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성 5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극성 5호는 2021년 1월 14일 조선로동당 제8차 당대회 기념 열병식에서 공개된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로, 북극성 4호의 개량형으로 추정된다. 북극성 4호에 비해 탄두 부분이 더 커지고, 전체 길이가 늘어난 것으로 보이며, 일각에서는 실재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모형이거나 외형을 변경한 것일 가능성도 제기한다. 북극성 5호는 미국 동부 지역까지 사거리가 닿을 수 있어 잠재적인 위협으로 평가받으며, 김정은 정권의 핵무기 개발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분석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탄도 미사일 - KN-23
KN-23은 북한이 개발한 러시아 이스칸데르 미사일과 유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다양한 사거리와 탑재량의 변종이 존재하며 한국의 미사일 방어 체계에 위협이 되고 2023년 이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실전 배치된 정황이 확인되어 국제적 우려를 야기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탄도 미사일 - KN-10 미사일
KN-10은 북한이 개발한 단거리 지대지 미사일로, SS-21 스캐럽 미사일 개량형으로 추정되며, 120~300km 사거리에 1단 고체연료를 사용하고 이동식 발사대를 통해 발사되어 기동성을 확보했으며, KN-08 핵탄두 탑재 가능성이 제기된다.
북극성 5호 | |
---|---|
북극성 5호 | |
![]() | |
종류 | |
종류 | SLBM |
개발 | |
개발 국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제원 | |
무게 | (추정) 45톤 |
사거리 | (추정) 5,000 km (미국 본토 타격 가능) |
탄두 | 핵탄두 |
엔진 | 고체연료 |
특징 | |
특징 | 다탄두 탑재 가능성 콜드 론치 방식 |
실전 배치 | |
실전 배치 | 미확인 |
2. 역사
2021년 1월 14일, 조선로동당 제8차 당대회 기념 열병식에서 북극성 5호가 최초로 공개되었다. 북극성 5호는 북극성 4호에 비해 탄두 부분이 더 커졌다. 2020년 10월 10일 열병식에서는 북극성 4호가 공개된 바 있다.[1] 다만, 북극성 5호의 실재성에 대한 의문이 있으며, 북극성 4호의 외형을 변경한 것이거나 모형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4]
2. 1. 개발 배경
북한은 2010년대 후반부터 북극성 1호를 시작으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1] 2020년 10월 10일에 열린 군사 퍼레이드에서는 북극성 4호가 공개되었다.[1] 2021년 1월 14일 군사 퍼레이드에서는 '북극성 5'라는 표기가 있는 미사일 4기가 공개되었다.[1][2][3] 이 미사일은 북극성 4호의 개량형일 가능성이 있으며,[2] 북극성 4호와 비교하여 전장이 길고, 선단이 둥근 형태가 되었다.[4] 다만, 그 실재성에 대한 의문이 있으며, 북극성 4호의 외형을 바꾼 것이거나 모형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4]2. 2. 공개
2021년 1월 14일, 조선로동당 제8차 당대회 열병식에서 '북극성-5ㅅ'ㅅ는 'A'의 한글 표기 라는 명칭으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이 최초로 공개되었다.[1] 이날 공개된 북극성-5ㅅ는 북극성-4ㅅ에 비해 탄두 부분이 더 커졌다.[1] 2020년 10월 10일 열병식 때와 달리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사진은 공개되지 않아 이번 열병식에는 동원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2021년 1월 14일에 열린 군사 퍼레이드에서 '북극성 5'라는 표기가 있는 미사일 4기가 공개되었으며[1][2][3], 북극성 4호의 개량형일 가능성이 있다.[2] 북극성 4호와 비교하여 전장이 길고, 선단이 둥근 형태가 되었다.[4] 다만, 일각에서는 그 실재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북극성 4호의 외형을 바꾼 것이거나 모형일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4]
3. 특징
2021년 1월 14일, 조선로동당 제8차 당대회 열병식에서 북극성-5A가 최초로 공개되었다.[1][2][3] 북극성-4A에 비해 탄두 부분이 더 커지고, 전체 길이도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2020년 10월 10일 열병식 때와 달리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사진은 공개되지 않았다. 북극성 4호의 개량형일 가능성이 있으며, 북극성 4호와 비교하여 전장이 길고, 선단이 둥근 형태가 되었다.[4] 다만, 그 실재성에 대한 의문이 있으며, 북극성 4호의 외형을 바꾼 것이거나 모형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4]
3. 1. 크기 및 성능
북극성-3형의 길이는 10m, 직경은 1.5m가량으로 추정된다. 북극성-4A형은 길이 8~9m, 직경 1.8~2m가량으로 추정된다. 북극성-5A형은 북극성-4A형과 비교해 탄두가 더 커졌고, 직경도 더 굵어져 길이 10m, 직경 2m 이상으로 추정된다.[1] 일각에서는 북극성 5A의 전체 길이는 북극성 4형보다 다소 늘어난 11m 안팎이 될 가능성도 제기한다.[1]북극성-5A형은 길이 10m, 직경 2m 정도로 보이는데, 이는 사거리 7400km인 UGM-96 트라이던트 I과 비슷한 크기이다. 북극성-4A형에 대한 분석에서는 미국의 SLBM인 UGM-133 트라이던트 II와 크기가 비슷하다는 관측도 있었는데, 북극성-5A형은 북극성-4A형보다 직경이 더 커져서 UGM-133 트라이던트 II에 더욱 근접해졌다고 볼 수 있다.[1]
3. 2. 잠재적 위협
북한은 잠수함을 통해 SLBM을 발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고 있다.[1] 러시아 캄차카반도 동쪽 베링해는 북한에서 대략 5000km 떨어져 있는데, 여기서 사거리 7400km SLBM을 발사하면 미국 동부 뉴욕, 워싱턴 D.C. 타격이 가능하다.[1] 베링해의 서쪽은 러시아 캄차카반도, 동쪽은 미국 알래스카주이며, 러시아 앞바다에서 뉴욕까지 거리는 7000km 정도 된다.[1] 따라서 북극성 5호는 미국의 동부 지역까지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잠재적인 위협으로 간주될 수 있다.4. 당대회
북한은 이례적으로 당 대회에서 열병식을 진행하며 북극성 5호를 공개했는데, 이는 역사상 최초로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에 메시지를 보내려는 의도로 해석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北朝鮮による核・弾道ミサイル開発について
https://www.mod.go.j[...]
日本国防衛省
2021-03-01
[2]
웹사이트
北朝鮮が軍事パレード、新型SLBMも登場 核実験再開前触れか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21-01-15
[3]
웹사이트
North Korea unveils Pukguksong-5 SLBM at military parade
https://www.janes.co[...]
Janes Defence News
2021-01-15
[4]
웹사이트
北朝鮮、新型SLBM「北極星5」を公開――「世界最強の武器」と喧伝 戦略原子力潜水艦の保有を追求
https://news.yahoo.c[...]
ヤフーニュース個人
2021-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