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펍은 탄창이 방아쇠 뒤에 위치하는 총기 설계를 의미한다. 19세기 후반에 초기 형태가 등장했으며, 2차 세계 대전 이후 자동화기에 적용되면서 발전했다. 불펍 방식은 총기 전체 길이를 줄여 휴대성을 높이고 반동 제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엎드려 쏴 자세나 탄창 교체가 불편하고, 작동 시 소음과 연기가 사수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슈타이어 AUG, FAMAS, SA80, 타보르 TAR-21, QBZ-95 등이 대표적인 불펍 소총이며, 여러 국가에서 제식 소총으로 채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펍 화기 - 발터 WA2000
발터 WA2000은 독일 발터사가 개발한 고정밀 반자동 저격총이며, 1972년 뮌헨 올림픽 테러 사건 이후 서독 경찰의 요구로 개발되었으나 높은 가격과 무게로 인해 1985년부터 1989년까지 소량 생산되었다. - 불펍 화기 - QBZ-95
QBZ-95는 중국 인민해방군의 제식 소총으로, 5.8×42mm DBP87탄을 사용하고 불펍 방식 설계를 채택한 자동소총이며, 다양한 파생형과 수출용 모델, 개량형 모델이 존재한다. - 화기 - 총기 규제
총기 규제는 총기 소유, 사용, 판매 등을 규제하는 법률 및 정책을 의미하며, 캐나다의 캐나다 총기규제 연합, 미국의 총기 폭력 방지 연합 등 여러 국가의 시민단체들이 총기 폭력 감소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친다. - 화기 - 탄약
탄약은 발사 무기에서 발사되는 발사체와 추진제를 포함하는 모든 물질을 지칭하며, 신관, 추진제, 탄피, 발사체 등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고, 소화기용 탄약, 포탄, 미사일 등 종류가 다양하며 안전한 저장과 취급이 필수적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불펍 | |
---|---|
개요 | |
정의 | 총의 길이와 비교하여 총열이 짧은 소총의 일종으로, 격발 장치가 총 본체 뒤쪽에 위치함 |
특징 | |
장점 | 총 길이를 단축시켜 기동성이 향상됨 총열 길이를 유지하면서도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음 |
단점 | 총의 균형이 맞지 않아 다루기 어려울 수 있음 격발 장치가 총의 뒤쪽에 있어 격발 시 불편할 수 있음 탄창 교체가 불편할 수 있음 일부 모델의 경우, 사용자의 얼굴과 가까운 곳에서 격발되므로 위험할 수 있음 |
설계 | |
작동 방식 | 반자동 소총 자동 소총 기관단총 |
위치 | 총의 손잡이와 격발 장치가 약실 앞에 위치함 총열과 약실 사이에 연결된 손잡이와 격발 장치 |
역사 | |
초기 형태 | 20세기 초반에 처음 등장 초기에는 기관단총에 주로 적용됨 |
대중화 | 1970년대 이후 다양한 소총에 적용 스테이어 AUG와 같은 성공적인 모델 등장 FAMAS와 같은 일부 국가의 제식 소총 채택 |
현대 | 현재도 많은 군대와 민간에서 사용됨 |
종류 | |
소총 | 스테이어 AUG FAMAS TAR-21 SA80 OTs-03 SVU |
기관단총 | FN P90 ST Kinetics CPW |
기타 | |
관련 용어 | 불펍 (대한민국 표기) 불펍식 소총 불펍 소총 불펍 형태의 총기 불펍 디자인 |
참고 | |
관련 문서 | 자동 소총 기관단총 반자동 소총 돌격 소총 |
2. 역사
