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천연기념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연기념물은 자연 보호를 위해 지정된 자연 유산으로, 국가별로 다양한 기준과 형태로 운영된다.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자연 파괴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천연기념물 보호 사상이 발전했으며, 독일의 알렉산더 폰 훔볼트가 1800년 저서에서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세기 말부터 서구 여러 국가에서 자연 보호 운동과 함께 천연기념물 개념이 생겨났고, 일본은 1919년 사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법을 제정하여 천연기념물 보호를 시작했다. 한국은 일제강점기인 1933년에 천연기념물 제도가 시행되었으며, 현재 각국은 자국의 특성에 맞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천연기념물을 보호 지역 III등급으로 분류하며, 각국은 지형, 동식물, 지질, 광물 등 다양한 자연물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천연기념물
지도 정보
정의
정의특별하거나 고유한 가치를 지닌 자연적 특징
지정 목적보존과 연구를 위한 특별한 자연적 가치
유형
유형특정한 지질학적 특징
독특한 생태계
특별한 종의 서식지
특정 식물군이나 동물군
중요한 생물학적 특징
독특한 자연 경관
법적 보호
법적 보호국가 또는 지방 법률에 의해 보호됨
문화적 중요성
문화적 중요성역사적, 문화적, 심미적 가치를 가질 수 있음
유사 개념
유사 개념국립공원
보호구역
문화유산
국제적 지위
국제적 지위일부 자연 기념물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기도 함
관리
관리지역 사회
정부 기관
비정부 기구
환경 단체
예시
예시특정 나무
동굴
폭포
고유한 암석층

사막 지역
고대 숲
참고
참고문화재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민속문화재
사적
명승
천연기념물
국가등록문화재

2. 역사

천연기념물 보호는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근대화에 따른 자연 파괴가 심화되면서 시작된 자연 보호 운동의 일환으로 발전하였다. 1933년 일제강점기 조선반도와 타이완에도 천연기념물 보호 제도가 마련되어 해방 후 한국, 북한, 타이완에 계승되었다.[1]

2. 1. 용어의 기원

'천연기념물(Naturdenkmal)'이라는 용어는 독일의 박물학자 알렉산더 폰 훔볼트가 1800년 저서 「신대륙 열대 지방 기행」에서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6] 훔볼트는 남아메리카 베네수엘라에서 자망 데르 구아이레(Zamang der Guayre)라는 나무에 대해 "이 천연기념물(Naturdenkmal)을 훼손하면 이 지역에서는 엄중히 처벌받는다"라고 기술했다. 프랑수아-르네 드 샤토브리앙도 1802년 저서 「르네(René)」에서 천연기념물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5]

1898년 프로이센 왕국의 중의원에서 처음으로 천연기념물에 해당하는 "자연의 기념물" 보호가 논의되었고, 1906년 "프로이센 천연기념물 보호 관리 연구소" 설립 및 "동 연구소의 활동 원칙"이 정해지면서 천연기념물이라는 용어가 공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영국, 스위스, 미국 등 서구 여러 국가에서도 자연 보호 운동과 함께 천연기념물 개념이 확산되었다.

일본에서는 미요시 마나부(도쿄제국대학교 교수)가 Naturdenkmal을 "천연기념물"이라는 용어로 소개했다. 미요시는 1906년 논문에서 일본 국내 명목의 벌채 상황과 서구의 천연기념물 보호 사상을 소개하고, 이후 논문들에서 천연기념물의 보호·보존 필요성을 설명했다.[7] 1919년에는 "사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법"이 제정되어 일본의 천연기념물 보호 행정이 시작되었고, 1933년에는 일본의 지배하에 있던 조선반도와 타이완에도 천연기념물 보호 제도가 마련되어 해방 후 한국, 북한, 타이완에 계승되었다.

2. 2. 각국의 천연기념물 제도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근대화에 따른 자연 파괴가 심화되면서 자연 보호 운동이 활발해졌고, 이는 천연기념물과 그 보호 사상의 발전에 배경이 되었다.

독일의 박물학자 알렉산더 폰 훔볼트는 1800년 저서 「신대륙 열대 지방 기행」에서 '천연기념물(Naturdenkmal)'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5][6] 그는 남아메리카 베네수엘라에 있는 거대한 나무 '자망 데르 구아이레'를 언급하며, 이 천연기념물을 훼손하면 엄중히 처벌받는다고 기술했다. 프랑스 작가 프랑수아-르네 드 샤토브리앙도 1802년 저서 「르네(René)」에서 천연기념물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5] 그러나 당시에는 천연기념물 보호의 필요성이 널리 인식되지 못했다.

