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부방면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부방면대는 홋카이도를 방위하는 육상자위대의 방면대로, 1952년 10월 15일 보안대 발족과 함께 창설되었다. 삿포로 주둔지에 북부방면총감부를 두고 제2, 제7, 제5, 제11사단/여단을 기간으로 편성되어 있다. 냉전 시기에는 소련의 위협에 대비하여 전력을 증강했으며, 현재는 러시아 극동군관구와의 군사적 충돌에 대비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지역 사회와의 유대 강화를 위해 삿포로 눈 축제 참가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육상자위대의 방면대 - 서부방면대
서부방면대는 일본 육상자위대의 방면대 중 하나로, 구마모토시에 위치한 총감부를 중심으로 서부 지역의 방위 임무를 수행하며, 제4사단, 제8사단, 제15여단 등을 예하 부대로 둔다. - 육상자위대의 방면대 - 동북방면대
동북방면대는 1960년 창설되어 일본 동북 지역의 방위를 담당하며, 예하 사단을 두고 지역 방어 및 재해 파견 임무를 수행하고,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재해 복구 활동을 지원했다. - 홋카이도 - 삿포로 TV 방송
삿포로 TV 방송은 1958년 개국하여 1959년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한 홋카이도의 민영 방송국이며, 현재는 니혼 TV 계열로 홋카이도 지역 스포츠 중계와 자체 제작 프로그램을 편성하고 있다. - 홋카이도 - 윌타인
윌타는 퉁구스어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러시아 사할린주에 주로 거주하며 오로크어를 사용하고 순록 유목, 수렵, 어업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소수 민족이다. - 1952년 설립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1952년 설립 - 용산기지
용산기지는 서울 용산구에 위치했던 주한미군 사령부였으며, 기지 부지는 서울시에 단계적으로 반환될 예정이며 공원 조성 계획이 추진 중이다.
북부방면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명칭 | 북부 방면대 |
영어 명칭 | Northern Army |
일본어 명칭 | 北部方面隊 (호쿠부 호멘타이) |
별칭 | 북방, NA |
군종 | 육상자위대 |
유형 | 방면대 |
역할 | 방위 재해 파견 |
규모 | 약 20,000명 (평시) 약 40,000명 (동원 시) |
상급 부대 | 방위대신 직할 (유사시 육상총대) |
관할 지역 | 홋카이도 |
주둔지 | 삿포로시 캠프 삿포로 |
창설일 | 1952년 10월 15일 |
지휘관 | |
현재 사령관 | 육장 오카베 토시야 |
전투 | |
훈장 |
2. 역사
1952년 10월 15일, 보안대 발족과 함께 북부方面隊가 창설되었다.[4] 삿포로 주둔지에 북부방면총감부가 설치되었고, 제2관구대와 북부 방면 회계대가 편성되었다.[5] 초기 경비 구역은 홋카이도 전체와 아오모리현, 이와테현, 미야기현, 아키타현을 포함했다.[6]
1953년 4월 1일, 오우 4현의 경비가 제1관구대로 이관되면서 북부방면대는 홋카이도만을 담당하게 되었다.[3][4][5]
1954년 7월 1일, 육상자위대가 발족되면서 북부방면대도 육상자위대 소속으로 변경되었다. 같은 해 1월 10일에는 북부 방면 항공대가 편성되었다.[3][8]
1956년 1월 26일, 북부방면대 직할 경비 구역이 제7혼성단으로 이관되었다.[9]
1960년 1월 14일, 방면 관구제 시행에 따라 북부방면총감부 및 예하 부대가 개편되었다. 북부 방면 조사대, 북부 방면 통신대, 북부 방면 음악대 (삿포로 주둔지)가 편성되고, 홋카이도 지구 보급처가 예하에 편입되었다.
1962년 1월 18일, 사단 개편에 따라 제2관구대는 제2사단으로, 제5관구대는 제5사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3] 제11사단이 신편되었고, 제7혼성단은 제7사단으로 개편되었다.[8] 제1특차군은 제1전차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60년대에는 4개 사단(제2, 제5, 제7, 제11사단) 체제가 완성되었다.