불펍 방식의 초기 역사는 19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860년경 런던의 리비에르가 제작한 벤치레스트 사격용 조준경 소총은 초기 불펍 화기로 알려져 있으며, 무게 6kg이 넘는 20보어(구경 0.60인치)의 팔각형 총열과 두 개의 홈이 있는 브런즈윅 강선을 특징으로 한다. 이 소총은 현재 영국 국가 소총 협회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11] 1866년 윌리엄 조셉 커티스는 최초의 반복식 불펍 디자인 특허를 받았다.[12] 1901년에는 소총(Thorneycroft carbine)이 개발되었으나, 손잡이에서 볼트 핸들까지의 거리가 늘어나 발사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불펍 개념은 더욱 발전하기 시작했다. 1918년 프랑스의 포콩-뫼니에 반자동 소총, 1936년 앙리 델라크르의 불펍 기관단총 특허 등, 불펍 방식은 자동화기에도 적용되기 시작했다.[13]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군이 PzB M.SS.41 대전차 소총을 실전에 사용하면서, 불펍 방식이 전투에 사용된 최초의 사례가 되었다.[1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서방 기술자들은 독일 돌격소총(Sturmgewehr 44, StG 44)에서 영감을 받아 불펍 설계를 연구했다. 특히, 폴란드 기술자 카지미에시 야누셰프스키는 영국에서 EM-2 소총을 개발하여 불펍 돌격소총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15] EM-2는 1951년 영국에서 세계 최초의 (제한적인) 제식 불펍 소총으로 채택되었으나, 7.62×51mm NATO 탄약 채택으로 인해 곧 FN FAL로 대체되었다.[16]
소련에서도 게르만 알렉세예비치 코로보프가 1945년경 7.62×39mm M43 구경의 실험용 돌격 소총을 개발하고, TKB-408을 소련군 시험에 제출했으나, AK-47에 밀려 채택되지 않았다. 미국에서도 1940년대에 Model 45A 불펍을 실험하고, 존 가랜드가 T31 불펍을 설계했으나, 프로토타입을 넘어서지 못하고 폐기되었다. 불펍 디자인은 광범위하게 사용되지 못했지만, TKB-022PM과 같이 연구는 지속되었다.
3. 특징
3. 1. 장점
불펍 방식은 총열 길이를 유지하면서도 총의 전체 길이를 줄여 휴대성과 은폐성을 높일 수 있다.[7] 좁은 공간에서의 기동성이 뛰어나 시가전이나 차량 내부 등에서 유리하다.[7] 무게 중심이 사수의 몸에 가까워 반동 제어가 용이하고, 특히 사수가 달릴 때 총기 조작이 편하다. 작동부와 개머리판 사이의 거리가 짧아 반동이 사수의 어깨로 더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총기 반동으로 인한 강선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기존의 화기들보다 전체 길이를 짧게 설계하여도 총열 길이가 비슷하기 때문에, 카빈과 비교했을 때 총구 속도가 더 빠르고 유효 사거리가 더 길며, 소음도 적다. 일부 설계에서는 더 짧은 개머리판 길이 때문에 같은 작동 방식을 가진 기존 소총보다 무게가 줄어든다.
3. 2. 단점과 해결책
FAMAS 소총]]
불펍 방식은 총열이 짧고 손잡이가 중앙에 위치하는 구조로 인해 몇 가지 단점을 갖는다. 우선 엎드려 쏴 자세나 탄창 교체가 불편할 수 있으며, 총검을 사용한 근접전 거리가 짧아진다.[28] 또한 무게 중심을 최적화하기 어렵고, 방아쇠와 공이치기가 멀리 떨어져 있어 방아쇠 작동 감각이 나빠질 수 있다.[9] 부착식 유탄발사기를 추가하기 어렵고, 개머리판 길이 조절 기능이 없는 모델이 많다는 점도 단점으로 지적된다.