천연기념물 보호 사상은 자연 보호 운동과 함께 발전했다. 1898년 프로이센 왕국 의회에서 처음으로 천연기념물 보호가 논의되었고, 1906년 "프로이센 천연기념물 보호 관리 연구소" 설립과 함께 "천연기념물"이라는 용어가 공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영국, 스위스, 미국 등 서구 여러 국가에서도 자연 보호 운동과 함께 천연기념물 개념이 발생하여 보호 대상이 되었다.

일본에서는 미요시 마나부(도쿄제국대학교 교수)가 Naturdenkmal을 "천연기념물"로 소개했다. 미요시는 1906년 논문에서 일본 국내 명목의 벌채 상황과 서구의 천연기념물 보호 사상을 소개하고, 이후 논문들에서 천연기념물 보호의 필요성을 설명했다.[7] 1919년에는 "사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법"이 제정되어 일본의 천연기념물 보호 행정이 시작되었고, 1950년에 문화재보호법으로 이어졌다.

1933년에는 일제강점기 조선반도와 타이완에도 천연기념물 보호 제도가 마련되어 해방 후 한국, 북한, 타이완에 계승되었다.

일본 이외의 국가에서 천연기념물 제도는 일본과 차이가 크다. 일본은 종이나 개체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지만, 미국 등 서구 국가에서는 국립공원처럼 지역을 지정하여 천연기념물로 간주한다. 일본의 국립공원 제도는 보호와 이용을 모두 목적으로 하지만, 서구 국가의 국립공원 제도는 보호를 중점적으로 생각한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자연보호지역 카테고리 III를 천연기념물로 정의하고, '희소성, 대표성, 미적 자질, 문화적 중요성 관점에서 현저하고 유례없는 가치를 지닌 특정 자연 또는 자연 문화적 특징을 포함한 지역'으로 규정한다.[16]

; 한국·북한의 천연기념물

한국북한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천연기념물 제도가 정비되어 현재도 양국에서 지정·운영이 계속되고 있다.

2. 2. 1. 미국

미국1832년부터 넓은 지역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으며, 이는 세계 최초의 국립공원 제도이다.[1]

2. 2. 2. 일본

일본에서 천연기념물은 일반적으로 국가가 지정한 것을 의미하며, 1950년에 제정된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문부과학대신이 지정한다. 소관은 문화청이며, 1919년에 공포된 사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법이 문화재보호법의 전신이다.[8]

지정 대상은 동물, 식물, 지질광물, 그리고 '보호해야 할 천연기념물이 풍부한 대표적인 일정 구역'(천연보호구역)의 4가지이다. 특히 중요한 것은 특별천연기념물로 지정된다.[9][10] 2024년 2월 21일 기준으로, 일본에는 1,040건의 국가 천연기념물이 있으며, 이 중 75건이 특별천연기념물이다.

동물 중에는 21종이 특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식물 중에는 30곳이 특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 아칸호 : 홋카이도
  • 노보로 겐시린 : 홋카이도
  • 아포이산 고산식물 군락 : 홋카이도
  • 하야치네산 및 약사봉의 고산대·삼림식물 군락 : 이와테현
  • 하구로산의 삼나무 숲길 : 야마가타현
  • 히가시네의 큰 팽나무 : 야마가타현
  • 고신소우 자생지 : 도치기현
  • 닛코 삼나무 숲길 가로수 헌납비 : 도치기현
  • 다지마가하라 사쿠라소 자생지 : 사이타마현
  • 우시지마의 등나무 : 사이타마현
  • 오오시마의 벚나무 그루터기 : 도쿄도
  • 시로우마 연산고산식물대 : 나가노현·니가타현·토야마현
  • 카리스쿠의 게바자쿠라 : 시즈오카현
  • 이시토시로의 삼나무 : 기후현
  • 카스가야마 겐시린 : 나라현
  • 다이센의 다이센가라복 순림 : 돗토리현
  • 가모의 큰 녹나무 : 도쿠시마현
  • 호쇼인의 측백나무 : 가가와현
  • 스기노오스기 : 고치현
  • 코쇼잔황양목 원시림 : 후쿠오카현
  • 타치바나야마녹나무 원시림 : 후쿠오카현
  • 사가라의 아이라토비카즈라 : 쿠마모토현
  • 아오시마 아열대성 식물 군락 : 미야자키현
  • 토이미사키소철 자생지 : 미야자키현
  • 우치우미의 야코소우 발생지 : 미야자키현
  • 키이레의 류큐코우가이산지 : 가고시마현
  • 비로도 아열대성 식물 군락 : 가고시마현
  • 가모의 녹나무 : 가고시마현
  • 가고시마현의 소철 자생지 : 가고시마현
  • 야쿠시마 삼나무 원시림 : 가고시마현


