세계 대전 등에서 봉쇄 돌파선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현대에는 기술 발달로 인해 전면적인 봉쇄 돌파는 어려워졌지만, 일부 단체나 밀수업자들이 부분적인 봉쇄를 시도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략 - 코르세어
    코르세어는 프랑스 국왕의 허가를 받아 적국 선박을 공격한 사략선으로, 12세기부터 활동하여 16세기에서 18세기 초 대서양과 카리브해에서 황금기를 누렸으나, 1856년 파리 선언으로 종식되었다.
  • 사략 - 파리 선언
    파리 선언은 크림 전쟁 이후 해상법 관련 국제 기준을 확립하기 위해 체결되었으며, 사략선 폐지, 중립국 권리 보호, 적국 깃발 하의 물자 보호, 효과적인 봉쇄 원칙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 해군 - 싱가포르군
    싱가포르군은 1965년 독립 후 창설되어 징병제를 통해 병력을 충원하며, 육군, 해군, 공군, 디지털 및 정보통신군으로 구성된 동남아시아에서 기술적으로 가장 진보된 군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해군 - 대제독
    대제독은 여러 국가 해군의 최고 계급 중 하나로, 국가별 역사, 임명 기준, 역할이 다양하며, 독일 해군에서는 해군 원수에 상당하는 계급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대중 문화 속 픽션 작품에도 등장한다.
봉쇄 돌파선
봉쇄 돌파선
봉쇄 돌파선 Conqueror 호
해상 봉쇄를 회피하는 상선
유형상선
용도해상 봉쇄 회피
특징
속도빠름
외형눈에 띄지 않음
갑판낮음
역사적 맥락
주요 사용 시기미국 독립 전쟁
미국 남북 전쟁
주요 활동 지역대서양
카리브해
관련 개념
관련 용어해상 봉쇄
참고 도서쥘 베른의 "The Blockade Runners" (봉쇄 돌파선)

2. 역사

2. 1. 고대

펠로폰네소스 전쟁 동안 함대가 봉쇄되자, 살라미스의 레온은 아테네로부터 증원을 요청하기 위해 봉쇄 돌파선을 파견했다.[1] 포에니 전쟁 동안, 카르타고 제국은 자국의 항구와 요새에 대한 로마 해군의 봉쇄를 회피하려 했다.[1][2] 한때 봉쇄 돌파선은 카르타고 시에 도달하는 유일한 식량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1][2]

2. 2. 중세

14세기, 덴마크마르그레테 1세 여왕의 군대가 스톡홀름을 포위하는 동안, 비탈 형제단은 해상에서 전쟁을 벌여 도시에 물자를 공급하는 봉쇄 돌파를 감행했다.

2. 3. 근대

2. 3. 1. 미국 독립 전쟁

미국 독립 전쟁 당시 봉쇄 돌파선은 영국 해군의 봉쇄를 피해 미 육군에 자원을 공급했다. 프랑스 해군의 지원은 매우 중요했다.

2. 3. 2. 미국 남북 전쟁

미국 남북 전쟁 동안 봉쇄 돌파는 아나콘다 계획의 일환으로 연방 해군의 봉쇄로 인해 미국 남부 연합에게 주요 사업이 되었다. 연방은 남부 연합의 해외 무역을 차단하기 위해 노력했다. 남부 연합을 따라 12개의 주요 항구와 약 3,500마일에 달하는 해안선을 약 500척의 연방 해군 함선이 순찰했다.

대영 제국은 남부 연합 봉쇄 돌파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영국 상인들은 전쟁 전에 남부와 상당한 양의 무역을 했으며, 랭커셔 면화 기근으로 고통받고 있었다. 영국 제국은 또한 바하마버뮤다를 포함한 카리브해의 여러 중립 항구를 통제했다. 남부 연합의 이익과 협력하여 영국 투자자들은 미국 해안선을 경비하는 대부분의 기존 증기선보다 더 길고 좁으며 훨씬 더 빠른 증기선을 건조하도록 지시하여 봉쇄선을 능가하고 앞지를 수 있었다. 가장 주목할만한 것은 나포되기 전까지 연방 봉쇄선을 통해 20번 이상 성공적으로 운항한 CSS 어드밴스였다.

이들 선박은 특히 남부 연합 우편과 같은 절실히 필요한 물품을 가져왔다. 봉쇄는 연방의 남부 연합 승리에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역사가들은 봉쇄 돌파선이 남부 연합에 가져온 물품으로 인해 전쟁 기간이 최대 2년 연장되었다고 추정했다. 미국 남북 전쟁이 끝날 무렵 연방 군함은 1,100척 이상의 봉쇄 돌파선을 나포하고 355척을 파괴하거나 좌초시켰다.