총을 쏠 때 발생하는 작동음과 화약 연기가 사수의 얼굴에 가까워 청력과 시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탄피 배출구가 얼굴 위치에 있어, 왼손잡이 사수가 사용하기 어렵고, 배출된 탄피가 주변 동료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5]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FN F2000은 Forward ejection 시스템을, FN P90은 아래쪽으로 탄피를 배출하는 방식을 채택했다.[8] 슈타이어 AUG나 FAMAS는 탄피 배출구를 왼쪽으로 바꿀 수 있지만, 총을 분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가늠자와 가늠쇠 사이 거리가 짧아 조준이 부정확해질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대부분의 불펍 소총들은 스코프를 채용하여 이 문제를 해결했다.[29]
무게 중심이 뒤쪽에 있어 경계 상태로 소총을 휴대할 때 손에 무리가 갈 수 있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슈타이어 AUG는 앞쪽에 수직손잡이를 부착하고, L85는 총 앞부분을 무겁게 설계하여 이 문제를 완화했다.
탄창 교체가 직관적이지 않고 인체공학적이지 못하며,[10] "자유 낙하식" 교체를 수행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치명적인 고장이 발생할 경우, 총열과 작동 부분이 모두 사수의 머리, 목, 몸통에 더 가까이 있기 때문에 불펍 무기는 더 위험하다.
SAR21에서는 레시버 왼쪽 측면, 사수가 뺨을 대는 위치에 케블라 섬유를 붙여 약실 파열 사고 발생 시 사수에게 미치는 피해를 줄이는 설계를 채택했다.
4. "불펍(bullpup)" 용어의 어원
"불펍(bullpup)"이라는 용어의 기원은 오랫동안 불분명했다. 1957년에는 화려한 개머리판이 달린 표적 권총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 영국의 화기 전문가 조나단 퍼거슨(Jonathan Ferguson)의 연구에 따르면, 1930년대 화기 잡지에서 "불펍"이 이러한 소총을 불독 강아지(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 영국에서 "불펍"이라고 속칭으로 불렸다)에 비유한 것에서 유래했음을 시사하는 자료가 발견되었다.[4] 불독 강아지는 "땅딸막하고, 못생겼지만 여전히 공격적이고 강력한" 것으로 여겨졌다.[4]
5. 불펍 방식의 총기 목록
- 슈타이어 AUG[17][18][19]: 종종 최초로 성공한 불펍 소총으로 여겨지며, 오스트리아와 오스트레일리아의 주력 소총이다. 20개국 이상에서 사용되며, 불펍 구조, 폴리머 사용, 수직 이중 손잡이, 표준 광학 조준경, 모듈식 설계 등 1970년대 기준으로 매우 앞선 기술을 자랑했다. 높은 신뢰성, 가벼운 무게, 정확성을 갖췄다.

- FAMAS[19]: 1978년 프랑스군에 채택되어 소총 설계에서 기존 방식에서 불펍 방식으로의 전환을 이끌었다.

- L85: 영국이 1985년 실전 배치한 불펍 소총. 초기 신뢰성 문제 이후 헤클러&코흐에 의해 L85A2로 재설계되어 신뢰성을 확보했다. 2016년 기준으로 더 가볍고, 적응력이 뛰어나며, 내구성이 강화된 L85A3으로 대체되었다.

- 타보르 TAR-21: 이스라엘 군수산업이 개발한 불펍 소총. 가볍고 정확하며 완전 양손잡이 사용이 가능하고 신뢰성이 높다. 인도 등에서 수요가 높으며, SAR 21 및 벡터 CR-21과 유사하다.[5]


- KH-2002: 이란 이슬람 공화국 육군이 소량 채택했다.
- TKB-059
- LAPA FA-03
- DAR-21
- SAR-21
- 발터 WA2000
다음은 불펍 소총을 제식 소총으로 채택한 국가들이다.
