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박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붉은박쥐(Myotis rufoniger)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중형 박쥐이다. 과거에는 여러 아종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단일 종으로 통합되었다. 몸 전체가 양털 같은 털로 덮여 있으며, 오렌지색 털과 검은색 날개, 귀, 발을 특징으로 한다. 주로 고목이나 산림에서 휴식을 취하며, 겨울에는 동굴이나 폐광에서 동면한다. 붉은박쥐는 베트남, 라오스, 중국, 타이완, 한반도 등에서 발견되며, 산지 숲과 아열대 숲, 동굴 등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한다.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낮은 유효 개체군 크기를 가지며, 동굴 교란, 벌목, 포획 등으로 위협받고 있다. IUCN 적색 목록에서는 관심 필요종으로 분류되며,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 제452호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8년 기재된 포유류 - 모래고양이
모래고양이는 고양이과에 속하는 종으로, 북아프리카, 서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사막에 분포하며 설치류 등을 먹고 살고, 서식지 파괴 등으로 위협받아 CITES 부속서 II에 등재되어 보호받는다. - 1858년 기재된 포유류 - 리처드슨땅다람쥐
리처드슨땅다람쥐는 북미 초원 지대에 서식하며 굴을 파고 사는 설치류로, 꼬리 흔드는 행동 때문에 "플리커테일"이라고도 불리며 농작물 해충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애완동물로도 인기가 있다. - 한국의 포유류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한국의 포유류 - 바다사자
한국바다사자는 과거 동해와 일본 열도에 서식했으나 무분별한 남획으로 20세기 중반 멸종된 암갈색 또는 회색 털색을 띈 멸종위기 바다사자 종으로, 독도가 주요 번식지였다. -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 두루미
두루미는 러시아, 중국, 일본 등지에서 번식하며 멸종위기종으로,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홋카이도 개체군은 텃새이고 잡식성이며 동아시아 문화에서 장수를 상징한다. -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 수달
수달은 족제비과에 속하며 유선형 몸매와 물갈퀴 등 수중 생활에 적합한 특징을 지닌 반수생 포유류로, 물고기 외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전 세계에 분포하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붉은박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Myotis rufoniger |
명명자 | Tomes, 1858 |
이명 | M. chofukusei |
문화어 | 검은오렌지윗수염박쥐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동물강 |
목 | 박쥐목 |
과 | 애기박쥐과 |
속 | 윗수염박쥐속 |
종 | 붉은박쥐 |
분포 | |
![]() | |
보존 상태 | |
IUCN | LC |
IUCN 기준 | IUCN3.1 |
환경부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
환경부 출처 | 120000209294 |
기타 | |
동종이명 | Myotis formosus rufoniger |
웹사이트 | www.mammaldiversity.org |
2. 분류
로버트 피셔 토메스가 1858년에 붉은박쥐를 별개의 종으로 처음 기재했다. 이후 붉은박쥐는 호지슨박쥐(*M. formosus*)와 같은 종으로 재분류되기도 했다. 그러나 2014년 형태학적 연구 결과, *M. formosus*와 *M. rufoniger*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발견되어 두 종은 분리되었다. 날개 패턴을 기반으로 한 계통 발생 연구에서는 *M. rufoniger*가 *M. formosus*보다 아프리카의 웰비치박쥐(*M. welwitschii*)와 더 가깝다는 결과가 나왔다.[3] 미국 포유류학회, IUCN 적색 목록, ITIS에서도 이 분류를 따르고 있다.[1][2][4]
2. 1. 아종
붉은박쥐는 과거 3종의 아종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모두 붉은박쥐(*Myotis rufoniger*) 단일 종으로 통합되었다.- ''Myotis rufoniger rufoniger''는 중국, 베트남에 분포한다.
- ''Myotis rufoniger tsuensis''는 한반도와 대마도에 분포한다.
- ''Myotis rufoniger watasei''는 타이완에 분포한다.