1972년 3월 24일, 제1고사단이 히가시치토세 주둔지에서 편성되었다.[3] 1974년 8월 1일, 제1전차단이 기타에니와 주둔지에서 편성되었다.[3]
냉전 시기 북부방면대는 소련의 잠재적 위협에 대비하여 전력을 증강하였다. 특히 제7사단은 육상자위대 유일의 기갑사단으로, 신형 장비가 우선 배치되는 등 중점적으로 육성되었다. 1981년 3월 25일, 제7사단이 기갑사단으로 개편되었다.[8]
냉전 종식 이후, 북부방면대는 러시아 극동군관구와의 군사적 충돌에 대비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21][22] 1991년 3월 29일, 전차의 북전 사업에 따라 방면대 직할 부대로서 제316~제320전차 중대가 편성되어 제2, 제5, 제11의 각 전차대대 및 제1전차군에 예속되었다.
2000년 3월 28일, 북부 방면 후방 지원대가 시마마쓰 주둔지에, 북부 방면 위생대가 마코마나이 주둔지에 신편되었다.[10] 2004년 3월 29일, 제5사단이 제5여단으로 개편되었다.[13][14] 2008년 3월 26일에는 제11사단이 제11여단으로 개편되었다.
2011년 4월 22일, 북부 방면 교육 연대가 북부방면혼성단으로 개편되고, 제52보통과연대가 신편되었다. 2014년 3월 26일, 제1전차군이 해체되었다. 2017년 3월 27일, 북부방면시설대가 제3시설단으로 재편성되었다.
2022년 3월 17일, 제2사단이 기동사단으로 개편되었다. 2023년 3월 16일에는 제5여단이 기동여단으로 개편되었다.
2. 1. 창설 배경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일본은 군대를 해산하고 평화 헌법을 제정하였다.[3] 그러나 냉전이 심화되고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면서 일본 재무장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3][4][5] 이에 따라 1950년 경찰예비대가 창설되었고, 1952년 보안청을 거쳐 1954년 자위대가 발족되었다.[3][4][5] 1952년 10월 15일 보안대 발족에 따른 증원으로 북부方面隊가 창설되었으며, 북부方面総監部가 삿포로 주둔지에서 개청하였다.[3][4]2. 2. 창설 및 초기 발전 (1952년 ~ 1960년대)
1952년 10월 15일, 보안대 발족과 함께 북부方面隊가 창설되었다.[3][4] 삿포로 주둔지에 북부방면총감부가 설치되었고, 제2관구대와 북부 방면 회계대가 편성되었다.[5] 초기 경비 구역은 홋카이도 전체와 아오모리현, 이와테현, 미야기현, 아키타현을 포함했다.[6]1953년 4월 1일, 오우 4현의 경비가 제1관구대로 이관되면서 북부방면대는 홋카이도만을 담당하게 되었다.[3][4][5]
1954년 7월 1일, 육상자위대가 발족되면서 북부방면대도 육상자위대 소속으로 변경되었다. 같은 해 1월 10일에는 북부 방면 항공대가 편성되었다.[3][8]
1956년 1월 26일, 북부방면대 직할 경비 구역이 제7혼성단으로 이관되었다.[9]
1960년 1월 14일, 방면 관구제 시행에 따라 북부방면총감부 및 예하 부대가 개편되었다. 북부 방면 조사대, 북부 방면 통신대, 북부 방면 음악대 (삿포로 주둔지)가 편성되고, 홋카이도 지구 보급처가 예하에 편입되었다.
2. 3. 냉전 시기 (1960년대 ~ 1991년)
1962년 1월 18일, 사단 개편에 따라 제2관구대는 제2사단으로, 제5관구대는 제5사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3] 제11사단이 신편되었고, 제7혼성단은 제7사단으로 개편되었다.[8] 제1특차군은 제1전차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60년대에는 4개 사단(제2, 제5, 제7, 제11사단) 체제가 완성되었다.1972년 3월 24일, 제1고사단이 히가시치토세 주둔지에서 편성되었다.[3] 1974년 8월 1일, 제1전차단이 기타에니와 주둔지에서 편성되었다.[3]
냉전 시기 북부방면대는 소련의 잠재적 위협에 대비하여 전력을 증강하였다. 특히 제7사단은 육상자위대 유일의 기갑사단으로, 신형 장비가 우선 배치되는 등 중점적으로 육성되었다. 1981년 3월 25일, 제7사단이 기갑사단으로 개편되었다.[8]
2. 4. 냉전 이후 ~ 현재 (1991년 ~ 현재)
냉전 종식 이후, 북부방면대는 러시아 극동군관구와의 군사적 충돌에 대비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21][22] 1991년 3월 29일, 전차의 북전 사업에 따라 방면대 직할 부대로서 제316~제320전차 중대가 편성되어 제2, 제5, 제11의 각 전차대대 및 제1전차군에 예속되었다.2000년 3월 28일, 북부 방면 후방 지원대가 시마마쓰 주둔지에, 북부 방면 위생대가 마코마나이 주둔지에 신편되었다.[10] 2004년 3월 29일, 제5사단이 제5여단으로 개편되었다.[13][14] 2008년 3월 26일에는 제11사단이 제11여단으로 개편되었다.