-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국방군 – StG 77 (1977년 채택)
-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국방군 – F88 Austeyr (1989년 채택)
- 벨기에: 벨기에 국방군 – FN F2000 (2004년 채택)
- 중국: 인민해방군 – 95식 (1997년 채택, 2019년부터 QBZ-191로 대체)
- 콜롬비아: 콜롬비아 군 및 콜롬비아 국가경찰 특수부대 – IWI 타보르 TAR-21
-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육군 – VHS (2009년 채택)
- 인도: 인도 특수부대 – IWI 타보르 TAR-21
-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특수부대 – IWI 타보르 TAR-21 및 슈타이어 AUG
- 아일랜드: 아일랜드 국방군 – 슈타이어 AUG (1988년 채택)
- 이스라엘: 이스라엘 방위군 – IWI 타보르 TAR-21 (2001년 채택, IDF 보병 여단 5개 중 3개 여단에서 사용)
- 오만: 오만 왕국 육군 – 슈타이어 AUG
- 러시아: 스페츠나츠 – OTs-14 그로자, A-91, SVU (1990년대 채택)
- 싱가포르: 싱가포르군 – SAR 21 (1999년 채택)
- 슬로베니아: 슬로베니아 국방군 – FN F2000 (2007년 채택)
- 영국: 영국군 – SA80 (1985년 채택)
과거 불펍 소총을 제식 소총으로 채택했던 국가들은 다음과 같다.
- 프랑스: 프랑스군 – FAMAS (1978년 채택, 2017년부터 HK 416F로 대체)[25]
-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군 - 슈타이어 AUG (1991년 채택, 2004년 콜트 M4A1로 대체)[26][27]
- 뉴질랜드: 뉴질랜드 국방군 – IW Steyr (1988년 채택, 2017년 LMT MARS로 대체)[27]
그 외 불펍 소총 목록:
- : 부시마스터 암 피스톨, 부시마스터 M17S, G3 BP,
- : K-3
- : EM-1, EM-2,
- : LAPA FA-03
- : 타보르, X95 (5.56mm NATO탄 사양)
- : KH2002
- : 베프르, 말류크
- : ACR - 플레셰트탄 채용 시제 소총
- : , KAL1 GPIR
- : VHS
- : BR18
- : C42 크루츠
- : MKR
- /: OTs-14, A-91, ADS, TKB-011, TKB-022, TKB-408, ASh-12
- : DAR21
- : 사피르 T-17
- : RH-70, G11
- : FAD
- : FAL 불펍
- : Kbk wz.1997 보조, Kbk wz. 2002 빈, Kbk wz. 2005 얀타르, MSBS - 불펍/기존 방식 전환 가능 시제 소총
- : 발메트 M82
- : VB 베라피 LP-06
- : CR21
5. 1. 돌격소총
슈타이어 AUG(1977년 채택)는 종종 최초로 성공한 불펍 소총으로 여겨진다.[17][18][19] 20개국 이상의 군대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오스트리아와 오스트레일리아의 주력 소총이다. 1970년대 기준으로 매우 앞선 기술을 자랑했는데, 불펍 구조, 폴리머의 광범위한 사용, 수직 이중 손잡이, 표준 광학 조준경, 모듈식 설계 등을 하나의 무기에 결합했다. 높은 신뢰성, 가벼운 무게, 정확성을 갖춘 슈타이어 AUG는 불펍 배치의 잠재력을 명확하게 보여주었다. 1978년 FAMAS의 등장과 프랑스의 채택은 소총 설계에서 기존 방식에서 불펍 방식으로의 전환을 강조했다.[19]영국은 L85로 불펍 실험을 재개했으며, 이는 1985년에 실전 배치되었다. 지속적인 신뢰성 문제 이후, 당시 영국 소유였던 헤클러&코흐에 의해 L85A2로 재설계되어 완전히 신뢰할 수 있는 무기가 되었다.[20] 2016년 기준으로 더 가볍고, 적응력이 뛰어나며, 내구성이 강화된 L85A3으로 대체되었다.