국가지정 천연기념물은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포획, 채집 등이 금지된다.[11] 그러나 천연기념물 지정은 문화재 보호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생물이나 환경 변화에 대한 보호에는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면 학술 연구가 어려워지고, 특정 생물만 보호하면 생태계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2021년 2월 기준으로, 노다의 사기 및 그 번식지가 특별 천연기념물 지정에서 해제된 유일한 사례이다. 주변의 도시화로 인해 사기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2. 2. 3. 한국

1933년 일제강점기에 한국에서 천연기념물 제도가 시행되었다.[1]

3. 국제적 보호

국제자연보전연맹(IUCN)[3] 지침에 따르면, 천연기념물은 III등급으로 분류되며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특정 천연기념물을 보호하기 위해 지정된 지역으로, 지형, 해산, 해저 동굴, 동굴과 같은 지질학적 특징 또는 고대 숲과 같은 살아있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호 지역의 규모는 매우 작으며 방문객 가치가 높은 경우가 많다."[2]

이는 II등급(국립공원) 및 I등급(야생지역)보다 낮은 수준의 보호이다.

유럽환경청의 천연기념물 선정 지침은 다음과 같다.[4]


  • 해당 지역은 하나 이상의 탁월한 중요성을 지닌 특징을 포함해야 한다. 적절한 자연 특징에는 폭포, 동굴, 충돌구, 화석층, 사구 및 해양 특징과 함께 독특하거나 대표적인 동물상식물상이 포함되며, 관련 문화적 특징으로는 동굴 주거지, 절벽 위 요새, 고고학 유적지 또는 원주민에게 유산적 의미가 있는 자연 유적지가 포함될 수 있다.
  • 해당 지역은 특징과 그 즉각적인 주변 환경의 무결성을 보호하기에 충분한 크기여야 한다.

4. 천연기념물의 예시

각국은 다양한 자연물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국가천연기념물
아르헨티나아리타 콘
독일벨텐부르크 협곡, 투링겐의 그린벨트, 이베나커의 참나무, 카스베르거 린데
폴란드보구스와프 참나무, 구부러진 숲
벨리즈그레이트 블루 홀
브라질일야스 카가라스
필리핀초콜릿 언덕, 헌드레드 아일랜드 국립공원
러시아베르드 바위


4. 1. 미국

미국1832년부터 넓은 지역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그랜드 캐니언이 대표적인 예이다.[3]

4. 2. 일본

일본에서 천연기념물은 일반적으로 국가가 지정한 것을 가리킨다. 국가 지정 천연기념물은 1950년에 제정된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문부과학대신이 지정하며, 문화청이 소관한다. 문화재보호법은 1919년 공포된 "사적 명승 천연 기념물 보존법"이 전신이다.[1]

지정 대상은 동물, 식물, 지질 광물 및 천연 보호 구역이다. 생물 종과 단일 광물뿐만 아니라 동물의 서식지, 번식지, 도래지, 식물의 자생지, 광물의 경우 특이한 자연 현상이 있는 토지와 지역을 포함하여 지정할 수 있다. 천연 보호 구역과 천연 기념물을 포함한 일정 범위도 지정 가능하다. 이러한 가운데에는 오랜 역사를 통해 문화적인 활동으로 생성된 2차적인 자연도 포함된다. 특히 중요한 것은 특별 천연 기념물로 지정된다. 지정 기준은 "국보 및 중요 문화재 지정 기준 및 특별 사적 명승 천연 기념물과 사적 명승 천연 기념물 지정 기준"(1951년 문화재 보호위원회 고시 제2호)에 근거한다.[1]

4. 3. 기타 국가

참조

[1]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 — European Environment Agency https://www.eea.euro[...] 2023-11-17
[2] 웹사이트 What are Natural Monuments? https://earth.org/wh[...] 2021-07-06
[3] 논문 Guidelines for applying the IUCN Protected Area Management Categories to Marine Protected Areas IUCN 2012
[4] 웹사이트 Environmental Terminology Discovery Service — EEA https://web.archive.[...] 2006-06-22
[5] 서적 天然記念物事典 文化庁文化財保護部 1972
[6] 서적 日本の天然記念物 講談社 1995
[7] 서적 天然記念物事典 文化庁文化財保護部 1972
[8] 웹사이트 新・文化庁の組織について http://www.bunka.go.[...]
[9] 법률 文化財保護法第2条第1項第4号
[10] 웹사이트 国宝及び重要文化財指定基準並びに特別史跡名勝天然記念物及び史跡名勝天然記念物指定基準 http://www.mext.go.j[...]
[11] 웹사이트 文化財保護法 https://laws.e-gov.g[...] 2023-12-05
[12] 간행물 長野県天然記念物 http://www.pref.naga[...]
[13] 논문 全国ホタル研究会誌 2006
[14] 논문 全国ホタル研究会誌 2007
[15] 논문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2009
[16] 간행물 保護地域管理カテゴリーに関するガイドライン http://www.iucn.org/[...]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