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진구 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진구 갑은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부산진구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부전1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1·2동, 부암1·3동, 당감1·2·4동을 관할 구역으로 하며,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정재문, 김병호, 허원제, 나성린, 김영춘, 서병수, 정성국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부산진구 갑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의회 | 국회 |
선거구 유형 | 국회 |
연도 | 1988 |
이전 선거구 | 부산진구 |
의원 | 정성국 |
정당 | 국민의힘 |
지방의회 | 부산 |
의원수 | 1인 |
관련 정보 | |
1963년 선거구 | 1963년 선거구 |
2. 역사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부산진구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신설되었다. 신설 당시 부전1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 1~2동, 부암 1·3동, 당감 1·2·4동이 부산진구 갑으로 편성되었다.
2. 1. 선거구 역사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부산진구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신설되었다. 신설 당시 부전1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 1~2동, 부암 1·3동, 당감 1·2·4동이 부산진구 갑으로, 나머지 부전2동, 전포 1~2동, 가야 1~2동, 개금 1~3동, 범천1~2동은 부산진구 을이 되었다.3. 관할 구역
대수 | 관할 구역 |
---|---|
13대 ~ 19대 | 부산진구 부전1동, 범전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1동, 양정2동, 부암1동, 부암3동, 당감1동, 당감2동, 당감4동 |
20대 ~ 현재 | 부산진구 부전1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1동, 양정2동, 부암1동, 부암3동, 당감1동, 당감2동, 당감4동 |
3. 1. 현재 관할 구역
대수 | 관할 구역 |
---|---|
20대 ~ 현재 | 부산진구 부전1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1동, 양정2동, 부암1동, 부암3동, 당감1동, 당감2동, 당감4동 |
3. 2. 역대 관할 구역
대수 | 관할 구역 |
---|---|
13대 ~ 15대 | 부산진구 부전1동, 범전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1동, 양정2동, 양정3동, 양정4동, 부암1동, 부암2동, 부암3동, 당감1동, 당감2동, 당감3동, 당감4동 |
16대 ~ 19대 | 부산진구 부전1동, 범전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1동, 양정2동, 부암1동, 부암3동, 당감1동, 당감2동, 당감3동, 당감4동 |
20대 ~ 현재 | 부산진구 부전1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1동, 양정2동, 부암1동, 부암3동, 당감1동, 당감2동, 당감4동 |
4. 역대 국회의원
선거 | 정당 | 의원 | |
---|---|---|---|
1988년 | 통일민주당 | 정재문 | |
1992년 | 민주자유당 | ||
1996년 | 신한국당 | ||
2000년 | 한나라당 | ||
2002년 | 한나라당 | 김병호 | |
2004년 | 한나라당 | ||
2008년 | 한나라당 | 허원제 | |
2012년 | 새누리당 | 나성린 | |
2016년 | 더불어민주당 | 김영춘 | |
2020년 | 미래통합당 | 서병수 | |
2024년 | 국민의힘 | 정성국 |
4. 1. 역대 국회의원 상세
선거 | 정당 | 의원 |
---|---|---|
1988년 | 통일민주당 | 정재문 |
1992년 | 민주자유당 | 정재문 |
1996년 | 신한국당 | 정재문 |
2000년 | 한나라당 | 정재문 |
2002년 | 한나라당 | 김병호 |
2004년 | 한나라당 | 김병호 |
2008년 | 한나라당 | 허원제 |
2012년 | 새누리당 | 나성린 |
2016년 | 더불어민주당 | 김영춘 |
2020년 | 미래통합당 | 서병수 |
2024년 | 국민의힘 | 정성국 |
5.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정재문 | 통일민주당 | 67,159 | 52.27% |
이상희 | 민주정의당 | 56,853 | 44.25% | |
고병수 | 신한민주당 | 2,371 | 1.84% | |
심용래 | 한겨레민주당 | 2,078 | 1.61% | |
합계 | 128,461 | |||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정재문 | 민주자유당 | 59,544 | 51.28% |
이흥록 | 민주당 | 25,970 | 22.36% | |
신현기 | 통일국민당 | 21,683 | 18.67% | |
서종범 | 무소속 | 5,469 | 4.71% | |
심상국 | 신정치개혁당 | 3,438 | 2.96% | |
합계 | 116,104 | |||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정재문 | 신한국당 | 45,721 | 50.42% |
서종범 | 통합민주당 | 13,315 | 14.68% | |
강경식 | 자유민주연합 | 13,262 | 14.62% | |
이성우 | 무소속 | 9,478 | 10.45% | |
송영웅 | 새정치국민회의 | 8,901 | 9.81% | |
합계 | 90,677 | |||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정재문 | 한나라당 | 53,461 | 58.53% |
김양수 | 민주국민당 | 22,659 | 24.81% | |
강경식 | 새천년민주당 | 10,658 | 11.67% | |
문홍근 | 무소속 | 3,187 | 3.48% | |
신봉환 | 자유민주연합 | 1,360 | 1.48% | |
합계 | 91,325 | |||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200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 김병호 | 한나라당 | 24,271 | 50.1% |
하계열 | 무소속 | 19,756 | 40.8% | |
이세일 | 새천년민주당 | 4,452 | 9.2% | |
합계 | 48,479 | |||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김병호 | 한나라당 | 56,770 | 55.59% |
조영동 | 열린우리당 | 37,764 | 36.98% | |
이성우 | 민주노동당 | 6,757 | 6.61% | |
신봉환 | 자유민주연합 | 827 | 0.80% | |
합계 | 102,118 | |||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허원제 | 한나라당 | 33,686 | 49.71% |
강동훈 | 무소속 | 14,314 | 21.12% | |
정해정 | 통합민주당 | 9,052 | 13.35% | |
주선락 | 민주노동당 | 6,116 | 9.02% | |
최우원 | 자유선진당 | 3,258 | 4.80% | |
박종욱 | 평화통일가정당 | 1,335 | 1.97% | |
합계 | 67,761 | |||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나성린 | 새누리당 | 37,836 | 39.52% |