광범위한 전투 경험을 바탕으로 이스라엘 군수산업은 불펍 소총인 타보르 TAR-21을 개발했다. 타보르는 가볍고, 정확하며, 완전 양손잡이 사용이 가능하고, 신뢰성이 높다(사막 조건에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엄격한 신뢰성 기준에 따라 설계됨). 인도를 비롯한 다른 국가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5] 타보르는 SAR 21과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벡터 CR-21과 많은 유사점을 공유한다.[5]
중국 인민해방군은 1997년에 95식 총기 시리즈를 채택했는데, 이는 QBZ-95 표준 소총, 카빈총, 경기관총 변형을 포함하는 공통 수신기 설계를 공유하는 불펍 화기 시리즈이다. 이란 이슬람 공화국 육군은 KH-2002를 소량 채택했다.[21]
불펍 소총은 다음 국가의 군대의 제식 소총이다.
- : 오스트리아 국방군 – StG 77; 1977년 채택.
- : 오스트레일리아 국방군 – F88 Austeyr; 1989년 채택.
- : 벨기에 국방군 – FN F2000; 2004년 채택.
- : 인민해방군 – 95식; 1997년 채택, 2019년부터 QBZ-191로 대체되고 있다.
- : 콜롬비아 군 및 콜롬비아 국가경찰 특수부대 – IWI 타보르 TAR-21.
- : 크로아티아 육군 – VHS; 2009년 채택.
- : 인도 특수부대 – IWI 타보르 TAR-21.
- : 인도네시아 특수부대 – IWI 타보르 TAR-21 및 슈타이어 AUG.
- : 아일랜드 국방군 – 슈타이어 AUG; 1988년 채택.
- : 이스라엘 방위군 – IWI 타보르 TAR-21; 2001년 채택, IDF 보병 여단 5개 중 3개 여단에서 사용.
- : 오만 왕국 육군 – 슈타이어 AUG.
- : 스페츠나츠 – OTs-14 그로자, A-91, 및 SVU; 1990년대 채택.
- : 싱가포르군 – SAR 21; 1999년 채택.
- : 슬로베니아 국방군 – FN F2000; 2007년 채택.
- : 영국군 – SA80; 1985년 채택.
과거 불펍 소총이 제식 소총이었던 국가의 군대:
- : 프랑스군 – FAMAS; 1978년 채택, 2017년부터 HK 416F로 대체되고 있다.[25]
- : 말레이시아군 - 슈타이어 AUG; 1991년 채택. 슈타이어가 SME Ordnance에 라이선스를 제공하여 제작했다.[26] 2004년 콜트 M4A1로 대체되었다.[27]
- : 뉴질랜드 국방군 – IW Steyr; 1988년 채택, 2017년 LMT MARS로 대체되었다.[27]
그 외 불펍 소총 목록:
- : 부시마스터 암 피스톨, 부시마스터 M17S, G3 BP,
- : K-3
- : EM-1, EM-2,
- : LAPA FA-03
- : 타보르, X95 (구경 5.56mm NATO탄 사양)
- : KH2002
- : 베프르, 말류크
- : ACR - 플레셰트탄 채용 시제 소총
- : , KAL1 GPIR
- : VHS
- : BR18
- : C42 크루츠
- : MKR
- /: OTs-14, A-91, ADS, TKB-011, TKB-022, TKB-408, ASh-12
- : DAR21
- : 사피르 T-17
- : RH-70, G11
- : FAD
- : FAL 불펍
- : Kbk wz.1997 보조, Kbk wz. 2002 빈, Kbk wz. 2005 얀타르, MSBS - 불펍 방식과 기존 방식의 전환이 가능한 시제 소총
- : 발메트 M82
- : VB 베라피 LP-06
- : CR21
5. 2. 기관단총/PDW
FN P90은 기관단총/PDW에 속하는 불펍이다. IWI 타보르 X95 (9x19mm 구경)도 불펍 기관단총/PDW이다. 헤지 SM-1 PDW, 맥풀 PDR도 불펍 기관단총/PDW이다.
