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방애기박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방애기박쥐는 유럽 중부와 서부, 아시아에 분포하는 박쥐의 일종이다. 산, 스텝 지대, 삼림 지역을 자연 서식지로 가지며, 서유럽에서는 도시에서도 발견된다. 25–27 kHz의 음파를 사용하여 곤충을 사냥하며, 해질녘 이후 20-40m 높이에서 사냥한다. 암컷은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수컷은 봄과 초여름에 무리를 이룬다. 최대 900km까지 이동하며, 10월부터 3월까지 동면한다. 암컷은 5월과 7월 사이에 쌍둥이를 낳고, 새끼는 6주 이내에 젖을 뗀다. 몸 크기는 4.8~6.4cm, 날개 길이는 26~33cm이며, 등 쪽은 붉은색에서 짙은 갈색, 배 쪽은 흰색 또는 회색을 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르기스스탄의 포유류 - 갑상선가젤
    갑상선가젤은 모래와 자갈 평원, 석회암 고원에 서식하며, 과거 근동 지역에 대규모 무리가 존재했으나 사냥으로 개체 수가 감소했고, 일부다처제 짝짓기 행동을 보이는 가젤의 일종으로, 여러 아종이 존재하며 분포 지역 대부분에서 계절에 따라 이동한다.
  • 키르기스스탄의 포유류 - 작은흰이땃쥐
    작은흰이땃쥐는 프랑스, 포르투갈, 유럽, 아시아, 일본, 북아프리카 등 넓은 지역에 분포하며 건조한 관목 지대와 정원을 선호하는 땃쥐의 일종으로, 실리 제도에서는 '실리 뒤쥐'라는 아종이 존재하며 한국 생태계 교란 가능성으로 유입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
  • 타지키스탄의 포유류 - 수달
    수달은 족제비과에 속하며 유선형 몸매와 물갈퀴 등 수중 생활에 적합한 특징을 지닌 반수생 포유류로, 물고기 외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전 세계에 분포하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 타지키스탄의 포유류 - 쌍봉낙타
    쌍봉낙타는 낙타속 동물로 두 개의 혹을 가지며 중앙아시아에 서식하고 짐 운반, 낙농, 모피 생산 등 인간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으나 야생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고 가축화된 개체는 약 140만 마리가 있다.
  • 우즈베키스탄의 포유류 - 마눌
    마눌은 중앙아시아 산악지대에 서식하며 짧은 귀와 빽빽한 털을 가진 고양이과 포유류로, 서식지 파괴와 밀렵 등으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대상"으로 분류되고, 털가죽 이용과 약용으로도 위협받고 있다.
  • 우즈베키스탄의 포유류 - 사이가산양
    사이가산양은 영양족에 속하며 독특한 코를 가진 동물로, 중앙아시아 등지에 분포하며 멸종 위기에 놓였으나 개체수가 회복되는 추세이다.
북방애기박쥐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히메히나코우모리
히메히나코우모리
학명Vespertilio murinus
명명자Linnaeus, 1758
영명Parti-coloured bat (파티 컬러드 배트)
이명Eptesicus murinus (Linnaeus, 1758)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コウモリ目(翼手目) (박쥐목 (익수목))
아목コウモリ亜目(小翼手亜目) (박쥐아목 (소익수아목))
히나코우모리과
히나코우모리속
히메히나코우모리
분포
유라시아의 V. murinus 분포도
유라시아의 V. murinus 분포
보존 상태
IUCN관심 필요
IUCN 3.1LC
IUCN 참고http://www.iucnredlist.org/details/22947/0

2. 분포

북방애기박쥐는 유럽 중부와 남부, 그리고 아시아 지역에 걸쳐 분포한다. 자연 상태에서는 주로 산악 지대, 스텝 또는 삼림 지대에서 서식하지만, 서유럽 지역에서는 도시 환경에서도 흔히 발견된다.

3. 생태

북방애기박쥐는 매우 드물어 자세한 생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주로 해질녘 이후 활동하며, 강, 호수, 숲 위나 가로등 아래 등지에서 20m에서 40m 높이를 날며 사냥한다.[7] 사냥 시에는 25–27 kHz 대역의 초음파를 사용하여 모기, 날도래, 나방, 딱정벌레 등을 잡는다.[6] 추운 날씨에는 사냥을 하지 않고 휴식 장소에 머무르기도 한다.

암컷은 약 50마리, 때로는 수백 마리가 모여 작은 무리를 이루어 생활한다. 서유럽에서는 봄부터 초여름 사이에 약 250마리 규모의 수컷 무리가 관찰되기도 한다. 이동성이 강한 종으로, 최대 이동 거리는 1780km에 달하는 기록이 있다.[1]

10월부터 3월까지 동면하며, 보통 혼자 동면하고 -5°C의 낮은 온도까지 견딜 수 있다.[8]

3. 1. 번식

암컷은 5월과 7월 사이에 출산 둥지를 형성하며, 일반적으로 쌍둥이를 낳는다.[8] 서유럽에서는 6월경에 출산이 이루어진다.[8] 새끼는 태어난 지 3주에서 4주 후에 날 수 있게 되며, 6주 이내에 젖을 뗀다.[8] 새끼가 젖을 떼면 암컷은 둥지를 떠난다.

4. 형태

북방애기박쥐의 몸 크기는 4.8cm에서 6.4cm이며, 날개 길이는 26cm에서 33cm이고, 몸무게는 11g에서 24g이다.[5] 영문명은 'Parti-coloured bat'인데, 이는 의 두 가지 색상에서 유래되었다. 등 쪽은 붉은색에서 짙은 갈색을 띠며, 은백색의 서리가 낀 듯한 털이 특징이다. 배 쪽은 흰색 또는 회색이다. , 날개, 얼굴은 검은색 또는 짙은 갈색이다. 날개는 좁으며, 귀는 짧고 넓으며 둥근 형태이다. 최대 12년까지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을 번식기에는 새와 비슷한 지저<0xEA><0xB7><0x80>는 소리를 내는데, 이는 특히 짝짓기 기간에 들을 수 있다.

참조

[1] 간행물 'Vespertilio murinus' 2016
[2] 서적 Systema naturæ per regna tria naturæ,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Tomus I https://www.biodiver[...] Laurentius Salvius
[3] 웹사이트 'Vespertilio murinus' Linnaeus, 1758 - Parti-Coloured Bat http://www.nhm.ac.uk[...] Natural History Museum 2014-12-16
[4] 웹사이트 Vespertilio murinus http://batslife.eu/i[...] 'Science for Nature Foundation'
[5] 웹사이트 Rarities and vagrants http://www.bats.org.[...] Bat Conservation Trust 2014-12-16
[6] 논문 Display song of parti-coloured bat Vespertilio murinus Linnaeus, 1758 (Chiroptera, Mammalia) in southern Slovenia and preliminary study of its variability http://web.bf.uni-lj[...]
[7] 웹사이트 Bat species in Scotland http://www.snh.gov.u[...] Scottish Natural Heritage 2014-12-16
[8] 논문 Macro-evolutionary trade-offs as the basis for the distribution of European bats http://www.batwet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