김영춘 | 민주통합당 | 34,238 | 35.76% | |
정근 | 무소속 | 23,658 | 24.71% | |
합계 | 95,732 | |||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김영춘 | 더불어민주당 | 45,706 | 49.58% |
나성린 | 새누리당 | 42,853 | 46.49% | |
오승철 | 무소속 | 3,613 | 3.91% | |
합계 | 92,172 | |||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서병수 | 미래통합당 | 52,037 | 48.51% |
김영춘 | 더불어민주당 | 48,287 | 45.02% | |
정근 | 무소속 | 5,916 | 5.51% | |
김정희 | 국가혁명배당금당 | 579 | 0.53% | |
정해정 | 민생당 | 431 | 0.40% | |
합계 | 107,250 | |||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정성국 | 국민의힘 | 56,153 | 52.78% |
서은숙 | 더불어민주당 | 50,220 | 47.21% | |
합계 | 106,373 |
5. 1. 개요
부산진구 갑은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의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때 신설되었다. 현재 국회의원은 국민의힘 소속 정성국 의원이다.역대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거명 | 당선 의원 | 정당 | 득표율 |
---|---|---|---|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정재문 | 통일민주당 | 52.27%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정재문 | 민주자유당 | 51.28% |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정재문 | 신한국당 | 50.42% |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정재문 | 한나라당 | 58.53% |
200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 김병호 | 한나라당 | 50.1%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김병호 | 한나라당 | 55.59%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허원제 | 한나라당 | 49.71%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나성린 | 새누리당 | 39.52%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김영춘 | 더불어민주당 | 49.58%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서병수 | 미래통합당 | 48.51% |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정성국 | 국민의힘 | 52.78% |
정재문 의원이 내리 4선을 하는 등 초기에는 보수 정당의 지지세가 강했으나, 이후 김영춘 의원이 당선되면서 민주당계 정당 지지세도 강해졌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시 보수 정당 후보가 당선되고 있다.
5. 2. 상세 선거 결과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정재문 | 통일민주당 | 67,159 | 52.27% |
이상희 | 민주정의당 | 56,853 | 44.25% | |
고병수 | 신한민주당 | 2,371 | 1.84% | |
심용래 | 한겨레민주당 | 2,078 | 1.61% | |
합계 | 128,461 | |||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정재문 | 민주자유당 | 59,544 | 51.28% |
이흥록 | 민주당 | 25,970 | 22.36% | |
신현기 | 통일국민당 | 21,683 | 18.67% | |
서종범 | 무소속 | 5,469 | 4.71% | |
심상국 | 신정치개혁당 | 3,438 | 2.96% | |
합계 | 116,104 | |||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정재문 | 신한국당 | 45,721 | 50.42% |
서종범 | 통합민주당 | 13,315 | 14.68% | |
강경식 | 자유민주연합 | 13,262 | 14.62% | |
이성우 | 무소속 | 9,478 | 10.45% | |
송영웅 | 새정치국민회의 | 8,901 | 9.81% | |
합계 | 90,677 | |||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정재문 | 한나라당 | 53,461 | 58.53% |
김양수 | 민주국민당 | 22,659 | 24.81% | |
강경식 | 새천년민주당 | 10,658 | 11.67% | |
문홍근 | 무소속 | 3,187 | 3.48% | |
신봉환 | 자유민주연합 | 1,360 | 1.48% | |
합계 | 91,325 | |||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200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 김병호 | 한나라당 | 24,271 | 50.1% |
하계열 | 무소속 | 19,756 | 40.8% | |
이세일 | 새천년민주당 | 4,452 | 9.2% | |
합계 | 48,479 | |||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김병호 | 한나라당 | 56,770 | 55.59% |
조영동 | 열린우리당 | 37,764 | 36.98% | |
이성우 | 민주노동당 | 6,757 | 6.61% | |
신봉환 | 자유민주연합 | 827 | 0.80% | |
합계 | 102,118 | |||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허원제 | 한나라당 | 33,686 | 49.71% |
강동훈 | 무소속 | 14,314 | 21.12% | |
정해정 | 통합민주당 | 9,052 | 13.35% | |
주선락 | 민주노동당 | 6,116 | 9.02% | |
최우원 | 자유선진당 | 3,258 | 4.80% | |
박종욱 | 평화통일가정당 | 1,335 | 1.97% | |
합계 | 67,761 | |||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나성린 | 새누리당 | 37,836 | 39.52% |
김영춘 | 민주통합당 | 34,238 | 35.76% | |
정근 | 무소속 | 23,658 | 24.71% | |
합계 | 95,732 | |||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김영춘 | 더불어민주당 | 45,706 | 49.58% |
나성린 | 새누리당 | 42,853 | 46.49% | |
오승철 | 무소속 | 3,613 | 3.91% | |
합계 | 92,172 | |||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서병수 | 미래통합당 | 52,037 | 48.51% |
김영춘 | 더불어민주당 | 48,287 | 45.02% | |
정근 | 무소속 | 5,916 | 5.51% | |
김정희 | 국가혁명배당금당 | 579 | 0.53% | |
정해정 | 민생당 | 431 | 0.40% | |
합계 | 107,250 | |||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정성국 | 국민의힘 | 56,153 | 52.78% |
서은숙 | 더불어민주당 | 50,220 | 47.21% | |
합계 | 106,373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