5. 3. 반자동 카빈
- 캐리코 M100
- RFB(en)
- 머즐라이트 미니-14
- 머즐라이트 미니-30
- G22
5. 4. 저격소총
독일의 발터 WA2000, WSG-2000, DSR-1, 헝가리의 게파드 GM6 Lynx, 러시아의 SVU, KSVK, VKS, 미국의 바렛 M82A2, 바렛 M95, 바렛 M99, 데저트 테크 SRS 등이 불펍 소총에 해당한다.5. 5. 산탄총
독일의 CAWS, 러시아의 KS-23K, 미국의 모스버그 M500 불펍(매버릭 M88), 잭해머, Kel-Tec KSG,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네오스테드 2000 등이 있다.5. 6. 유탄발사기
K11 복합형 소총은 유탄발사기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XM29 OICW 또한 유탄발사기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XM25 IAWS도 유탄발사기이다.6. 채택 국가
슈타이어 AUG(1977년 채택)는 최초로 성공한 불펍 소총으로 평가받는다.[17][18][19] 20개국 이상에서 사용되며, 오스트리아와 오스트레일리아의 주력 소총이다. 1978년 FAMAS가 프랑스군에 채택되면서 소총 설계가 기존 방식에서 불펍 방식으로 전환되는 계기가 되었다.[19]
영국군은 L85를 1985년에 실전 배치했다. 지속적인 신뢰성 문제로 인해 헤클러&코흐에서 L85A2로 재설계하여 신뢰성을 확보했다.[20] 2016년에는 더 가볍고, 적응력이 뛰어나며, 내구성이 강화된 L85A3으로 대체되었다.
이스라엘 군수산업은 전투 경험을 바탕으로 불펍 소총인 타보르 TAR-21을 개발했다. 타보르는 가볍고 정확하며, 완전 양손잡이 사용이 가능하고, 신뢰성이 높다.[5] SAR 21과 벡터 CR-21과 유사점이 많다.[5]
인민해방군은 1997년에 95식 총기 시리즈를 채택했다.[21] 이란 이슬람 공화국 육군은 KH-2002를 소량 채택했다.[21]
배럿 M95, XM500,[22] 발터 WA 2000, DSR-1,[23] QBU-88, SVU, 보어 등 저격 소총과 네오스테드, 켈텍 KSG 등 전투용 산탄총에도 불펍 방식이 사용된다.[24]
불펍 소총은 다음 국가의 군대에서 제식 소총으로 사용되고 있다.
- 오스트리아 국방군 – StG 77; 1977년 채택.
- 오스트레일리아 국방군 – F88 Austeyr; 1989년 채택.
- 벨기에 국방군 – FN F2000; 2004년 채택.
- 인민해방군 – 95식; 1997년 채택, 2019년부터 QBZ-191로 대체.
- 콜롬비아 군 및 콜롬비아 국가경찰 특수부대 – IWI 타보르 TAR-21.
- 크로아티아 육군 – VHS; 2009년 채택.
- 인도 특수부대 – IWI 타보르 TAR-21.
- 인도네시아 특수부대 – IWI 타보르 TAR-21 및 슈타이어 AUG.
- 아일랜드 국방군 – 슈타이어 AUG; 1988년 채택.
- 이스라엘 방위군 – IWI 타보르 TAR-21; 2001년 채택, IDF 보병 여단 5개 중 3개 여단에서 사용.
- 오만 왕국 육군 – 슈타이어 AUG.
- 스페츠나츠 – OTs-14 그로자, A-91, SVU; 1990년대 채택.
- 싱가포르군 – SAR 21; 1999년 채택.
- 슬로베니아 국방군 – FN F2000; 2007년 채택.
- 영국군 – SA80; 1985년 채택.
과거 불펍 소총을 제식 소총으로 채택했던 국가는 다음과 같다.
