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여 왕흥사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여 왕흥사지는 백제 위덕왕이 죽은 왕자를 위해 577년에 창건한 사찰이다. 600년에 무왕이 창건했다는 기록도 있으나, 2007년 사리함에서 발견된 명문을 통해 창건 시기가 더 앞선 것으로 밝혀졌다. 660년 신라의 공격으로 소실되어 폐허가 되었으며, 1934년 왕흥명 기와 등이 발견되면서 위치가 확인되었다. 2000년부터 발굴 조사가 진행되어 백제식 가람배치 구조가 확인되었고, 백제시대 사리 장엄구가 출토되었다.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는 국보 제327호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여군의 사적 - 부여 왕릉원
    부여 왕릉원은 백제 사비시대 능산리에 조성된 20기의 고분군으로, 백제 금동대향로 등의 출토품으로 왕실 무덤으로 추정되며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되었다.
  • 부여군의 사적 - 부여 군수리 사지
    부여 군수리 사지는 6세기 중엽 백제 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추정되며, 1탑 1금당의 가람 배치를 보이고 금동보살입상, 석조여래좌상, 칠지도 등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 백제의 절 - 부여 군수리 사지
    부여 군수리 사지는 6세기 중엽 백제 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추정되며, 1탑 1금당의 가람 배치를 보이고 금동보살입상, 석조여래좌상, 칠지도 등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 백제의 절 - 대통사
    백제 성왕 때 양나라 무제를 위해 웅천주에 창건된 대통사는 '大通' 명문 기와가 출토된 공주시 반죽동 일대로 추정되며, 백제의 남조 문화 수용 정책과 양국 간 문화 교류를 보여주는 사찰이다.
부여 왕흥사지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부여 왕흥사지
로마자 표기Wangheungsa Temple Site, Buyeo
종류사적
지정 번호427
지정일2001년 2월 5일
주소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신리 37-2번지
시대백제
면적200,170m2

2. 창건

577년에 백제 위덕왕이 자신의 죽은 왕자를 위하여 절을 창건하였다. 《삼국사기》에는 600년 봄 정월에 백제 무왕이 창건하고, 30명이 승려가 되는 것을 허가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2] 그러나 2007년 10월 10일 왕흥사지 터에서 발견된 사리함 몸통에 '丁酉年二月 十五日百濟 王昌爲亡王 子爲刹本舍 利二枚葬時 神化爲三'[3]라는 글이 음각되어 있는 것이 밝혀져, 실제 창건 연도가 《삼국사기》 기록보다 23년 앞선 것으로 확인되었다.

3. 소실

660년 11월 5일에 신라 태종 무열왕이 "계탄(灘, 부여강)을 건너 왕흥사잠성(王興寺岑城)을 공격하였고, 7일에 이겨 700명을 목베었다"라고 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다.[4] 이후 절터는 폐허가 되었다.

4. 발굴 조사

1934년 충남 부여군 규암면 신리 일원에서 왕흥명 기와와 석조불 좌상, 토기 조각 등이 발견되면서 처음으로 왕흥사의 정확한 위치가 확인되었다.[5]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백제문화권 유적 정비사업의 일환으로 2000년부터 부여 왕흥사지(사적 제427호)에 대한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2004년 6월 15일, 제5차 발굴조사를 마치면서 "왕흥사는 탑지와 금당지가 남북 일직선상에 배치된 '1탑1금당식'이며 이는 전형적인 백제식 가람배치 구조인 것으로 확인됐다"라는 내용의 조사결과를 발표하였다.[6]

국립부여박물관2007년 10월 10일 왕흥사지터에서 백제시대 사리 장엄구를 발견하여 같은 해 10월 24일 일반에 공개했다.[7]

5. 출토 문화재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는 국보 제327호이다.[1]

참조

[1] 간행물 문화재청고시제2001-2호(문화재〈사적〉지정,확대지정및명칭변경) http://gwanbo.mois.g[...] 관보(정호) 2001-02-05
[2] 서적 삼국사기
[3] 문서 정유년 2월15일 백제왕 창(昌)이 죽은 왕자를 위해 절을 세우고 본래 사리 두 매를 묻었을 때 신의 조화로 셋이 되었다
[4] 서적 삼국사기
[5] 뉴스 백제 국찰…삼국유사ㆍ삼국사기 기록 http://www.daejonilb[...] 대전일보 2007-10-25
[6] 웹인용 백제 국찰 왕흥사 가람배치 확인 http://www.ibulgyo.c[...] 불교신문 2007-12-09
[7] 웹인용 1400년 전 백제 사리기 나왔다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07-1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