세인트조지스, 버뮤다에 정박한 남부 연합 봉쇄 돌파선


1861년부터 1865년까지 벌어진 남북 전쟁에서 북군은 남부 연합의 해상 봉쇄를 실시했다. 이 때문에 남부 여러 주는 군수품, 민수품을 가리지 않고 물자 부족에 시달렸다. 이 때문에 남부 해군에서는 영국리버풀에 대표부를 두고 총, 포, 탄약, 군장품 등의 구매와 봉쇄 돌파선의 건조 및 구입을 진행했다. 영국의 투자자 또한 이 사업에 주목하여 봉쇄 돌파선을 건조했다. 그 목적에 따라 건조된 배는 기관의 출력이 크고, 시인성을 낮추기 위해 돛대와 굴뚝은 낮게, 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해 뒤로 기울여 만들어졌다.

이러한 화물들은 당시 영국령이었던 바하마 제도의 나소버뮤다까지 합법적으로, 따라서 북군에 방해받지 않고 운송되었다. 봉쇄 돌파선은 밤을 틈타 이 항구들을 출항하여 북군의 봉쇄 함대의 틈을 비집고 남부 연합의 항구에 입항했다. 항구에 접근하기 전에 발각되어 추격을 받았을 경우, 포대로 방어된 해안에 좌초할 수 있다면 배를 잃더라도 적재된 화물의 대가로 충분한 이익을 얻을 수 있었다고 한다. 귀항 시에도 충분히 빠른 배라면, 면화를 싣고 유사하게 좋은 조건을 기다려 북군의 추적선을 따돌리고 나소에 입항할 수 있었지만, 이 귀항 항해의 이익은 출항의 이익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적었다.

출항 시에는 검은 연기로 봉쇄 함대의 주의를 끌지 않도록 코크스를 태우기도 했다. 북부 해군에 나포되는 배도 적지 않았으며, 이들도 나소로 회항, 계류되어 경매에 부쳐졌다. 봉쇄 돌파선은 북군에 나포되어도 영국인 승무원은 구속되지 않고 풀려났다.

2. 3. 3. 크레타 반란 (1866–1869)

그리스 봉쇄 돌파선은 크레타 반란 (1866–1869) 기간 동안 기독교도들에게 물품을 공급했다. 선박 이름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아르카디온'' (아르카디 수도원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1867년 8월 오스만 제국 슬루프선 ''이제딘''에 의해 격침)[8]
  • ''히드라''
  • ''판헬레니온''
  • ''에노시스'' (통일), 이 배는 반란이 진압될 무렵인 1868년 12월 호바트 파샤에 의해 시로스에서 억류되었다.

2. 3. 4. 미국의 금주법 시대

미국의 금주법 시대에는 밀주 밀매가 성행했으며, 봉쇄 돌파선이 밀주 운반에 이용되었다.

2. 4.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동맹국, 특히 독일은 연합국에 의해 봉쇄되었다.[9] 특히 북해 봉쇄는 독일의 수상함이 당시 중립국이었던 미국 및 기타 지역으로 나가는 것을 거의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이 봉쇄는 상선 잠수함이라고도 불리는 화물 잠수함, 즉 ''도이칠란트''와 ''브레멘''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이 잠수함들은 당시 중립국이었던 미국에 도달했다.[9] ''마리''는 영국 북해 봉쇄를 성공적으로 돌파하여 1916년 5월 13일, 심각하게 손상된 채 자카르타라고 불리는 바타비아, 네덜란드령 동인도(현재)에 정박했다.[10] 1917년 독일은 체펠린 LZ104를 보내 아프리카에 있는 자국 군대에 보급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2. 5. 제2차 세계 대전

2. 5. 1. 추축국 봉쇄 돌파선

독일 봉쇄 돌파선 뱃지


제2차 세계 대전 초기, 독일은 영국 해군의 봉쇄에 직면했으며, 프랑스 점령 이후에는 프랑스 대서양 해안을 통해 봉쇄 돌파를 시도했다. 1940년에서 1942년 사이에는 많은 봉쇄 돌파선들이 특히 원유 고무와 같은 중요한 전쟁 물자를 보르도 항구를 통해 성공적으로 운송했다.[11] 1941년 12월 일본의 참전 이후, 독일과 일본 간의 봉쇄 돌파 무역이 증가했다.[11] 연합군의 방해 시도는 초기에는 제한적인 효과만 거두었으며, 프랭크턴 작전과 같은 예가 있었다. 1943년부터 연합군의 비스케이 만 상공의 공중 우세로 인해 수상 선박을 이용한 봉쇄 돌파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11] 일부 집계에 따르면, 전쟁 기간 동안 독일은 32척의 (수상) 봉쇄 돌파선을 일본으로 보냈으며, 그중 16척만이 목적지에 도달했다. 전쟁 후반에는 독일과 일본 간의 대부분의 무역이 화물 잠수함으로 이루어졌다.[11]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 해군은 1942년부터 1944년까지 대서양과 인도양 일부 지역에서 연합국의 해상 봉쇄를 돌파하여 일본으로부터 전략 물자를 가져왔다. 일본 해군은 독일 선박을 "야나기 선"이라는 은밀한 명칭으로 불렀으며, 기지 제공, 함정 제공, 연료 및 물자 보급 등 협동 작전을 수행했다.