- 프랑스군 – FAMAS; 1978년 채택, 2017년부터 HK 416F로 대체.[25]
- 말레이시아군 - 슈타이어 AUG; 1991년 채택, SME Ordnance에서 라이선스 생산.[26] 2004년 콜트 M4A1로 대체.[27]
- 뉴질랜드 국방군 – IW Steyr; 1988년 채택, 2017년 LMT MARS로 대체.[27]
참조
[1]
서적
Thorneycroft to SA80: British Bullpup Firearms, 1901–2020
Headstamp Publishing
2020
[2]
서적
Thorneycroft to SA80: British Bullpup Firearms, 1901–2020
Headstamp Publishing
2020
[3]
서적
The Concise New Partridge Dictionary of Slang and Unconventional English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11-27
[4]
웹사이트
Origin of the Term "Bullpup" – with Jonathan Ferguson
https://www.youtube.[...]
2020-04-19
[5]
서적
Future Weapons
https://books.google[...]
Berkley Caliber
2007
[6]
서적
Tactical Small Arms of the 21st Century: A Complete Guide to Small Arms From Around the World
https://books.google[...]
Gun Digest Books
2011-02-28
[7]
서적
The Battle Rifle: Development and Use Since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4-03-21
[8]
서적
Gun Digest Book of The Tactical Rifle: A User's Guide
Krause Publications
2011-02-25
[9]
서적
Modern Law Enforcement Weapons & Tactics
https://books.google[...]
Krause Publications
2004-05-10
[10]
웹사이트
A Year with the Desert Tech MDRX (Review)
https://www.thefirea[...]
2021-03-25
[11]
서적
Thorneycroft to SA80: British Bullpup Firearms, 1901–2020
Headstamp Publishing
2020
[12]
웹사이트
Curtis 1866: The First Bullpup – with Jonathan Ferguson
https://www.youtube.[...]
[13]
서적
Modern Military Bullpup Rifles: The EM-2 Concept Comes of Age
https://books.google[...]
Collector Grade
1984
[14]
웹사이트
The Model SS41 – A Czech Bullpup Anti-Tank Rifle for the SS
https://www.forgotte[...]
2017-06-23
[15]
서적
EM-2: Concept and Design
Collector Grade Publications
1980
[16]
서적
The FN FAL Battle Rifl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3-08-20
[17]
웹사이트
The Bullpup Rifle Experiment, Part 4: do they have a place in the home defense arsenal?
http://www.grantcunn[...]
2015-10-01
[18]
웹사이트
Gun Review: The VLTOR AUG A3
http://www.thefirear[...]
2013-09-01
[19]
서적
Assault Weapons
Gun Digest Books
2011-02-28
[20]
서적
Handguns & Rifles: The Finest Weapons from Around the World
Globe Pequot Press
2003-06-01
[21]
서적
The Dragon's Teeth: The Chinese People's Liberation Army—Its History, Traditions, and Air Sea and Land Capability in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Casemate
2016-07-14
[22]
서적
The Barrett Rifle: Sniping and anti-materiel rifles in the War on Terror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6-03-24
[23]
서적
SAS and Elite Forces Guide Sniper: Sniping Skills from the World's Elite Forces
https://books.google[...]
Lyons Press
2012-10-16
[24]
서적
The Gun Digest Book of Modern Gun Values: The Shooter's Guide to Guns 1900–Present
https://books.google[...]
F+W Media
2013-11-20
[25]
웹사이트
Delivery first batch 400 HK416F assault rifles French army 10305173 | May 2017 Global Defense Security news industry | Defense Security global news industry army 2017 | Archive News year
https://armyrecognit[...]
[26]
웹사이트
SME Ordnance SDN BHD Products & Services
http://www.epicos.co[...]
[27]
뉴스
New $59 million weapons package begins Defence Force rollout
http://i.stuff.co.nz[...]
Stuff.co.nz
2017-06-16
[28]
간행물
FN P90
国際出版
2003-12-01
[29]
간행물
FN P90
国際出版
2003-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