2. 1. 1. ''Myotis rufoniger rufoniger''
중국, 베트남에 분포한다.2. 1. 2. ''Myotis rufoniger tsuensis''
한반도와 대마도에 분포한다.[1] ''Myotis rufoniger tsuensis''는 대한민국에서 천연기념물 및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1]2. 1. 3. ''Myotis rufoniger watasei''
타이완에 분포한다.3. 형태 및 생태
붉은박쥐는 중형 박쥐로, 몸에는 양털 같은 털이 있지만 광택은 없다. 몸에 난 털과 날개, 귓바퀴의 골격 부분은 오렌지색이고, 귀 가장자리, 뒷발, 제1지는 검은색이다. 귓바퀴는 가늘고 길며 약간 굽어 있다. 날개막은 다리 바깥쪽으로 약간 튀어나와 있으며 뒷발 발가락 기부에 붙어 있다. 뒷발은 작다. 신체 치수는 다음과 같다.
부위 | 길이 |
---|---|
전완장 | 4.5cm ~ 5.2cm |
머리와 몸 | 4.5cm ~ 7cm |
꼬리 | 4.3cm ~ 5.2cm |
귀 | 1.5cm ~ 1.8cm |
이주 | 0.6cm ~ 0.9cm |
발톱을 포함한 뒷발 | 1.1cm ~ 1.3cm |
주로 고목이나 산림에서 휴식을 취하고, 겨울철에만 동굴이나 폐광에 들어가 동면한다. 동면 기간은 10월부터 이듬해 4~5월까지이며, 동굴 내 온도가 높은 지점에서 동면한다. 다른 박쥐보다 일찍 동면에 들어가서 늦게 나온다. 여름철에는 산림 지역 내 잎이 무성한 나뭇가지에 거꾸로 매달려 휴식을 취한다. 6~7월에 새끼 1마리를 낳는다. 초음파를 이용해서 곤충을 포획한다.
4. 분포 및 서식지
베트남, 라오스에서 북쪽으로 중국, 동쪽으로 타이완, 북쪽으로 한반도에 이르기까지 동아시아 전역에 걸쳐 드문드문 넓게 분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일본의 대마도에서도 기록된 바 있다.[1] 한국과 타이완의 산지 숲과 베트남의 아열대 숲에서 기록되었다. 분포 지역의 적어도 일부 지역에서는 동굴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
5. 유전적 특징
2017년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붉은박쥐(*M. rufoniger*)는 유효 개체군 크기가 낮으며, 연구를 위해 표본 추출된 네 종의 Myotis 종 중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 연구에서는 유효 개체군 크기가 약 5만 년 전 플라이스토세 후기에 정점에 달했으며, 최후 빙하기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 최저 수준에 도달했음을 발견했다.[5]
6. 보전 상태
이 종의 일부 개체군은 동굴에 서식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따라서 동굴의 교란으로 위협을 받을 수 있다. 숲에서 먹이를 찾고 일부 개체군은 그곳에서 휴식을 취하기 때문에, 벌목으로 인해 위협을 받을 수도 있다. 눈에 띄는 색상 때문에 이 종의 개체는 포획되어 장식품으로 사용될 위험이 있다. 그러나, 이 종은 동아시아 전역에 걸쳐 넓은 분포를 보이며, 서식지 변경에 어느 정도의 적응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므로,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로 분류된다.[1]
7. 대한민국의 멸종위기종
한반도에 서식하는 붉은박쥐(''Myotis rufoniger tsuensis'')는 천연기념물 제452호 및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5][6] 2005년 3월 17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함평군에는 붉은박쥐 전시관이 있으며, 인근 동굴에서 발견된 162마리 이상의 붉은박쥐 개체를 기념하기 위해 162kg의 순수 금으로 만든 붉은박쥐 조형물이 전시되어 있다.[5][6]
참조
[1]
간행물
"''Myotis rufoniger''"
2016
[2]
웹사이트
Explore the Database
https://www.mammaldi[...]
2022-01-21
[3]
논문
The reds and the yellows: a review of AsianChrysopteronJentink, 1910 (Chiroptera: Vespertilionidae:Myotis)
2014-08-22
[4]
웹사이트
ITIS - Report: Myotis rufoniger
https://www.itis.gov[...]
2022-01-21
[5]
논문
Myotis rufoniger genome sequence and analyses: M. rufoniger's genomic feature and the decreasing effective population size of Myotis bats
2017-07-05
[6]
웹사이트
"Golden Bat Exhibition Hall {{!}} 함평군 문화관광(영문)"
https://www.hampyeon[...]
2022-01-27
[7]
간행물
"''Myotis rufoniger''"
2016
[8]
문서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