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부여박물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립부여박물관은 충청남도 부여군에 위치한 국립 박물관이다. 1929년 재단법인 부여고적보존회로 시작하여, 조선총독부 박물관 부여분관, 국립박물관 부여분관을 거쳐 1975년 국립부여박물관으로 승격되었다. 백제 금동대향로를 비롯하여 백제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있으며, 상설 전시실, 기획 전시실, 어린이박물관, 공연장 등을 운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여군의 교육 - 충청남도부여교육지원청
충청남도부여교육지원청은 충청남도 부여군의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관할 구역 내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관리하며 여러 학교를 산하에 두고 있다. - 1947년 설립된 박물관 - 카를 마르크스 생가
카를 마르크스 생가는 독일 트리어에 있는 2층 건물로, 카를 마르크스가 태어난 곳이며, 현재는 그의 생애와 사상을 기리는 박물관으로 운영된다. - 1947년 설립된 박물관 - 죄드폼 국립미술관
죄드폼 국립미술관은 프랑스 파리 튈르리 정원에 위치한 미술관으로, 주 드 폼 코트가 있던 자리에 전람회장으로 개조되어 외국 작가 작품을 전시하다가, 나치 점령기에 몰수 미술품 집결소로 사용되기도 했으며, 재개장 후 영상 예술 중심으로 현대적인 미술관으로 변화했다. - 부여군 소재의 관공서 - 충청남도 백제문화단지관리사업소
충청남도 백제문화단지관리사업소는 백제문화권개발사업소 설치를 시작으로 설립되어 백제문화역사관 개관, 백제문화단지 준공, 관광단지 지정 등을 거쳐 현재 소장 아래 관리과와 시설과를 두고 있는 충청남도의 사업소이다. - 부여군 소재의 관공서 - 부여경찰서
부여경찰서는 1945년 개서하여 충청남도 부여군을 관할하며 백강지구대, 8개의 파출소, 7개의 치안센터를 두고 부여군의 치안을 담당한다.
국립부여박물관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명칭 | 국립부여박물관 |
한자 표기 | 國立扶餘博物館 |
로마자 표기 | Gungnip Buyeo bangmulgwan |
개관일 | 1975년 8월 20일 |
소재지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
웹사이트 | 국립부여박물관 웹사이트 |
소장 작품 수 | 53,172점 |
방문객 수 | 673,213명 |
박물관 정보 | |
유형 | 역사박물관 |
사업 주체 |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
관리 운영 |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
관장 | 은화수 |
건축가 | 김수근 |
역사 | |
전신 | 부여고적보존회 |
기타 | |
![]() |
2. 연혁
1929년 2월, 일제강점기에 재단법인 부여고적보존회가 창립되었다.[4][2] 1939년 4월에는 조선총독부박물관 부여분관이 설치되었으며, 1945년 광복 이후 국립박물관 부여분관으로 개편되었다.[2] 1974년 9월에는 부소산에 신관을 개관하였고, 이듬해인 1975년 8월에 국립부여박물관으로 승격되었다.[2] 1993년 8월, 백제의 왕도였던 부여군 부소산 기슭에서 현재 위치로 이전 개관하였으며, 2005년 12월에는 보존과학관을 증축하였다.[2]
3. 조직
3. 1. 관장
기획운영과와[7] 학예연구실이 있다.[8]
4. 소장품
보석
패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