2011년 4월 22일, 북부 방면 교육 연대가 북부방면혼성단으로 개편되고, 제52보통과연대가 신편되었다. 2014년 3월 26일, 제1전차군이 해체되었다. 2017년 3월 27일, 북부방면시설대가 제3시설단으로 재편성되었다.
2022년 3월 17일, 제2사단이 기동사단으로 개편되었다. 2023년 3월 16일에는 제5여단이 기동여단으로 개편되었다.
3. 편성
북부방면대는 홋카이도를 방위하는 육상자위대 방면대이다. 삿포로 주둔지에 주둔하는 북부방면총감부를 중심으로, 제2사단, 제7사단, 제5여단, 제11여단 등 4개 사단/여단을 기간으로 편성되어 있다.
- 북부방면총감부 (삿포로 주둔지)
- 제2사단 (아사히카와 주둔지): 1개 즉응기동연대, 2개 보통과(보병)연대, 1개 전차연대 기반으로 홋카이도 북서부 방위를 담당한다.
- 제5여단 (오비히로 주둔지): 1개 즉응기동연대, 2개 보통과연대 기반으로 홋카이도 북동부 방위를 담당한다.
- 제7사단 (히가시치토세 주둔지): 1개 보통과연대, 3개 전차연대 기반으로 홋카이도 남부 방위를 담당한다.
- 제11여단 (마코마나이 주둔지): 1개 즉응기동연대, 2개 보통과연대 기반으로 홋카이도 남서부 방위를 담당한다.
- 제1특과단 (기타치토세 주둔지)
- 제1고사특과단 (히가시치토세 주둔지): MIM-23 호크를 운용하는 제1, 4 대공특과군과 제101 무인기 대대로 구성된다.
- 제3시설단 (에니와 주둔지): 제12, 13, 14시설군 등으로 구성된다.
- 북부방면혼성단 (히가시치토세 주둔지): 제52보통과연대, 제1, 120교육대대, 한랭지 전투 훈련대 등으로 구성된다.
- 제1전자대 (히가시치토세 주둔지)
- 북부방면대주정대전차대 (굿찬 주둔지): 96식 다목적 미사일 시스템 3개 소대를 보유한다.
- 북부방면항공대 (오카다마 주둔지): 제1 대전차 헬리콥터 대대, 북부방면 헬리콥터 대대, 북부방면 기상 중대, 군수 지원 대대로 구성된다.
- 북부방면시스템통신군 (삿포로 주둔지)
- 북부방면후방지원대 (시마마쓰 주둔지)
- 북부방면회계대 (삿포로 주둔지)
- 북부방면위생대 (마코마나이 주둔지)
- 북부방면음악대 (마코마나이 주둔지)
- 북부방면지휘소훈련지원대 (히가시치토세 주둔지)
- 북부방면정보대 (삿포로 주둔지): 제301, 302해안 감시 부대, 북부방면 무인 항공기 전대, 북부방면 이동 감시대로 구성된다.
- 육상자위대 홋카이도 보급처 (시마마쓰 주둔지)
일본 방위성 정보본부는 히가시치토세 주둔지에 신호 정보 부대를 기밀로 운용하고 있다.
4. 지역 사회 협력
북부방면대는 지역 사회와의 유대 강화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1955년부터 삿포로 눈 축제에 참가하여 대형 눈 조각 제작을 지원하고 있다. 이는 지역 주민과의 교류를 증진하고 자위대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미야사마 스키 대회에도 협력하고 있다.
5. 주요 간부
겸 삿포로 주둔지 사령관
교육 실장
겸 기타에니와 주둔지 사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