이탈리아는 1940년 6월 참전 이후 스페인에 억류된 선박들은 비스케이 만을 건너 보르도로 이동했으며, ''Fidelitas''와 ''Eugenio C''와 같은 일부 선박들은 영국 해협을 통과하여 독일과 노르웨이로 향했다.[12][13]

독일 선박 ''람세스''는 전쟁이 시작될 때 중국에 있었다. 1942년 11월 23일, 그녀는 고무 화물을 싣고 바타비아(현재 자카르타)에서 보르도로 항해하려 했다. 24시간 예리한 감시를 유지하여 연합군의 봉쇄를 피하려는 희망을 가졌다.[14] HMAS ''애들레이드'' (1918)가 그녀를 나포하여 격침시켰다.

소수의 비행기가 추축국이 통제하는 유럽과 일본이 통제하는 아시아 지역 사이를 성공적으로 비행했다. 최초의 알려진 비행은 이탈리아 Savoia-Marchetti SM.75 ''Marsupiale''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여러 출처에 따르면 1942년 7월에 자포로제에서 바오터우로, 또는 로도스 섬에서 양곤으로 비행했다.[11] 이후, 독일 Junkers Ju 290-A 항공기는 유사한 비행을 준비하거나(일부 출처에 따르면 완료) 했다.[11]

2. 5. 2. 연합국 봉쇄 돌파선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전쟁 기간 내내 중립을 유지했던 스웨덴영국 간의 무역은 독일이 노르웨이덴마크 북단 사이의 스카게라크 해협을 봉쇄하면서 심각하게 제한되었다. 영국 항공기 산업용 볼 베어링과 같은 스웨덴산 중요한 물자를 수입하기 위해, 게이 바이킹과 같은 5척의 모터 어뢰정이 독일 해상 봉쇄를 돌파하기 위해 겨울의 어둠과 고속을 이용하여 봉쇄 돌파선으로 개조되었다. 더 큰 노르웨이 선박들은 작전 러블에서 봉쇄를 뚫고 영국으로 탈출하는 데 성공했지만, 이후의 시도는 실패했다.

3. 현대

현대에는 레이더, 음파 탐지기, 정찰 위성 등 추적 장비가 발달하여 세계 강대국의 전면적인 봉쇄를 돌파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해졌다. 타밀 타이거와 같은 단체나 마약 밀수업자들은 부분적인 봉쇄 상황에서 봉쇄 돌파를 시도하기도 한다. 마약 밀수업자들은 반잠수정을 이용하여 밀수 작전을 수행하기도 한다.

4. 한국과 봉쇄 돌파

참조

[1] 서적 Ancient siege warfare
[2] 웹사이트 Hamilcar Barca - Livius https://web.archive.[...] 2020-03-26
[3] 문서 Wyllie, 2007
[4] 뉴스 Historians reveal secrets of UK gun-running which lengthened the American civil war by two years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14-06-24
[5] 웹사이트 The Confederate Blockade Runners https://www.usni.org[...]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1933-04
[6] 문서 Scharf, 1894
[7] 웹사이트 Confederate blockade mail https://web.archive.[...] Richard Frajola, philatelist and historian 2010-11-17
[8] 뉴스 Morning Post, London 1867-09-05
[9] 웹사이트 German U-boat WWI Blockade Runners « War and Game https://web.archive.[...] 2008-03-03
[10] 뉴스 SURVIVED BRITISH SHELLS.; German Blockade Runner, Almost a Sieve, Sailed from Africa to Java.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16-11-05
[11] 서적 Collision of Empires: Britain in Three World Wars, 1793–1945 https://books.google[...] Continuum
[12] 서적 Navi mercantili perdute http://catalogo.casd[...] Ufficio Storico della Marina Militare
[13] 서적 Notarangelo
[14] 웹사이트 Ahoy - Mac's Web Log - Blockade Runner Ramses http://ahoy.tk-jk.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